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921A -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 Google Patents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921A
KR20110139921A KR1020100060044A KR20100060044A KR20110139921A KR 20110139921 A KR20110139921 A KR 20110139921A KR 1020100060044 A KR1020100060044 A KR 1020100060044A KR 20100060044 A KR20100060044 A KR 20100060044A KR 20110139921 A KR20110139921 A KR 20110139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lifting
hull
tower structure
til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493B1 (ko
Inventor
전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은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영역을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한 회전축을 구비한 틸팅 장치와, 상기 틸팅 장치를 통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틸팅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의 일측 단부가 상기 틸팅 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장착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상기 적재 영역에서 상기 리프팅 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SHIP FOR INSTALLING TOW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효과적으로 타워형 구조물을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내륙이라는 설치 공간을 벗어나 해상의 저난류, 고풍속등의 우수한 풍력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대륙붕 연안과 수심이 30m 이상에서 900m 이내에 이르는 해상에 풍력 터빈을 설치하여 풍력 발전의 영역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다.
해상에서 발전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바람은 내륙보다 에너지가 크고, 내륙에서 멀어질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기 때문에 풍력 터빈을 이용한 발전에 있어서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수심 30m 이상에서 얻을 수 있는 풍력 발전량이 내륙 부근의 해상에서 얻은 풍력 발전량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풍력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수심이 깊은 곳에 선박을 이용하여 풍력 터빈을 설치하는 여러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에 풍력 터빈 등을 설치하기 위한 타워형 구조물을 다양한 수심에서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은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영역을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한 회전축을 구비한 틸팅 장치와, 상기 틸팅 장치를 통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틸팅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의 일측 단부가 상기 틸팅 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장착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상기 적재 영역에서 상기 리프팅 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틸팅 장치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리프팅빔(lifting beam), 그리고 상기 리프팅빔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각각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복수의 윈치(winch)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빔은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빔은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끼워지며 상기 윈치와 결합된 셔틀빔(shuttle be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타워형 구조물을 들어올리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크레인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장치 및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선체의 선미 또는 선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 영역에 상기 타워형 구조물을 눕혀 일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상에 형성된 지브 크레인(jib cra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리프팅 장치와 대향 배치된 조타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잭업(jack-up)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업 장치는 해저면에 지지 가능한 복수의 지지각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각들 및 상기 선체와 결합되어 상기 선체를 상기 복수의 지지각들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은 상기 선체에 장착된 보조 추력 발생 장치(thrus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추력 발생 장치는 상기 선체를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위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은 타워형 구조물을 다양한 수심에서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을 사용하여 해상에 타워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에 사용된 리프팅빔(lift beam)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실시예 이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선체(200), 틸팅(tilting) 장치(400), 리프팅(lifting) 장치(500), 및 이송 장치(300)를 포함한다.
선체(200)는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영역(250)을 구비한다. 적재 영역(250)은 타워형 구조물(TW)을 수평하게 눕혀 일단 또는 다단으로 쌓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은 해저 방향으로 향할 하부가 선체(200)의 선미를 향하도록 나란히 적재 영역(250)에 적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체(20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이 수직하게 세워져 적재될 수도 있으며, 선체(200)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적재될 수도 있다.
틸팅 장치(400)는 선체(200)의 선미에 설치되며, 선체의 선미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갖는 회전축(401)을 포함한다. 즉,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은 선체(200)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체(200)의 크기에 따라, 틸팅 장치(400)는 선체(200)의 가장자리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틸팅 장치(400)는 선체(200)의 선수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틸팅 장치(400)는 구동 모터, 기어, 및 리프팅 장치 등과 같이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회전력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장치(500)는 틸팅 장치(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리프팅 장치(500)는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다.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은 일측 단부가 틸팅 장치(400)를 향하도록 리프팅 장치(50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리프팅 장치(500)는 선체(200)의 갑판(deck) 위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에서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장착하고,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리프팅 장치(500)가 세워진 상태에서, 리프팅 장치(500)에 장착된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 중 적어도 일부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해상에 내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 장치(500)는 일측 단부가 틸팅 장치(400)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510)과, 메인 프레임(5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리프팅빔(lifting beam)(550), 그리고 리프팅빔(550)에 설치된 복수의 윈치(winch)들(555)을 포함한다.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TW)은 메인 프레임(510)과 나란하게 장착된다. 메인 프레임(510)은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고정하는 고정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빔(550)은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복수의 윈치들(555)은 리프팅빔(550)을 따라 설치되어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각각 들어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된다. 복수의 윈치들(555)은 각각 와이어 및 롤러 등을 포함한다. 윈치(555)로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윈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빔(550)과 복수의 윈치들(555)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송 장치(300)는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적재 영역(250)에서 리프팅 장치(500)로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장치(300)는 타워형 구조물(TW)을 들어올리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350)과, 갠트리 크레인(350)을 이동시키는 크레인 레일(320)을 포함한다. 타워형 구조물(TW)은 갠트리 크레인(350)을 통해 적재 영역(250)에서 들어 올려진 후, 크레인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여 리프팅 장치(500)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지브 크레인(jib crane)(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브 크레인(600)은 해상에 타워를 설치한 후, 타워에 풍력 터빈을 설치하는 등의 후속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적재 영역(250)을 사이에 두고 리프팅 장치(500)와 대향 배치된 조타실(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장치(500)가 선체(200)의 선미에 설치되면, 조타실(210)은 선체(200)의 선수 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체(200)의 크기에 따라, 리프팅 장치(500)가 선체(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타실(210)은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선체(200)의 하부에 장착된 보조 추력 발생 장치(thruster)(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추력 발생 장치(270)는 선체(200)를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한 자리에 타워형 구조물(TW)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타워형 구조물(TW)을 다양한 수심에서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연속해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은 수심에 따라 일 영역에 하나의 타워형 구조물(TW)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일 영역에 여러 개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이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잭업(jack-up) 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잭업 장치(800)는 해상의 일 영역에 여러 개의 타워형 구조물들(TW1, TW2, TW3)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단에 설치될 타워형 구조물(TW3)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선체를 해상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잭업 장치(800)는 작업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잭업 장치(800)는 해저면(SB)에 지지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각들(810)과, 복수의 지지각들(800)과 선체(200)를 서로 결합시키며 선체(200)를 복수의 지지각들(800)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820)를 포함한다.
잭업 장치(800)의 지지각들(810)은 해저면(SB) 위에 띄워진 상태로 이동한 후, 작업 현장에서 해저면(SB)에 닿을때까지 내려지거나, 작업 현장에서 선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각들(810)은 각각 복수의 지지 기둥들(811)과, 복수의 지지 기둥들(811)을 연결하는 격자 구조물(81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8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 구동부 및 기어 피니언 등을 포함한다. 승강부(820)는 선체(200)를 복수의 지지각들(810)을 따라 승강시켜 상단에 설치될 타워형 구조물(TW3)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잭업 장치(800)를 더 포함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타워형 구조물(TW)을 다양한 수심에서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을 이용하여 해상에 타워를 설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력 터빈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을 정지시킨 후, 틸팅 장치(400)를 통해 리프팅 장치(500)를 수직하게 세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510)에 고정부(515)를 통해 고정되었던 제1 타워형 구조물(TW1)의 고정 상태를 해체한다. 이어, 리프팅빔(550)에 설치된 윈치(555)의 와이어를 통해 제1 타워형 구조물(TW1)을 서서히 해상에 내리고, 제1 타워형 구조물(TW1)을 해저에 고정시킨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추력 발생 장치(thruster)(270)를 사용하여 제2 타워형 구조물(TW2)을 제1 타워형 구조물(TW1) 위에 잭업시킬 수 있도록 선체(200)의 위치를 조정한다. 보조 추력 발생 장치(270)는 선체(200)를 틸팅 장치(400)의 회전축(401)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위치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체(200)의 위치가 조정되면, 제2 타워형 구조물(TW2)을 제1 타워형 구조물(TW1) 위로 내려 이들을 서로 연결한다.
한편, 리프팅 장치(500)에 장착된 상태의 제1 타워형 구조물(TW1)과 제2 타워형 구조물(TW2) 간의 이격이 크지 않을 경우, 보조 추력 발생 장치(270)를 사용하지 않고 윈치(555)를 융통성있게 사용하여 해저에 고정된 제1 타워형 구조물(TW1) 위로 제2 타워형 구조물(TW2)을 내릴 수도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잭업 장치(800)를 이용해 선체(200)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제2 타워형 구조물(TW2) 위로 제3 타워형 구조물(TW3)을 연결 설치한다.
선박(101)은 잭업 장치(800)의 지지각들(810)을 해저면(SB) 위에 띄워진 상태로 이동한 후 작업 현장에서 해저면(SB)에 닿을 때까지 내려 설치할 수도 있다.
반면, 설치된 제2 타워형 구조물(TW2)의 높이가 높지 않아 제3 타워형 구조물(TW3)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면, 잭업 장치(800)를 사용하지 않고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지브 크레인(600)을 사용하여 풍력 터빈을 타워에 설치하는 것과 같은 후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3개의 타워형 구조물들(TW1, TW2, TW3)을 연속해서 잭업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일 영역에 내려지는 타워형 구조물(TW)의 수는 수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수심이 낮을 경우 하나의 타워형 구조물(TW)을 통해 풍력 터빈용 타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은 복수의 영역에 각각 하나 이상의 타워형 구조물(TW)을 연속적으로 내리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장치(500)에 장착된 타워형 구조물들(TW)이 모두 해상에 내려지면, 틸팅 장치(400)를 통해 리프팅 장치(500)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송 장치(300)를 통해 적재 영역(250)에 적재된 다른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TW)을 리프팅 장치(500)로 이송시켜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101)을 사용하여 해상에 풍력 터빈용 타워 등과 같은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빔(550)은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551)과, 셔틀빔(shuttle beam)(55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551)은 틸팅 장치(400)(도 2에 도시)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선체(200)(도 2에 도시)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레일(551)은 복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레일(551)은 단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셔틀빔(552)은 슬라이딩 레일(5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윈치(555)와 결합된다. 도 6에는 윈치(555)의 와이어만 나타나 있으나, 윈치(555)는 롤러 등을 포함하며, 윈치(555)의 롤러가 셔틀빔(552) 내부에 형성되거나 셔틀빔(552)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보조 추력 발생 장치(270)(도 2에 도시)를 통해 선체(200)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타워형 구조물(TW)을 해상에 내려질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1: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200: 선체 210: 조타실
270: 보조 추력 발생 장치 300: 이송 장치
320: 크레인 레일 350: 갠트리 크레인
400: 틸팅 장치 401: 회전축
500: 리프팅 장치 510: 메인 프레임
515: 고정부 550: 리프팅빔
555: 윈치 600: 지브 크레인
800: 잭업 장치 810: 지지각
820: 승강부
TW: 타워형 구조물

Claims (12)

  1.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영역을 구비한 선체;
    상기 선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한 회전축을 구비한 틸팅 장치;
    상기 틸팅 장치를 통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틸팅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의 일측 단부가 상기 틸팅 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장착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상기 적재 영역에서 상기 리프팅 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2. 제1항에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틸팅 장치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리프팅빔(lifting beam); 그리고
    상기 리프팅빔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타워형 구조물들을 각각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복수의 윈치(winch)들
    을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3. 제2항에서,
    상기 리프팅빔은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4. 제3항에서,
    상기 리프팅빔은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끼워지며 상기 윈치와 결합된 셔틀빔(shuttle beam)을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5. 제1항에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타워형 구조물을 들어올리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크레인 레일을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6. 제1항에서,
    상기 틸팅 장치 및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선체의 선미 또는 선수에 설치된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7. 제1항에서,
    상기 적재 영역에 상기 타워형 구조물을 눕혀 일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8. 제1항에서,
    상기 선체 상에 형성된 지브 크레인(jib crane)을 더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9. 제1항에서,
    상기 적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리프팅 장치와 대향 배치된 조타실을 더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10. 제1항에서,
    상기 선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잭업(jack-up) 장치를 더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11. 제10항에서,
    상기 잭업 장치는 해저면에 지지 가능한 복수의 지지각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각들 및 상기 선체와 결합되어 상기 선체를 상기 복수의 지지각들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선체에 장착된 보조 추력 발생 장치(thrus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추력 발생 장치는 상기 선체를 상기 틸팅 장치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위치제어하는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20100060044A 2010-06-24 2010-06-24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121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044A KR101215493B1 (ko) 2010-06-24 2010-06-24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044A KR101215493B1 (ko) 2010-06-24 2010-06-24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21A true KR20110139921A (ko) 2011-12-30
KR101215493B1 KR101215493B1 (ko) 2012-12-26

Family

ID=4550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044A KR101215493B1 (ko) 2010-06-24 2010-06-24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8B1 (ko) * 2012-06-28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368885B1 (ko) * 2012-06-28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200046511A (ko) * 2018-10-24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WO2023195855A1 (en) * 2022-04-08 2023-10-12 Penthus Holding B.V. Jack-up vesse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offsho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32B1 (ko) 2013-09-09 2014-07-04 이레엔지니어링(주) 해상 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 설치용 작업선
WO2015034323A1 (ko) * 2013-09-09 2015-03-12 이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양 기초구조물 설치용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44976C (no) 1976-04-01 1981-12-16 Golar Nor Offshore As Oer innretning for haandtering og lagring av stigeroer og borer
WO2009102196A2 (en) * 2008-02-15 2009-08-20 Itrec B.V. Offshore drilling vess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8B1 (ko) * 2012-06-28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368885B1 (ko) * 2012-06-28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200046511A (ko) * 2018-10-24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WO2023195855A1 (en) * 2022-04-08 2023-10-12 Penthus Holding B.V. Jack-up vesse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offshore
NL2031544B1 (en) * 2022-04-08 2023-11-03 Penthus Holding B V Jack-up vesse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offsh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93B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8704B2 (ja) 風力タービンの基礎としてのモノパイルを直立させるための方法
EP2724021B1 (en) A self-propelled offshore wind farm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farm
JP5860976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該装置の部品搬送方法
KR101215493B1 (ko) 타워형 구조물 설치용 선박
US10941023B2 (en) Wave-induced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vessel and load transferring method
EP2327880A2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JP2011112045A (ja) 風力タービン固定および吊り上げ装置、および水上移動式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EP2714506B1 (en) A vessel and a metho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an offshore structure
CN104527937A (zh) 海上风机整机运输与安装专用船及方法
JP2004001750A (ja) 特殊作業船及び洋上構造物の施工方法
KR20210010997A (ko) 윈드 터빈 및 윈드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KR101401985B1 (ko) 수상구조물 설치용 잭업식 플로팅 크레인
JP2012107585A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TWI770460B (zh) 浮體構造物設置系統、以及浮體構造物設置方法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WO2012060112A1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EP4253218A1 (en) Offshore floating intervention platform intended to dock on an offshore wind turbine platform, related assembly and intervention method
EP4253220A1 (en) Offshore floating intervention platform having a lifting tower with a position compensation device, related assembly and method
KR101964835B1 (ko) 해양구조물 진수 설비 및 해양구조물 진수 방법
KR20230016364A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170030200A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TW202402621A (zh) 使用移動式離岸組裝設施組裝漂浮離岸風力船舶的方法
WO2020122712A1 (en) Piling frame with cut-out
KR101564593B1 (ko) 타워형 구조물 다중 런칭 선박
WO2024018024A1 (en) Monopiles transport and installation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