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439U -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439U
KR20120000439U KR2020100007262U KR20100007262U KR20120000439U KR 20120000439 U KR20120000439 U KR 20120000439U KR 2020100007262 U KR2020100007262 U KR 2020100007262U KR 20100007262 U KR20100007262 U KR 20100007262U KR 20120000439 U KR20120000439 U KR 20120000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unit
communication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893Y1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주) 동진이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진이엘피 filed Critical (주) 동진이엘피
Priority to KR2020100007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9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나 디지털TV과 같은 가전기기 사용 시에는 전원 및 통신선로(인터넷케이블 또는 안테나케이블)가 접속되고,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 및 통신선로가 기기와 분리 차단되어 낙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손실과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용 전원콘센트와 통신케이블단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부(110) 및 제1통신단자부(120)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에 연결되는 콘센트부(130) 및 제2통신단자부(140)와, 상기 전원플러그부(110)와 콘센트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선에 개재되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111)와, 상기 제1통신단자부(120)와 제2통신단자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개재되어 통신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121)를 포함하고, 기동스위치수단인 수광부(Re)의 에미터단 및 컬렉터단에는 배터리(B) 및 발광소자(S1)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S1)에 의해 동작되는 수광소자(S2) 양단에는 제3스위치(131)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광소자(S2)의 일측에는 직렬 연결된 제4스위치(151) 및 릴레이코일(RC)이 연결되며, 상기 수광소자(S2)의 타측과 릴레이코일(RC)이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전류감지소자(CT)를 통해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4스위치(151)를 단속하는 전류감지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코일(RC)은 상기 제1스위치부(111), 제2스위치부(121) 및 제3스위치(131)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Complex switching device for power source line and communication line}
본 고안은 컴퓨터나 디지털TV과 같은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전원접속용 콘센트 형태의 선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 사용 시에는 전원 및 통신선로(인터넷케이블 또는 안테나케이블)가 접속되고,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 및 통신선로가 기기와 분리 차단되어 낙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손실과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컴퓨터나 디지털 TV 등 가전기기 들은 종래의 아날로그 기기와는 달리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현재 대부분 전기기기의 전원차단방식은 무접점 스위칭방식으로 전원선이 기구적으로 완전히 분리(차단)되지 않는 방식인 바,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소모되거나, 상기 전원선로 또는 상시 연결된 통신선로를 통해 기기로 낙뢰의 유입 등을 차단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하듯이, 대부분의 낙뢰 피해는 가전 또는 전기기기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경우 보다는, 사용이 중지된 이후, 즉 야간이나 외출 시에 더욱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 공지된 기술 중에는 대기전력차단용의 개폐기가 기기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전원선을 차단해주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장치는 대기전력절감을 목적으로 한 기술로서, 전원선이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이 아니고 자체 동작 전원용으로 0.5W의 소비전력이 발생되는 기술이다.
전기기기에 유입되는 낙뢰의 경로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 동시에 유입되기 때문에 어느 한 선로만 차단하여서는 낙뢰의 유입을 방지할 수 가없다.
따라서 기 공지된 기술은 물리적으로 전원선을 분리하는 방식이 아니고 무접점 스위치를 사용한 대기전력 저감용의 기술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은 낙뢰로 인한 가전기기의 피해 방지가 주목적인 기술로서 전원선과 통신선 두 종류의 선로를 분리하므로 낙뢰보호와 부가적인 절전 및 전기안전의 효과도 발생되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나 디지털TV과 같은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전원접속용 콘센트 형태의 선로 개폐장치로, 기기 사용 시에는 전원 및 통신선로(인터넷케이블 또는 안테나케이블)가 접속되고,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 및 통신선로가 기기로 분리 차단되어 낙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며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한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용 전원콘센트 및 통신케이블단과 전기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및 통신케이블단자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상용 전원콘센트와 통신케이블단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부 및 제1통신단자부와, 전기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 및 통신케이블단자에 연결되는 콘센트부 및 제2통신단자부와, 상기 전원플러그부와 콘센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선에 개재되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와, 상기 제1통신단자부와 제2통신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개재되어 통신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고, 기동스위치수단인 수광부의 에미터단 및 컬렉터단에는 배터리 및 발광소자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의해 동작되는 수광소자 양단에는 제3스위치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광소자의 일측에는 직렬 연결된 제4스위치 및 릴레이코일이 연결되며, 상기 수광소자의 타측과 릴레이코일이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전류감지소자를 통해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4스위치를 단속하는 전류감지부가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코일은 상기 제1스위치부, 제2스위치부 및 제3스위치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컴퓨터나 디지털TV와 같은 가전기기 사용 시에는 전원 및 통신선로(인터넷케이블 또는 안테나케이블)가 접속되고,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 및 통신선로가 기기로 분리 차단되어 낙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손실과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가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가 전기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100)는,
미 도시된 상용 전원콘센트 및 통신케이블단과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상용 전원콘센트 및 통신케이블단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부(110) 및 제1통신단자부(120)와, 상기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에 연결되는 콘센트부(130) 및 제2통신단자부(140)와, 상기 전원플러그부(110)와 콘센트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선에 개재되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111)와, 상기 제1통신단자부(120)와 제2통신단자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개재되어 통신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가전기기(200)는 일례로 개인컴퓨터(PC)(210)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PC(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211)의 동작(ON)시 이를 감지하여, 먼저 동작(ON)되는 기동스위치수단(Re)(SW)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111) 및 제2스위치부(121)는 연동하며, 상기 스위치수단(Re)(SW)이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치부(111) 및 제2스위치부(121)는 온되어 전원선 및 통신선이 개통되고, 상기 PC(210)의 사용 종료로 전원이 차단되면, 전원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전류감지소자(CT)가 감지하여 상기 제1스위치부(111) 및 제2스위치부(121)를 오프(OFF)시켜 전원선 및 통신선을 차단시켜준다.
상기 복합 개폐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용 전원콘센트와 통신케이블단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부(110) 및 제1통신단자부(120)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에 연결되는 콘센트부(130) 및 제2통신단자부(140)와, 상기 전원플러그부(110)와 콘센트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선에 개재되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111)와, 상기 제1통신단자부(120)와 제2통신단자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개재되어 통신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121)를 포함하고,
기동스위치수단인 수광부(Re)의 에미터단 및 컬렉터단에는 배터리(B) 및 발광소자(S1)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S1)에 의해 동작되는 수광소자(S2) 양단에는 제3스위치(131)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광소자(S2)의 일측에는 직렬 연결된 제4스위치(151) 및 릴레이코일(RC)이 연결되며, 상기 수광소자(S2)의 타측과 릴레이코일(RC)이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전류감지소자(CT)를 통해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4스위치(151)를 단속하는 전류감지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코일(RC)은 상기 제1스위치부(111), 제2스위치부(121) 및 제3스위치(131)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기동스위치수단인 수광부(Re)의 에미터 및 컬렉터 간에는 기동스위치(SW)가 병렬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Re) 및 기동스위치(SW)는 기동스위치수단으로, 전기가전기기(200)를 동작시킬 때 먼저 기동되어 복합개폐장치(100)가 동작되고, 이로 인해 전원이 전기가전기기(200)에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기동스위치수단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스위치(211)가 위치한 근방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전원스위치(211)를 온하기 위하여 동작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또는 전기가전기기(200)에 포함된 리모콘의 파워 온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수광부(Re)는 상기 적외선 센서 또는 전기가전기기(300)의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소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동스위치수단은 수동으로 동작하는 기동스위치(SW)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동스위치(SW)는 사용자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스위치(211)를 온하기 전에 상기 복합개폐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복합개폐장치(100)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100)는, 사각형태의 본체에 일측에는 상용 전원콘센트의 전원단에 끼워 삽입되는 전원플러그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가 삽입되는 콘센트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다른 양측면에는 제1통신단자부(120) 및 제2통신단자부(140)가 구성되며, 일측에는 과전류차단스위치(101)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과전류차단스위치(101)는 공지의 기술로, 필요에 따라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할 전기가전기기(PC나 TV 등)(200)의 전원플러그(220)와 통신플러그(230)를 각각 본 고안 복합개폐장치(100)의 콘세트부(130) 및 제2통신단자부(140)에 연결하고, 상기 복합개폐장치(100)의 전원플러그부(110)를 미 도시된 상용 전원콘센트에 삽입 연결하고 제1통신단자부(120)를 별도의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단에 연결하여 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동스위치수단이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스위치(211)를 온(ON)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211)의 일정거리 이내에 설치된 적외선센서의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복합개폐장치(100)의 수광부(Re)는 온(ON)된다.
또는, 상기 기동스위치 수단이 리모콘 신호 수신 방식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을 온하기 위하여 리모콘의 파워스위치를 온하면 이에 대응하여 무선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수광부(Re)는 온(ON) 된다.
또는, 상기 기동스위치수단을 기동스위치(SW)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온(ON) 동작을 하게 되면, 즉 상기 수광부(Re) 또는 기동스위치(SW)가 온되면 배터리(B)의 전원이 발광소자(S1)에 인가되어, 상기 발광소자(S1)는 온 되어 점등되고, 상기 발광소자(S1)의 점등으로 수광소자(S2)가 온 되어 전원이 제4스위치(151)를 거쳐 릴레이코일(RC)에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코일(RC)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1스위치부(111), 제2스위치부(121) 및 제3스위치(131)가 모두 온된다. 따라서 전원 및 통신선로가 폐회로를 구성하면서 전기가전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개통 가능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수광부(Re) 또는 기동스위치(SW)가 계속해서 온상태가 아니더라도, 즉 발광소자(S1) 및 수광소자(S2)가 오프되더라도 상기 제3스위치(131)가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어 상기 릴레이코일(RC)에는 전원이 계속해서 인가되어, 상기 제1스위치부(111) 및 제2스위치부(121)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스위치(211)의 온(ON)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사용자는 전기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가전기기(200)의 사용을 종료하면, 즉 전원스위치(211)를 오프하면, 복합개폐장치(100)의 전원플러그부(110)와 콘센트부(130) 사이의 전원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때 전류감지소자(CT)를 통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것을 감지한 전류검출부(150)는 제4스위치(151)를 오프 시킨다.
상기 제4스위치(151)가 오프되면, 상기 릴레이코일(RC)로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1스위치부(111), 제2스위치부(121) 및 제3스위치(131)가 모두 오프된다. 따라서 전기가전기기(200)로 연결되는 전원 및 통신선로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전기가전기기(200)의 사용 중이 아닐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 및 통신선로가 기기로 분리 차단되어 낙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복합개폐장치 110: 전원플러그부
111: 제1스위치부 120: 제1통신단자부
121: 제2스위치부 130: 콘센트부
140: 제2통신단자부 Re: 수광부
SW: 기동스위치 B: 배터리
S1: 발광소자 S2: 수광소자
RC: 릴레이코일 131: 제3스위치
141: 제4스위치 CT: 전류감지소자
150: 전류검출부 200: 전기가전기기

Claims (3)

  1. 상용 전원콘센트 및 통신케이블단과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상용 전원콘센트와 통신케이블단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부(110) 및 제1통신단자부(120)와, 전기가전기기(200)의 전원플러그(220) 및 통신케이블단자(230)에 연결되는 콘센트부(130) 및 제2통신단자부(140)와, 상기 전원플러그부(110)와 콘센트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선에 개재되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111)와, 상기 제1통신단자부(120)와 제2통신단자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개재되어 통신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121)를 포함하고,
    기동스위치수단인 수광부(Re)의 에미터단 및 컬렉터단에는 배터리(B) 및 발광소자(S1)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S1)에 의해 동작되는 수광소자(S2) 양단에는 제3스위치(131)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광소자(S2)의 일측에는 직렬 연결된 제4스위치(151) 및 릴레이코일(RC)이 연결되며, 상기 수광소자(S2)의 타측과 릴레이코일(RC)이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전류감지소자(CT)를 통해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4스위치(151)를 단속하는 전류감지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코일(RC)은 상기 제1스위치부(111), 제2스위치부(121) 및 제3스위치(131)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스위치 수단인 수광부(Re)의 에미터 및 컬렉터 간에는 기동스위치(SW)가 병렬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스위치 수단인 수광부(Re)는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 또는 전기가전기기(200)의 동작 리모콘의 파워 온신호에 동작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KR2020100007262U 2010-07-09 2010-07-09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KR200463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262U KR200463893Y1 (ko) 2010-07-09 2010-07-09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262U KR200463893Y1 (ko) 2010-07-09 2010-07-09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39U true KR20120000439U (ko) 2012-01-17
KR200463893Y1 KR200463893Y1 (ko) 2012-12-03

Family

ID=4584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262U KR200463893Y1 (ko) 2010-07-09 2010-07-09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51B1 (ko) * 2012-09-19 2013-07-31 주식회사 코본테크 적외선신호를 이용한 저소비전력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6465A2 (en) 2005-01-18 2007-12-19 ASM America, Inc. Reaction system for growing a thin film
US10872804B2 (en) 2017-11-03 2020-12-22 Asm Ip Holding B.V. Apparatu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reaction chamber from a loading chamber resulting in reduced contamination
US10872803B2 (en) 2017-11-03 2020-12-22 Asm Ip Holding B.V. Apparatu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reaction chamber from a loading chamber resulting in reduced conta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68Y1 (ko) * 2006-09-28 2007-01-09 주식회사 상천 연동 제어용 멀티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51B1 (ko) * 2012-09-19 2013-07-31 주식회사 코본테크 적외선신호를 이용한 저소비전력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93Y1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28135A1 (ja) 充電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
US9941685B2 (en) Leakage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ve/neutral wire identification function
US20160264012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nal circuit of the same
KR200463893Y1 (ko)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KR101183617B1 (ko)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CN103293985A (zh) 零功耗待机电路
CN103378577A (zh) 家用电器的电源控制装置和空调器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CN108173035A (zh) 插头和插座
KR101618210B1 (ko) 서지 보호기 일체형 누전 차단기
CN207251176U (zh) Gfci内置定时器电路
KR200442250Y1 (ko) 전기 스파크감지장치를 갖는 누전차단기
JP2017506496A (ja) 音声認識を利用する待機電力遮断電気装置および方法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CN104113037A (zh) 一种无线智能电源管理装置
KR20140012234A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CN106935455A (zh) 一种智能熔断器
TW201707323A (zh) 全電子式交流過電流斷路器
CN104037740A (zh) 一种电弧故障断路装置
JP2014053311A (ja) 電気機械器具等の電源供給装置
CN202524054U (zh) 家用电器的电源控制装置和空调器
KR200363006Y1 (ko) 과부하 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
JP5014717B2 (ja) 回路遮断器
CN205157602U (zh) 断路器装置及电能表系统
KR20090111451A (ko) 콘센트,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절전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