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615A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615A
KR20110139615A KR1020100059786A KR20100059786A KR20110139615A KR 20110139615 A KR20110139615 A KR 20110139615A KR 1020100059786 A KR1020100059786 A KR 1020100059786A KR 20100059786 A KR20100059786 A KR 20100059786A KR 20110139615 A KR20110139615 A KR 2011013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unit
information
energy consumption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080B1 (ko
Inventor
심재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0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제 1 에너지발생부를 포함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의 송신이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에는,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 1 에너지소비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이 변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급자는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단순히 공급만하고, 수요처는 공급받은 에너지원을 단순히 사용만 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생산, 분배, 또는 에너지 사용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수행되기 어려웠다.
즉,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다수의 수요처를 향하여 분산되는, 즉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에너지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기요금 및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제 1 에너지발생부를 포함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의 송신이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에는,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 1 에너지소비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이 변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생산, 사용, 분배, 저장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급자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 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전기제품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소비부로서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너지원은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SOURCE라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례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substation)로 송전되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에 되팔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 또는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 또는 상기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을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가전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전기제품인 경우,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하나 이상의 특정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집단을 의미한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한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26)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사용,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일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를 통하여 정보를 송신하거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에서 생성 또는 전달된 정보는, 터미널 컴포넌트를 통하여 송신되거나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 및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관리부(14) 및 에너지측정부(15)를 제 1 에너지발생부, 제 1 에너지분배부, 제 1 에너지저장부, 제 1 에너지관리부 및 제 1 에너지측정부라 이름하고,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 에너지관리부(24) 및 에너지측정부(25)를 제 2 에너지발생부, 제 2 에너지분배부, 제 2 에너지저장부, 제 2 에너지관리부 및 제 2 에너지측정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사용,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전기제품 또는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전기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및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및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및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장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복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 일례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25) 및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될 수 있다. 전력소비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100), 세탁기(400), 에어컨(500), 건조기(600) 또는 조리기기(700)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정에서의 통신은 Zigbee, wifi와 같은 무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 (PLC, 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가전기기는 다른 가전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소비부로서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소비부(26)에는 냉장고(1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0)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120)에는 도어 개폐를 위하여 조작 가능한 도어 손잡이(140)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120)에는, 개방 가능한 홈바 도어(1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본체(110) 내에 저장되는 저장박스(200)는 상기 홈바 도어(130)를 통하여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저장박스(200)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20)를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기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홈바 도어(130)의 후측에는, 다수의 저장박스(200) 중 일 저장박스가 배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홈바 도어(130)를 열고 상기 일 저장박스의 저장물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저장박스(200)가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는 상하 방향으로 2단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박스(200)에는, 저장물이 저장 가능한 박스 본체(205) 및 상기 박스 본체(205)의 전방에 개방 가능한 박스 도어(2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 공급홀(118) 및 다수의 저장박스(200) 중 일 저장박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특냉 공급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특냉 공급부(115)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 예를 들어 본체(1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에는, 특냉 공급부(115)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 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220)은 상기 특냉 공급부(115)를 마주보며, 상기 특냉 공급부(11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들은 상기 냉기 공급홀(118)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들 중 일 저장박스는 상기 특냉 공급부(115)에 의하여 직접 냉각될 수 있으며, 직접 냉각되는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는 위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들은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저장박스(200)들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 박스(300)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 박스(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 및 상부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박스(300)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 회전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310)와, 상기 구동 모터(310)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모터 스프로켓(340) 및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과 연동하며 상기 저장박스(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 가이드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 모터(310)는 모터 지지부(320)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박스(30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은 상기 구동 모터(310)의 회전력을 모터 축(330)을 통하여 전달받게 된다.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 가이드부(150)가 구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들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150)는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과 연동 가능한 체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은 "스프로켓"이 아닌 "로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150)는 풀리일 수 있다.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 및 회전 가이드(150)를 동력 전달부라 이름하고, 상기 모터 스프로켓(340)을 제 1 전달부, 상기 회전 가이드(150)를 제 2 전달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 박스(200)의 후측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150)와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280)가 제공된다. 각각의 저장박스(200)는 상기 회전 가이드(150)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150)의 회전에 의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200)들이 회전되는 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소정의 주기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저장박스(200)들 중 일 저장박스의 관통홀(220) 위치는 상기 특냉 공급부(115)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는 차례로 상기 특냉 공급부(115)에 위치되어, 냉기를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저장박스(200)들 중 일 저장박스의 특냉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구동 모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일 저장박스가 상기 특냉 공급부(115)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저장박스(200)에는, 상기 저장박스(200) 내부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하는 온도 센서(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250)에 의하여 감지된 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저장박스(200)를 상기 특냉 공급부(115)의 일측에 위치시켜 상기 특냉 공급부(115)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어(120) 또는 홈바 도어(130)를 통한 냉기 유출이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장박스(20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특냉 공급부(115)로부터 차례로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200)는 소정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에는, 상기 저장박스(200)의 내부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250)와, 상기 다수의 저장박스(2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310) 및 상기 온도 센서(250)와 구동 모터(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70)가 포함된다.
상세히, 각 저장박스(200)들은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저장박스(200)들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유지되어야 할 특정 온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온도는 저장물의 상태 유지가 가능한 최소한의 온도(한계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200)들은 상기 냉기 공급홀(118)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한계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저장박스(2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한계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일 저장박스(200)는 상기 특냉 공급부(115)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특냉 공급부(115)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력저감 또는 전기요금 절감과 관련된 정보(에너지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인식되면, 즉 온피크 시간구간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냉장고(100)에서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냉장고(100) 구성에 의하면, 최소한의 에너지로 상기 냉장고(100)의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00)에는, 상기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저감 또는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350)에는, 상기 냉장고(100)가 상기 에너지 정보와 상관없이 일반 구동할 수 있는 일반 구동모드 입력부 및 상기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감(전기요금 절감)을 할 수 있는 절전 구동모드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350)에는, 각 저장박스(200)의 고유식별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코드 입력부와, 각 저장박스(200)의 저장물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저장물 관리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00)에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60)가 더 구비된다.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상기 제어부(370)와 통신 가능한 에너지관리부(24) 또는 에너지측정부(25)가 포함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소정의 에너지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에너지관리부(24) 또는 에너지측정부(25)로부터 상기 에너지 정보가 상기 제어부(37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 정보는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는, 소비 전력량을 줄여 발생되는 전기요금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에너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저장박스(200)들이 회전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모터(3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모되는 전력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냉 공급부(115)를 통한 냉기 공급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 정보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저장박스(200)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냉기 공급시간을 원래 설정된 값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너지소비부(냉장고)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다수의 에너지소비부(저장박스)가 있는 경우, 상기 저장박스의 설정값(설정온도)을 유지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주기(회전주기)의 제어(온도제어)가 수행되고, 소정의 에너지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주기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박스의 설정값 유지를 위한 미리 설정된 시간(특냉 공급부의 공급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다수의 에너지소비부(저장박스, 특냉 공급부, 구동 모터, 온도 센서등)가 설명되는 바, 상기 다수의 에너지소비부에 대하여 제 1 에너지소비부, 제 2 에너지소비부, 제 3 에너지소비부등으로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인식된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여, 소비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이 저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 유틸리티 네트워크 20 : 가정용 네트워크
24 : 에너지관리부 25 : 에너지측정부
26 : 에너지소비부 100 : 냉장고
150 : 회전 가이드부 200 : 저장박스

Claims (12)

  1. 제 1 에너지발생부를 포함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의 송신이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에는,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 1 에너지소비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이 변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는,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분배하는 제 1 에너지분배부; 및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에너지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1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에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제 2 에너지발생부;
    상기 제 2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분배하는 제 2 에너지분배부; 및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에너지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2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는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서,
    상기 에너지 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냉장고이며,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냉장고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저장박스인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저장박스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온도값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는 상기 저장박스의 회전 주기인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다수의 저장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저장박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프로켓 또는 풀리;
    상기 스프로켓 또는 풀리와 연동하는 체인 또는 로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냉장고이며, 상기 제 1 에너지소비부는 상기 냉장고에 냉기를 공급하는 특냉 공급부인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저장박스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온도값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특냉 공급부의 냉기 공급시간인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00059786A 2010-06-23 2010-06-23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86A KR101639080B1 (ko) 2010-06-23 2010-06-23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86A KR101639080B1 (ko) 2010-06-23 2010-06-23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15A true KR20110139615A (ko) 2011-12-29
KR101639080B1 KR101639080B1 (ko) 2016-07-12

Family

ID=4550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786A KR101639080B1 (ko) 2010-06-23 2010-06-23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94A1 (en) * 2002-03-22 2003-09-25 Ghent Bobby A.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JP2007510968A (ja) * 2003-09-16 2007-04-26 イーティージ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ルエルシー 広域電力需要と電力供給の管理
JP2007523580A (ja) *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ーネットワーク
KR20080026684A (ko) * 2006-09-21 2008-03-26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94A1 (en) * 2002-03-22 2003-09-25 Ghent Bobby A.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JP2007510968A (ja) * 2003-09-16 2007-04-26 イーティージ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ルエルシー 広域電力需要と電力供給の管理
JP2007523580A (ja) *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ーネットワーク
KR20080026684A (ko) * 2006-09-21 2008-03-26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080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011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소비부
KR101537620B1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1873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000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127980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9080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3668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18019B1 (ko) 전기제품
KR101625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139040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9781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0209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5666A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101733487B1 (ko)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167776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016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0198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181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042863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8813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95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8379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24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27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0025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