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05Y1 -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 Google Patents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05Y1
KR200277205Y1 KR2020010039316U KR20010039316U KR200277205Y1 KR 200277205 Y1 KR200277205 Y1 KR 200277205Y1 KR 2020010039316 U KR2020010039316 U KR 2020010039316U KR 20010039316 U KR20010039316 U KR 20010039316U KR 200277205 Y1 KR200277205 Y1 KR 200277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generator
anion
negative ion
infrared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찬
이율
Original Assignee
허찬
이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찬, 이율 filed Critical 허찬
Priority to KR2020010039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05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쉬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원적외선발생기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동작스위치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헤어브러쉬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므로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A HAIRBRUSH HAVING THE FUNCTION OF EMITTING FAR INFRARED RAY AND NEGATIVE ION}
본 고안은 헤어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모발에 공급할 수 있는 헤어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헤어브러쉬 및 헤어드라이, 헤어스프레이 등의 용품을 사용하거나 파마, 염색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스타일 연출용 용품 및 파마, 염색 등은 사용자의 모발 손상 및 노화를 촉진시키고, 부드러운 머릿결 및 두피건강을 저해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049890호에는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0843호에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전자의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는 모발과 두피에 원적외선을 공급하여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서 윤기있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후자의 "헤어브러쉬"는 모발에 음이온을 공급하여 모발에 붙어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줌과 동시에, 모발의 손상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와 "헤어브러쉬"는 각각 다른 기능(원적외선 방출과 음이온 방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공급하고자 할 때는 이 두 가지 용품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불합리하고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을 번갈아가며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적외선 방출 기능과 음이온 방출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헤어브러쉬가 개발된다면 사용자가 하나의 헤어브러쉬를 이용하여 모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어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일 것이다. 또한, 하나의 헤어브러쉬를 이용하여 모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공급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모두 갖는 헤어브러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어브러쉬 분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신호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전자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어브러쉬 10 : 케이싱
13 : 헤드커버 23 : 헤드부
25 : 손잡이부 37 : 원적외선통과구
39 : 음이온통과구 40 : 브러쉬부재
50 : 원적외선발생기 51 : 원적외선회로기판
53 : 원적외선발생램프 60 : 음이온발생기
61 : 고전압회로기판 63 : 음이온안내부재
65 : 방전브래킷 67 : 방전링
75 : 음이온안내통로 80 : 전원공급장치
90 : 메인기판 100 : 제어부
101 : 동작표시부 103 : 동작스위치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헤어브러쉬에 있어서,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쉬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원적외선발생기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동작스위치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브러쉬부재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부터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상기 브러쉬부재의 배출구로 안내하는 원적외선통과구 및 음이온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발생기는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는 원적외선회로기판과, 상기 헤드커버의 원적외선통과구에 수용되도록 상기 원적외선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원적외선발생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영역에 설치되는 고전압회로기판과, 상기 고전압회로기판과 상기 헤드커버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의 음이온통과구에 대응하는 음이온안내통로를 갖는 음이온안내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고전압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음이온안내통로에 수용되도록 상기 음이온안내부재에 결합되는 방전브래킷과, 상기 방전브래킷의 자유단부와 소정의 방전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헤드커버의 음이온통과구 영역에 설치되는 방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헤드커버과 상기 음이온안내부재 사이에는 상기 방전링이 결합되는 링결합공이 형성된 방전링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발생기와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상태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어브러쉬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부재(40)와, 케이싱(10) 내에 설치되는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와,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80)와,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100)품이 설치되어 있는 메인기판(90)으로 구성된다.
케이싱은 전후 길이방향 양측에 하향 개구(도 3을 기준으로 볼 때)를 갖는 헤드부(23) 및 손잡이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1)와, 헤드부(23)의 하향 개구를 차단하는 헤드커버(13), 그리고, 손잡이부(25)의 하향 개구를 차단하는 손잡이커버(15)로 이루어진다.
케이싱(11)와 헤드커버(13)는 복수의 스크류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케이싱(11)의 내측 둘레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헤드커버(13)의 상측 둘레영역에는 복수의 스크류체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커버(15)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케이싱(11)의 손잡이부(2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케이싱(11)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손잡이커버(15)의 전후방 양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헤드커버(13)의 후단부 및 케이싱(11)의 후단부에는 후크결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는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와 전원공급장치(80) 및 제어부(100)의 설치를 위한 부품수용공간(17)으로 형성된다. 이 부품수용공간(17)은 크게 원적외선발생기(50)가 설치되는 헤드부(23) 영역의 전방수용공간(17a)과, 음이온발생기(60) 및 제어부(100)가 설치되는 헤드부(23)와 손잡이부(25) 사이영역의 중간수용공간(17b), 그리고, 전원공급장치(80)가 설치되는 손잡이부(25) 영역의 후방수용공간(17c)으로 구분된다. 이들 부품수용공간(17) 중 중간수용공간(17b)에는 후술할 메인기판(90) 상에 마련되는 LED 및 동작스위치(103)에 대응하는 LED표시구(18)와 버튼공(19)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커버(13)는 헤드부(23)의 하향 개구를 차단하는 헤드차단부(33)와, 헤드부(23)와 손잡이부(25) 사이영역의 중간수용공간(17b)의 하향 개구를 차단하는 중간차단부(35)를 갖는다. 헤드차단부(33)의 중앙영역에는 거의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상향융기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상향융기부(31)의 전방 경사면에는원적외선발생기(50)로부터의 원적외선이 통과하도록 복수의 원적외선통과구(37)가 형성되어 있고, 상향융기부(31)의 후방 경사면에는 음이온발생기(60)로부터의 음이온이 통과하도록 음이온통과구(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커버(13)의 판면에는 브러쉬부재(4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후크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부재(40)는 헤드부(23)에 대응하는 형상의 브러쉬판(41)과, 브러쉬판(41)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빗살(43)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쉬판(41)의 중앙역역에는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로부터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구(4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쉬판(41)의 폭방향 양측 상부에는 헤드커버(13)의 후크공(36)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복수의 후크(4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적외선발생기(50)는 헤드부(23) 내측의 전방수용공간(17a)에 결합되는 원적외선회로기판(51)과, 헤드커버(13)의 원적외선통과구(37)내에 수용되도록 원적외선회로기판(51)에 설치되는 복수의 원적외선발생램프(53)로 구성되어 있다. 원적외선회로기판(51)은 헤드부(23) 내측의 전방수용공간(17a) 상부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원적외선발생램프(53)는 원적외선회로기판(51)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온(ON)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며, 원적외선발생램프(53)에서 발생된 원적외선은 헤드커버(13)의 원적외선통과구(37)를 통과한 다음 브러쉬부재(40)의 배출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원적외선발생기(50)의 원적외선발생회로(15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음이온발생기(60)는 케이싱(11)의 중간수용공간(17b)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회로기판(61)과, 고전압회로기판(61)과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 사이영역에 설치되는 음이온안내부재(63)와, 고전압회로기판(61)으로부터의 고전압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브래킷(65)과, 음이온안내부재(63)와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 사이영역에 설치되는 방전링(67)으로 구성된다.
고전압회로기판(61)은 케이싱(11)의 중간수용공간(17b)에 별도로 마련되는 기판수용부재(7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메인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고전압회로기판(61)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트랜스퍼(64) 및 고전압발생회로(161)와 고전압을 방전브래킷(65)으로 전달하기 위한 고전압방출단자(66)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음이온안내부재(63)는 헤드커버(13)와 고전압회로기판(61)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기판수용부재(71)의 전방영역에 설치된다. 이 음이온안내부재(63)에는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에 대응하는 음이온안내통로(75)와, 방전브래킷(65)의 결합을 위한 브래킷결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방전브래킷(65)은 일측이 고전압회로기판(61)의 고전압방출단자(66)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자유단부가 음이온안내부재(63)의 음이온안내통로(75) 내에 수용되도록 음이온안내부재(63)의 브래킷결합부(73)에 결합된다. 방전브래킷(65)의 자유단부는 방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침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방전브래킷(65)으로 전달된 고전압은 침형상의 자유단부와 방전링(67) 사이의 간극에서 방전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 방전현상에 의해 공기중의 양전하가 음전하로 대전되면서 음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방전브래킷(65)과 방전링(67) 간의 방전에 대한 음이온발생회로(16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방전링(67)은 방전브래킷(65)과 소정의 방전간극을 유지하도록 음이온안내부재(63)와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 사이영역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음이온안내부재(63)와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 사이에 방전링결합부재(77)가 설치된다. 이 방전링결합부재(77)에는 방전링(67)의 결합을 위한 링결합공(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전링결합부재(77)에는 음이온안내부재(6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아암(79)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원공급장치(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후방수용공간(17c) 내에 설치되는 내부전원공급부(81)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전원입력부(85)를 가지고 있다.
내부전원공급부(81)는 배터리(83)를 이용하여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손잡이부(25)의 후방수용공간(17c)에 수용되는 배터리(83)와, 배터리(83)의 양 전극과 메인기판(9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84)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83)의 설치 및 교체는 손잡이부(25)의 하향 개구를 차단하는 손잡이커버(15)를 분리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외부전원입력부(85)는 외부의 전원공급원에 연결된 어뎁터의 DC잭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어뎁터연결단자(87)와, 어뎁터연결단자(87)로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메인기판(90)으로 전달하는 외부전원회로기판(89)으로 이루어진다. 어뎁터연결단자(87)는 손잡이부(25)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잭삽입공(27)에 설치된 상태에서 잭삽입공(27)으로 삽입되는 어뎁터의 DC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전원회로기판(89)은 어뎁터연결단자(87)와 메인기판(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전원입력회로(도 6의 185)를 가지고 손잡이부(25)의 후방수용공간(17c)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내부전원공급부(81)의 배터리를 충전용 배터리로 사용하고, 메인기판(90) 또는 외부전원회로기판(89)에 충전회로를 마련하거나 별도의 충전회로기판을 마련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기판(90)은 케이싱(11)의 중간수용공간(17b) 상측(음이온발생기(60)의 기판수용부재(71) 상부영역)에서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와 전원공급장치(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기판(90) 상에는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을 온(ON)/오프(OFF)시키는 동작스위치(103)와, 동작스위치(103)의 조작에 따라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상태와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01)가 마련되어 있다.
동작스위치(103)는 케이싱(11)의 버튼공(19)을 통해 외부에서 누름조작 가능하도록 메인기판(90)에 누름스위치로 마련된다.
제어부(100)는 메인기판(90)에 마련되는 마이콤(미도시)과 다수의 제어부(100)품 및 제어회로(110)로 구성된다. 이 제어부(100)는 동작스위치(103)의 누름 조작 정도에 따라 원적외선발생기(50) 또는 음이온발생기(60) 중 어느 하나만을 동작 및 동작정지 시키거나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를 함께 동작 및 동작 정지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00)의 마이콤(미도시)에는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길게 누르면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를 함께 동작 또는 동작 정지시키도록 하고,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짧게 한번 누르면 원적외선발생기(50)만을 동작 또는 동작 정지시키도록 하며,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짧게 두번 누르면 음이온발생기(60)만을 동작 또는 동작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 상태와 전원공급상태를 확인하여 동작표시부(101)에 표시한다.
동작표시부(101)는 메인기판(90)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된다. 이들 LED는 원적외선발생기(5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원적외선LED(105)와, 음이온발생기(60)의 정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음이온LED(106)와, 배터리(83)의 전력부족을 표시하는 저전압LED(108)로 구별된다.
각 LED는 점멸 동작에 의해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상태 및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들 LED의 표시구별은 각 LED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발생기(5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원적외선LED(105)는 적색의 LED를 사용하고,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음이온LED(106)는 녹색의 LED를 사용하여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83)의 전력부족을 표시하는 저전압LED(108)는 주황색LED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LED의 표시 구별은 케이싱(11)의 LED표시구(18) 영역에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저전압을 표현하는 표식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신호흐름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의 전자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1)를 사용하기 위해 동작스위치(103)를 누름 조작하면(S01) 제어부(100)는 먼저 전원공급장치(80)로부터 저전압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S02). 이는 배터리(83)에 남아있는 전력이 원적외선발생기(50) 및 음이온발생기(60)를 동작시킬 수 있을 정도인가를 체크하는 것이다. 이때, 저전압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동작표시부(101)의 저전압LED(108)를 온(ON)시켜서(S10), 사용자가 배터리(83)를 교환하거나 외부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S02단계에서 저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01단계에서의 동작스위치(103)조작 정도와 마이컴에 입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03).
즉, S01단계에서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길게 눌렀으면 제어부(100)는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의 동시동작모드로 판단하여 원적외선발생기(50)와 음이온발생기(60)를 동시에 동작시키고(S04), 동작표시부(101)의 원적외선LED(105) 및 음이온LED(106)를 온(ON)시킨다(S05). 그러면, 도 7a와 같이, 원적외선발생기(50)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음이온발생기(60)에서 음이온이 발생되고 발생된 원적외선과 음이온은헤드커버(13)의 원적외선통과구(37) 및 음이온통과구(39)를 거쳐 브러쉬부재(40)의 배출구(45)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과 두피로 공급된다.
이와 달리, S01단계에서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짧게 한번 눌렀으면 제어부(100)는 원적외선발생기(50)의 단독동작모드로 판단하여 원적외선발생기(50)만을 동작시키고(S04a), 동작표시부(101)의 원적외선LED(105)를 온(ON)시킨다(S05a). 그러면, 도 7b와 같이, 원적외선발생기(50)에서 발생된 원적외선만이 헤드커버(13)의 원적외선통과구(37) 및 브러쉬부재(40)의 배출구(45)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과 두피로 공급된다.
한편, S01단계에서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짧게 두 번 눌렀으면 제어부(100)는 음이온발생기(60)의 단독동작모드로 판단하여 음이온발생기(60)만을 동작시키고(S04b), 동작표시부(101)의 음이온LED(106)를 온(ON)시킨다(S05b). 그러면, 도 7c와 같이 음이온발생기(60)에서 발생된 음이온만 헤드커버(13)의 음이온통과구(39)를 거쳐 브러쉬부재(40)의 배출구(45)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과 두피로 공급된다.
그리고, 헤어브러쉬(1)를 사용하다가 다른 동작모드를 선택하거나 기기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다시 동작스위치(103)를 조작하면(S06),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03)를 비교적 길게 눌러서 정지모드를 선택했는지 판단한다(S07). 이때, 정지모드가 선택된 것이 아니면 제어흐름은 S02단계로 리턴되며, 정지모드가 선택된 것이면 제어부(100)는 헤어브러쉬(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고, 이러한 기능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머리를 빗거나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때 모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공급하여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서 윤기있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발에 붙어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 및 살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줌과 동시에, 모발의 손상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쉬만 구비하면 원적외선 방출기능과 음이온 방출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구입에 있어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헤어브러쉬에 있어서,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일영역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쉬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원적외선발생기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동작스위치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브러쉬부재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부터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상기 브러쉬부재의 배출구로 안내하는 원적외선통과구 및 음이온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발생기는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는 원적외선회로기판과,
    상기 헤드커버의 원적외선통과구에 수용되도록 상기 원적외선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원적외선발생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영역에 설치되는 고전압회로기판과,
    상기 고전압회로기판과 상기 헤드커버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의 음이온통과구에 대응하는 음이온안내통로를 갖는 음이온안내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고전압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음이온안내통로에 수용되도록 상기 음이온안내부재에 결합되는 방전브래킷과,
    상기 방전브래킷의 자유단부와 소정의 방전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헤드커버의 음이온통과구 영역에 설치되는 방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과 상기 음이온안내부재 사이에는 상기 방전링이 결합되는 링결합공이 형성된 방전링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발생기와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의 동작상태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KR2020010039316U 2001-12-19 2001-12-19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KR200277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6U KR200277205Y1 (ko) 2001-12-19 2001-12-19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6U KR200277205Y1 (ko) 2001-12-19 2001-12-19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036A Division KR20030050566A (ko) 2001-12-19 2001-12-19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05Y1 true KR200277205Y1 (ko) 2002-06-03

Family

ID=7311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16U KR200277205Y1 (ko) 2001-12-19 2001-12-19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0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301A (ko) * 2002-08-29 2002-10-11 (주)크로바 환경 발모촉진 및 혈액순환 촉진장치.
KR20030060024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삼에스 자외선 엘이디 및 음이온 발생기가 내장된 헤어 브러쉬
KR100449506B1 (ko) * 2002-05-29 2004-09-22 김석우 음이온과 음전위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헤어브러쉬
KR101095869B1 (ko) * 2009-03-12 2011-12-21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원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기능성 빗
KR200467619Y1 (ko) * 2010-07-28 2013-06-24 우진앤플래닛(주) 다기능 머리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024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삼에스 자외선 엘이디 및 음이온 발생기가 내장된 헤어 브러쉬
KR100449506B1 (ko) * 2002-05-29 2004-09-22 김석우 음이온과 음전위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헤어브러쉬
KR20020077301A (ko) * 2002-08-29 2002-10-11 (주)크로바 환경 발모촉진 및 혈액순환 촉진장치.
KR101095869B1 (ko) * 2009-03-12 2011-12-21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원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기능성 빗
KR200467619Y1 (ko) * 2010-07-28 2013-06-24 우진앤플래닛(주) 다기능 머리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9984C (en) Portable hair dryer
US8013275B2 (en) Hair flat iron with light source
US20050002186A1 (en) Multi-beam flashlight
US20060215390A1 (en) Lighted cleaning implement
EP1795108B1 (en) Cleaner having steam generator
WO2005005880A2 (en) Multi-function flashlight and controller
KR200277205Y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US3613696A (en) Electrical manicuring apparatus
WO2022155214A1 (en) Portable light, such as a stick light
CN111467672A (zh) 一种多功能护理梳
CN110916836A (zh) 电动牙刷
KR20030050566A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헤어브러쉬
KR20220002054A (ko)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KR200223488Y1 (ko) 애완견용 살균 브러쉬
US5632549A (en) Fastener frame with button switch
US6802853B1 (en) Hand held laser device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100372199B1 (ko)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
CN112533508A (zh) 可再充电头发造型工具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US20030200978A1 (en) Nail dryer
JPH0263408A (ja) マニキュア乾燥器
KR101937382B1 (ko) 피부 개선용 장치
KR20210030087A (ko) 피부 관리장치
CN209863647U (zh) 一种照明扁吸及床底刷
CN211434790U (zh) 一种便携式美容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