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86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186B1
KR101645186B1 KR1020100033863A KR20100033863A KR101645186B1 KR 101645186 B1 KR101645186 B1 KR 101645186B1 KR 1020100033863 A KR1020100033863 A KR 1020100033863A KR 20100033863 A KR20100033863 A KR 20100033863A KR 101645186 B1 KR101645186 B1 KR 10164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screen
scroll
display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294A (ko
Inventor
조선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86B1/ko
Priority to EP11161821.1A priority patent/EP2378406B1/en
Priority to US13/085,312 priority patent/US9081496B2/en
Publication of KR201101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전자문서에서 어느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면,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따라 전자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 부분의 이동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걸림 부분이 존재하면, 걸림 부분에서 표시 부분의 이동속도를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미리 걸림 부분을 설정하여, 설정된 걸림 부분에서 화면 이동이 늦어지게 하거나 멈춰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롤 명령에 따른 화면 이동시 걸림 부분을 설정하여 화면 이동을 늦추거나 멈출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가능한 화면 크기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전자문서나 웹페이지(web page) 등을 표시하는 경우, 전자문서나 웹페이지의 일 부분만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그 화면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화면 스크롤 조작을 통해 전체 내용을 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화면 스크롤 조작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스크린 적용되어 있으면, 사용자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을 이용한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이나 플리킹(flicking)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드래그된 거리만큼만 화면이 이동되므로, 화면 이동거리가 긴 경우 사용자는 빠르게 연속적인 터치 앤 드래그 조작을 해야 한다. 또한, 플리킹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터치된 방향과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상당히 먼 위치까지 한번에 화면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면 스크롤 조작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나 항목을 지나쳐서 화면이 이동하게 되어, 다시 반대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 명령에 따라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화면 이동을 늦추거나 멈출 수 있는 걸림 부분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전자문서에서 어느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스크롤 명령의 입력시, 상기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부분의 이동경로 상에 기설정된 걸림 부분이 존재하면, 상기 걸림 부분에서 상기 표시 부분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자문서의 어느 한 부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화면 스크롤 명령시, 상기 화면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경로 상에 기설정된 걸림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걸림 영역의 통과시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미리 걸림 부분을 설정하여, 설정된 걸림 부분에서 화면 이동이 늦어지게 하거나 멈춰지도록 할 수 있다. 화면 이동에 따라 걸림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걸림 부분을 통과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촉각 효과나 화면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자문서의 어느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0). 이때, 전자문서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수신되거나 저장된 문서형식의 자료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문서에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가 포함된 모든 파일이 포함된다. 예컨대, 전화번호부나 메시지 송수신 목록 등과 같은 복수의 항목이 나열된 리스트, 텍스트 기반의 내용, 웹페이지나 기타 그래픽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파일이 전자문서에 포함된다.
전자문서의 어느 한 부분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플릭(touch flick) 입력이나 터치앤 드래그(touch & drag) 입력 등과 같은 스크롤 명령이 입력된 경우(S205), 제어부(180)는 입력된 스크롤 명령에 따라 전자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역인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한다(S210). 즉,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따라 표시 부분에 대한 화면 이동이 수행된다.
스크롤 명령으로 사용가능한 입력 중에서, 터치플릭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가볍게 디스플레이부(151)의 표면을 긋는 동작과 같은 입력 상태를 말한다. 터치 입력과 터치플릭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된 후부터 터치된 면에서 손가락 등이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 등에 따라 식별할 수 있다. 스크롤 명령에는 터치플릭 입력이나 터치앤 드래그 입력 외에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키 입력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근접터치 입력 등도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에서, 현재 표시 부분이 전자문서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S215). 또한, 표시 부분에 미리 체크된 항목이나 즐겨찾기 항목 등과 같이 특정 항목이 포함된 경우, 이들의 항목의 존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문자는 만화 등에서 인물들의 발언을 풍선 모양으로 둘러싸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말풍선(Speech Ballon) 형태나,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나오는 툴팁(Tooltip)과 같은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스크롤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문자는, 현재 스크롤 위치에 대응하는 항목의 명칭에서 두문자(the first letter)로 나타낼 수 있다. 두문자는 낱말이나 문장에서의 첫 글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식별문자는 반드시 두문자로 나타낼 필요는 없으면,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에서, 표시 부분의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걸림 부분이 있으면(S220), 제어부(180)는 걸림 부분에서 표시 부분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켜 표시한다(S225).
예컨대, 걸림 부분의 통과시, 표시 부분의 이동 속도를 감속되고, 걸림 부분에서 감속된 이동 속도에 따라 표시 부분의 이동이 정지되거나, 혹은 걸림 부분을 통과하면서 이동이 계속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분에서 화면 이동시 정지되는 경우, 걸림 부분을 기준으로 화면을 정렬시켜 표시할 수 있다.
걸림 부분은, 복수의 항목이 나열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항목의 첫 글자가 바뀌는 위치, 페이지 단위, 문서의 마지막 부분 등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빈번히 사용되는 항목에 설정되거나, 기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나 항목 등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분을 통과하거나 걸림 부분에서 멈추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특별한 화면 효과를 부여하거나, 진동 등과 같은 촉각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부여하는 화면 효과의 예로는, 바운스 효과(bounce effect), 순간적인 줌인 줌아웃 효과, 잠시 동안의 화면 흔들림, 혹은 회전 등이 있다. 이러한 화면 효과와 함께 표시 부분의 재이동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가 함께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만일, 걸림 부분이 문서의 마지막 부분인 경우(S230), 제어부(180)는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연이어 전자문서의 처음 부분이 표시되도록 한다(S235). 즉, 전자 문서의 마지막 부분과 처음 부분을 연결한 루프 스크롤(loop scroll) 구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설정되는 걸림 부분은 다른 걸림 부분에 비해 이동속도가 감속되는 비율이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화면 이동은, 스크롤 명령에 따른 화면 이동이 종료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240).
도 4b를 참조하면, 만일, 스크롤 명령 외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다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245),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이나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50). 그리고, 다른 동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205 단계 이후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34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스크롤 명령에 따른 화면 이동시, 걸림 부분에서 화면 이동속도의 변화 등에 따라 걸림 부분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의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복수의 항목이 나열된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300)을 통해 터치플릭 입력(305)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플릭 입력(305)이 있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플립 입력의 입력 방향인 아래 방향(310)으로 화면 이동이 수행된다. 이때,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표시 부분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나타내는 식별 문자(323)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 문자(323)는 대응하는 항목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거나, 다음번 식별 문자가 표시되기 전까지 스크롤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걸림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목이 두문자가 변화는 위치에 걸림 부분(345)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화면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 부분(345)을 통과하게 되면, 화면 이동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또한, 걸림 부분(345)의 통과에 따라 다른 두문자의 항목이 표시되기 시작하면,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문자(343)를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340)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특정 항목에 걸림 부분(365)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 부분(365)에서 화면 이동속도가 느려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현재 화면 이동 위치나 특정 항목이 포함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분(365)의 통과시, 미리 설정된 촉각 효과나 화면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a)는 걸림 부분(405)의 통과시 속도가 느려져서 결국 걸림 부분(405)을 통과하지 못하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분(405)을 기준으로 화면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 부분(405)에서 화면 이동이 정지하는 경우, 화면이 걸림 부분(405)에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화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걸림 부분(405)에서 화면 이동이 정지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9는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44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지막 부분에 설정된 걸림 부분(445)에 도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설정된 걸림 부분(445)에서 다른 걸림 부분에 비해 이동속도의 감속이 크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속도가 느려지면서 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연이어 문서의 처음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루프 구조로 특정 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스크롤 명령의 입력 시, 상기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를 스크롤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가 스크롤되는 동안 기 설정된 걸림 부분을 만나면, 상기 걸림 부분에서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하는 단계;
    상기 걸림 부분에서의 스크롤 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걸림 부분을 통과한 전자문서를 계속 스크롤하는 단계;
    상기 걸림 부분에서의 스크롤 속도가 일정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걸림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문서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면,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연이어 상기 전자문서의 처음 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설정되는 걸림 부분은, 다른 걸림 부분에 비해 스크롤 감속 비율이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분은, 페이지 경계 부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지정된 부분, 항목의 두문자가 바뀌는 부분, 지정된 항목이 포함된 부분, 및 상기 문서의 마지막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분의 통과시, 기 설정된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분의 통과시, 기 설정된 화면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화면 효과는, 바운싱 효과, 표시배율의 변화, 화면의 회전, 화면의 흔들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표시 부분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기호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표시 부분에 존재하는 특정 항목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터치플립 입력, 터치앤 드래그 입력, 및 근접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삭제
  11.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화면 스크롤 명령 시, 상기 화면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를 스크롤하고, 상기 전자문서가 스크롤되는 동안 기 설정된 걸림 부분을 만나면, 상기 걸림 부분에서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하며, 상기 걸림 부분에서의 스크롤 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걸림 부분을 통과한 전자문서를 계속 스크롤하고, 상기 걸림 부분에서의 스크롤 속도가 일정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동작을 정지한 후 상기 걸림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문서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문서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면,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연이어 상기 전자문서의 처음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전자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설정되는 걸림 부분은, 다른 걸림 부분에 비해 스크롤 감속 비율이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분은, 페이지 경계 부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지정된 부분, 항목의 두문자가 바뀌는 부분, 지정된 항목이 포함된 부분, 및 상기 문서의 마지막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걸림 부분의 통과시 기 설정된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햅틱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걸림 부분의 통과시 기 설정된 화면 효과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삭제
KR1020100033863A 2010-04-13 2010-04-13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63A KR101645186B1 (ko) 2010-04-13 2010-04-13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11161821.1A EP2378406B1 (en) 2010-04-13 2011-04-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13/085,312 US9081496B2 (en) 2010-04-13 2011-04-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63A KR101645186B1 (ko) 2010-04-13 2010-04-13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94A KR20110114294A (ko) 2011-10-19
KR101645186B1 true KR101645186B1 (ko) 2016-08-03

Family

ID=4502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63A KR101645186B1 (ko) 2010-04-13 2010-04-13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677999B1 (en) * 2013-09-03 2024-05-22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KR102135364B1 (ko) * 2013-12-18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3161581A1 (en) 2014-06-27 2017-05-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CN110072131A (zh) 2014-09-02 2019-07-30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DK201670580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Wrist-based tactile time feedback for non-sighted user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DK179888B1 (en) 2018-09-11 2019-08-27 Apple Inc. CONTENT-BASED TACTICAL OUTPUTS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45A (ja) * 1999-04-28 2000-11-07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表示装置、情報携帯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19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의 파일선택방법
KR101469777B1 (ko) * 2008-06-27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촉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45A (ja) * 1999-04-28 2000-11-07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表示装置、情報携帯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94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18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630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1302B1 (ko)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41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5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53842B1 (ko)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82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67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971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08939A (ko) 원형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0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97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96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337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4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050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411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