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376A -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 Google Patents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376A
KR20120000376A KR1020100060708A KR20100060708A KR20120000376A KR 20120000376 A KR20120000376 A KR 20120000376A KR 1020100060708 A KR1020100060708 A KR 1020100060708A KR 20100060708 A KR20100060708 A KR 20100060708A KR 20120000376 A KR20120000376 A KR 2012000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th changing
changing means
light path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배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376A/ko
Publication of KR2012000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및 3D 겸용촬영장치로서,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수단과,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입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 공간상 제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3D 촬영장치로 구현가능하고,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경우 2D 쵤영장치로도 구현가능하다.

Description

2D 및 3D 겸용촬영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for both 2D and 3D}
본 발명은 2D 및 3D 겸용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D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새로운 욕구에 따라, 3D 이미지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영화, TV 등의 다양한 컨텐츠로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3D 이미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은 시장성, 사업성확대 등에 의해 나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에 유효나 시차를 갖는 2장 이상의 2차원 영상이 필요하고, 2차원 이상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입체카메라라고 한다. 그리고 입체카메라인 3D 카메라는 2개 이상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변환시켜 3D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구비되어야 함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3D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대상(110)에 대한 3D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촬영장치(120)는 복수개의 카메라(1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초점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 이미지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3D 촬영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해야 함에 따라, 많은 비용 및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2D 또는 3D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2D 촬영장치 및 3D 촬영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경로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입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공간상 제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3D 촬영장치로 구현가능하고,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경우 2D 쵤영장치로도 구현가능한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수단과,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2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키지 않고, 3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키킨다.
또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공급되는 에너지수준의 변경에 따라 결정방향이 변경되는 리퀴드 크리스탈(Liquid Crystal)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2D 이미지 획득시 상기 리퀴드 크리스탈에 공급되는 에너지수준이 변경되지 않고, 3D 이미지 획득시 상기 리퀴드 크리스탈에 변경된 에너지 수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리퀴드 크리스탈이 촬영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복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광경로 변경수단에 공급되는 에너지 수준을 변경하기 위한 에너지 변경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이미지 또는 적층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은 IR 필터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광경로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입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 공간상 제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3D 촬영장치로 구현가능하고, 광경로 변경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경우 2D 쵤영장치로도 구현가능한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3D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는 촬영수단(미도시), 광경로 변경수단(220), 제어수단, 이미지 저장수단(230) 및 디스플레이수단(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수단은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등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은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은 공급되는 에너지수준의 변경에 따라 결정방향이 변경되는 리퀴드 크리스탈(Liquid crist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수단(220)은 리퀴드 크리스탈(221)이 촬영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복수개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선택적으로 2D 또는 3D 이미지 획득하기 위해,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너지 변경장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변경장치(240)는 3D 이미지 획득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인 리퀴드 크리스탈에 변경된 에너지 수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저장수단(230)은 광경로 변경수단(220)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에 입상되는 이미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은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2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키지 않고, 3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켜 이미지의 입상 및 저장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2는 2D 이미지 획득을 위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광경로 변경수단은 작동되지 않고, 촬영대상(210)은 이미지 저장수단(130)에 하나의 이미지만이 입상되고, 디스플레이장치(250)를 통해 하나의 2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은 리퀴드 크리스탈(221)이 촬영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복수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의 에너지 변경장치(240)에 의해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220)에 변경된 에너지 수준을 제공할 경우, 광경로 변경수단의 리퀴드 크리스탈(221)의 결정방향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촬상대상(210)은 이미지 저장장치(230)에 복수개의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50)에 복수의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320)은 리퀴드 크리스탈(321)이 촬영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복수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의 에너지 변경장치(340)에 의해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320)에 변경된 에너지 수준을 제공할 경우, 광경로 변경수단의 리퀴드 크리스탈(321)은 결정방향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촬상대상(210)은 이미지 저장장치(330)에 복수개의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50)에 복수의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장치의 에너지 변경장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촬영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촬영대상 120: 촬영장치
121: 카메라 210: 촬영대상
220: 광경로 변경수단 221: 리퀴드 크리스탈
230: 이미지 저장수단 240: 에너지 변경장치
250: 디스플레이장치 310: 촬영대상
320: 광경로 변경수단 321: 리퀴드 크리스탈
330: 이미지 저장수단 340: 에너지 변경장치
350: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8)

  1.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수단;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입상 및 저장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수단; 및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2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키지 않고, 3D 이미지 획득시 광경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공급되는 에너지수준의 변경에 따라 결정방향이 변경되는 리퀴드 크리스탈(Liquid crist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2D 이미지 획득시 상기 리퀴드 크리스탈에 공급되는 에너지수준이 변경되지 않고, 3D 이미지 획득시 상기 리퀴드 크리스탈에 변경된 에너지 수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수단은 리퀴드 크리스탈이 촬영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복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광경로 변경수단에 공급되는 에너지 수준을 변경하기 위한 에너지 변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이미지 또는 적층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IR 필터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KR1020100060708A 2010-06-25 2010-06-25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KR20120000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08A KR20120000376A (ko) 2010-06-25 2010-06-25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08A KR20120000376A (ko) 2010-06-25 2010-06-25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76A true KR20120000376A (ko) 2012-01-02

Family

ID=4560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08A KR20120000376A (ko) 2010-06-25 2010-06-25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9060A (zh) * 2012-09-18 2012-11-21 宁波市胜源技术转移有限公司 一种三维立体眼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9060A (zh) * 2012-09-18 2012-11-21 宁波市胜源技术转移有限公司 一种三维立体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7976B2 (en) Single-ey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device
JP2011045039A (ja) 複眼撮像装置
JPWO2013027343A1 (ja) 3次元撮像装置、レン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344617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at performs focus detection
JP574004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1500496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JP2010032969A (ja) 複眼撮像装置
US928847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e capturing device
JP2011142632A (ja) カメラ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構成方法
US9462254B2 (en) Light field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sensor
JP2011114547A (ja) 立体画像表示装置、複眼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704916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1035643A (ja) 多眼撮影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WO2014106916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147940A (ja) 立体画像処理装置および立体画像処理方法
JP5611469B2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方法
US20170099440A1 (en) External Electronic Viewfinder for SLR Camera
JP2010103949A (ja) 撮影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2043003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11035642A (ja) 多眼撮影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20000376A (ko) 2d 및 3d 겸용촬영장치
JP2014110607A (ja) 撮像装置
JP2012134680A (ja) 撮像装置
JP2012015820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201515272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