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91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91A
KR20110136091A KR1020100055876A KR20100055876A KR20110136091A KR 20110136091 A KR20110136091 A KR 20110136091A KR 1020100055876 A KR1020100055876 A KR 1020100055876A KR 20100055876 A KR20100055876 A KR 20100055876A KR 20110136091 A KR20110136091 A KR 2011013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cover
optical member
fixing member
backlight uni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045B1 (ko
Inventor
김방건
이해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045B1/ko
Priority to EP11169626.6A priority patent/EP2395390B1/en
Priority to US13/159,117 priority patent/US8817203B2/en
Priority to JP2011131196A priority patent/JP6012935B2/ja
Priority to CN201110166780.3A priority patent/CN102384404B/zh
Publication of KR2011013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고, 광학 부재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발광 소자가 구비된 백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i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선도 구현이 가능하며,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실시예를 발광 소자가 구비된 백라이트의 체결 구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고, 광학 부재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고, 광학 부재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단은 상기 광학 부재를 체결하고 제 2 단은 탑 커버를 체결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바텀 커버 상에 수용되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브라켓에 고정된 발광 소자 모듈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투사된 빛을 패널로 투사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구비되고, 투사된 빛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바텀 커버 상에 수용되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브라켓에 고정된 발광 소자 모듈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투사된 빛을 패널로 투사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구비되고, 투사된 빛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시트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단은 상기 광학 부재에 삽입되고 제 2 단은 탑 커버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 부재는 반사판, 도광판 및 광학시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수직 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사다리꼴의 한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하나의 변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다른 하나의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의 높이는 상기 광학 시트의 두께와 갭(Gap)의 합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 1 단의 폭이 가장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은 수직 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의 하나의 변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다른 하나의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의 폭은 상기 제 2 단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과 제 2 단은 한 쪽 끝이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널의 전면에 구비되고,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가 구비된 백라이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학 시트의 체결이 용이하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소자 모듈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5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바텀 커버와 광학 부재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고정 부재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는 바텀 커버(Bottom cover, 10)와, 상기 바텀 커버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미도시)과, 상기 바텀 커버(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반사판(20)과, 상기 반사판(2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표시장치 전방으로 안내하는 도광판(30)과, 상기 도광판(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학시트(40)와, 상기 광학시트(40)의 전방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60)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60)의 전방에 마련되는 탑 커버(Top cover, 70)와, 상기 바텀 커버(10)와 상기 탑 커버(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 커버(10)와 상기 탑 커버(70)를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재(51, 52, 53, 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발광모듈(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이 면광원 형태로 출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도광판(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판(20)은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미도시)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도광판(30)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광효율을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반사판(20)은 본 도면 처럼 별도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도광판(30)의 후면이나, 상기 바텀 커버(10)의 전면에 반사도가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반사판(20)은 반사율이 높고 초박형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30)은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산란시켜 그 빛이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광판(30)은 굴절률과 투과율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산시트(40)이 상기 도광판(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광판(30)에서 출사되는 빛을 소정 각도로 확산시킨다. 광학시트(40)는 상기 도광판(30)에 의해 인도된 빛을 액정 표시 패널(60) 방향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하다.
광학시트(40)으로는 확산 시트(41), 프리즘 시트(42) 또는 보호 시트(43) 등의 광학 시트가 선택적으로 적층되거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학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광학 시트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프리즘 시트 내에 형광 시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시트(40)의 전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6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60) 외에 광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60)은,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이 위치하고 빛의 편광성을 이용하기 위해 편광판을 양 유리기판에 올린 상태로 되어있다. 여기서,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는데, 액체처럼 유동성을 갖는 유기분자인 액정이 결정처럼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분자 배열이 외부 전계에 의해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서, 각 화소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액정 표시 패널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60)의 전면에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60)에서 투사된 빛을, 각각의 화소마다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빛만을 투과하므로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소자 모듈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 상에는 상기 반사판(20)이 놓이게 되고, 상기 반사판(20)의 위에는 상기 도광판(30)이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0)은 상기 방열부재(11)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세로 부분에 상기 발광모듈(80)이 부착되고, 세로 부분은 상기 방열부재(11)와 면접촉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 상에는 상기 확산 시트(41)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10a)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 커버(10)의 각 변에 상기 바텀 커버(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형 형상의 고정 부재(10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 상에는 홈(41a)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변에 적어도 하나의 홈(4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텀 샤시(10) 상의 고정 부재(10a)가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의 홈(41a)에 삽입되어, 상기 바텀 샤시(10)와 상기 확산 시트(41)를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샤시(10)와 상기 확산 시트(41)를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바텀 샤시(10) 상의 고정 부재(10a)의 개수는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의 홈(41a)의 개수와 같거나 적을 수 있다.
도 3a에서 바텀 샤시(10) 상에 확산 시트(41)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확산 시트(41) 외에 반사판(20), 도광판(30), 프리즘 시트(42), 보호 시트(43)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등이 모두 상기 확산 시트(41)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바텀 샤시(10)에 삽입/고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술한 확산 시트(41), 반사판(20), 도광판(30), 프리즘 시트(42), 보호 시트(43)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등을 광학 부재라고 통칭한다.
그리고, 도 3b에서 확산 시트(41)는 고정 부재(10a)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는데, 열팽창에 따라 확산 시트(41)가 팽창될 경우를 대비하여 간격을 둘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도 4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 상에는 상기 확산 시트(41)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10b)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 커버(10)의 각 변에 상기 바텀 커버(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형 형상의 고정 부재(10b)가 구비되어 있다.
도 4a에서 직사각형의 짧은 변에는 각각 2개의 고정 부재(10b)가, 긴 변에는 각각 3개의 고정 부재(10b)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확산 시트(41)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각각의 변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10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게, 상기 고정 부재(10b)는 상기 바텀 샤시(10)와 접하는 부분에서 가장 폭이 좁은 역사다리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도 4b에서 상기 고정 부재(10b)의 폭은 상기 바텀 샤시와 접하는 부분에서의 폭(W1)이 가장 좁고, 최상단에서의 폭(W2)이 가장 넓다.
그리고,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 상에는 홈(41a)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변에 적어도 하나의 홈(4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텀 샤시(10) 상의 고정 부재(10b)가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의 홈(41a)에 삽입되어, 상기 바텀 샤시(10)와 상기 확산 시트(41)를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샤시(10)와 상기 확산 시트(41)를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바텀 샤시(10) 상의 고정 부재(10b)의 개수는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의 홈(41a)의 개수와 같거나 적을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 시트(41)는 바텀 샤시(10) 상의 고정 부재(10b)의 구조로 인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즉, 취급 과정에서 백라이트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가 역전되어 운반되거나 하는 경우에도 고정 부재(10b)의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확산 시트(41)와 바텀 샤시(10)의 체결 구조가 지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 시트(41)와 바텀 샤시(10)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체결 구조는 반사판(20)이나 도광판(30) 또는 광학 시트(40) 내의 다른 시트 이를 테면 프리즘 시트(42), 보호 시트(43)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홈(41a)의 폭은 상기 고정 부재(10b)의 하단의 폭보다 넓어야 체결 수단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홈(4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 방향에 상기 확산 시트(41)와 나란하게 형성된 돌출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확산 시트(41)가 고정 부재(10b)에 삽입될 때, 상기 확산 시트(41)에 형성된 홈의 너비는 상기 고정 부재(10b)의 아랫 변의 폭보다는 넓고, 윗 변의 폭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 시트(41)에 형성된 홈의 너비는 상기 고정 부재(10b)의 윗 변의 폭보다는 작더라도, 상기 확산 시트(41)에 형성된 홈의 한쪽부터 삽입하면 결합/체결이 가능하다.
도 5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바텀 커버(10) 상에 구비된 고정 부재가 2개의 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텀 커버(10)와 인접한 부분을 제 1 단(10c)으로 칭하고, 상기 제 1 단에서 출발한 부분을 제 2 단(10c')이라 칭한다. 즉, 상기 제 1 단(10c)는 상기 확산 시트(41)가 삽입될 곳이고, 상기 제 2 단(10c')은 탑 커버가 삽입될 곳이다.
그리고, 제 1 단(10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2 단(10c')은 직사각형 내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10c)은 상기 확산 시트(4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2 단(10c')은 탑 커버(7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함은 상기 확산 시트(41) 또는 탑 커버(70)의 에지에 구비된 홈에 상기 바텀 커버(10)의 고정 부재가 삽입됨을 의미한다.
즉, 제 1 단(10c)의 도 3 및 도 4에서 고정 부재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 2 단(10c')은 탑 커버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10c)의 높이는 상기 제 1 단(10c)에 체결될 각각의 광학 부재의 높이를 합한 것과 같거나 더 커야 하며, 도 6b에서 후술한다.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제 1 단(10c)의 높이는 상기 제 1 단(10c)에 체결될 확산 시트(41)의 높이(t)와 동일하거나 더 커야 하며, 상기 제 2 단(10c')의 높이는 탑 커버(7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바텀 커버(10) 상에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단(10c)을 통하여 확산 시트(41)가 체결되고, 일정한 갭(t)을 두고 제 2 단(10c')에 탑 커버(70)가 체결된다.
따라서, 갭(t)으로 인하여 상기 탑 커버(70)가 확산 시트(41)를 짓누르지 않게 작용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바텀 커버(10) 상에 구비된 고정 부재가 2개의 단으로 구비된다. 단, 도 5와는 달리 바텀 커버(10) 상의 제 1 단(10d)과, 제 2 단(10d')이 모두 직사각형 내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10d)은 상기 확산 시트(41)를 체결하고 상기 제 2 단(10d')은 탑 커버를 체결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제 1 단(10d)의 높이는 상기 제 1 단(10d)에 체결될광학 부재의 높이를 합한 것과 같거나 더 커야 하며, 상기 제 2 단(10d')의 높이는 탑 커버(7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바텀 커버(10) 상에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단(10d)을 통하여 광학 부재(41, 42, 43)가 체결되고, 일정한 갭(t1)을 두고 제 2 단(10d')에 탑 커버(70)가 체결된다.
따라서, 갭(t1)으로 인하여 상기 탑 커버(70)가 광학 부재(41, 42, 43)를 짓누르지 않게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10d)에 체결되는 광학 부재는 도시된 3개의 레이어(Layer) 외에 반사판이나 도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a는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6a와 6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바텀 커버(10) 상에 구비된 고정 부재가 2개의 단으로 구비된다. 단, 도 6과와는 달리 바텀 커버(10) 상의 제 1 단(10e)의 한 쪽 변과 제 2 단(10e')의 한 쪽 변이 동일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단(10e)은 상기 확산 시트(41)를 체결하고 상기 제 2 단(10e')은 탑 커버를 체결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즉, 바텀 커버(10) 상에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단(10e)을 통하여 확산 시트(41)가 체결되고, 일정한 갭을 두고 제 2 단(10e')에 탑 커버(70)가 체결될 수 있으므로, 확산 시트(41)와 탑 커버(70)와의 상술한 작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바텀 커버(10) 상의 고정 부재의 구조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간단하여, 바텀 커버의 제조시 특히 사출 성형 등의 공정에 유리할 수 있다.
도 7b에서, 상기 제 1 단(10e)에 확산 시트(41)가 삽입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확산 시트(41)의 에지의 홈(도 7a의 41a)에 상기 제 1 단(10e)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열팽창에 따라 확산 시트(41)가 팽창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 1 단(10e)와 간격을 두고 상기 확산 시트(41)가 삽입되어 체결 내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단(10e')에는 탑 커버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10e)의 높이가 상기 확산 시트(41)의 높이보다 더 높아서 갭이 형성되므로, 상기 탑 커버가 확산 시트(41)를 짓누르지 않게 작용할 수 있음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도 1의 바텀 커버와 확산 시트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나, 바텀 커버(10) 상의 고정 부재(1f)의 한 쪽 변만이 역사다리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상기 고정 부재(1f)의 한 쪽 변만이 역사다리꼴의 형상을 하더라고, 확산 시트(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바텀 커버(10)의 사출 성형 등의 공정에 유리하다.
도 9는 도 8의 고정 부재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한 쪽 변은 바텀 커버에 수직하고 한 쪽 변만이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각도(θ)은 60~80일 수 있다. 만약, 각도가 80보다 크면 광학 부재의 이탈 억제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60도 보다 작으면 광학 부재의 착탈을 위하여 형성된 홈의 크기가 너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높이(h)는 체결될 광학 부재의 높이의 합과 같거나 소정 갭을 둘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t2= tanθ×h 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은 상기 바텀 샤시와 접하는 부분에서의 폭(W3)이 가장 좁고, 최상단에서의 폭(W4)이 가장 넓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바텀 커버 10a : 고정 부재
11 : 방열부재 12 : 브라켓
15 : 핀 구조 20 : 반사판
30 : 도광판 40 : 광학 시트
41 : 확산 시트 41a : 홈
51, 52, 53 : 결합 부재 60 : 액정 표시 패널
70 : 탑 커버 80 :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81 : 모듈 기판 82 : 발광 소자 패키지
83 : 커넥터

Claims (19)

  1. 발광 소자 어레이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고, 광학 부재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반사판, 도광판 및 광학시트 중 적어도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수직 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인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다리꼴의 한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인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하나의 변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다른 하나의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를 이루는 백라이트 유닛.
  7. 발광 소자 어레이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고, 광학 부재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단은 상기 광학 부재에 삽입되고 제 2 단은 탑 커버에 삽입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의 높이는 상기 광학 부재의 두께와 갭(Gap)의 합인 백라이트 유닛.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반사판, 도광판 및 광학시트 중 적어도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 1 단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은 수직 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인 백라이트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다리꼴의 한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인 백라이트 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의 하나의 변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다른 하나의 변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60~80도를 이루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의 폭은 상기 제 2 단의 폭보다 넓은 백라이트 유닛.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과 제 2 단은 한 쪽 끝이 일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바텀 커버 상에 수용되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브라켓에 고정된 발광 소자 모듈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투사된 빛을 패널로 투사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구비되고, 투사된 빛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 커버와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바텀 커버 상에 수용되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브라켓에 고정된 발광 소자 모듈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투사된 빛을 패널로 투사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구비되고, 투사된 빛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텀 커버 상에는 상기 광학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단은 상기 광학 부재에 삽입되고 제 2 단은 탑 커버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전면에 구비되고,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55876A 2010-06-14 2010-06-14 표시 장치 KR10176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6A KR101769045B1 (ko) 2010-06-14 2010-06-14 표시 장치
EP11169626.6A EP2395390B1 (en) 2010-06-14 2011-06-10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3/159,117 US8817203B2 (en) 2010-06-14 2011-06-13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1131196A JP6012935B2 (ja) 2010-06-14 2011-06-13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N201110166780.3A CN102384404B (zh) 2010-06-14 2011-06-14 背光单元和包括背光单元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6A KR101769045B1 (ko) 2010-06-14 2010-06-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91A true KR20110136091A (ko) 2011-12-21
KR101769045B1 KR101769045B1 (ko) 2017-08-17

Family

ID=4451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76A KR101769045B1 (ko) 2010-06-14 2010-06-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17203B2 (ko)
EP (1) EP2395390B1 (ko)
JP (1) JP6012935B2 (ko)
KR (1) KR101769045B1 (ko)
CN (1) CN1023844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13A1 (ko) * 2018-06-27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751A (ko) * 2010-12-23 2012-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116277B2 (en) * 2011-01-26 2015-08-25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30040661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853340A (zh) * 2012-09-06 2013-01-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适于运输的背光模块
CN103727423A (zh) * 2012-10-12 2014-04-16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照明装置
KR102049856B1 (ko) * 2013-02-2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70079A (ja) * 2013-03-01 2014-09-18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6119490B2 (ja) 2013-07-31 2017-04-26 ソニー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5159031A (ja) * 2014-02-24 2015-09-03 凸版印刷株式会社 両面発光型照明装置
KR20150116016A (ko) 2014-04-03 2015-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샤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93691B1 (ko) * 2014-07-23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8810B2 (ja) * 1998-05-28 2007-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294688B1 (ko) * 1999-04-19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KR100675032B1 (ko) 1999-11-10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878206B1 (ko) * 2002-08-1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4255333B2 (ja) * 2002-09-25 2009-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226947B (en) * 2003-10-03 2005-01-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KR200353769Y1 (ko) 2004-03-23 2004-06-22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024649B1 (ko) 2004-04-09 2011-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50104788A (ko) 2004-04-29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메인 지지대 및 하부 커버의 결합 구조
KR20060019654A (ko) * 2004-08-28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103259B1 (en) * 2005-03-21 2006-09-05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Structure for affixing an optical plate on a frame in a panel display
CN101071227A (zh) * 2006-05-12 2007-11-1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组装方法
TWI349140B (en) * 2007-01-16 2011-09-21 Au Optronics Corp Optical film and backlight module?isplay device?ptic-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reof
JPWO2008099834A1 (ja) * 2007-02-13 2010-05-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シートパッケージ体、光学シート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TWI368781B (en) * 2007-08-03 2012-07-2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90043900A (ko) 2007-10-30 2009-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73881A (ko) 2007-12-31 2009-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31847B1 (ko) 2008-09-26 2013-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048833B1 (ko) 2008-11-18 2011-07-13 나근택 적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JP4560579B1 (ja) * 2009-10-09 2010-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面光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13A1 (ko) * 2018-06-27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7220B2 (en) 2018-06-27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slot and a support protr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4404B (zh) 2015-06-17
KR101769045B1 (ko) 2017-08-17
CN102384404A (zh) 2012-03-21
US20110304792A1 (en) 2011-12-15
EP2395390B1 (en) 2019-08-07
EP2395390A3 (en) 2012-01-18
EP2395390A2 (en) 2011-12-14
JP2012004114A (ja) 2012-01-05
JP6012935B2 (ja) 2016-10-25
US8817203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045B1 (ko) 표시 장치
US8047669B2 (en) Backlight illumination assembly having a joining clip with diffusion means
US20170315408A1 (en) Display Device
JP2006286638A (ja) 複数の隣り合って重なり合う導光板を有する発光装置
KR10206895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31414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9429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90457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020074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ving separated color mixing member and effective member
KR20170026936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10026273A1 (en) Optical coupling device for light guiding film
KR201101347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664373B1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채택한 백라이트 패널
KR1018546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1013402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7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4407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1200394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43600A (ko) 백 라이트 유닛
KR101894349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1850428B1 (ko) 광원 모듈,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04404B1 (ko) 도광판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73105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18916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2174637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