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064A - 통기성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통기성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064A
KR20110138064A KR1020100058178A KR20100058178A KR20110138064A KR 20110138064 A KR20110138064 A KR 20110138064A KR 1020100058178 A KR1020100058178 A KR 1020100058178A KR 20100058178 A KR20100058178 A KR 20100058178A KR 20110138064 A KR20110138064 A KR 2011013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weight
breathable coating
composi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231B1 (ko
Inventor
강철민
김억
전용
안재범
조철희
이규동
이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2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투과도가 우수하고 자동차에 적용되어 우수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35 내지 50 중량%; 평균기공의 직경이 10 내지 20㎛인 다공질성 실리카 5 내지 20 중량%; 안료 1 내지 10 중량%; 및 용제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도료 조성물{a paint composition with air permeability}
본 발명은 기체투과도가 우수하고 자동차에 적용되어 우수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자동차 크래쉬 패드 및 도어 트림의 소재로 주로 사용된 PVC는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의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TPO(Thermoplastic olefin),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urethane) 등으로 소재의 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소재 중에서 TPO 또는 TPE에 우레탄 폼을 발포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렇게 얻어진 TPO와 TPE는 소재의 결점을 줄이기 위하여 도장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상기 도장공정에 사용되는 도료로는 20 내지 50 중량%의 고형분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테르 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형 도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2액형 도료로 일정한 막이 TPO와 TPE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각종 용제, 수분 및 기체 등의 영향으로부터 TPO 및 TPE를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TPO와 TPE에 우레탄 폼을 발포시켜 성형하는 방법은 고가이고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uCell 공법을 TPO와 TPE 등의 소재에 적용하였으나, MuCell 공법으로 제조된 소재에 알맞은 도료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기존의 2액형 도료를 MuCell 공법으로 제조된 소재에 적용한다면, 잔류해 있던 기체가 막을 투과하여 도막 물성 및 외관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투과도가 우수하고 자동차에 적용되어 우수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인비저블 PAB 도어(invisible Passenger Air Bag door) 또는 DAB(Driver Air Bag)에 도장될 수 있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MuCell 공법이 도입된 PAB 도어에 사용될 수 있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35 내지 50 중량%; 평균기공의 직경이 10 내지 20㎛인 다공질성 실리카 5 내지 20 중량%; 안료 1 내지 10 중량%; 및 용제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기체투과도가 우수하고 자동차에 적용되어 우수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 특히 MuCell 공법이 도입된 인비저블 PAB 도어 또는 DAB에 도장되어, 우수한 외관 및 부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평균기공의 직경이 10 내지 20㎛인 다공질성 실리카,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도료 작업이 용이해지고, 부착, 기계적 물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평균기공의 직경이 10 내지 20㎛인 다공질성 실리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도막의 물성에 최소한도로 영향을 미치면서 기체의 투과를 용이하게 하여 도료 조성물에 통기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있어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적합한 발색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조성물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잔량을 포함된다. 상기 용제는 도막 표면의 건조성 및 기체투과도에 따라 함량이 조절 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스테르계 용제, 하이드로카본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중에서 휘발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글리콜 에테르 에스테르계 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소광제, 폴리에틸렌 왁스, 표면첨가제, 습윤첨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입자의 평균직경이 10 내지 30㎛인 마이크로나이즈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광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평균직경이 30 내지 100㎛인 폴리에틸렌파라핀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첨가제 또는 습윤첨가제는 실리콘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상기 표면첨가제는 폴리실록산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친수성기가 함유된 3관능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 인비저블 PAB(Passenger Air Bag) 도어, DAB(Driver Air Bag)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MuCell 공법으로 제조된 인비저블 PAV도어, DAB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uCell 공법은 소재의 사출 성형시 기공을 형성하게 하여 사출 완성품의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법을 말하는 것으로, MuCell 공법이 도입된 인비저블 PAB 도어 또는 DAB에 도장되어, 우수한 외관 및 부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통기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통기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아크릴폴리올 수지(중량%) 42
OH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중량%) 12
폴리프로필렌수지(중량%) 5
마이크로나이즈드 실리카(중량%) 2.5
폴리에틸렌왁스(중량%) 2.5
평균기공직경이 15㎚인 다공질성 실리카(중량%) 12
화이트 안료(중량%) 0.5
블랙 안료(중량%) 2.5
블루 안료(중량%) 0.7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중량%) 5
글리콜에테르에스테르(중량%) 잔량
비교예: 다공질성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도료 조성물
대한비케미칼에서 제조된 DR114(상품명)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도료 조성물의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결과값의 평가 기준은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을 참조하였다.
<외관평가>
부풀음, 박리, 갈라짐이 없어야 한다.
<광택>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부착성>
JIS D0202에 준하며 2㎜ 간격으로 평행선을 그어 셀로판테이프를 점착한 뒤 떼어내어 도막의 떨어짐을 관찰하였고,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내스크래치성>
500g 하중의 사파이어 침으로 그어 표면의 긁힘을 평가하였다.
<내마모성>
1㎏ 하중의 마찰자로 1,000번 마모시켜 소재의 드러남을 관찰하였다.
<불점착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도막오염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충격성>
DUPONT 식 충격기로 평가하였다.
<내선크림성>
선크림 도포 후 80℃ 오븐에서 1시간 방치 후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내습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열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열사이클>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광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PVC가소제성>
현대자동차 MS 규격의 MS652-14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결과값 OK/NG 결과값 OK/NG
외관 - OK - NG
광택 - OK - NG
부착성 M-2.0 OK - NG
내스크래치 4급 OK - NG
내마모성 - OK - NG
불점착성 5급 OK - NG
내도막오염성 - OK - NG
내충격성 - OK - NG
내선크림성 M-2.0 OK - NG
내습성 50±2℃, 98%, 168hr 0.5 OK - NG
색차 △E*2.0이하 90% OK - NG
부착성 M-2.5 이상 M-2.0 OK - NG
내열성 110℃/300hr 0.35 OK - NG
색차 △E*2.0이하 95% OK - NG
그레이 스케일 3급 이상 M-2.0 OK - NG
내열사이클 3cycle 0.45 OK - NG
색차 △E*2.0이하 95% OK - NG
부착성 M-2.5 이상 M-2.0 OK - NG
내광성
(1050KJ/㎡)
1050KJ 0.16 OK - NG
색차 △E*2.0이하 100% OK - NG
부착성 M-2.5 이상 M-2.0 OK - NG
내PVC 가소제성 가솔린 - OK - NG
엔진오일 - OK - NG
광택왁스 - OK - NG
그리스(grease) - OK - NG
유리세정제 - OK - NG
80℃ⅹ22hr 후 부착성 M-2.0 OK - NG

Claims (5)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35 내지 50 중량%;
    평균기공의 직경이 10 내지 20㎛인 다공질성 실리카 5 내지 20 중량%;
    안료 1 내지 10 중량%; 및
    용제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스테르계 용제, 하이드로카본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소광제, 폴리에틸렌 왁스, 표면첨가제, 습윤첨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도료 조성물.
KR1020100058178A 2010-06-18 2010-06-18 통기성 도료 조성물 KR10172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78A KR101723231B1 (ko) 2010-06-18 2010-06-18 통기성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78A KR101723231B1 (ko) 2010-06-18 2010-06-18 통기성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064A true KR20110138064A (ko) 2011-12-26
KR101723231B1 KR101723231B1 (ko) 2017-04-05

Family

ID=4550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178A KR101723231B1 (ko) 2010-06-18 2010-06-18 통기성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2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685A (ja) * 2000-08-11 2002-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層形成用塗料組成物、断熱性シート、および化粧断熱性シート、ならびに断熱性建装部材
KR100629766B1 (ko) * 2005-08-08 2006-09-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20100043365A (ko) * 2008-10-20 2010-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685A (ja) * 2000-08-11 2002-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層形成用塗料組成物、断熱性シート、および化粧断熱性シート、ならびに断熱性建装部材
KR100629766B1 (ko) * 2005-08-08 2006-09-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20100043365A (ko) * 2008-10-20 2010-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231B1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789B1 (ko) 박막형 수성 소프트 질감도료
JP6611728B2 (ja) ポリウレタン組成物、フィルム、及びこれらの方法
CN101472738B (zh) 在近红外线区域具有光反射性能的深色片状物
KR101766013B1 (ko)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CN105936803B (zh) 制备用于汽车内饰的组合物的方法
KR20110033267A (ko) 기록 및 소거 가능한 표면을 위한 주변 경화 용매-기반 코팅물
CN109749611A (zh) 一种超耐汽油性水性清漆及其制备方法
KR20190030545A (ko) 수성 표면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성 표면처리제
KR101592735B1 (ko)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엠보 무늬 형성방법
KR10062976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101247132B1 (ko) 플라스틱 부품용 항균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CN105694698B (zh) 用于一涂一烘涂层的具有平滑结构的涂覆组合物
EP3211051A1 (en) Aqueous composition for surface coating, and vehicle sheet to which same is applied
KR10063599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20090026572A (ko) 2성분형 수성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KR101364237B1 (ko) 장식 필름
KR20110138064A (ko) 통기성 도료 조성물
KR20080101187A (ko) 자동차 내장제용 도료 조성물
KR102130377B1 (ko) 내썬크림성이 우수한 수계형 표면처리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5199B1 (ko) 플라스틱 부품용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102052275B1 (ko)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7250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표면 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무늬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33290B1 (ko) 도료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도막
KR101969390B1 (ko) 친환경 선바이저 원단 표면 처리제
KR101375022B1 (ko) 자동차 내장제용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