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995A - 전동식 안락의자 - Google Patents

전동식 안락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995A
KR20110139995A KR1020100060150A KR20100060150A KR20110139995A KR 20110139995 A KR20110139995 A KR 20110139995A KR 1020100060150 A KR1020100060150 A KR 1020100060150A KR 20100060150 A KR20100060150 A KR 20100060150A KR 20110139995 A KR20110139995 A KR 2011013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eat plate
seat
armchai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523B1 (ko
Inventor
정경렬
형준호
안양수
최준호
박성빈
김사엽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5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양측이 제1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등판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양측이 제2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좌판부; 상기 등판부의 하부와 좌판부의 후방을 연결하여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부; 상기 좌판부의 전방에서 제3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발판부; 및 상기 좌판부를 회동시키고 링크부를 통해 등판부를 리클라이닝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1 구동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2 구동실린더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세변환 과정 중에 사용자의 체중심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락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생체역학적 부하를 감쇄시키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제공하며, 리클라이닝 구동부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장치를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을 얻게 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안락의자{ELECTRIC POWER RECLINING CHAIR}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등판부와 좌판부가 단일 링크부를 통해 결합되고, 단일 링크부는 하나의 제1 구동실린더를 통해 리클라이닝이 제어되며, 이러한 리클라이닝(reclining)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소형의 구동부 모터로도 리클라이닝이 가능하며, 발판부의 구동은 별도의 소형 모터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제어 동작과 연동하여 조절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안락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켜 생체역학적 부하를 감쇄시키며,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제공하고, 소형 및 경량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전동식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은 채로 보내게 되어, 갈수록 의자가 단순한 기능의 생활용품에서 새로운 의미의 건강용품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제공하는 안락의자 역시 단순한 리클라이닝 기능의 의자에서 인간공학적 고려와 IT(Information Technology) 등의 통합을 통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극대화하는 의자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락의자에는 기구학적 구조만을 이용하는 비전동식과, 모터와 구동제어부를 이용한 전동식이 있다. 이러한 전동식 안락의자는 핵심기능인 편안함의 제공 기능을 주로 등판부와 좌판부에 각각 연결된 모터와 제어부를 통해서 등판부와 좌판부를 독립적으로 각각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독립식 제어방식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기에는 매우 복잡하며, 제품 자체의 측면에서도 기구부와 구동부, 제어부가 복잡해짐에 따라 동작시 소음의 증가, 생산 비용의 증가, 대형화 및 고중량화 등의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식 안락의자를 구현함에 있어 종래의 독립형 모터 제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생체역학적 부하를 감쇄시킴으로써 더욱 최적화된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클라이닝 구동에 필요한 구동부의 모터 용량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장치를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며,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 수 있도록 개선된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한 안락의자에 있어서,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양측이 제1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등판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양측이 제2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좌판부; 상기 등판부의 하부와 좌판부의 후방을 연결하여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부; 상기 좌판부의 전방에서 제3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발판부; 및 상기 좌판부를 회동시키고 링크부를 통해 등판부를 리클라이닝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1 구동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2 구동실린더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 리클라이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세워진 복수의 측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의 하부는 베이스판이 일체로 연결하고, 복수의 측방 프레임 상부 전방모서리와 하부 후방모서리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대가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철제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측방 프레임은 그 후방모서리 상부측으로 직립된 지지대를 각각 돌출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제1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등판부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직립된 복수의 수직대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 제2 힌지가 장착되어 상기 좌판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판부는 그 전면이 사용자의 등판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단을 후방으로부터 에워싸서 고정하는 "⊃"형 단면의 등판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 홀더의 양측은 상기 몸체부의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제1 힌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연결된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판부는 그 상부면에 사용자가 앉도록 된 좌석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후방 양측을 각각 에워싸서 고정하는 복수의 좌판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좌판 홀더들의 하단은 상기 좌석부재의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복수의 연결 레버의 일측에 제1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 레버들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수직대 상부에 형성된 제2 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대해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판부는 각각의 좌판 홀더들이 좌석부재의 양측에서 중앙에 절곡된 단턱부를 형성하는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단턱부는 상기 좌판부가 몸체부로부터 상승 회동되는 리클라이닝 위치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복수의 측방 프레임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로부터 상승되어 들리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제자리에 놓여지는 정상위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 상에 각각 놓여지게 되어 몸체부에 안착 고정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상기 등판부의 등판 홀더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의 제1 플랜지와, 상기 복수의 제1 플랜지에 대응하도록 상기 좌판부의 복수의 좌판 홀더 상부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들과 제2 플랜지들은 제2 핀을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회동되면, 그 회동 작용력을 상기 등판부에 전달하여 등판부를 동작시키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제1 플랜지의 상단을 제2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제2 핀의 위치가 상기 등판부를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힌지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단을 연결레버에 결합시키는 제1 핀의 위치가 상기 좌판부를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힌지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상승 회동되면, 그 상승 회동 작용력을 통해서 등판부가 제1 힌지를 통하여 후방으로 눕혀지는 리클라이닝 작동하고,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하강 회동되면 상기 등판부가 세워져서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제1 핀 및 제2 핀의 위치가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의 위치에 대해 평행 사변형의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핀과 제2 핀은 구동부에 의해서 제1 힌지와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다리부를 받쳐주는 평판형의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 하부측으로는 복수의 발판 홀더가 좌판부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복수의 발판 홀더 끝단에 제3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방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실린더의 보디 후단이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의 후방 제1 브라켓에 제3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의 전단은 상기 좌판부의 좌석부재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브라켓에 제4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를 회동시키고 링크부를 통해 등판부를 리클라이닝시키며,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보디 후단은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의 전방 제3 브라켓에 제5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의 전단은 상기 발판부의 받침부재 하부면에 형성된 제4 브라켓에 제6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에 대해 발판부를 회동시키는 전동식 안락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판부와 좌판부가 단일 링크부를 통해 결합되고, 이와 같은 링크부는 몸체부로부터 좌판부의 하부에 연결된 하나의 제1 구동실린더를 통해 리클라이닝이 제어되며, 발판부의 구동은 별도의 소형 제2 구동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제어 동작과 연동하여 조절됨으로써 이러한 리클라이닝(reclining)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체중심부의 유지는 구동부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구동되는 좌판부의 위치 변화와, 상기 좌판부에 링크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등판부의 각도 변화에 의해 제어되며, 이와 같이 자세변환 과정 중에 사용자의 체중심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락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생체역학적 부하를 감쇄시키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제공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판부의 리클라이닝에 사용되는 구동부의 모터 용량을 크게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리클라이닝 구동부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가 정상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가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몸체부를 도시한 전방 외관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몸체부를 도시한 후방 외관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등판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등판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좌판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좌판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좌판 홀더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구동부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를 도시한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받침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에 구비된 받침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가 정상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가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의 정상 위치에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의 리클라이닝 위치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10)가 세로로 서 있는 정상위치(P1)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10)가 후방으로 누워진 상태의 리클라이닝 위치(P2) 사이에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진 몸체부(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120)는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세워진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도면상에 표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은 각각 철제 사각 바들을 이용하여 후방 지지대(124), 상기 후방 지지대(124) 보다는 길이가 짧은 전방 버팀대(126) 및 상기 후방 지지대(124)의 중간과 전방 버팀대(126)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부 수평대(130)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지지대(124)의 하단과 전방 버팀대(126)의 하단을 이어주는 하부 수평대(132)를 구비하며, 이들은 철제 구조물로서 볼트 (미 도시) 조립되거나 또는 점용접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는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의 하부에 베이스판(136)이 일체로 연결되고,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 상부 전방모서리와 하부 후방모서리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대(138)(140)가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철제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 연결대(138)는 직선형의 사각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대(140)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상부측으로 좌판부(16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한쌍의 수직대(142a)(142b)들이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구동부(200)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206)(210)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브라켓(144)과 제3 브라켓(146)들이 돌출형성되며, 측방 프레임(122a)(122b)의 후방측으로 리클라이닝 작동시, 안락의자(1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부(148)를 돌출형성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각바들이 일정 크기의 평평한 틀 형태로서 제작되어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의 하부 후방모서리에 연결되고, 몸체부(12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각각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이 그 후방모서리 상부측으로 직립된 지지대(124)를 각각 돌출형성하며, 이와 같은 지지대(124)의 상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대향하도록 한쌍의 제1 힌지(150)가 형성되어 상기 등판부(110)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의 내측으로는 복수의 수직대(142a)(142b)가 제2 연결대(140) 상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직립(直立)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대(142a)(142b)의 상부에는 각각 제2 힌지(152)가 장착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좌판부(16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도 4a 및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판부(1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등판부(110)는 상기 몸체부(120)의 후방 지지대(124)에서 그 양측이 제1 힌지(15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종(縱)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제1 힌지(150)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회동한다,
상기 등판부(110)는 그 전면이 사용자의 등판을 받쳐주는 판재형상의 등받이부재(112)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재(112)의 하단을 후방으로부터 에워싸서 고정하는 "⊃"형 단면의 등판 홀더(11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등판부(110)는 상기 "⊃"형의 등판 홀더(114)가 등받이부재(112)의 하부에 볼트(미 도시) 또는 점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등판 홀더(114)의 양측 구멍(116)은 상기 몸체부(120)의 지지대(124) 상부에 형성된 제1 힌지(15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150)를 중심으로 몸체부(120)에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상기 몸체부(120)의 전방에서 양측이 제2 힌지(15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횡(橫)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힌지(152)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좌판부(1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좌판부(16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도록 된 평판형의 좌석부재(162)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부재(162)의 후방 양측을 각각 에워싸서 고정하는 복수의 좌판 홀더(16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좌석부재(162)와 복수의 좌판 홀더(164)들은 각각 볼트(미 도시) 또는 점용접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데, 상기 각각의 좌판 홀더(164)들의 하단은 상기 좌석부재(162)의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복수의 연결 레버(166)의 일측에 제1 핀(168)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연결 레버(166)들은 직선형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의 연결 레버(166)들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120)의 수직대(142a)(142b) 상부에 형성된 제2 힌지(15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좌판부(160)의 좌석부재(162)는 복수의 좌판 홀더(164)들과 복수의 연결 레버(166)들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120)의 제2 힌지(152)에 연결되며, 제2 힌지(152)를 통해서 몸체부(120)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좌판부(1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좌판 홀더(164)들이 좌석부재(162)의 양측에서 중앙에 절곡된 단턱부(164a)를 형성하는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단턱부(164a)는 좌판부(160)를 정상위치(P1)에 안착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60)의 좌석부재(162)가 몸체부(120)로부터 들리지 않고 제자리에 놓여지는 정상위치(P1)에서는 상기 좌판 홀더(164)들의 단턱부(164a)는 각각 몸체부(120)의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130) 상에 각각 놓여지게 되어 몸체부(120)로부터 더 이상 낮아지지 않고, 그 자리에 안착 고정된다.
그러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60)가 구동부(200)에 의해서 몸체부(120)로부터 상승 회동되는 리클라이닝 위치(P2)에서는 상기 좌판 홀더(164)들이 몸체부(120)의 복수의 측방 프레임(122a)(122b)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130)로부터 상승되어 들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상기 등판부(110)의 하부와 좌판부(160)의 후방을 연결하여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부(1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링크부(1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110)의 등판 홀더(114)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의 제1 플랜지(182)와, 상기 복수의 제1 플랜지(182)에 대응하도록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60)의 복수의 좌판 홀더(164) 상부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플랜지(184)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플랜지(182)들과 제2 플랜지(184)들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2 핀(186)을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좌판부(160)가 이후에 설명되는 구동부(200)에 의해서 회동되면, 그 회동 작용력을 상기 등판부(110)에 전달하여 등판부(110)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링크부(180)는 제1 플랜지(182)의 상단을 제2 플랜지(184)를 연결시키는 제2 핀(186)의 위치가 상기 등판부(110)를 몸체부(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힌지(150)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182)의 하단을 연결 레버(166)에 결합시키는 제1 핀(168)의 위치도 상기 좌판부(160)를 몸체부(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힌지(152)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판부(160)가 구동부(200)에 의해서 상승 회동되면, 그 좌판부(160)의 후단에 마련된 제1 플랜지(182)가 상승되면서 그 상승 회동 작용력을 통해서 제2 플랜지(184)의 전단을 상승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등판부(110)가 제1 힌지(150)를 통하여 후방으로 눕혀져서 리클라이닝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좌판부(160)가 구동부(200)에 의해서 하강 회동되면 상기 제1 플랜지(182)가 하강되면서 그 하강 회동 작용력을 통해서 제2 플랜지(184)의 전단을 하강시키게 되며, 등판부(110)가 눕혀진 리클라이닝 위치(P2)로부터 세워져서 정상위치(P1)로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링크부(180)는 제1 핀(168) 및 제2 핀(186)의 위치가 상기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의 위치에 대해 평행 사변형의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핀(168)과 제2 핀(186)은 구동부(200)에 의해서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것이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가 정상위치(P1)에 있게 되면, 상기 제1 핀(168) 및 제2 핀(186)의 위치는 상기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의 위치에 대해 하향으로 유지되어 평행 사변형의 구조로 배치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가 리클라이닝 위치(P2)에 있게 되면, 상기 제1 핀(168)과 제2 핀(186)은 구동부(200)에 의해서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의 위치에 대해 동일 높이로 유지되어 직사각형의 구조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핀(168) 및 제2 핀(186)들이 제1 힌지(150)와 제2 힌지(152)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정상위치(P1)와 리클라이닝 위치(P2)로의 자세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그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하게 되며, 생체역학적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상기 좌판부(160)의 전방에서 제3 힌지(19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힌지(192)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발판부(19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발판부(19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주는 평판형의 받침 부재(194)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 부재(194)의 후방 하부측으로는 복수의 발판 홀더(196)가 돌출하여 좌판부(160)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복수의 발판 홀더(196) 끝단에 제3 힌지(192)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160)의 전방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정상위치(P1)와 리클라이닝 위치(P2) 사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20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구동부(200)는 상기 좌판부(160)를 회동시키고 링크부(180)를 통해 등판부(110)를 리클라이닝시키는 모터(202)를 구비한 제1 구동실린더(206)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190)를 승강시키는 모터(202)를 구비한 제2 구동실린더(210)를 구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206)(2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로드(206a)(210a)들이 각각 그 전단에서 전후진 이동하는 보디(206b)(210b)를 갖추고, 상기 보디(206b)(210b)의 내부에는 로드(206a)(210a)를 전후진 시키는 전기 구동식 모터(202)를 구비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동실린더(206)의 보디(206b) 후단이 몸체부(12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140)의 후방 제1 브라켓(144)에 제3 핀(21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206a)의 전단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좌판부(160)의 좌석부재(162)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브라켓(216)에 제4 핀(218)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실린더(206)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160)를 회동시키고, 링크부(180)를 통해 등판부(110)를 리클라이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구동실린더(210)의 보디(210b) 후단은 몸체부(12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140)의 전방 제3 브라켓(146)에 제5 핀(22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210a)의 전단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190)의 받침 부재(194) 하부면에 형성된 제4 브라켓(222)에 제 6핀(22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실린더(210)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160)에 대해 발판부(190)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는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위치(P1)에서는 상기 등판부(110)가 세워지고, 좌판부(160)는 좌판 홀더(164)들의 단턱부(164a)가 몸체부(120)의 측방 프레임(122a)(122b)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130)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가 정상위치(P1)에 있게 되면, 상기 등판부(110)는 몸체부(120)의 제1 힌지(150)를 통과하는 수직선(K1)에 대해서 대략 후방으로 향해 20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고, 좌판부(160)는 좌판 홀더(164)들의 단턱부(164a)가 몸체부(120)의 측방 프레임(122a)(122b)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130) 상에 지지되어 수평선(K2)에 대해 대략 10도 정도 상부측이 높게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상위치(P1)로부터 구동부(200)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206)(210)가 동작하게 되면 리클라이닝 위치(P2)로 변환되는데, 제1 구동실린더(206)의 내장된 모터(202)가 동작하여 그 로드(206a)를 전진시키면, 이는 좌판부(160)의 좌석부재(162) 하부면을 밀어 올리고, 이와 같은 좌석부재(162)는 제1 핀(168)을 통하여 연결 레버(166)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레버(166)가 상기 몸체부(120)의 수직대(142a)(142b)에 장착된 제2 힌지(152)를 중심으로 상승 회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좌판부(160)는 그 후방의 링크부(180)를 통하여 등판부(110)를 리클라이닝시키게 되는데, 상기 링크부(180)는 제1 플랜지(182)와 제2 플랜지(184)를 연결시키는 제2 핀(186)의 위치가 상기 등판부(110)를 몸체부(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힌지(150)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좌판부(160)가 구동부(200)에 의해서 상승 회동되면, 그 좌판부(160)의 후단에 마련된 제1 플랜지(182)가 상승되면서 그 상승 회동 작용력을 통해서 제2 플랜지(184)의 전단을 상승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등판부(110)가 제1 힌지(150)를 통하여 후방으로 눕혀져서 리클라이닝 된다.
그리고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클라이닝 위치(P2)에서는 상기 등판부(110)가 눕혀지고, 좌판부(160)는 좌판 홀더(164)들의 단턱부(164a)가 몸체부(120)의 측방 프레임(122a)(122b)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130)로부터 들려진다.
이와 같은 리클라이닝 위치(P2)에 있게 되면, 상기 등판부(110)는 상기 수직선(K1)에 대해서 대략 후방으로 향해 60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눕혀지며, 좌판부(160)는 상기 수평선(K2)에 대해 대략 10도 정도 상부측이 높게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등판부(110)의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구동부(200)의 제2 구동실린더(210)가 작동하여 발판부(190)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2 구동실린더(210)의 내장된 모터(202)가 동작하여 그 로드(210a)를 전진시키면, 이는 발판부(190)의 받침 부재 하부면을 밀어 올려서 좌판부(160)의 전방에서 상승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발판부(190)를 들어올리면 발판부(190)는 좌판부(160)의 전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배치되어 있다가 좌판부(160)의 연장선으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20도 정도 하방으로 상승회동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정상위치(P1)와 리클라이닝 위치(P2)로의 자세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안락의자(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그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이 최소화되어 생체역학적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 위치(P2)로부터 정상위치(P1)로의 복귀 작동은 상기 구동부(200)의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206)(210)의 모터를 동작시켜서 각각의 로드(206a)(210a)들을 후진시키면 쉽게 자세 변환이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판부(110)와 좌판부(160)가 단일 링크부(180)를 통해 결합되고, 이와 같은 링크부(180)를 통해서 몸체부(120)로부터 좌판부(160)의 하부에 연결된 하나의 제1 구동실린더(206)에 의해 정상위치(P1)와 리클라이닝 위치(P2)가 제어되며, 발판부(190)의 구동은 별도의 소형 제2 구동실린더(210)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180)의 제어 동작과 연동하여 조절됨으로써 이러한 리클라이닝(reclining)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자세변환 중에 사용자의 체중심부의 유지는 구동부(200)의 제1 구동실린더(206)에 의해 전후로 구동되는 좌판부(160)의 위치 변화와, 상기 좌판부(160)에 링크부(18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등판부(110)의 각도 변화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심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안락의자(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생체역학적 부하를 감쇄시키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자의 휴식 자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판부(110)의 리클라이닝에 사용되는 모터(202)의 용량을 크게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리클라이닝 구동부(20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을 얻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전동식 안락의자 110...... 등판부
112....... 등받이부재 114...... 등판 홀더
120...... 몸체부 122a,122b...... 측방 프레임
124...... 후방 지지대 126...... 전방 버팀대
130...... 상부 수평대 132...... 하부 수평대
136...... 베이스판 138,140..... 제1 및 제2 연결대
142a,142b.... 수직대 144...... 제1 브라켓
146....... 제3 브라켓 148...... 연장부
150....... 제1 힌지 152...... 제2 힌지
160....... 좌판부 162....... 좌석부재
164....... 좌판 홀더 166...... 연결 레버
168....... 제1 핀 180...... 링크부
182....... 제1 플랜지 184...... 제2 플랜지
186....... 제2 핀 190........ 발판부
192....... 제3 힌지 194....... 받침 부재
196...... 발판 홀더 200....... 구동부
202...... 모터 206...... 제1 구동실린더
210...... 제2 구동실린더 206a,210a..... 로드
206b,210b...... 보디 212...... 제3 핀
216...... 제2 브라켓 218....... 제4 핀
220...... 제5 핀 222...... 제4 브라켓
224...... 제 6핀 P1....... 정상위치
P2....... 리클라이닝 위치

Claims (10)

  1.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한 안락의자에 있어서,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양측이 제1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등판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양측이 제2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좌판부;
    상기 등판부의 하부와 좌판부의 후방을 연결하여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부;
    상기 좌판부의 전방에서 제3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발판부; 및
    상기 좌판부를 회동시키고 링크부를 통해 등판부를 리클라이닝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1 구동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내장한 제2 구동실린더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중심부(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 리클라이닝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세워진 복수의 측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의 하부는 베이스판이 일체로 연결하고, 복수의 측방 프레임 상부 전방모서리와 하부 후방모서리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대가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철제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측방 프레임은 그 후방모서리 상부측으로 직립된 지지대를 각각 돌출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제1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등판부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직립된 복수의 수직대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 제2 힌지가 장착되어 상기 좌판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그 전면이 사용자의 등판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단을 후방으로부터 에워싸서 고정하는 "⊃"형 단면의 등판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 홀더의 양측은 상기 몸체부의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제1 힌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그 상부면에 사용자가 앉도록 된 좌석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후방 양측을 각각 에워싸서 고정하는 복수의 좌판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좌판 홀더들의 하단은 상기 좌석부재의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복수의 연결 레버의 일측에 제1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 레버들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수직대 상부에 형성된 제2 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대해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각각의 좌판 홀더들이 좌석부재의 양측에서 중앙에 절곡된 단턱부를 형성하는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단턱부는 상기 좌판부가 몸체부로부터 상승 회동되는 리클라이닝 위치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복수의 측방 프레임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로부터 상승되어 들리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제자리에 놓여지는 정상위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측방 프레임에 마련된 상부 수평대 상에 각각 놓여지게 되어 몸체부에 안착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등판부의 등판 홀더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의 제1 플랜지와, 상기 복수의 제1 플랜지에 대응하도록 상기 좌판부의 복수의 좌판 홀더 상부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들과 제2 플랜지들은 제2 핀을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회동되면, 그 회동 작용력을 상기 등판부에 전달하여 등판부를 동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제1 플랜지의 상단을 제2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제2 핀의 위치가 상기 등판부를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힌지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단을 연결레버에 결합시키는 제1 핀의 위치가 상기 좌판부를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힌지보다 하부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상승 회동되면, 그 상승 회동 작용력을 통해서 등판부가 제1 힌지를 통하여 후방으로 눕혀지는 리클라이닝 작동하고, 상기 좌판부가 구동부에 의해서 하강 회동되면 상기 등판부가 세워져서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제1 핀 및 제2 핀의 위치가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의 위치에 대해 평행 사변형의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핀과 제2 핀은 구동부에 의해서 제1 힌지와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다리부를 받쳐주는 평판형의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 하부측으로는 복수의 발판 홀더가 좌판부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복수의 발판 홀더 끝단에 제3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방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실린더의 보디 후단이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의 후방 제1 브라켓에 제3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의 전단은 상기 좌판부의 좌석부재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브라켓에 제4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를 회동시키고 링크부를 통해 등판부를 리클라이닝시키며,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보디 후단은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연결대의 전방 제3 브라켓에 제5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로드의 전단은 상기 발판부의 받침부재 하부면에 형성된 제4 브라켓에 제6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좌판부에 대해 발판부를 회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락의자.
KR1020100060150A 2010-06-24 2010-06-24 전동식 안락의자 KR10112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50A KR101126523B1 (ko) 2010-06-24 2010-06-24 전동식 안락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50A KR101126523B1 (ko) 2010-06-24 2010-06-24 전동식 안락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95A true KR20110139995A (ko) 2011-12-30
KR101126523B1 KR101126523B1 (ko) 2012-03-22

Family

ID=4550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50A KR101126523B1 (ko) 2010-06-24 2010-06-24 전동식 안락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5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46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처리 장치
WO2022015095A1 (ko)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986B (zh) * 2018-02-10 2019-09-17 中山市思尚家具有限公司 椅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930A (en) * 1993-08-09 1996-11-05 La-Z-Boy Chair Company Recliner chair seat assembly and method of upholstering
JP2001149164A (ja) * 1999-11-29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ラックス装置
US7673933B2 (en) * 2007-02-15 2010-03-09 Omega Motion L.L.C. Recliner lift chair with dual motors
US8016348B2 (en) * 2008-11-24 2011-09-13 Ultra-Mek, Inc. Reciprocating seating unit with power actu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46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처리 장치
WO2022015095A1 (ko)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523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6402A1 (en) Zero gravity wall hugger recliner
US6338531B1 (en) Stand-assist recliner chair
JP5166592B1 (ja) 補助機構付き着座具
KR101126523B1 (ko) 전동식 안락의자
JP2021037250A (ja) チェアー
CN111067293A (zh) 一种带搁脚板的椅子
CN212437959U (zh) 一种联动式侧架结构
CN111053390A (zh) 一种椅子
CN108851680B (zh) 用于成排高腿座椅的模块化组件
CN212437951U (zh) 一种助力起身的椅座骨架结构
CN109700221B (zh) 用于高腿成排座椅的模块化组件
CN112006467A (zh) 一种沙发伸缩装置
CN111887640A (zh) 一种具有上升前倾功能的座椅框架及座椅
CN211722474U (zh) 一种椅架
CN111096594A (zh) 一种椅子及其搁脚板组件
CN211933364U (zh) 一种带搁脚板的椅子
CN219289059U (zh) 用于可活动的座椅单元的机械伸展装置及座椅单元
CN220403569U (zh) 兼具升降和仰躺功能的电动沙发椅
CN215502137U (zh) 全连杆式沙发功能铁架
CN217987100U (zh) 一种可午休的椅子
CN219109068U (zh) 一种坐躺切换沙发架
CN211722463U (zh) 一种椅子
CN212437950U (zh) 一种联动式老人椅骨架结构以及老人椅
CN219680169U (zh) 沙发金属骨架和可躺式沙发椅
CN218773629U (zh) 一种抬升靠背的运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