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982A -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982A
KR20110136982A KR1020100056924A KR20100056924A KR20110136982A KR 20110136982 A KR20110136982 A KR 20110136982A KR 1020100056924 A KR1020100056924 A KR 1020100056924A KR 20100056924 A KR20100056924 A KR 20100056924A KR 20110136982 A KR20110136982 A KR 2011013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bolt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708B1 (ko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김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영 filed Critical 김근영
Priority to KR102010005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내.외장재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벽체와의 이격간격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포트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S) 지지를 위해 벽체(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벽체(1)에 앵커볼트(12)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앵커 체결공(11)이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22)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21)이 형성된 브라켓 체결부(20)와; 상기 브라켓 체결부(2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 체결부(2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일체로 연결 구비된 높이지지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A SUPPORT FRAME STRUCTURE FOR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 또는 리모델링작업시 외장재 벽돌을 벽체와 일정 이격간격으로 유지시키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또는 리모델링 작업시 벽체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은 외장재를 통해 미려하게 장식되고 있는바, 최근에는 상기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정구에 의하면 하나의 외장재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브래킷과 이에 대응하여 벽체의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브래킷 및 상기 각각의 지지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너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내.외장재를 벽체와 일정 간격 떨어뜨려 설치해야 하는 경우,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재빔(석빔)을 먼저 벽체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재빔은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외장재와 벽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가변 조절이 어렵게 되고, 따라서 시공 현장상황에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내.외장재 시공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내.외장재와 벽체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서 건축물의 내.외장재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서포트 브라켓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 지지를 위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벽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앵커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 체결부와; 상기 브라켓 체결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 체결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 구비된 높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외장재 지지프레임은, 건축물의 시공 또는 리모델링시 벽체와 내.외장재의 설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시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앵커 또는 볼트 체결공을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서포트 브라켓 결합위치의 가변 조절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브라켓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시공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7a는 요부 단면도.
7b는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요부 절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요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에 대한 응용 형상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0)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벽체(1)에 고정 되어지는 베이스부(10)와, 서포트 브라켓(200)이 체결되어지는 브라켓 체결부(20)와, 상기 브라켓 체결부(20)를 일정 높이(h)로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0)와 브라켓 체결부(20)를 일정 경사로 연결하는 높이지지부(30)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중, 베이스부(10)에는 벽체(1) 고정을 위한 앵커볼트(12)가 체결되어지는 앵커 체결공(11)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양측에서 쌍을 이루는 높이지지부(30)에는 지지강도의 보강을 위한 보강대(31)가 연결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브라켓 체결부(20)에는 "ㄴ"형 서포트 브라켓(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22)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21)이 형성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볼트 체결공(21)은 서포트 브라켓(200)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d)를 이루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100)을 이용한 내.외장재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00)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0)가 앵커볼트(12)에 의해 벽체(1)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일정 높이(h)로 지지되는 브라켓 체결부(20)에는 내.외장재(S)를 받쳐주기 위한 "ㄴ"형태의 서포트브라켓(200)이 결합볼트(22)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서포트브라켓(200)을 결합시키는 결합볼트(22)의 체결위치는 장공형태의 볼트 체결공(21)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 서포트 브라켓(200)의 설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 서포트 브라켓(200)에 내.외장재(S)가 안착 지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본 발명 지지프레임(100)을 이용하게 됨으로 내.외장재(S)를 벽체(1)와 일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트 브라켓(200)의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현장 상황에 따른 냉.외장재(S)와 벽체(1)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 체결공(21)에 결합볼트(22)가 직접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나사홈(23)을 복수의 개소에 형성시킨 것이다.
즉, 결합볼트(22)가 체결되어지는 나사홈(23)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짐으로서 별도의 체결너트(26)가 필요치 않게 되어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함께 결합볼트(22)의 체결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체결부(20)의 저면 즉, 볼트 체결공(21)과 연통되는 위치에 다수의 너트구(24)를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일체로 고정 구비시킨 것으로서, 이에 따라 작업자가 결합볼트(22) 체결을 위한 별도의 너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결합볼트(22)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체결부(20)의 저면에 볼트 체결공(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레일(25)을 일체로 구성시키고, 안내레일(25)을 따라 체결너트(2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게 되면 체결너트(26)가 지지프레임(100)의 구성 부품을 이루면서 안내레일(25)을 따라 이동되어지게 됨으로 장공의 볼트 체결공(21)의 범위 내에서 체결합볼트(22)의 결합위치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응용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체결부(20) 상면에는 볼트 체결공(21) 주변을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27)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서포트브라켓(200)에는 상기 요철부(27)와 치합을 위한 요철부(201)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룸으로서 서포트브라켓(200)은 지지프레임(100)의 브라켓 체결부(20) 결합시 결합볼트(22)의 결합력에 더하여 요철부(27,201) 상호간의 지지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서포트브라켓(200)의 지지력이 극대화 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앵커 체결공(11) 및 볼트 체결공(21)의 형상은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T"자 형상 또는 볼트 체결공(21)을 다수의 개소에 장공, 원형공, 나사공 형태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결합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벽체 10 : 베이스부
11 : 앵커 체결공 12 : 앵커볼트
20 : 브라켓 체결부 21 : 볼트 체결공
22 : 결합볼트 23 : 나사홈
24 : 너트구 25 : 안내레일
26 : 체결너트 27 : 요철부
30 : 높이지지부 31 : 보강대
100: 지지프레임 200 : 서포트브라켓
201 : 요철부

Claims (8)

  1. 서포트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S) 지지를 위해 벽체(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벽체(1)에 앵커볼트(12)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앵커 체결공(11)이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22)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21)이 형성된 브라켓 체결부(20)와;
    상기 브라켓 체결부(2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 체결부(2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일체로 연결 구비된 높이지지부(3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 체결공(11) 또는 볼트 체결공(21)은 일정 길이의 장공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21)에는 복수의 개소에 결합볼트(22)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21) 하부에는 결합볼트(22)의 고정을 위한 너트구(24)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21) 하부에는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안내레일(25)이 구성되며, 상기 안내레일(25)을 따라 결합볼트(22)의 고정을 위한 체결너트(2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21)은 "T"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와 높이지지부(30)는 브라켓체결부(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형태로 쌍을 이루며 구비되되, 상기 양측의 높이지지부(30)는 일정 경사각을 이루어 구비되며, 강도 향상을 위해 양측 높이지지부(30)는 보강대(31)에 의해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체결부(20) 상면에는 볼트 체결공(21) 주변을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27)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서포트브라켓(200)에는 상기 요철부(27)와 치합을 위한 요철부(2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KR1020100056924A 2010-06-16 2010-06-16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KR10120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924A KR101208708B1 (ko) 2010-06-16 2010-06-16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924A KR101208708B1 (ko) 2010-06-16 2010-06-16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982A true KR20110136982A (ko) 2011-12-22
KR101208708B1 KR101208708B1 (ko) 2012-12-06

Family

ID=4550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924A KR101208708B1 (ko) 2010-06-16 2010-06-16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70B1 (ko) * 2015-02-12 2015-07-09 현종구 건축물 치장벽돌 지지용 멀티캡 앵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29Y1 (ko) * 2018-08-17 2021-05-06 이성봉 외장 판넬 구조체
KR102168881B1 (ko) * 2019-08-29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201Y1 (ko) * 2000-04-03 2000-09-15 오양강업주식회사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KR200226420Y1 (ko) * 2000-11-20 2001-06-15 주식회사정원금속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KR100378774B1 (ko) 2001-01-30 2003-04-07 주식회사 신원데크 건축물의 지붕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70B1 (ko) * 2015-02-12 2015-07-09 현종구 건축물 치장벽돌 지지용 멀티캡 앵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708B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70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
EA027435B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ойного пола
KR20120082384A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2216002B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2322571B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JP3137086U (ja) 外壁施工構造
KR101696779B1 (ko) 건축물 벽체의 마감구조
KR20070072357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658954B1 (ko) 격자보형 이중마루 하부구조물
KR100758926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WO2007069826A1 (en) Coupling device for anchoring construction material onto the ceiling
KR200178217Y1 (ko)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 장치
JP2015028270A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KR200388070Y1 (ko) 조적 보강대
KR101875730B1 (ko) 건축공사용 지지 장치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101316968B1 (ko) 가변형 테이블 폼
JP2019049169A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式建物
KR101470988B1 (ko) 물탱크 안치 구조체
CN102628319A (zh) 早拆模板体系
KR20130064525A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2330671B1 (ko)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