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979A -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979A
KR20110139979A KR1020100060126A KR20100060126A KR20110139979A KR 20110139979 A KR20110139979 A KR 20110139979A KR 1020100060126 A KR1020100060126 A KR 1020100060126A KR 20100060126 A KR20100060126 A KR 20100060126A KR 20110139979 A KR20110139979 A KR 20110139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edestal
case
storage spac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0006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979A/ko
Publication of KR2011013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의 손잡이에 절첩식 거치대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대를 펼친 다음 거치대에 PMP 또는 핸드폰 등을 거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영상물(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의 시청은 물론이고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손잡이 레버(31)에 고정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33)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거치대(34)와, 상기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는 공지의 잠금수단과,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PMP 또는 핸드폰(36)이 얹혀지는 받침대(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shelf for collapsible with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의 손잡이에 절첩식 거치대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대를 펼친 다음 거치대에 PMP 또는 핸드폰 등을 거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영상물(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의 시청은 물론이고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데리고 외출을 할 때에는 주부들이 많은 힘이 들어 유아를 주로 유모차에 태워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유모차는 전륜(1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12), 후륜(13)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후각(14), 거의 U 자 형상으로 굴곡된 손잡이(15), 좌우 한 쌍의 암 레스트(arm rest)(16) 및 암 레스트(16) 사이에 걸쳐져 있고 착탈 가능한 가드 암(guard arm)(17), 유아가 앉는 안장(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5)를 구성하는 좌우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는 각각의 상기 암 레스트(16)의 한쪽 단부가 피봇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암 레스트(16)의 다른 단부에 전각(12)의 정상 단부가 피봇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각(14)의 정상단부도 상기 암 레스트(16)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후각(14)의 중간부에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된 브래킷(19)의 일단이 피봇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9)의 중간 위치에 상기 손잡이 레버(15)를 구성하는 좌우의 파이프(18)의 선단(先端)이 각각 피봇 장착되어 있고,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9)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상기 파이프(18)의 하단 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록(lock) 부재(도시는 생략함)가 결합되어 전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부 등이 유모차에 유아를 태워 외출을 할 경우에는 안장(20)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손잡이 레버(15)를 파지하여 밀면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를 힘들이지 않고 데리고 다니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린다거나, 휴식 등을 위해 정지된 상태에서 무료함을 달래는데 한계가 있어 주부들이 쉽게 지쳐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주부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린다거나, 휴식 등을 취할 때 손잡이 레버에 PMP 또는 핸드폰 등을 거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레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는 공지의 잠금수단과,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PMP 또는 핸드폰이 얹혀지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레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는 공지의 잠금수단과,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PMP 또는 핸드폰이 얹혀지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유모차의 손잡이 레버에 고정되는 케이스에 PMP 또는 핸드폰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얹을 수 있는 거치대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대기 중 또는 휴식 중에 필요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거치대를 펼친 다음 거치대에 PMP 또는 핸드폰을 얹어 안전한 상태에서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므로 틈새 시간을 더욱 유용하게 보낼 수 있게 된다.
둘째,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기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PMP 또는 핸드폰을 바닥에 떨어뜨림에 따라 고가의 제품이 파손되는 현상도 방지하게 된다.
셋째, 수납공간에서 거치대를 분리할 경우에는 수납공간 내에 악세사리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거치대에서 받침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거치대로부터 받침대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케이스로부터 거치대를 펼친 상태에서 받침대에 PMP 또는 핸드폰이 얹혀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거치대에서 받침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거치대로부터 받침대를 전방으로 안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본 발명은 유모차의 손잡이 레버(31)에 케이스(3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에는 수납공간(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거치대(34)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거치대(34)의 개방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거치대(34)를 임의의 각도로 개방하였을 때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는 구성은 노트북 등에서 덮개를 개방하였을 때 개방된 각도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러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32)의 수납공간(33)에 수납되는 거치대(34)는 공지의 잠금수단(35)에 의해 록킹되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34)의 전면에는 PMP 또는 핸드폰(36)이 얹혀지는 받침대(3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34)의 전면에 구비되어 PMP 또는 핸드폰(36)이 얹혀지는 받침대(37)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출시되는 PMP 또는 핸드폰(36)의 크기가 각기 다르므로 받침대(37)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37)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받침대(37)의 후면에 랙(38)이 형성된 연결대(39)가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39)가 거치대(3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대(39)에 형성된 랙(38)에는 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41)이 맞물려 있는데, 상기 거치대(34)에는 받침대(37)가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장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시되는 PMP 또는 핸드폰(36)의 두께가 각기 다르므로 받침대(37)를 거치대(34)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받침대(37)의 후면에 외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형태의 봉(43)이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거치대(34)의 전면 및 저면에는 봉(43) 및 받침대(37)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보울트(4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2수평 장공(45)(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거치대(34)로부터 받침대(37)가 출몰함에 따라 피니언(41)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랙(38)이 피니언(41)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41)의 두께가 두껍게 설계되어야 받침대(37)의 전, 후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스(32) 내부에는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스피커(도시는 생략함)가 내장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이어폰을 꽂기 위한 잭(47)이 구비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써, 케이스(32)에 형성된 수납공간(33)에 덮개(48)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덮개(48)에 후크(49)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거치대(3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덮개(48)에서 거치대(34)를 분리함에 따라 수납공간(33)에 악세사리 등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50)은 케이스에 형성된 손잡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를 태우고 이동간에는 케이스(32)에 형성된 수납공간(33)에 거치대(34)가 수납되어 잠금수단에 의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부주의로 거치대(34)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기 또는 휴식간에 PMP 또는 핸드폰(36)을 이용하여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기고자 할 경우에는 잠금수단을 해제한 다음 요입홈(35)을 이용하여 수납공간(33)으로부터 거치대(34)를 꺼내면 도 6과 같이 케이스(32)에서 거치대(34)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 때 거치대(34)의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조절함에 따라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수납공간(33)에서 거치대(34)를 꺼내고 나면 휴대하고 있던 PMP 또는 핸드폰(36)을 거치대(34)의 전면에 위치하는 받침대(37)에 얹어야 하는데, 이 때 PMP 또는 핸드폰(36)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받침대(37)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PMP 또는 핸드폰(36)을 받침대(37)에 안전한 상태로 얹을 수 있게 된다.
즉, 휴대하고 있던 PMP 또는 핸드폰(36)의 크기에 비하여 받침대(37)의 간격이 넓으면 받침대(37)의 간격을 좁혀 주어야 되는데, 이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의 받침대(37)를 내 측으로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랙(38)이 피니언(41)에 상호 맞물려 있어 다른 일 측의 받침대(37)도 내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받침대(37)에 PMP 또는 핸드폰(36)을 안전한 상태로 얹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거치대(34)와 받침대(37)의 사이가 좁아 PMP 또는 핸드폰(36)을 얹을 수 없을 경우에는 안테나식으로 구성된 봉(43)을 인출한 다음 거치대(34)로부터 받침대(37)를 이동시키면 받침대(37)에 PMP 또는 핸드폰(36)을 안전하게 얹어 영화, 연속극,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31 : 손잡이 레버 32 : 케이스
33 : 수납공간 34 : 거치대
37 : 받침대 38 : 랙
39 : 연결대 41 : 피니언
43 : 봉 44 : 록킹보울트
48 : 덮개

Claims (5)

  1. 손잡이 레버(31)에 고정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33)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거치대(34)와, 상기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는 공지의 잠금수단과,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PMP 또는 핸드폰(36)이 얹혀지는 받침대(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4)에 설치되는 받침대(37)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37)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받침대(37)의 후면에 랙(38)이 형성된 연결대(39)를 고정하여 상기 연결대(39)가 거치대(34)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각 연결대(39)에 형성된 랙(38)에는 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41)이 맞물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받침대(37)의 후면에 외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형태의 봉(43)을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거치대(34)의 전면 및 저면에는 봉(43) 및 받침대(37)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보울트(4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2수평 장공(45)(46)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5. 손잡이 레버(31)에 고정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33)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덮개(48)와, 상기 덮개(4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34)와, 상기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는 공지의 잠금수단과,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PMP 또는 핸드폰(36)이 얹혀지는 받침대(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KR1020100060126A 2010-06-24 2010-06-24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KR20110139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6A KR20110139979A (ko) 2010-06-24 2010-06-24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6A KR20110139979A (ko) 2010-06-24 2010-06-24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79A true KR20110139979A (ko) 2011-12-30

Family

ID=4550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26A KR20110139979A (ko) 2010-06-24 2010-06-24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9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483A (en) * 2011-07-01 2013-01-02 Wonderland Nursery Goods Baby carriage with an accommodating mechanism for a mobile device
KR101704295B1 (ko) * 2015-11-3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CN109379474A (zh) * 2018-12-10 2019-02-22 航天特种材料及工艺技术研究所 婴儿背带手机支撑装置
KR20190089700A (ko) 2018-01-22 2019-07-31 박상국 조립식 물품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483A (en) * 2011-07-01 2013-01-02 Wonderland Nursery Goods Baby carriage with an accommodating mechanism for a mobile device
US8973928B2 (en) 2011-07-01 2015-03-10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aby carriage and accommodating mechanism thereof
GB2492483B (en) * 2011-07-01 2018-07-25 Wonderland Switzerland Ag Baby carriage and accommodating mechanism thereof
KR101704295B1 (ko) * 2015-11-3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KR20190089700A (ko) 2018-01-22 2019-07-31 박상국 조립식 물품 거치대
CN109379474A (zh) * 2018-12-10 2019-02-22 航天特种材料及工艺技术研究所 婴儿背带手机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979A (ko) 절첩식 거치대를 갖는 유모차
JP3224070U (ja) 台車
US20140014791A1 (en) Joint mechanism and supporting device therewith
KR101670629B1 (ko) 차량용 캐리어의 고정장치
US8840133B2 (en) Stroller frame
US8657325B2 (en) Stroller with assistant wheel
JP5767489B2 (ja) 乳母車
GB2497856A (en) A collapsible stroller mechanism
US20060163847A1 (en) Standing foldable stroller
US11412822B2 (en) Adjustable luggage trunk stroller having foldable seat
US9101227B2 (en) Hook-on highchair
US20120286497A1 (en) Foldable stroller with rotatable leg rest adapted for receiving a car seat
KR101674369B1 (ko) 절첩구조가 단일체로된 이동식 테이블
US11622632B2 (en) Feature high chair
JP2024028214A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KR101041225B1 (ko) 휴대형 플레이어 장착을 위한 거치대
JP2009214778A (ja) 子供用三輪車の荷台
JP2005287697A (ja) 配膳台
CN204887127U (zh) 一种便携式手机自立支撑架
EP1561667B1 (en) Stroller
JP2001112556A (ja) テーブル装置
KR101734671B1 (ko) 접이식 카트 장치
JP3199745U (ja) 小物載置装置及び該小物載置装置を備えるソファー又は椅子
JP2020066245A (ja) 手押し車
AU2014206197A1 (en) Improvements in shopping troll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