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502A -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502A
KR20110139502A KR1020100059628A KR20100059628A KR20110139502A KR 20110139502 A KR20110139502 A KR 20110139502A KR 1020100059628 A KR1020100059628 A KR 1020100059628A KR 20100059628 A KR20100059628 A KR 20100059628A KR 20110139502 A KR20110139502 A KR 2011013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haft
layer
sheet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규
Original Assignee
송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규 filed Critical 송인규
Priority to KR102010005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502A/ko
Publication of KR2011013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6/00Projectiles or missiles specially adapted for projection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e.g. for blow guns, bows or crossbows, hand-held spring or air guns
    • F42B6/02Arrows; Crossbow bolts; Harpoons for hand-held spring or air guns
    • F42B6/04Archery ar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olf Club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살대의 허리 부분을 특히 강화함으로써 반복적인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의 재료적, 기계적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화살대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허리 부분이 보강된 화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에 화살촉이 결합하고, 후단에는 오늬가 결합하는 화살대에 있어서,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본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로 분리하여 정의하고, 화살대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상기 중간부의 직경이 전방부 및 후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중간부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시트층 위에 별도의 제2시트층을 적층 귄회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An arrow having a mid-section for reinforcing an waist,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화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살의 비행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 무게 중심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살의 무게 중심을 포함하는 허리부가 강화된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 시위를 떠난 화살은 시위가 화살의 후단부를 미는 힘인 추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추력이 화살의 전방으로 전달되며 비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화살은 활로부터 발사되어진 순간 아처스 파라독스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활의 세기에 대해 샤프트의 강도, 무게, 길이 등이 적절하지 않으면 화살은 곧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그래서 샤프트의 강도를 재기 위해 샤프트의 중심에 무게를 달고 휘어지는 양을 측정하여 활의 세기에 적절한 샤프트를 선정하게 된다. 이 휘어지는 정도를 스파인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허리힘이 강하다고 하는 것은 활의 세기에 비해 화살의 강도, 즉 화살의 허리힘이 강하다는 것을 말하고 허리힘이 약하다는 것은 활의 세기에 비해 화살의 강도가 약하다는 것을 말한다.
도1 및 도2는 화살의 파라독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파라독스는 화살이 활을 떠난 직후, 비행 초기 단계에서 주로 좌우로 휘어지면서 날아가는 현상을 말한다.
화살의 발사시 정지된 화살과 같이 현이 비껴나가면서 순간적으로 화살에 운동에너지가 전달되기 때문에 이 힘을 견디지 못하고 화살은 프레셔 포인트를 기점으로 휘게 되고 다시 탄성체인 샤프트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펴지다가 관성에너지에 의해 반대로 휘게 된다. 화살은 이러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관성에너지가 소멸될 때까지 비행하게 된다.
그런데, 양궁용 화살의 경우 하루에도 수십번 내지 수백번 화살을 발사하게 되므로 이러한 파라독스(paradox) 현상이 화살대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대는 비행 중에 프레셔 포인트(무게 중심,G)를 중심으로 수 없이 방향을 바꿔가며 활처럼 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지속적으로 겪게 되면, 화살대 중 무게 중심(G)이 위치하는 중간부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공의 알루미늄관을 코어로 하여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알루미늄관의 외부에 카본 파이버 시트를 적층하여 이중으로 형성한 후, 카본 파이버 시트층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마기로 갈아냄으로써 화살대의 중간부를 도톰하게 한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카본 파이버 시트층을 그라인딩하여 갈아내어 화살대의 직경을 조절하므로 치수 관리가 어렵고, 그라인딩시 시트층 내부 조직에 가공 결함이 생기기 쉬우며, 정확한 치수 관리에 실패하여 화살대에 편심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종 소재인 알루미늄 코어와 카본 파이버 시트 층 간의 접합이 어려우며, 알루미늄관을 내부에 포함하므로 화살대의 중량이 증가하는 치명적 문제가 있다.
또한, 화살대의 전후방 외주면을 필요한 직경이 되도록 그라인딩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하며, 가공에 소요되는 공정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특히, 화살대에 미치는 충격이나 이종 소재간의 열팽창율 차이 등으로 인하여 카본 파이버 시트층이 알루미늄 관으로부터 박리되거나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0396590호 "화살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살대" 등록특허 제0655934호 "화살대" 등록특허 제0655951호 "화살대"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화살의 파락독스 현상을 감소시키고, 그래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허리 부분이 보강된 화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허리 부분이 보강된 화살대를 제시함에 있어서, 종래 문제가 되는 알루미늄관 코어를 생략하고, 화살대 본체를 3개의 부분으로 구획한 후 중간부의 카본 파이버 시트층 위에 동질 또는 이질의 시트층을 적층·권회하여 형성함으로써 화살대의 내구성 증가, 재료의 절감 및 가공 공정 시간의 최소화를 이루고자 한다.
또한, 화살대를 이루는 동종 또는 이종의 시트층 간에 충격이나 열로 인한 박리 현상이 없는 화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단에 화살촉이 결합하고, 후단에는 오늬가 결합하는 화살대에 있어서,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본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로 분리하여 정의하고, 화살대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상기 중간부의 직경이 전방부 및 후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중간부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시트층 위에 별도의 제2시트층을 적층 귄회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가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시트층과 상기 중간부에만 별도로 적층하는 제2시트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트층은 탄성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이고, 상기 제2시트층은 탄성층인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층 또는 비탄성층인 섬유시트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를 프리 프레그 처리하여 형성된 카본 파이버 단위시트를 다수겹 적층하여 구성하되, 각 단위시트의 카본 파이버의 배열이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이형제와 접착제가 순차 도포된 맨드릴의 외주면에 카본 파이버 시트를 롤링장치를 사용하여 적층·권회함으로써 화살대 본체를 구성하는 제1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나) 상기 제1시트층이 형성된 화살대 본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로 구획한 후 중간부에 탄성 또는 비탄성 시트를 적층·권회함으로써 화살대 본체를 구성하는 제2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화살대 본체의 최외면에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테이핑 단계; 및 라) 테이핑 된 맨드릴과 시트 적층체를 일정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성형시킨 후 맨드릴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제조방법이 제안된다.
여기서, 상기 라) 단계 이후에, 탈형된 화살대 본체의 양 단부를 절단하고, 필름을 탈피한 후, 화살대 본체의 외주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살대는 화살대 본체를 3개의 구획으로 정의한 후 중간부를 전방부와 후방부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반복되는 파라독스에 의한 내구성을 증가시켜 화살대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화살대의 허리 부분을 보강함에 있어서 알루미늄 관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기본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 위에 결합력이 우수한 카본, 글라스 파이버 시트 또는 섬유시트를 적층 및 권회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종전에 비하여 재료의 낭비가 적고, 공정시간이 절약되며,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층간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관을 내부에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우며, 극심한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도 열팽창율의 차이로 인한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화살의 파라독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살대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외관도.
도4는 본 발명의 화살대 각 부분의 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횡단면도.
본 발명은 허리 부분의 강도와 내구성이 보강된 화살대에 관한 것으로서, 화살의 비행시 발생하는 파라독스 현상을 감쇄시키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살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살대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화살대(100)는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본체(11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화살대 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촉(101)이 결합하는 전단에서부터 오늬(103)가 결합하는 후단부까지 세 부분으로 분리하여 정의된다. 즉, 화살대 본체(1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부(I), 중간부(II) 및 후방부(III)로 구획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02는 화살의 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살대 본체(110)는 전방부(I)와 후방부(III)와 비교하여 중간부(II)가 더 도톰하게 유선형으로 돌출한 형상을 하고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화살대 각 부분의 횡단면도인데, 화살대 본체(110)의 중간부(II)의 직경(d2)이 전방부(I)와 후방부(III)의 직경(d1,d3)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화살대(100)의 무게중심(프레셔 포인트,G)이 위치하는 중간부(II)의 허리 힘을 보강하여 반복되는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의 경우 중간부(II)가 전·후방부(I,III)보다 두툼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는데, 투툼한 정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중간부(II)의 양 측단부, 즉 중간부(II) 중에서 양 측의 전방부(I)와 후방부(III)의 경계가 되는 부분은 후술할 연마공정에 의하여 유선형으로 연마함으로써 중간부(II)와 전·후방부(I,III) 간의 경계 부분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화살대는 여러 종류의 탄성 및 비탄성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각종 시트의 재단 -> 적층·권회공정 -> 테이핑 공정 -> 열처리/냉각공정 -> 탈심공정 -> 연마공정의 순서를 거쳐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전방부(I) 및 후방부(III)는 맨드릴에 카본 파이버 시트(111)를 적층한 후 전술한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상기 카본 파이버 시트(111)는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를 프리 프레그(prepreg)처리하여 형성된다. 즉, 카본 파이버를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에 함침시켜 제조한다.
화살대(100)의 중간부(II)에는 상기 카본 파이버 시트(111)의 제1시트층 위에 카본 파이버 시트,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 및 섬유시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시트층이 형성된다.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는 카본 파이버와 글라스 파이버가 서로 교차하도록 직조하여 형성한 후 프리 프레그 처리한 혼성 시트이다. 이에 관하여는 본 발명에 일체화된 것으로서 종전의 등록특허 제0655934호 "화살대"와 등록특허 제0655951호 "화살대" 등에 잘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섬유시트 역시 프리 프레그 처리된 것으로서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서 나뭇잎, 나뭇결 무늬와 같은 위장 무늬나 상표, 로고, 캐릭터 도안 등이 나염처리 또는 전사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1시트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1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카본 파이버의 배열이 서로 교차하도록 여러 겹의 단위 시트(111a~111e)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화살대(110)가 충격에 의하여 잘 변형되거나 쪼개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시트층으로는 카본 파이버 시트(112)가 형성된다. 즉, 중간부(II)에만 카본 파이버 시트(112)로 이루어지는 제2시트층을 형성시켜 중간부(II)의 스파인(허리힘)을 보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부(II)를 두툼하게 하여 보강하기 위하여 종전처럼 화살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갈아낼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며, 재료의 낭비가 적은 잇점이 있다. 종전처럼 전방부(I)와 후방부(III)를 갈아내면 재료적으로 전방부와 후방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실질적으로는 중간부(II)의 강도나 허리힘이 보강되는 것은 아니라 모양만 중간부(II)가 두툼하게 될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살대는 중간부(II)를 보강하면서도 전방부(I)와 후방부(III)의 강도와 내구성을 희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부(I)와 후방부(III)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중간부(II)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카본 파이버 단위 시트(111a~111e)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층 위에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113)로 제2시트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화살대(100)의 중간부(II)의 외주면이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113)로 인하여 강도가 보강되어 화살대(100)가 잘 쪼개지거나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중간부(II)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시트층은 카본 파이버 시트(111)로 형성됨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고, 중간부(II)의 최외주면인 제2시트층으로 섬유시트(114)가 선택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섬유시트에는 각 종의 위장 무늬, 로고, 캐릭터 등이 나염 또는 전사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시트층과 제2시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II)의 최 외주면에 프리 프레그 처리된 투명 글라스 파이버 시트(115)층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카본 파이버 시트(111)로 제1시트층을 이루고, 그 위에 카본 파이버 시트(112)로 제2시트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2시트층 위에 투명 글라스 파이버 시트(115)를 적층하여 마감하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화살대 중간부의 횡단면도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은 화살대(100)의 전방부(I), 중간부(II) 및 후방부(III)의 공통층인 제1시트층을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로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카본 파이버 시트(111)와 글라스 파이버 시트(116)를 적층하여 제1시트층을 구성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같이 화살대(110)를 구성하게 되면, 재료와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화살의 치수정밀도를 유지하면서 화살대의 허리 부분 스파인을 보강할 수 있게 되어 반복되는 충격과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화살대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술한다.
먼저 맨들릴(미도시)의 외주면 전체에 탈형이 용이하도록 이형체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소정 길이로 적당히 재단된 프리 프레그 처리된 카본 파이버 시트를 맨드릴의 외주면에 감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본 파이버 시트의 끝 부분을 맨드릴의 표면에 접착한 다음 롤링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카본 파이버 시트를 맨드릴에 적층·권회한다. 이를 롤링공정이라 하는데, 1차 롤링공정에 의하여 화살대의 제1시트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시트층이 적층·귄회된 맨드릴 적층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로 구획한 후 중간부에 탄성 또는 비탄성 시트를 적층·권회함으로써 화살대 본체를 구성하는 제2시트층을 형성한다. 이를 2차 롤링공정이라 한다.
2차 롤링공정을 마친 맨드릴 적층체의 최외면에 테이핑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다. 이를 테이핑 공정이라 하며, 상기 필름으로는 PET 필름이나 OPP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핑 공정은 롤링 공정을 거친 제품을 성형하기 전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 시트층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품의 내부 적층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후, 테이핑 된 맨드릴과 시트 적층체를 일정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성형시킨 후 맨드릴을 탈형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성형 온도는 약 80~150 ℃ 범위이고, 가열시간은 약 1~4 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마지막으로 탈형된 화살대 본체의 양 단부를 필요한 길이, 예를 들면 약 825mmm 정도가 되도록 절단하고, 필름을 탈피한 후, 화살대 본체의 외주면을 센타레스 연마공정으로 연마한다.
이때, 특히 화살대(100)의 전·후방부(I,III)와 중간부(II)의 경계 부분은 제1시트층과 제2시트층 간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유선형으로 연마한다.
본 발명은 화살대의 허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무게 중심을 포함하는 중간부를 강화하여 파라독스 현상에 의한 화살대의 재료적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화살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슈팅 횟수가 대단히 많아 화살이 반복적인 피로 하중에 자주 노출되어 변형이나 파손되기 쉬운 양궁용 화살에 적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100: 화살대 110: 화살대 본체
111: 제1시트층 111a~111e: 카본 파이버 단위시트
112: 제2시트층 113: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
114: 섬유시트 115: 투명 글라스 파이버 시트
116: 글라스 파이버 시트

Claims (8)

  1. 전단에 화살촉이 결합하고, 후단에는 오늬가 결합하는 화살대에 있어서,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본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로 분리하여 정의하고, 화살대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상기 중간부의 직경이 전방부 및 후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중간부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시트층 위에 별도의 제2시트층을 적층 귄회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시트층과 상기 중간부에만 별도로 적층하는 제2시트층은 서로 다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층은 탄성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이고, 상기 제2시트층은 탄성층인 카본-글라스 파이버 시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를 프리 프레그 처리하여 형성된 카본 파이버 단위시트를 다수겹 적층하여 구성하되, 각 단위시트의 카본 파이버의 배열이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층은 탄성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이고, 상기 제2시트층은 비탄성층인 섬유시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층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를 프리 프레그 처리하여 형성된 카본 파이버 단위시트를 다수겹 적층하여 구성하되, 각 단위시트의 카본 파이버의 배열이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7. 중공관 형상의 화살대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이형제와 접착제가 순차 도포된 맨드릴의 외주면에 카본 파이버 시트를 롤링장치를 사용하여 적층·권회함으로써 화살대 본체를 구성하는 제1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나) 상기 제1시트층이 형성된 화살대 본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로 구획한 후 중간부에 탄성 또는 비탄성 시트를 적층·권회함으로써 화살대 본체를 구성하는 제2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화살대 본체의 최외면에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테이핑 단계; 및
    라) 테이핑 된 맨드릴과 시트 적층체를 일정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성형시킨 후 맨드릴을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 이후에,
    탈형된 화살대 본체의 양 단부를 절단하고, 필름을 탈피한 후, 화살대 본체의 외주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제조방법.
KR1020100059628A 2010-06-23 2010-06-23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9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28A KR20110139502A (ko) 2010-06-23 2010-06-23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28A KR20110139502A (ko) 2010-06-23 2010-06-23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02A true KR20110139502A (ko) 2011-12-29

Family

ID=4550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28A KR20110139502A (ko) 2010-06-23 2010-06-23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894A (ko) * 2021-03-02 2022-09-13 (주)파이빅스 비행 특성을 개선한 양궁용 화살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894A (ko) * 2021-03-02 2022-09-13 (주)파이빅스 비행 특성을 개선한 양궁용 화살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780B2 (en) Circumferential stiffeners for composite fancases
KR102022130B1 (ko) 경량 유연성 맨드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S2726108T3 (es) Colocación de fibra automatizada que incluye una herramienta de mandril de disposición en capas
EP2105579B1 (en) An article formed from a composite material
US8114329B2 (en) Wing and blade structure using pultruded composites
US53925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lade with a reinforced leading edge
KR101183464B1 (ko) 2부분 보강 슬리브를 포함하는 복합 화살 샤프트, 이를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전방 로드식 화살
KR20130113619A (ko) 전후 2단 스파인 구조를 가지는 화살대
US9194671B1 (en) Carbon fiber sheet, arrow shaft, and arrow
US20160031182A1 (en) Composite flange with three-dimensional weave architecture
JP2010527303A (ja) ハイブリッド複合パネル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149737A (ja) 補強層の製造方法
US20100043939A1 (en) Reinforced Hybrid Structures and Methods Thereof
EP3075524B1 (en) Pressure bulkhead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bulkhead
CA2779409A1 (en) Cylindrica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39502A (ko) 허리 보강용 중간부를 가지는 화살대 및 그 제조방법
CN112429193A (zh) 用于实心层压加强板的层片堆叠
KR101063366B1 (ko) 전중후 3단 스파인 구조를 가지는 화살대
US20090211697A1 (en) Reinforced hybrid structures and methods thereof
JP5738033B2 (ja) 複合材構造体の成形方法
US11181349B1 (en) Arrow shaft with high strength
JP2019213503A (ja) 穂先竿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のソリッド体とその製造方法
US20170348954A1 (en) Softening Strip for Controlling Stress in Joints at Very Low Temperatures
JP3370977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荷重伝達軸
Yao et al. Tubular Composite HLH Rotor Blade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