KR20120001476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76A
KR20120001476A KR1020100062277A KR20100062277A KR20120001476A KR 20120001476 A KR20120001476 A KR 20120001476A KR 1020100062277 A KR1020100062277 A KR 1020100062277A KR 20100062277 A KR20100062277 A KR 20100062277A KR 20120001476 A KR20120001476 A KR 2012000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area
input
touch
clic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154B1 (ko
Inventor
노경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54B1/ko
Priority to US13/164,691 priority patent/US20110319138A1/en
Priority to EP11005217.2A priority patent/EP2402846B1/en
Publication of KR2012000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화면을 표시하고, 동작 화면에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클릭영역이 포함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하여 관련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가능한 화면 크기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 방식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특정 개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을 가려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터치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도 없다. 또한, 화면에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고, 마우스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입력 키를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객체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이 어려워, 조작 숙달에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구비하지 못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할 수도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입출력 방식과 다른 새로운 입출력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크기의 화면에서도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한 포인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화면를 표시하고,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릭영역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클릭영역이 포함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 근접 터치나 터치 방식으로 포인터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작은 크기의 화면만을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도, 투명한 클릭영역이 포함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근접터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사용하는 포인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포인터의 표시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1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동작 제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근접터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과 같은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내부나 인접한 곳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되는 근접물체와 디스플레이부(151)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Sn)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근접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도 5에서는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가 배치된 단면이 예시되고 있으나,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도록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일반적인 터치로 인식된다.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근접 깊이의 근접터치로 인식된다.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근접 깊이의 근접터치로 인식된다.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3 근접 깊이의 근접터치로 인식된다.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위치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근접물체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근접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근접터치 입력이나 터치 입력을 동작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이동 입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나 동작 등에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0). 이때, 표시되는 동작 화면의 예로는 대기화면, 메시지 수신화면, 메시지 송신화면, 메인 메뉴 화면, 이미지나 동영상 뷰어 화면, 방송 화면, 지도화면, 웹페이지 화면 등이 있다.
동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터 표시가 선택되면(S205), 제어부(180)는 동작 화면에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한다(S210).
포인터 표시는,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기능이 설정된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동작 화면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이나 아이콘 등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화면에 미리 설정된 형태의 제스쳐(gesture) 입력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 중에서, 드래그된 경로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형태에 해당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포인터 표시의 선택에 따라 동작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을 포함한다. 즉, 포인터는 특정 객체를 지시하는 지시영역과, 포인터의 이동이나 클릭 등을 위한 터치나 근접 터치가 입력되는 클릭영역으로 구성하고, 클릭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을 투명하게 동작 화면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클릭영역과 클릭영역 아래 표시된 동작 화면의 내용을 동시에 볼 수 있다.
포인터의 지시영역은 작은 크기의 객체도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크기로 설정하고, 클릭영역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클릭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의 지시영역은 화살 형태나 삼각형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클릭영역은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형태나 크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릭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투명도 조절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포인터는, 후술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 화면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하거나,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등과 같은 제어나 설정에 사용되는 바의 이동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는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도 포함한다.
포인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클릭영역으로 근접터치 입력이 있은 후, 그 근접터치 입력이 이동하는 경우(S215), 제어부(180)는 근접터치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한다(S220). 근접터치 입력은, 근접센서(141)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에 따라 감지할 수 있다. 포인터는 마우스에 대응하는 핑거 마우스의 입력 등에 의해 이동시킬 수도 있다.
만일, 포인터의 지시영역이 지시하는 곳에 클릭가능한 객체가 없는 위치에서, 클릭영역을 일정 시간이상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225), 제어부(180)는 드래그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그 영역에 포함된 객체가 선택되도록 한다(S230). 즉, 마우스 드래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드래그 입력의 동작시에는 포인터의 형태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가 지시하거나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객체는 다른 객체들과 상이한 색이나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화면에서 포인터가 지시하거나 선택된 객체의 색이나 배경색을 다른 객체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의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235), 제어부(180)는 동작 화면에서 포인터가 지시하거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이나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240). 이때,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의 예로는, 하이퍼링크(Hyperlink) 객체, 소프트 키, 메뉴 아이콘 등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만일, 포인터 이동 명령이나 드래그 명령 외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다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245), 제어부(180)는 다른 사용자 입력이나 통화 수신 등과 같은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50). 그리고,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205 단계 이후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25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이 구비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동작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 방식으로 여러 가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화면에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클릭영역을 구비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S300 내지 S310 단계의 과정이나, 다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동작 모드의 선택 전까지 이전의 과정을 반복하는 S335 내지 S345 단계의 과정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크게 차이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는 포인터의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315),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한다(S320).
또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S325), 제어부(180)는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S330). 이때,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입력은, 터치 압력, 터치 시간, 터치 면적, 터치 횟수 등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예컨대, 클릭영역을 소정 시간이상 터치하거나, 더블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의 경우에도, 포인터의 지시영역이 지시하는 곳에 클릭가능한 객체가 없는 위치에서,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과 함께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그 영역에 포함된 객체가 선택되는 마우스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사용하는 포인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터(400)는 특정 객체를 지시하는 지시영역(401)과 포인터의 이동이나 클릭 등을 위한 터치나 근접터치가 입력되는 클릭영역(4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클릭영역(403)은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하게 동작 화면 등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지시영역(401)도 투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포인터(400)의 지시영역(401)과 클릭영역(403)의 형태나 크기, 색 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릭영역(403)을 이용하여, 중첩된 화면을 확대한 이미지를 클릭영역(403)에 표시하는 돋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 및 도 10은 포인터의 표시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화면(410)에서 특정 아이콘(413)을 터치하거나,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형태의 제스쳐 입력(415, 417) 등에 의해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415, 147)은 동작 화면(410)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 중에서, 드래그된 경로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형태에 해당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포인터를 표시하는 제스쳐 입력의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제조시 디폴트로 설정된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동작 화면(410)의 특정 영역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혹은 더블 터치하는 입력 등에 의해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포인터의 표시 선택에 따라 포인터가 표시된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포인터의 표시가 선택되면, 동작 화면(420)에 포인터(423)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423)는 동작 화면(420)에서 특정 객체를 지시하는 지시영역과 포인터(423)의 이동이나 클릭 등을 위한 터치나 근접터치가 입력되는 클릭영역을 포함한다.
원 형태의 클릭영역은 투명하게 동작 화면(430)에 중첩시켜 표시되며, 지시영역과 분리된 영역이므로, 포인터(423)의 이동이나 클릭시에도, 포인터(423)가 지시하는 객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동작 제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동작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화면(420)에서 포인터(423)의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 등에 의해 드래그에 대응하는 영역(425)이 선택되는, 마우스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래그입력에 의해 선택된 영역(425)은, 이후 포인터(423)의 클릭영역을 터치하면 관련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는 파일 및 폴더 명칭이 표시된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파일 및 폴더 명칭이 나열된 화면(430)에서 어느 한 파일을 포인터(433)를 이용하여 선택한 후, 드래그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된 파일에 원하는 폴더에 도달하여, 다시 포인터(433)의 클릭영역을 터치하여 선택된 파일이 복사되거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컴퓨터 환경에서 제공되는 것과 같은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화면(440)에서 글자나 이미지 등이 작은 경우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밀한 편집이 어려운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포인터(443)를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원도우 모바일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원도우 모바일 화면(450)을 사용하는 경우, 작은 메뉴 아이콘이 많아서, 손가락 대신 터치 펜 등을 이용해야 한다. 특히, 원도우 모바일 화면(450)의 상단 및 하단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어려움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포인터(453, 455)를 표시하여 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453, 455)의 클릭영역에 현재 포인터(453, 455)가 지시하고 있는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화면 캡쳐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 화면(460)에서 특정 키를 누르고 포인터(463)를 이동시켜 선택한 영역(465)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캡쳐하여 사진 보관함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웹 화면(460)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모드 화면도 같은 방식으로 캡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인터(463)를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부분을 캡쳐할 수 있다.
도 16은 지도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화면(500, 510)에서 버스 정거장, 지하철 역 등 특정 구조물을 지시하도록 포인터(503, 513)를 이동시키면, 이와 관련된 상세 정보(505, 515)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 대신 포인터(503, 513)를 이용하여 작은 객체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지도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데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화면(520)에서 클릭영역을 더블 터치하는 경우,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터(523)가 지시하는 곳을 기준으로 확대한 지도 화면(530)을 표시할 수 있다. .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화면(540)에서 포인터(543)를 드래그하는 경우, 점선 가이드 라인(545)을 표시하고,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라인(545)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한 지도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포인터를 이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원하는 부분을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도 화면 외에 다른 동작 화면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원하는 부분을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지도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사람을 검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에 검색할 사람이 많은 경우, 이미지가 겹쳐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포인터(561)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561)의 클릭영역에 현재 포인터(561)가 가리키고 있는 사람(561)의 얼굴이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은 이미지 편집 화면에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편집 화면(620)에서 포인터(623)를 이용하여 선택영역(625)을 설정한 후, 다시 포인터(623)의 클릭영역을 터치하면,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625)를 제외한 영역을 제거한 화면(6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포인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부분 선택, 선택한 부분 제거, 선택하지 않은 부분 제거, 선택한 부분 복사하기, 복사한 이미지에 다른 이미지 붙여 놓기, 그림 그리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지하철 노선 화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노선 화면(640)에 특정 역을 가리키도록 포인터(643)를 이동시키면, 관련 정보(645)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 대신 포인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목적지가 손가락에 가려서 보이지 않거나, 원하는 곳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투명한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다양한 동작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4)

  1.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특정 키 신호의 입력, 상기 동작 화면에서 기설정된 영역이나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 및 상기 동작 화면을 통해 기설정된 제스쳐 입력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을 통한 근접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에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을 더블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클릭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동작 화면을 확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특정 키 입력 후,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근접물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클릭영역을 통한 상기 근접물체가 감지 후, 상기 근접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근접물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화면를 표시하고,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으면,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릭영역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터치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터치 압력, 터치 시간, 터치 횟수, 및 터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을 일정 시간이상 터치 후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이 선택되는 드래그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 동작시, 상기 포인터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는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2.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작 화면에 클릭영역을 포함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터치 후 드래그하는 입력시,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클릭영역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터치하는 입력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터치 압력, 터치 시간, 터치 횟수, 및 터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된 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62277A 2010-06-29 2010-06-2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77A KR101694154B1 (ko) 2010-06-29 2010-06-2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164,691 US20110319138A1 (en) 2010-06-29 2011-06-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EP11005217.2A EP2402846B1 (en) 2010-06-29 2011-06-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77A KR101694154B1 (ko) 2010-06-29 2010-06-2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76A true KR20120001476A (ko) 2012-01-04
KR101694154B1 KR101694154B1 (ko) 2017-01-09

Family

ID=445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77A KR101694154B1 (ko) 2010-06-29 2010-06-2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319138A1 (ko)
EP (1) EP2402846B1 (ko)
KR (1) KR1016941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12A (ko) * 2012-04-05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직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5316A (ko) * 2013-11-13 2016-07-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1656518B1 (ko) * 2015-05-14 2016-09-09 이상백 탄력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그를 이용한 특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60133296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168892B2 (en) 2014-09-19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handling touch input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608B1 (en) 2011-06-27 2015-11-03 Amazon Technologies, Inc. Camera based sensor for motion detection
US8490008B2 (en) 2011-11-10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715489B2 (en) 2011-11-10 2017-07-25 Blackberry Limited Displaying a prediction candidate after a typing mistake
US9310889B2 (en)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652448B2 (en) 2011-11-10 2017-05-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US9122672B2 (en) 2011-11-10 2015-09-01 Blackberry Limited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557913B2 (en)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US9152323B2 (en) 2012-01-19 2015-10-06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EP2631768B1 (en) 2012-02-24 2018-07-11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E112012000189B4 (de) 2012-02-24 2023-06-15 Blackberry Limited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zum Vorsehen von Wortvorhersagen in Partitionen der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in naher Assoziation mit Kandidaten-Buchstaben
US9201510B2 (en) 2012-04-16 2015-12-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10025487B2 (en) 2012-04-30 2018-07-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DE112012000321T5 (de) * 2012-04-30 2014-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extauswahl
US9292192B2 (en) 2012-04-30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2012-04-30 2016-05-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660697B1 (en) * 2012-04-30 2017-03-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207860B2 (en) 2012-05-25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US9116552B2 (en) 2012-06-27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WO2014008670A1 (zh) 2012-07-13 2014-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操作对象的方法和终端
US9063653B2 (en) 2012-08-31 2015-06-23 Blackberry Limited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US9524290B2 (en) 2012-08-31 2016-12-20 Blackberry Limited Scoring predictions based on prediction length and typing speed
KR102051418B1 (ko) * 2012-09-28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US10474342B2 (en) * 2012-12-17 2019-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rollable user interface control
US9471200B2 (en) 2013-03-15 2016-10-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rganizing and presenting a collection of media items
US10168882B2 (en) * 2013-06-09 2019-01-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camera interfaces
US20150091841A1 (en) * 2013-09-30 2015-04-02 Kobo Incorporated Multi-part gesture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ersonal display
CN105094667B (zh) * 2015-06-29 2018-01-26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文件上传方法及装置
CN113489836B (zh) * 2021-06-17 2022-11-15 浪潮卓数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单手操作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4681A1 (en) * 2001-12-20 2003-07-03 Nokia Corporatio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US20080074399A1 (en) * 2006-09-27 2008-03-27 Lg Electronic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menu and item
US20090063960A1 (en) * 2000-04-14 2009-03-05 Picsel (Research) Lt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viewing digital documents
KR20090035333A (ko) * 2007-10-05 200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87800A (en) * 1999-06-02 2000-12-28 Ncr International, Inc. Self-service terminal
US8230366B2 (en) * 2003-10-23 2012-07-24 Apple Inc. Dynamically changing cursor for user interface
KR100539904B1 (ko) * 2004-02-27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및 그 사용 방법
EP1769326A2 (en) * 2004-06-29 2007-04-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taining of a display device
US7489306B2 (en) * 2004-12-22 2009-02-10 Microsoft Corporation Touch screen accuracy
US20080222540A1 (en) * 2007-03-05 2008-09-11 Apple Inc. Animating thrown data objects in a project environment
EP2225628B1 (en) * 2007-12-20 2018-05-30 Myriad France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a cursor and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creen using a finger pointer
US20090207144A1 (en) * 2008-01-07 2009-08-20 Next Holdings Limited Position Sensing System With Edge Positioning Enhancement
US8650507B2 (en) * 2008-03-04 2014-02-11 Apple Inc. Selecting of text using gestures
US8201109B2 (en) * 2008-03-04 2012-06-12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3960A1 (en) * 2000-04-14 2009-03-05 Picsel (Research) Lt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viewing digital documents
WO2003054681A1 (en) * 2001-12-20 2003-07-03 Nokia Corporatio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US20080074399A1 (en) * 2006-09-27 2008-03-27 Lg Electronic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menu and item
KR20090035333A (ko) * 2007-10-05 200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12A (ko) * 2012-04-05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직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5316A (ko) * 2013-11-13 2016-07-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관련 장치
US11144172B2 (en) 2013-11-13 2021-10-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Launching application task based on single user input and preset condition
US11669219B2 (en) 2013-11-13 2023-06-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Launching application task based on single user input and preset condition
US10168892B2 (en) 2014-09-19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handling touch input and method thereof
KR20160133296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56518B1 (ko) * 2015-05-14 2016-09-09 이상백 탄력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그를 이용한 특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9138A1 (en) 2011-12-29
EP2402846A3 (en) 2012-03-14
KR101694154B1 (ko) 2017-01-09
EP2402846A2 (en) 2012-01-04
EP2402846B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1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1302B1 (ko)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630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82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788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518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674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2874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38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0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97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955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3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4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04045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86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0114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7957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2313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123490A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