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81A -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81A
KR20120001381A KR1020100062130A KR20100062130A KR20120001381A KR 20120001381 A KR20120001381 A KR 20120001381A KR 1020100062130 A KR1020100062130 A KR 1020100062130A KR 20100062130 A KR20100062130 A KR 20100062130A KR 20120001381 A KR20120001381 A KR 2012000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urved portion
head
straight portio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810B1 (ko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8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clip)은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사용한다. 고정 클립은 i) 일측이 오픈되어 임플란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적용된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부 및 ii) 만곡되어 고정부와 연결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FIXATION CLIP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열을 교정하는 경우,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브라켓을 고정한다. 그리고 브라켓에 와이어를 통과시킨 후 와이어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치아를 이동시킨다. 즉, 와이어로 치아에 응력을 가하여 치열을 교정한다.
좀더 정밀한 치열 교정을 위하여 임플란트를 잇몸뼈 또는 입천장뼈에 직접 고정하고, 임플란트를 플레이트로 고정시킨다. 이 경우,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하고, 잇몸뼈 또는 입천장뼈와의 밀착력이 높아야 할 필요가 있다.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술한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은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사용한다. 고정 클립은 i) 일측이 오픈되어 임플란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적용된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부 및 ii) 만곡되어 고정부와 연결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i)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 및 ii) 직선형부와 이격되어 직선형부와 함께 일측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만곡부는 i) 직선형부와 함께 일측을 형성하고, 직선형부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만곡부, 및 ii) 제1 만곡부와 연결되고, 직선형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만곡부의 길이는 제1 만곡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2 만곡부는 제1 만곡부보다 더 크게 휠 수 있다. 직선형부로부터 제1 만곡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0.8mm 미만이고, 직선형부로부터 제2 만곡부까지의 최장 거리는 0.8mm 이상일 수 있다. 최단 거리는 0.4mm 이상 0.8mm 미만일 수 있다. 직선형부로부터 제1 만곡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0.4mm 미만이고, 직선형부로부터 제2 만곡부까지의 최장 거리는 0.4mm 이상일 수 있다.
직선형부와 제1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다가 커질 수 있다. 직선형부와 제2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커지다가 작아질 수 있다.
고정부는 직선형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휨부를 더 포함하고, 휨부와 제2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고, 돌출부의 일단은 휨부와 연결되고, 돌출부의 타단은 만곡부와 연결되며, 일단 및 타단은 상호 접할 수 있다.
직선형부가 뻗은 방향으로의 돌출부의 길이는 직선형부와 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돌출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만곡부는 탄성력이 있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돌출부는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는 i) 상호 이격된 복수의 임플란트들, ii) 복수의 임플란트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개구공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iii)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고, 플레이트에 삽입된 복수의 임플란트들 중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며,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 클립을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가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임플란트는, i) 뼈에 삽입되도록 적용되고, 그 표면에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부, 및 ii) 고정부 위에 위치하고, 플레이트와 접하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i) 지지부 위에 위치하는 제1 헤드부, 및 ii) 제1 헤드부 위에 위치하고, 제1 헤드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드부의 중심축과 제2 헤드부의 중심축은 상호 일치할 수 있다. 지지부의 폭은 제1 헤드부의 폭보다 크고, 지지부의 중심축과 제1 헤드부의 중심축은 상호 일치할 수 있다.
고정 클립의 두께와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은 제1 헤드부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제1 헤드부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개구공들은, i) 제1 개구공, 및 ii) 제1 개구공보다 크고, 플레이트가 뻗은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제2 개구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임플란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는 헤드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고정 클립은 관통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를 포함하고, 직선형부의 폭은 관통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직선형부의 길이는 관통공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관통공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그 일측이 오픈되어 임플란트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정 클립은 만곡되어 고정부와 연결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i)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 및 ii) 직선형부와 이격되어 직선형부와 함께 일측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는 i) 직선형부와 함께 일측을 형성하고, 직선형부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만곡부, 및 ii) 제1 만곡부와 연결되고, 직선형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만곡부는 제1 만곡부보다 더 크게 휠 수 있다. 직선형부와 제1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다가 커질 수 있다.
고정 클립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플레이트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립을 간단히 제거하여 플레이트를 임플란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임플란트 시술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자른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또는 도 6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는 치아를 교정하는 데 사용하는 모든 고정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서, 치아는 인간의 치아 또는 동물의 치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치아 교정은 치열 교정 등의 모든 치아 관련 시술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의 고정 클립(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고정 클립(100)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의 고정 클립(100)은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도 2에 도시)에 사용된다. 고정 클립(100)은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클립(100)은 고정부(10) 및 돌출부(20)를 포함한다. 이외에, 고정 클립(100)은 필요에 따라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의 일측(101)은 오픈되어 있고, 고정부(10)는 개구부(103)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부(10)의 일측(101)을 통하여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y축 방향으로 개구부(103)에 삽입해 고정한다. 그 결과, 고정 클립(100)를 이용해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20)는 만곡되어 있고, 환형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임플란트(300)를 고정시킨 고정 클립(100)의 돌출부(20)를 플라이어(plier) 등으로 잡아서 고정 클립(100)을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직선형부(105) 및 만곡부(107)를 포함한다. 직선형부(105)는 일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만곡부(107)는 직선형부(105)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만곡부(107)는 직선형부(105)와 함께 일측(101)을 형성한다. 그 결과, 직선형부(105) 및 만곡부(107)에 의해 일측(101)을 통하여 개구부(103)로 삽입되는 임플란트(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만곡부(107)는 임플란트(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탄성력이 있는 금속, 예를 들면 티타늄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클립(100)은 일체로 형성되므로, 선형의 티타늄을 벤딩 가공하여 고정 클립(100)을 제조할 수 있다.
만곡부(107)는 제1 만곡부(1071) 및 제2 만곡부(1073)을 포함한다. 만곡부(107)는 그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1 만곡부(1071) 및 제2 만곡부(1073)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제2 만곡부(1073)의 길이는 제1 만곡부(1071)의 길이보다 크다. 즉, 제2 만곡부(1073)는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고정시키도록 기능하고, 제1 만곡부(1071)는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의 인입구로서 가능한다. 따라서 제2 만곡부(1073)의 길이는 제1 만곡부(1071)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제2 만곡부(1073)는 제1 만곡부(1071)보다 더 크게 휘어 있으므로,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만곡부(1071)는 직선형부(105)와 함께 일측(10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만곡부(1071)는 직선형부(105)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제1 만곡부(1071)는 -x축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만곡부(1071)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일측(101)을 통하여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는 제1 만곡부(1071)에 의해 일정한 압축력을 받는다. 따라서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는 제1 만곡부(1071)의 압축력에 의해 적절히 고정되므로, 개구부(103)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직선형부(105)와 제1 만곡부(1071)의 이격 거리(d1071)는 일측(101)으로부터 돌출부(20)로의 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다가 커진다. 여기서, 이격 거리(d1071)는 x축에 평행하며, 일측(101)으로부터 돌출부(20)로의 방향은 -y축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격 거리(d107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감하므로,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안전하게 개구부(103)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만곡부(1073)는 직선형부(105)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제2 만곡부(1073)는 +x축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만곡부(1073)는 임플란트(300)를 고정할 수 있는 개구부(103)를 형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직선형부(105)와 제2 만곡부(1073)의 이격 거리(d1073)는 일측(101)으로부터 돌출부(20)로의 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점차 커지다가 작아진다. 여기서, 이격 거리(d1073)는 x축에 평행하다. 이격 거리(d1073)가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감하므로,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안정적으로 개구부(103)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부(105)로부터 제1 만곡부(1071)까지의 최단 거리(dmin)는 0.8mm 미만이 되도록 고정 클립(100)을 제조한다. 여기서, 최단 거리(dmin)는 x축 방향과 평행인 제1 만곡부(1071)와 직선형부(105) 사이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를 의미한다. 삽입되는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의 길이는 0.8mm 이상일 수 있으므로, 최단 거리(dmin)를 0.8mm 미만으로 조절하여 임플란트(300)에 압축력을 부여하면서 개구부(103)에 삽입시킨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최단 거리(dmin)는 0.4mm 이상 0.8mm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직선형부(105)로부터 제2 만곡부(1073)까지의 최장 거리(dmzx)는 0.8mm 이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최장 거리(dmax)는 x축 방향과 평행인 제2 만곡부(1073)와 직선형부(105) 사이의 거리 중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한다. 삽입되는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의 길이는 0.8mm 이상일 수 있으므로, 최장 거리(dmax)를 0.8mm 이상으로 조절하여 임플란트(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휨부(109)를 더 포함한다. 휨부(109)는 직선형부(105)와 돌출부(20)를 상호 연결한다. 휨부(109)와 제2 만곡부(1073)의 이격 거리(d109)는 일측(101)으로부터 돌출부(20)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진다. 즉, -y축 방향으로 갈수록 휨부(109)는 제2 만곡부(1073)에 점차 근접한다.
돌출부(20)는 일단(201) 및 타단(203)을 포함한다. 일단(201) 및 타단(203)은 상호 접한다. 따라서 돌출부(20)는 폐쇄형 구조를 형성한다. 그 결과, 고정 클립(100)을 일체형 구조로 제조할 수 있고, 돌출부(20)를 파지하기 쉽다. 따라서 임플란트(300)(도 2에 도시)를 고정 클립(100)에 쉽게 삽입하거나 고정 클립(100)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0)의 직선형부(105)가 뻗은 방향, 즉 y축 방향으로의 길이(dy)는 직선형부(105)와 직각 교차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의 길이(dx)보다 크다. 따라서 돌출부(20)는 y축 방향으로 좀더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부(20)는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그 결과, 돌출부(20)를 플라이어 등을 이용해 좀더 파지하기 쉽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고정 클립(100)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클립(100)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의 분해 구조는 단지 본 발명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는 고정 클립(100), 플레이트(200), 복수의 임플란트들(300) 및 와이어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임플란트들(300)은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다. 임플란트(300)는 입천장뼈 등에 고정된다. 임플란트(300)는 고정체(3001), 지지부(3003) 및 헤드(3005)를 포함한다. 고정체(3001)의 표면에는 나선형 돌출부(300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임플란트(300)를 입천장뼈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화살표 ①의 방향으로 임플란트(300)를 플레이트(200)의 개구공들(2001, 2003)에 삽입하는 경우, 지지부(3003)는 플레이트(200)의 아래에 접하면서 플레이트(200)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3003)는 헤드(3005)를 지지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05)는 지지부(3003) 위에 위치한다. 화살표 ①의 방향으로 임플란트(300)를 플레이트(200)의 개구공들(2001, 2003)에 삽입하는 경우, 헤드(3005)는 개구공들(2001, 2003)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헤드(3005)는 제1 헤드부(3005a) 및 제2 헤드부(3005b)를 포함한다. 제2 헤드부(3005b)는 제1 헤드부(3005a) 위에 위치한다.
한편, 플레이트(200)는 복수의 개구공들(2001, 2003)을 가진다. 복수의 개구공들(2001, 2003)은 상호 다른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개구공(2003)의 크기는 개구공(2001)의 크기보다 크다. 개구공(2003)는 플레이트가 뻗은 방향, 즉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어 있다. 즉, 복수의 임플란트들(300)을 입천장뼈 등에 식립하는 경우, 시술에 따라 복수의 임플란트들(300)의 이격 거리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00)에 x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개구공(2003)를 형성함으로써 이격 거리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한 종류의 플레이트(200)만 사용하여 복수의 임플란트들(300)을 고정할 수 있다.
화살표 ①의 방향으로 임플란트(300)를 플레이트(200)의 개구공들(2001, 2003)에 삽입한 후, 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고정 클립(100)을 제1 헤드부(3005a)의 양측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고정 클립(100)에 의해 플레이트(200)를 복수의 임플란트들(30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고정부(400)에는 와이어(미도시)를 체결 고정한다. 와이어 고정부(400)를 통해 와이어를 체결 고정하고, 대구치 홀더에 와이어를 연결한 후, 대구치 홀더를 대구치에 씌운다. 그 결과,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를 이용하여 치열 등을 교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의 모든 부품들을 결합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에서 고정 클립(100)은 -y축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200) 위의 임플란트(300)의 제1 헤드부(3005a)의 양측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헤드(3005)는 개구부(200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고정 클립(100)이 제2 헤드부(3005b) 및 플레이트(200)에 걸리므로, 임플란트(300)를 플레이트(2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만약, 시술이 완료되어 플레이트(200)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화살표 ③과 같이 +y축 방향을 따라 돌출부(20)를 플라이어 등으로 파지하여 고정 클립(10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고정 클립(100)을 이용하여 플레이트(200)와 임플란트(300)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이 간편하다.
만약, 고정 클립(100)을 사용하지 않고, 플레이트를 벤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경우, 플레이트를 장착하거나 철거하기 어렵다. 또한, 임플란트가 입천장뼈 등에 평행하게 식립되지 않는 경우, 플레이트를 장착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클립(100)을 사용함으로써 플레이트와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라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를 잘라서 그 부분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서 플레이트(200)는 단면이 아니라 다른 부품들의 배면에 위치하므로, 해칭하지 않고 보이는 그대로 도시한다. 플레이트(200)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은 전부 단면 형태이므로, 해칭하여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헤드부(3005a), 제2 헤드부(3005b) 및 지지부(3003)의 중심축(C)은 모두 일치한다. 제1 헤드부(3005a), 제2 헤드부(3005b) 및 지지부(3003)는 각각 그 중심축(C)이 모두 상호 일치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C)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헤드부(3005a), 제2 헤드부(3005b) 및 지지부(3003)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 헤드부(3005a)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헤드부(3005a)는 육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헤드부(3005a)의 표면은 각져 있으므로, 고정 클립(100)을 제1 헤드부(3005a)에 결합시키는 경우, 고정 클립(100)과 제1 헤드부(3005a)와의 마찰력이 커서 고정 클립(100)이 제1 헤드부(3005a)로부터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클립(100)과 제1 헤드부(3005a)와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헤드부(3005b)의 폭은 제1 헤드부(3005a)의 폭보다 크고, 지지부(3003)의 폭은 제1 헤드부(3005a)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제1 헤드부(3005a)는 제2 헤드부(3005b) 및 지지부(3003)에 비해 중심축(C)에 가깝게 함몰되어 양측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을 통하여 고정 클립(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정 클립(100)은 그 위의 제2 헤드부(3005b) 및 그 아래의 플레이트(200)에 걸리므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한편, 고정 클립(100)을 좀더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100)의 두께(t100)와 플레이트(200)의 두께(t200)의 합은 제1 헤드부(3005a)의 두께(t3005a) 이하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고정 클립(100)의 두께(t100)와 플레이트(200)의 두께(t200)의 합은 제1 헤드부(3005a)의 두께(t300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헤드부(3005a)가 플레이트(200) 및 제2 헤드부(3005b) 사이에 삽입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클립(1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2000)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5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2000)의 구조는 도 2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2000)는 고정 클립(120), 플레이트(200), 복수의 임플란트들(320) 및 와이어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2000)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고정 클립(120)의 폭은 도 2의 고정 클립(100)의 폭보다 작다. 이는 도 5의 고정 클립(120)이 헤드(3025)를 둘러싸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관통공(3025a)을 통하여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클립(120)의 폭을 작게 형성하여 임플란트(320)를 쉽게 고정시킨다.
임플란트(320)는 고정체(3001), 지지부(3003) 및 헤드(3025)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3025)에는 관통공(3025a)이 형성된다. 고정 클립(120)은 관통공(3025a)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즉, 화살표 ①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3025)를 개구공(2003)에 끼운 후, 화살표 ②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클립(120)을 관통공(3025a)에 끼워서 플레이트(200)를 임플란트(320)에 고정시킨다. 한편, 관통공(3025a)만 구비되면 고정 클립(1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3025)의 형상을 복잡하게 제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헤드(3025)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320)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고정 클립(120)은 관통공(3025a) 내부로 부드럽게 삽입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관통공(3025a)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공(3025a)은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클립(120)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직육면체 형상의 관통공(3025a) 내부에서 원활하게 잘 움직인다. 한편,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 클립(120)을 제조하는 경우, 그 단면의 크기를 관통공(3025a)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면, 관통공(3025a) 내부에서 고정 클립(120)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클립(120)에 포함되어 y축 방향을 따라 뻗은 직선형부(125)의 폭(W125)을 관통공(3025a)의 폭(w3025a)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직선형부(125)는 관통공(3025a) 내부에서 부드럽고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립(120)은 제1 만곡부(1271) 및 제2 만곡부(1273)를 포함하므로, 임플란트(320)로부터 잘 빠지지 않고 관통공(3025a)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직선형부(125)로부터 제1 만곡부(1271)까지의 최단 거리(dmin)를 0.4mm 미만으로 조절하고, 직선형부(125)로부터 제2 만곡부(1273)까지의 최장 거리(dmax)는 0.4mm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의 거리는 x축 방향에 평행한 거리를 의미한다. 직선형부(125)로부터 제1 만곡부(1271)까지의 최단 거리(dmin)가 너무 큰 경우, 임플란트(320)가 고정 클립(120)에 너무 헐거운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임플란트(320)가 고정 클립(120)과 너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직선형부(125)로부터 제2 만곡부(1273)까지의 최장 거리(dmax)가 너무 작은 경우, 여유 공간이 없으므로 헤더(3025)가 고정 클립(120)과 체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술한 범위로 거리를 조절한다.
한편, 제1 만곡부(1271)의 벤딩 구조로 인하여 직선형부(125)를 관통공(3025a)에 삽입하는 경우, 고정 클립(120)이 헤드부(3025)와 접촉하면서 잘 벌어진다. 즉, 제1 만곡부(1271)는 고정 클립(120)을 잘 벌어지게 하면서 직선형부(125)를 관통공(3025a)에 삽입 유도한다. 그 결과, 고정 클립(120)과 헤드부(3025)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2000)를 결합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025)의 관통공(3025a)을 통하여 고정 클립(1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클립(120)은 그 구조상 헤드(3025)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임플란트(320)를 플레이트(2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3 또는 도 6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를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에 와이어(500), 지지대(510) 및 한 쌍의 대구치 홀더들(520)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쌍의 대구치 홀더들(520)은 지지대(510) 및 와이어(500)와 연결되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에 의한 교정력을 부여받는다.
화살표 방향을 따라 대구치 홀더(520)를 대구치(T)에 씌우고, 고정 클립(100)으로 고정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입천장뼈에 식립한다. 따라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1000, 2000)에 의해 대구치(T)에 교정력을 가함으로써 치열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고정부 100. 고정 클립
101. 일측 103. 개구부
105, 125. 직선형부 1071, 1073, 1271, 1273. 만곡부
109. 휨부 20. 돌출부
200. 플레이트 201. 일단
203. 타단 2001, 2003. 개구공
300, 320. 임플란트 3001. 고정체
3001a. 나선형 돌출부 3003. 지지부
3005, 3025. 헤드 3005a, 3005b. 헤드부
3025a. 관통공 400. 와이어 고정부
500. 와이어 600. 지지대
520. 대구치 홀더 1000, 2000.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C. 중심축 T. 대구치

Claims (29)

  1.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에 사용하는 고정 클립(clip)으로서,
    일측이 오픈되어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적용된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부, 및
    만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돌출부
    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 및
    상기 직선형부와 이격되어 상기 직선형부와 함께 상기 일측을 형성하는 만곡부
    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직선형부와 함께 상기 일측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형부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1 만곡부와 연결되고, 상기 직선형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부
    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만곡부의 길이보다 큰 고정 클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보다 더 크게 휜 고정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로부터 상기 제1 만곡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0.8mm 미만이고, 상기 직선형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최장 거리는 0.8mm 이상인 고정 클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는 0.4mm 이상 0.8mm 미만인 고정 클립.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로부터 상기 제1 만곡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0.4mm 미만이고, 상기 직선형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최장 거리는 0.4mm 이상인 고정 클립.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와 상기 제1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다가 커지는 고정 클립.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와 상기 제2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고정 클립.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직선형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휨부와 상기 제2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고,
    상기 돌출부의 일단은 상기 휨부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의 타단은 상기 만곡부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상호 접하는 고정 클립.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가 뻗은 방향으로의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직선형부와 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돌출부의 길이보다 큰 고정 클립.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탄성력이 있는 금속으로 제조된 고정 클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환형 형상을 가지는 고정 클립.
  15. 상호 이격된 복수의 임플란트들,
    상기 복수의 임플란트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개구공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임플란트들 중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뼈에 삽입되도록 적용되고, 그 표면에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지지부 위에 위치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헤드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부의 중심축과 상기 제2 헤드부의 중심축은 상호 일치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1 헤드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의 중심축과 상기 제1 헤드부의 중심축은 상호 일치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의 두께와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헤드부의 두께 이하인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공들은,
    제1 개구공, 및
    상기 제1 개구공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가 뻗은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제2 개구공
    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플란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는 상기 헤드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적용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부의 폭은 상기 관통공의 폭보다 작은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의 길이는 상기 관통공의 길이보다 긴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그 일측이 오픈되어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만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뻗은 직선형부, 및
    상기 직선형부와 이격되어 상기 직선형부와 함께 상기 일측을 형성하는 만곡부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직선형부와 함께 상기 일측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형부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1 만곡부와 연결되고, 상기 직선형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부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보다 더 크게 휜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부와 상기 제1 만곡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다가 커지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KR1020100062130A 2010-06-29 2010-06-29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KR10114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30A KR101147810B1 (ko) 2010-06-29 2010-06-29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30A KR101147810B1 (ko) 2010-06-29 2010-06-29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81A true KR20120001381A (ko) 2012-01-04
KR101147810B1 KR101147810B1 (ko) 2012-05-18

Family

ID=4560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30A KR101147810B1 (ko) 2010-06-29 2010-06-29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90B1 (ko) * 2012-04-18 2013-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식체 회전방지용 지대주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3253T2 (de) * 1999-12-28 2006-07-13 Dentsply-Sankin K.K., Otawara Orthodontisches Traggerüst
KR100602799B1 (ko) * 2004-10-22 2006-07-20 임성훈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0602798B1 (ko) * 2004-11-18 2006-07-20 임성훈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0931257B1 (ko) * 2008-01-22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 스크류용 와이어 고정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90B1 (ko) * 2012-04-18 2013-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식체 회전방지용 지대주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810B1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511Y1 (ko)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US8550814B1 (en) Multi-component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US5545037A (en) Interarch orthodontic coil spring
US9393085B2 (en) Connector for coupling an orthodontic appliance to a patient and associated methods
ES2959932T3 (es) Dispositivo ortodóncico de sujeción
KR101268646B1 (ko) 구개장치
JP2006320726A (ja) 改良型矯正用ブラケット
US20150272706A1 (en) Orthodontic device
JP2021526392A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US20200146782A1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KR101147810B1 (ko)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US20140295369A1 (en) Orthodontic Accessory
WO2006028865A1 (en) Orthodontic device for attachment to orthodontic wire
KR20140144044A (ko)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551604B1 (ko) 와이어 포지셔닝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그리고 그의 치아 교정 방법
WO2007087697A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variable prescription
KR100849457B1 (ko) 치열교정용 탄성체 훅 지지구
KR100773150B1 (ko)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JP6970679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0917062B1 (ko) 치아 교정구의 탄성부재 지지 장치
WO2014163154A1 (j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KR100691797B1 (ko) 형상기억 물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한 와이어 고정용클립을 구비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29792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1413582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