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177A -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 Google Patents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1177A KR20120001177A KR1020100061849A KR20100061849A KR20120001177A KR 20120001177 A KR20120001177 A KR 20120001177A KR 1020100061849 A KR1020100061849 A KR 1020100061849A KR 20100061849 A KR20100061849 A KR 20100061849A KR 20120001177 A KR20120001177 A KR 201200011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lope
- soil
- vegetation base
- base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1/00—Agricultural u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이 유기성폐기물 5 내지 50 중량%, 식물성재료 5 내지 30 중량%, 점토 5 내지 30 중량%, 마사토 5 내지 20 중량%, 우분 5 내지 30 중량% 및 토탄 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인공 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음식물쓰레기를 비탈면 생태복원에 재활용할 수 있고, 비탈면에 적용시 우수한 보수력, 부착성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음식물쓰레기를 비탈면 생태복원에 재활용할 수 있고, 비탈면에 적용시 우수한 보수력, 부착성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채석장암반비탈면과 도로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종래의 기술은 주로 제지슬러지, 하수오니, 토탄, 비료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식생 기반재를 만들고 취부하여 녹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주로 도로비탈면을 비롯한 각종 건설공사 현장의 비탈면녹화를 위해서 무분별하게 일정한 시험과 기준도 없이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에서 주재료가 하수오니이기에 식생 기반재에 불량재료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채석장과 도로비탈면 등에 시공시 토양오염과, 용출수 지역의 수질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연생태계 보전과 청정환경을 위해서는 비탈면 녹화에 대한 적절한 기준이 필요하고, 식생 기반재에 친환경적인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어 진다.
또한, 종래 기술의 식생 기반재의 재료는 재료의 생산과정에서 부숙과정이 없이 배합되기에 인공토양에 필요한 각종 비료성분과 유기성분이 조기에 고갈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기존의 식생 기반재는 시공 이후에 몇 일후부터 갈라짐(균열)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균열 사이로 종자가 발아하고 생육하여 비탈면이 강우에 의해 유실과 탈락의 우려가 높다. 또한, 암반비탈면에서 철망 위에 시공할 경우 부착성이 떨어지고 철망과 식생 기반재와의 이탈로 인하여 재료가 지반에 떨어지거나 탈락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생태복원에 재활용하면서, 비탈면에 적용시 우수한 보수력, 부착성 및 안정성이 높은 식생 기반재를 형성할 수 있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이용한 생태복원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유기성폐기물 5 내지 50 중량%, 식물성재료 5 내지 30 중량%, 점토 5 내지 30 중량%, 마사토 5 내지 20 중량%, 우분 5 내지 20 중량% 및 토탄 5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인공 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포함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은 음식물쓰레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탈염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재료는 임목폐기물 파쇄칩, 톱밥, 활엽수 잎 및 파쇄된 교목 및 관목의 종자와 볏짚 및 옥수수의 부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토양 점착제는 점토 5 내지 5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석회 5 내지 20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 중량% 및 벤토나이트 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a)비탈면의 요철을 없애고, 철망 또는 네트망을 설치하는 단계;
(b)유기성폐기물, 식물성재료, 점토, 마사토, 우분, 및 토탄을 중량비로 배합하여 인공 토양을 형성하는 단계;
(c)점토, 시멘트, 석회,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중량비로 배합하여 토양 점착제를 형성하는 단계;
(d)인공 토양 및 토양 접착제를 혼합하여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e)상기 식생 기반재 조성물에 외래 종자 및 재래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f)상기 (e) 단계의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비탈면에 취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탈면 생태복원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인공 토양및 토양 점착제는 90:10 내지 95:5(w:w)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래 종자 및 외래 종자는 6:4 내지 9:1(w:w)의 배합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의 취부 두께는 0.5 내지 15 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유기성폐기물로 음식물쓰레기를 사용하고 있어 자원의 재활용성이 높고, 비료, 폴리머 점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비탈면의 녹화를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재래 종자 및 외래 종자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어, 외래 종자에 의해서 초기 녹화 속도가 빨라 강우에 의해서 식생 기반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재래 종자에 의해서 우리나라 산지의 생태복원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산지에서 발생하는 식물성재료와 유기성폐기물을 배합하여 인공 토양에서 부숙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양분의 조기 고갈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토양 점착제를 포함하기에 비탈면에서 부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생 기반재에 균열이 적고, 암반 비탈면에 시공후 철망 부착성이 우수하여 식생 기반재의 탈락과 유실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친환경적인 식생 기반재 재료를 이용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비탈면에 시공시 우수한 보수력, 부착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인공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포함한다.
인공토양
상기 인공토양은 기존의 인공토양에서 문제시되는 유기/무기 영양분의 빠른 유출을 방지하고, 화학비료의 사용 없이 생태복원용 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의 생육을 보조하고,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의 시공후에 나타나는 균열을 방지하고 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퇴비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퇴비재료는 자연재료 폐기물을 이용하고 있어 자원의 재활용성이 높고, 인공토양 내에서 부숙 과정이 진행될 수 있기에 유기성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적절한 수분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생태복원용 식물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퇴비재료는 유기성폐기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은 가정, 식당 등에서 발생되고, 자연 분해성이 낮은 비닐, 포장재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이다.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건식 또는 습식 혼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탈염 및 탈수화되고, 잘게 파쇄된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에서 수일동안 부숙된 퇴비일 수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탈염/탈수 및 퇴비화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인공 토양 내에서 분해 과정이 진행되기에 장기간 생태복원용 식물에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고, 탈염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기에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에 의해서 생태복원용 식물의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염분에 의한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기에 자원의 재활용성이 높고, 음식물 쓰레기로 제조된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아 영양분의 조기 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시 비료화 공정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 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료화 과정에서 처리되는 화학약품 등이 첨가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은 인공토양에 대해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충분한 유기성 영양분을 생태복원용 식물에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의 유기성폐기물에 의해서 인공 토양의 유기/무기 영양성분의 균형이 저해되거나 인공토양의 점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퇴비재료는 식물성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재료는 수분 흡수력이 높아 우기시 수분을 흡수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에게 지속적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유기성폐기물의 보조 영양재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상기 생태복원용 식물에게 유기성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재료들이 불규칙적으로 혼합되어 있어 이들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에 우기시 우수한 배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재료는 복원 지역에서 발생된 식물성재료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임목폐기물 파쇄칩, 톱밥, 활엽수 잎 및 파쇄된 교목, 관목의 종자와 볏짚 및 옥수수의 부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물성재료는 상기 언급한 성분들의 건식 혼합물 또는 습식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퇴비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재료는 인공토양에 대해 5 내지 30 중량%롤 포함될 수 있고, 5 중량% 미만이면 본원발명의 목적인 산지에 발생하는 식물성 폐기물의 재활용성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생태복원 식물에게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인공토양의 제조시 구성성분들 간에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후에 식생 기반재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배합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합토는 상기 퇴비 재료의 분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생태복원용 식물의 생육을 보조할 수 있는 영양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토양의 입단화, 배수성, 통기성, 보수력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배합토는 점토, 마사토, 우분 및 토탄 등일 수 있고, 상기 배합토는 비탈면의 주변 환경 및 토양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토는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고, 강우 또는 기온 변화에 따른 인공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 배수성, 보수력 등이 우수하여 상기 조성물의 입단화를 증대시켜 생태복원용 식물에게 안정적인 식생 기반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사토를 이용하여 통기성 및 배수성이 개선되어 우기시 빗물이 고여서 퇴비재료의 혐기성 부패 및 생태복원용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분(cow dung) 및 토탄(peat)을 사용하여 무기성 질소와 같은 무기성 영양분을 제공하고, 보비력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생기반 층 내에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합토는 인공 토양에 대해서 점토 5 내지 30 중량%, 마사토 5 내지 20 중량%, 우분 5 내지 20 중량% 및 토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합토의 구성성분 함량을 벗어나면 토양의 입단화가 저하될 수 있고, 토양의 배수성 및 보비력이 저하되어 갈라짐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토양은 잔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양 점착제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토양 점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 점착제는 고분자 접착제 등과 같은 화학성분이 첨가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인공토양의 점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초기복원 시점에 인공 토양의 유실,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생태복원용 식물의 뿌리를 비탈면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다. 비탈면에 시공시 철망 또는 네트망과의 부착력을 증가시켜주기에 생태복원용 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생 기반재의 유실 또는 탈락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점참제와 인공 토양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여러층의 식생 기반재를 시공할 필요 없이 바로 철망 또는 네트망에 적용할 수 있어 생태복원공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토양 점착제는 점토 및 천연 광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점토를 사용하여 상기 인공토양과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시멘트는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이 철망 또는 비탈면과의 점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제올라이트는 양료가 많아 인공토양의 양분을 개선하여 주고, 벤토나이트는 수분을 오래 함유하여 보습효과를 개선하여 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양 점착제는 점토 5 내지 5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석회 5 내지 20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 중량%, 벤토나이트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양 점착제의 구성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식생 기반재의 점착력이 낮아져 식생 기반재의 이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점착제는 잔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식생기반 식물
본 발명에 의한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식생기반 식물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식생기반 식물은 생태 복원용 식물이며, 재래 종자 및 외래 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기반 식물은 성장 속도가 빠른 외래 종자를 이용하여 초기 비탈면 복원 과정에서 녹지화 속도를 개선시키면서, 동시에 비탈면 주위에 서식하는 재래 종자를 이용하여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하여 생태계 보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재래 종자는 자귀나무, 참싸리, 낭아초, 비수리, 쑥, 안고초, 족제비싸리, 감국, 과꽃, 구절초, 도라지, 마타리, 금계국, 억새, 민들레, 벌노랑이, 벌개미취, 산국, 쑥부쟁이, 붓꽃, 개암나무, 병꽃나무. 쪽제비싸리, 진달래, 철쭉, 두릅. 청미래/청가시 덩굴류, 서나무, 새류, 오리나무, 자작 나무, 보리수나무, 소나무, 단풍 나무 등의 재래 목본 또는 초본 종자일 수 있다.
상기 외래 종자는 터프타입 톨 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 페레니얼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류 등과 같은 초본 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이용한 생태복원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태복원공법은 철망 또는 네트망을 설치하는 단계,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비탈면에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철망 또는 네트망을 설치하는 단계는 비탈면에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없애고, 철망 또는 네트망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비탈면은 주택, 도로, 채석사업장, 임도건설 등의 인공적으로 훼손된 산지 비탈면, 홍수,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 재해로 인하여 발생된 비탈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발파암 비탈면, 토사, 리피암비탈면 등일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앙카핀 또는 착지핀 등과 같은 철망을 고정할 수 있는 핀을 비탈면에 박은 이후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망을 비탈면에 깔수 있다. 상기 네트망은 코이어 네트/주트 네트 등일 수 있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성폐기물, 식물성재료, 점토, 마사토, 우분, 및 토탄을 중량비로 배합하여 인공 토양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점토, 시멘트, 석회,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중량비로 배합하여 토양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인공 토양과 토양 점착제를 혼합하여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인공 토양과 토양 점착제를 90:10 내지 95:5(w:w)의 배합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 토양이 상기 배합비에서 90 미만이면, 상기 생태복원용 식물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95를 초과하면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의 비탈면에서 점착력이 약해질 수 있어 식생 기반재의 유실 등이 발생 가능성이 높다.
상기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에재래 종자 및 외래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종자는 재래 종자와 외래 종자가 6:4 내지 9:1(w:w)의 배합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재래 종자가 6 미만이면 외래 종자에 의해서 복원 초기에 녹지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외래 종자의 개체수가 증가되어 비탈면 주위 환경의 생태계 복원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재래 종자가 9를 초과하면, 식생 기반재의 녹지화 속도가 저하되기에 우기시 식생 기반재의 유실 등이 발생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의 안정적인 생장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외래 종자와 재래 종자의 종류는 비탈면의 토질 상태 및 주변 환경의 생태계 복원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탈면에 취부하는 단계는 상기 종자가 혼합된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고압 취기부에서 건식 또는 물을 이용한 습식 취부 방법으로 이용하여 비탈면에 식생 기반재 층을 취부하는 단계이다.
상기 식생 기반재 층의 취부 두께가 0.5 내지 15 cm일 수 있고, 상기 두께는 경사면의 토질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 cm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인공토양 및 토양 점착제의 제조
구성 |
제조예
1 |
제조예 2 |
제조예
3 |
제조예
4 |
|
인공
토양 |
유기성
퇴비 |
30 | 50 | 60 | _ |
식물성
재료 |
20 | 20 | 15 | 30 | |
점토 | 15 | 15 | 10 | 20 | |
마사토 | 15 | 5 | 5 | 20 | |
우분 | 10 | 5 | 5 | 15 | |
토탄 | 10 | 5 | 5 | 15 |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
토양
점착제 |
점토 | 45 | 45 | 45 | 45 |
시멘트 | 15 | 15 | 15 | 15 | |
석회 | 15 | 15 | 15 | 15 | |
제올라이트 | 15 | 15 | 15 | 15 | |
벤토나이트 | 10 | 10 | 10 | 10 |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상기 유기성 퇴비는 염농도가 0.5 % 이하인 음식물 쓰레기를 25~80도의온도에서 2 개월이상 부숙 발효된 퇴비이고, 상기 식물성재료는 임목폐기물 파쇄칩 및 톱밥의 혼합물이다. 상기 표 1에서 제시된 배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인공 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제조하였다(배합비는 중량%이다.)
[실시예 1-2]
1
. 식생 기반재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2의 인공 토양 90 kg과 토양 점착제 10 kg을 각각 혼합하여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발파암비탈면에 시공
발파암비탈면에서 요철을 없애고 이물질을 정리한 후 앙카핀과 착지핀을 박고 철망을 부착하였다. 고압 취기부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의 식생 기반재 조성물에 재래 종자(자귀나무, 싸리나무, 낭아초 목본류는 20g, 비수리, 새 등 초본류는 40g, 톨 훼스큐(tall fescue) 등 외래종자는 10g)로 상기 식생 기반재 조성물과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고압취부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과 물을 섞으면서 발파암비탈면에 두께(5 cm이상)로 취부하였다. 두께에 따라 검측을 하여 보완시공을 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의 인공 토양 95 kg과 토양 점착제 5 kg을 각각 혼합하여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파암비탈면에 시공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3의 인공 토양 90 kg과 토양 점착제 10 kg을 각각 혼합하여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파암비탈면에 시공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4의 인공 토양 90 kg과 토양 점착제 10 kg을 각각 혼합하여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파암비탈면에 시공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의 인공 토양을 단독으로 구성하여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파암비탈면에 시공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생 기반재를 시공한 후 1 주일 이후에 다음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제시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발아 개체수: 발아 개체수는 공법이 시공된 비탈면의 방형구(1m2)에서 발아한 식물의 개체수를 실측(관측)하였다.
(2) 인공토양 균열수: 인공토양 균열수는 공법이 시공된 비탈면의 방형구(1m2)에서 지름 1 cm이상의 균열수를 실측(관찰)하였다.
(3) 인공토양 유실수: 인공토양 유실수는 공법이 시공된 비탈면의 방형구(1m2)에서 면적 5cm2이상의 유실된 개수를 실측(관찰)하였다.
(4) 식물중량(g): 식물중량(g)은 공법이 시공된 비탈면에서 우점식물을 채취하여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전체무게(생중량)를 측정하였다.
(5) 토양 pH: 토양 pH는 채취된 시료를 실내로 운반하여 pH-meter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피복도: 피복도는 공법이 시공된 비탈면의 방형구(1m2) 또는 전체면적의 피복도를 실측하였다.
(7) 토양습도: 토양습도는 다케무라(TAKEMURA)식 토양산습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토양경도: 토양경도는 후지와라(FUJIWARA)식 토양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 유기물 함량: 유기물 함량은 Tyurin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염기 치환 용량: 염기 치환 용량은 Brown간이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성 | 발아 개체수(1m 2 ) | 식물중량(g) | 피복도(%) |
인공토양 균열
(1cm이상 균열개수/1m 2 ) |
인공토양 유실
(5cm 2 이상유실개수/1m 2 ) |
실시예 1 | 151 | 69 | 80 | 2 | 0 |
실시예 2 | 147 | 68 | 75 | 1 | 0 |
실시예 3 | 110 | 67 | 85 | 1 | 1 |
비교예 1 | 497 | 17 | 80 | 12 | 3 |
비교예 2 | 639 | 13 | 85 | 18 | 7 |
비교예 3 | 652 | 12 | 80 | 12 | 6 |
구성 | 토양pH |
토양습도
(%) |
토양경도
(mm) |
유기물 함량
(wt%) |
염기 치환 용량(cmol/kg) |
실시예 1 | 6.7 | 2.8 | 15.2 | 10.9 | 22.33 |
실시예 2 | 7.4 | 3.1 | 14.7 | 9.1 | 21.34 |
실시예 3 | 7.9 | 3.2 | 16.2 | 5.4 | 14.65 |
비교예 1 | 7.6 | 0.5 | 11.0 | 5.6 | 14.74 |
비교예 2 | 7.7 | 0.2 | 12.0 | 5.9 | 15.01 |
비교예 3 | 7.7 | 0.3 | 10.2 | 6.1 | 16.06 |
표 2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에는 비탈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식생 기반재의 유실 및 균열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에 나타낸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 기반재 조성물은 습도 및 토양 경도가 우수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아 식생 식물의 생육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 유기성폐기물 5 내지 50 중량%, 식물성재료 5 내지 30 중량%, 점토 5 내지 30 중량%, 마사토 5 내지 20 중량%, 우분 5 내지 20 중량% 및 토탄 5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인공 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이 음식물쓰레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탈염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재료가 임목폐기물 파쇄칩, 톱밥, 활엽수 잎과 파쇄된 교목, 관목의 종자와 볏짚 및 옥수수의 부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점착제가 점토 5 내지 5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석회 5 내지 20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 중량% 및 벤토나이트 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 (a)비탈면의 요철을 없애고, 철망 또는 네트망을 설치하는 단계;
(b)유기성폐기물, 식물성재료, 점토, 마사토, 우분, 및 토탄을 중량비로 배합하여 인공 토양을 형성하는 단계;
(c)점토, 시멘트, 석회,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중량비로 배합하여 토양 점착제를 형성하는 단계;
(d)인공 토양 및 토양 점착제를 혼합하여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e)상기 식생 기반재 조성물에 외래 종자 및 재래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f)상기 (e)단계의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비탈면에 취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탈면 생태복원공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인공 토양및 토양 점착제가 90:10 내지 95:5(w:w)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공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래 종자 및 외래 종자가 6:4 내지 9:1(w:w)의 배합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공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의 취부 두께가 0.5 내지 15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생태복원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849A KR101186035B1 (ko) | 2010-06-29 | 2010-06-29 |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849A KR101186035B1 (ko) | 2010-06-29 | 2010-06-29 |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177A true KR20120001177A (ko) | 2012-01-04 |
KR101186035B1 KR101186035B1 (ko) | 2012-09-25 |
Family
ID=4560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1849A KR101186035B1 (ko) | 2010-06-29 | 2010-06-29 |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603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58892A (zh) * | 2012-02-10 | 2012-07-11 | 滁州市永和绢云母有限公司 | 一种胶合板调胶专用填料及其制备工艺 |
KR20160071252A (ko) * | 2014-12-11 | 2016-06-21 | 주식회사 카멜 | 광업 부산물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
KR102201367B1 (ko) * | 2020-07-20 | 2021-01-11 | (주)테라생태환경 | 법면용 식생토와 이의 제조방법 |
CN115055485A (zh) * | 2022-06-24 | 2022-09-16 | 三峡大学 | 一种以厨余垃圾为原料的边坡加固剂及其制备方法 |
-
2010
- 2010-06-29 KR KR1020100061849A patent/KR10118603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58892A (zh) * | 2012-02-10 | 2012-07-11 | 滁州市永和绢云母有限公司 | 一种胶合板调胶专用填料及其制备工艺 |
KR20160071252A (ko) * | 2014-12-11 | 2016-06-21 | 주식회사 카멜 | 광업 부산물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
KR102201367B1 (ko) * | 2020-07-20 | 2021-01-11 | (주)테라생태환경 | 법면용 식생토와 이의 제조방법 |
CN115055485A (zh) * | 2022-06-24 | 2022-09-16 | 三峡大学 | 一种以厨余垃圾为原料的边坡加固剂及其制备方法 |
CN115055485B (zh) * | 2022-06-24 | 2023-09-19 | 三峡大学 | 一种以厨余垃圾为原料的边坡加固剂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6035B1 (ko) | 2012-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4632B1 (ko) |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805390B1 (ko) |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 |
KR101412522B1 (ko) |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 |
KR100839201B1 (ko) |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 |
KR20120081432A (ko) |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 |
US6302936B1 (en) | Recycled soil | |
CN106171793A (zh) | 一种秋华柳扦插方法 | |
CN106105858A (zh) | 一种利用园林废弃物制备育苗基质的方法 | |
KR101186035B1 (ko) |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 |
KR100634569B1 (ko) |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94244B1 (ko) | 식물 섬유를 이용한 녹화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시공방법 | |
KR101201346B1 (ko) |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 |
KR200417955Y1 (ko) |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923312B1 (ko) | 다층의 식생 기반을 조성하는 사면 녹화 방법 | |
KR102272679B1 (ko) | 녹생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 |
KR20170011327A (ko) | 커피박을 포함하는 녹화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 |
KR100419583B1 (ko) |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 |
KR100355175B1 (ko) |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 |
KR101572110B1 (ko) |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 |
KR101305475B1 (ko) |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 |
Ugwu et al. | Organic-waste aerator could completely displace poultry-droppings manure in nursery media based on coarse-textured soil: evidence with cashew seedlings | |
KR101712452B1 (ko) | 쏘일 녹화 공법용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녹화 방법 | |
KR102201367B1 (ko) | 법면용 식생토와 이의 제조방법 | |
KR100855318B1 (ko) | 친환경 사면보호 복합식생토 조성물(gmp) 및 그제조방법 | |
KR100852358B1 (ko) | 임목 폐기물 등의 식물 발생재를 재활용한 식물 생육보조재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