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01U - 다기능 머리빗 - Google Patents

다기능 머리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901U
KR20120000901U KR2020100007910U KR20100007910U KR20120000901U KR 20120000901 U KR20120000901 U KR 20120000901U KR 2020100007910 U KR2020100007910 U KR 2020100007910U KR 20100007910 U KR20100007910 U KR 20100007910U KR 20120000901 U KR20120000901 U KR 201200009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rear end
c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619Y1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우진앤플래닛(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앤플래닛(주) filed Critical 우진앤플래닛(주)
Priority to KR2020100007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2Combs with suction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탈모된 머리카락을 흡입하여 별도의 수거통으로 수거하거나, 빗살이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는 기능이 있는 다기능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상기 빗살(11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112)을 길이로 형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된 머리카락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머리카락수거통(130)과;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부(131)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131)의 후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210)를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210)와 결합해 임펠러(2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110)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111)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113)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113)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113)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114)을 구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113)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113)을 밀어주는 원판캠(220)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220)과 결합해 원판캠(22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빗살(111)이 탄성을 갖도록 판스프링(1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로드캠(113)의 후단부에 볼베어링(121)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더불어 상기 흡입공(112)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해 빗살과 빗살 사이에 다수개의 흡입공을 형성하고, 빗몸통 후단부에 진공흡입부를 구성하여, 빗질을 함과 동시에 머리카락과 각질 또는 이물질을 별도의 수거통으로 흡입 수거해 청결한 위생생활을 도모할 수 있고, 상기 빗몸통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여, 두피 또는 모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작용에 의해 건강한 두피 및 모발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성 탈모를 예방하며, 빗살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두피를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도록 해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촉진함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모근의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고, 모근의 성장을 활성화함은 물론 두피가 피부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머리빗{Multifunction a comb}
본 고안은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탈모된 머리카락을 흡입하여 별도의 수거통으로 수거하거나, 빗살이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는 기능이 있는 다기능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상기 빗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을 길이로 형성한 빗몸통과; 상기 빗몸통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머리카락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머리카락수거통과; 상기 머리카락수거통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부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의 후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를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와 결합해 임펠러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하거나, 또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을 형성한 빗몸통과; 상기 빗몸통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을 밀어주는 판캠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과 결합해 원판캠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빗살과 빗살 사이에 다수개의 흡입공을 형성하고, 빗몸통 후단부에 진공흡입부를 구성하여, 빗질을 함과 동시에 머리카락과 각질 또는 이물질을 별도의 수거통으로 흡입 수거해 청결한 위생생활을 도모할 수 있고, 빗살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두피를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도록 해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촉진함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모근의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고, 모근의 성장을 활성화함은 물론 두피가 피부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자신을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미용도구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을 가꾸었는데, 그 중 머리카락을 가지런하게 정렬하거나, 모양새를 내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빗을 사용하였다.
빗은 머리카락을 가지런하게 정렬할 뿐만 아니라, 두피에 잔존하는 각질, 이물질도 제거하도록 해 머리카락을 보다 건강하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었다.
통상적으로는 각종 기능성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손질하여 왔으나, 일반적인 빗으로 머리카락을 손질할 경우, 빗질에 의해 탈모된 머리카락이 그냥 바닥으로 떨어져 빗질 후 떨어진 머리카락들을 모아 수거하여 폐기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욕실에서 빗질을 할 경우 떨어진 머리카락을 수거하기도 어렵고, 욕실바닥이 머리카락으로 지저분해 질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은 쉽게 부패하지 않아 배수구를 막아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산업화에 의한 환경오염과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샴푸와 같은 머리를 세척하는 세제의 남용으로 두피와 머리카락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어 두피에 피부질환이 발생하거나, 스트레스성 탈모가 많이 발생하여, 건강한 모발/두피를 위해 별도로 모발/두피를 관리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빗으로 머리카락을 손쉽게 손질할 수 있고, 빗질할 때 나오는 탈모를 효과적으로 수거 및 제거할 수 있으며, 빗질과 동시에 모발/두피를 건강하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빗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빗살과 빗살 사이에 다수개의 흡입공을 형성하고, 빗몸통 후단부에 진공흡입부를 구성하여, 빗질을 함과 동시에 머리카락과 각질 또는 이물질을 별도의 수거통으로 흡입 수거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두피 또는 모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작용에 의해 건강한 두피 및 모발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성 탈모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빗몸통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빗살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두피를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상기 빗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을 길이로 형성한 빗몸통과; 상기 빗몸통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머리카락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머리카락수거통과; 상기 머리카락수거통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부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의 후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를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와 결합해 임펠러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하거나, 또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을 형성한 빗몸통과; 상기 빗몸통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을 밀어주는 판캠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과 결합해 원판캠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입공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빗몸통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일측이 개구된 원통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을 형성한 빗몸통과; 상기 빗몸통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을 밀어주는 판캠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과 결합해 원판캠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한 다기능 머리빗에 있어서, 상기 빗살이 탄성을 갖도록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로드캠의 후단부에 볼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빗살과 빗살 사이에 다수개의 흡입공을 형성하고, 빗몸통 후단부에 진공흡입부를 구성하여, 빗질을 함과 동시에 머리카락과 각질 또는 이물질을 별도의 수거통으로 흡입 수거해 청결한 위생생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그리고 상기 빗몸통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여, 두피 또는 모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작용에 의해 건강한 두피 및 모발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성 탈모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빗살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두피를 두드리듯 두피를 마사지하도록 해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촉진함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모근의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고, 모근의 성장을 활성화함은 물론 두피가 피부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진공흡입 빗몸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진공흡입 빗몸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진공흡입 빗몸통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마사지 빗몸통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마사지 빗몸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의 마사지 빗몸통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상기 빗살(11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112)을 길이로 형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된 머리카락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머리카락수거통(130)과;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부(131)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131)의 후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210)를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210)와 결합해 임펠러(2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공(112)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110)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111)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113)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113)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113)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114)을 구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113)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113)을 밀어주는 원판캠(220)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220)과 결합해 원판캠(22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빗살(111)이 탄성을 갖도록 판스프링(1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로드캠(113)의 후단부에 볼베어링(12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흡입공(112)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과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머리빗은 크게 빗몸통(100), 연결부(200), 손잡이(3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빗몸통(100)을 살펴보면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한다.
이때 상기 원통(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112)을 길이로 형성하는데, 상기 빗살(111)과 빗살 사이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112)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구성하는데, 상기 LED판넬(140)의 전원은 상기 원통(110)을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몸통(100)의 표면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음이온발산기(150)는 마이너스의 전기를 띤 산소와 공기 중의 미소한 수분이 결합한 음이온을 생성하는 것으로, 방전부와 고전압 발생기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으로 구성한다.
상기 방전부는 침형전극과 상기 침형전극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그라운드전극과, 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재료로 되는 케이스로 이룬다.
상기 침형전극과 그라운드전극은, 각각 리드선으로 고전압발생기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발산기(150)가 음이온을 발산하는 원리는 그라운드전극을 기준으로 하여 침형전극에 네거티브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전압 발생기가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침형전극과 그라운드전극 간에 코로나방전(약5KW)이 생겨, 이에 따라 음이온을 발산한다.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는 머리카락수거통(130)이 결합하는데,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을 원통형의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 내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의 전단부 외주연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의 전단부를 나사결합으로 서로 결합한다.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관통하는 원통으로 전단부의 내주면에 머리카락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이탈방지판(132)을 형성하고 있고, 후단부에는 연결부(200)를 결합구성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후단부로 가지 못하도록 필터링하는 필터부(131)와, 상기 필터부(131)의 후단에서 회전하여 진공압을 발생하는 임펠러(210)를 내부에 구성하는데, 상기 필터부(131)는 공기가 통하는 부직포를 구비하며,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에서 분리할 수도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31)의 외주면에는 상기 빗몸통(100) 내에 진공압이 생성되도록 상기 임펠러(210)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10)를 구동하는 스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210)가 구성된 연결부의 주연에는 임펠라(2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공기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을 적어도 둘 이상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구성하는데,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을 원통형의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 내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00)의 전단부 외주연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상기 손잡이(300)의 전단부를 나사결합으로 서로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임펠러(210)와 결합해 임펠러(2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320)는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외부에서 인입되어 변환된 직류전원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310)와 음이온발산기(150), LED판넬(140)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직류전원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 어느 하나만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성으로 마사지 기능을 발하는 머리빗은 도 4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몸통(100)과, 연결부(200)와, 손잡이(300)로 구성한다.
상기 빗몸통(100)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는데, 상기 원통(110)에 상기 빗살(111)이 설치되는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빗살(111)을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구조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빗살(111)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관통공(미도시)을 내경보다 빗살(111)의 지름을 조금 작게 구성하여, 상기 빗살(111)이 승강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빗살(111)의 하단부를 볼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빗살(111)이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로드캠(113)에 의해 승강하도록 한다.
상기 원통(110)의 내부에는 상기 빗살(111)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113)를 구성하는데, 상기 로드캠(113)은 상기 빗살(111)의 하단부와 맞닿는 부위에 물결모양의 캠을 일률적으로 형성해 상기 로드캠(113)이 좌,우측으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빗살(111)이 로드캠(113)에 의해 밀려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캠(113)의 전단부에는 로드캠(113)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114)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빗살(111)이 탄성을 갖도록 판스프링(120)을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113)의 후단부에는 볼베어링(121)을 구성하여, 원판캠(220)에 의해 상기 로드캠(113)이 좌우로 요동 작동을 할 시, 상기 로드캠(113)의 후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마찰저항을 줄여, 로드캠(113)의 좌,우측 요동동작을 용이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빗몸통(100)의 표면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구성하고, 상기 LED판넬(140)의 전원은 상기 원통(110)을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음이온발산기(150)는 마이너스의 전기를 띤 산소와 공기 중의 미소한 수분이 결합한 음이온을 생성하는 것으로, 방전부와 고전압 발생기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으로 구성한다.
상기 방전부는 침형전극과 상기 침형전극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그라운드전극과, 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재료로 되는 케이스로 이룬다.
상기 침형전극과 그라운드전극은, 각각 리드선으로 고전압발생기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발산기(150)가 음이온을 발산하는 원리는 그라운드전극을 기준으로 하여 침형전극에 네거티브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전압 발생기가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침형전극과 그라운드전극 간에 코로나방전(약5KW)이 생겨, 이에 따라 음이온을 발산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결합구성하는데,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을 원통형의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 내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00)의 전단부 외주연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상기 연결부(200)의 전단부를 나사결합으로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캠(113)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113)을 밀어주는 원판캠(220)을 구성한다.
상기 원판캠(220)은 전동모터(31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로드캠(113)을 좌,우 요동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구성하는데,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을 원통형의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 내주연에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00)의 전단부 외주연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상기 손잡이(300)의 전단부를 나사결합으로 서로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임펠러(210)와 결합해 임펠러(2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320)는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외부에서 인입되어 변환된 직류전원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310)와 음이온발산기(150), LED판넬(140)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직류전원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 어느 하나만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탈모된 머리카락을 흡입하여 별도의 수거통으로 수거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외부에서 인입되어 변환된 직류전원, 아니면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직류전원을 병행하여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여 설정하고, 상기 빗몸통(100)과 머리카락수거통(130), 필터부(131)를 구성한 연결부(200), 손잡이(300)를 서로 나사결합한 후 스위치를 ON하게 되면 LED판넬(140)과 음이온발산기(150)가 구동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산되고,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 구성된 전동모터(310)가 구동하여 임펠러(2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발생한 배출공기는 상기 연결부(200)의 주연에 구성된 공기배출공을 통해 강제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임펠러(210)의 전단부인 필터부(131), 머리카락수거통(130), 빗몸통(100)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하여, 상기 빗몸통(100)의 원통에 형성된 흡입공(112)으로 공기가 빨려들어감과 동시에 탈모된 머리카락이나 각질 이물질 등도 함께 흡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빗질을 하면, 상기 빗몸통(100)의 흡입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 과 동시에 탈모된 머리카락이나 각질 이물질 등이 흡입되어 머리카락수거통(130)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필터부(1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만 필터링 되어 다시 임펠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빗살을 승강하여 빗살로 두피를 마사지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외부에서 인입되어 변환된 직류전원, 아니면 일반건전지와 축전지와 직류전원을 병행하여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여 설정하고, 그리고 빗살이 승강하는 상기 빗몸통(100)과 연결부(200), 손잡이(300)를 서로 나사결합한 후 스위치를 ON하게 되면, 상기 빗몸통(100)에 구성된 LED판넬(140)과 음이온발산기(150)가 구동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산되고,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 구성된 전동모터(310)가 구동하여 원판캠(2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원판캠(220)이 회전을 하면, 원판캠(220)의 캠이 상기 빗몸통(100) 내부에 구성된 로드캠(113)의 일측단부를 밀어 상기 로드캠(113)이 좌,우로 요동하면서 상기 로드캠(113)이 빗살(111)의 하단부를 밀어 상기 빗살(111)이 승강한다.
이때 상기 원판캠(220)의 캠이 로드캠(113)의 후단부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로드캠(113)의 전단부에 구성된 리턴스프링(114)에 의해 다시 상기 로드캠(113)이 원위치하게 되고, 상기 빗살(111)은 판스프링(120)에 의해 다시 하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빗질을 하면, 상기 빗몸통(100)의 빗살(111)들이 로드캠(113)의 요동으로 승강하여, 두피를 두드리듯 마사지한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0: 빗몸통 110: 원통 111: 빗살
112: 흡입공 113: 로드캠 114: 리턴스프링
120: 판스프링 130: 머리카락수거통 131: 필터부
140: LED판넬 150: 음이온발산기 200: 연결부
210: 임펠러 220: 원판캠 300: 손잡이
310: 전동모터 320: 전원부

Claims (7)

  1.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상기 빗살(11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흡입공(112)을 길이로 형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된 머리카락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머리카락수거통(130)과;
    상기 머리카락수거통(13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부(131)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131)의 후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210)를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210)와 결합해 임펠러(2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2. 빗몸통과 손잡이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빗몸통을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하는 다기능 머리빗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빗살(111)을 방사형으로 일률적인 간격을 두고 구성하되, 상기 원통(110)의 내부에는 좌,우측으로 요동해 상기 빗살(111)이 승강하도록 후단부를 밀어주는 로드캠(113)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캠(113)의 전단부에 구성되어 로드캠(113)의 위치를 원위치로 수정하는 리턴스프링(114)을 구성한 빗몸통(100)과;
    상기 빗몸통(100)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캠(113)을 좌,우 요동하도록 로드캠(113)을 밀어주는 원판캠(220)을 내부에 구성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원판캠(220)과 결합해 원판캠(22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동모터(310)를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를 내부에 구성한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112)의 주연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빗몸통(100)의 표면에는 원적외선을 발하는 LED판넬(1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빗몸통(100)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하는 음이온발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빗살(111)이 탄성을 갖도록 판스프링(12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머리빗.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캠(113)의 후단부에 볼베어링(12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머리빗.
KR2020100007910U 2010-07-28 2010-07-28 다기능 머리빗 KR200467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10U KR200467619Y1 (ko) 2010-07-28 2010-07-28 다기능 머리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10U KR200467619Y1 (ko) 2010-07-28 2010-07-28 다기능 머리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01U true KR20120000901U (ko) 2012-02-08
KR200467619Y1 KR200467619Y1 (ko) 2013-06-24

Family

ID=4584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910U KR200467619Y1 (ko) 2010-07-28 2010-07-28 다기능 머리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2639A (zh) * 2018-04-17 2018-08-17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收发功能的梳子
CN114159698A (zh) * 2020-09-10 2022-03-11 明志科技大学 发光梳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62Y1 (ko) * 2000-01-21 2000-08-01 김경섭 흡입빗
KR200277205Y1 (ko) * 2001-12-19 2002-06-03 허찬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KR200428542Y1 (ko) * 2006-07-27 2006-10-16 구선회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브러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2639A (zh) * 2018-04-17 2018-08-17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收发功能的梳子
CN114159698A (zh) * 2020-09-10 2022-03-11 明志科技大学 发光梳子
CN114159698B (zh) * 2020-09-10 2024-03-15 明志科技大学 发光梳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619Y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7531B2 (ja) 口腔清掃装置及び口腔清掃装置のヘッド部分
US20050166863A1 (en) Sterilizing comb for pets
US11490724B2 (en) Electric pet hair brush
KR102184064B1 (ko) 애완동물 헬스캐어 청소기용 헤드 브러시
US20110138556A1 (en) Hair Brush
CN209644845U (zh) 鞋体清洁消毒装置
KR200467619Y1 (ko) 다기능 머리빗
JP5820494B2 (ja) 歯ブラシ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CN205489589U (zh) 一种电动牙刷充电底座
US9603689B2 (en) Electronic toothbrush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KR101602699B1 (ko) 진공흡입 브러쉬
CN212015452U (zh) 杀螨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CN201353218Y (zh) 电动牙刷
CN212284949U (zh) 按摩器内腔清洁棒
KR20050002114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다기능 브러쉬
CN109770519A (zh) 一种梳子
CN215938378U (zh) 一种用于牙科工具的消毒箱
CN214629013U (zh) 一种用于宠物清洁除味杀菌的干洗器
CN212260779U (zh) 一种带深紫外线led灯杀菌功能的毛发梳理按摩装置
CN203723625U (zh) 快速高效牙齿清洁器
KR100314114B1 (ko) 레이저 살균기능을 이용한 전동칫솔
JP2004121719A (ja) 毛根脂吸引装置
JP3192559U (ja) 電動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