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76A - 이형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이형관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6076A KR20110136076A KR1020100055853A KR20100055853A KR20110136076A KR 20110136076 A KR20110136076 A KR 20110136076A KR 1020100055853 A KR1020100055853 A KR 1020100055853A KR 20100055853 A KR20100055853 A KR 20100055853A KR 20110136076 A KR20110136076 A KR 20110136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oval
- connecting portion
- connection part
- rele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난형관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관 접속부를 형성하되, 이들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이형관 연결구이다.
본 발명은, 난형관의 유속 증대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형관과 원통관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는 받침다리를 형성하여 난형관 접속부에 접속(연결)되는 난형관이 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의 밑면을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일측 관에서 타측 관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하는 저항 없이 원상태의 유속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난형관의 유속 증대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형관과 원통관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는 받침다리를 형성하여 난형관 접속부에 접속(연결)되는 난형관이 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의 밑면을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일측 관에서 타측 관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하는 저항 없이 원상태의 유속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상(모양)으로 된 관(파이프)과 관(파이프)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주는 이형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난형관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관 접속부를 형성하되, 이들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이형관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관(상수관 및 하수관 등)은 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관은 하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체가 유연하게 흐르게 할 수는 있으나 그 속도가 느리게 되므로, 생활하수와 같이 신속하게 배출시킬 필요가 있는 유체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또 원통관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지탱할 수 있는 압력강도가 약해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원통관에 균열이 발생하거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20-1996-33452호와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20-1996-33453호의 난형관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관체의 상단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단부를 협소하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난형관은 통과하는 유체(생활하수)의 유속을 증대시켜 신속하게 이동(배출)시킬 수 있고, 동시에 상부의 하중압력에 강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난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면 난형관을 바르게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뒤틀리거나 눕혀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로 인해 유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이송능력이 떨어지고, 관체의 강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원통관과 난형관을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연결구가 제안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통관과 난형관을 서로 혼재하여 설치할 수 없고, 그로 인해 난형관의 우수한 이송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240999호의 '배수관 연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ㄱ'자형으로 된 통상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일측 입구에서 타측 입구에 이르는 상단부에 확장공간부를 점차 협소하도록 연장 형성하고, 상기 일측 입구와 타측 입구의 연결부에는 이음관을 결합하되, 상기 이음관은 일측은 배수관이 결합된 원형의 연결단부를 형성하며, 타측은 본체의 확장공간부와 동일한 형태의 확장연결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연결구와 그의 양측에 결합되는 이음관(난형관)은 확개부가 하측을 향하고 협소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음관(난형관)의 효능(유체의 유속증대)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연결구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이형관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난형관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관 접속부를 형성하되, 이들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이형관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형관의 유속 증대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형관과 원통관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는 받침다리를 형성하여 난형관 접속부에 접속(연결)되는 난형관이 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이형관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의 밑면을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일측 관에서 타측 관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하는 저항 없이 원상태의 유속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이형관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난형관 접속부;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원통관 접속부;
상기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는,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난형관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관 접속부를 형성하되, 이들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난형관의 유속 증대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형관과 원통관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는 받침다리를 형성하여 난형관 접속부에 접속(연결)되는 난형관이 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본 발명은,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의 밑면을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일측 관에서 타측 관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하는 저항 없이 원상태의 유속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난형관과 워통관을 조립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난형관과 워통관을 조립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를 이용하여 난형관(10)과 원통관(20)을 조립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연결부(13)의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난형관(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상광하협의 난형관 접속부(11)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연결부(13)의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관(30)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원통관 접속부(12)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난형관 접속부(11)와 원통관 접속부(12)를 연결부(13)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였다.
특히 상기 난형관 접속부(11)와 원통관 접속부(12)는 밑면을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하여 유체가 저항 없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하였다.
또 난형관 접속부(11)의 밑면에는 한 쌍의 받침다리(15)를 일체로 형성하되, 각 받침다리(15)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난형관 접속부(11)를 안전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난형관 접속부(11)에는 난형관(20)을 접속하되 난형관(20)의 협소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난형관(20)의 단부를 난형관 접속부(11)의 내측에 끼워 결합하고, 원통관 접속부(12)에는 통상의 원통관(30)의 단부를 끼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난형관 접속부(11)에는 난형관(20)을 접속하고, 원통관 접속부(12)에는 원통관(30)을 접속하여 줌으로서 난형관(20)과 원통관(30)의 조립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관 연결구(10)의 난형관 접속부(11)에는 난형관(20)을 접속하게 되면 난형관 접속부(11)는 밑면이 받침다리(15)들에 의해 받쳐 지지되고, 따라서 상광하협의 난형관(20)은 좁은 부분이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이형관 연결구 11: 난형관 접속부
12: 원통관 접속부 13: 연결부
15: 받침다리 20: 난형관
30: 원통관
12: 원통관 접속부 13: 연결부
15: 받침다리 20: 난형관
30: 원통관
Claims (5)
- 일측에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난형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난형관 접속부;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원통관 접속부;
상기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를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는 한 쌍의 받침다리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난형관 접속부와 원통관 접속부는 밑면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난형관 접속부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받침다리는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형관 연결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853A KR20110136076A (ko) | 2010-06-14 | 2010-06-14 | 이형관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853A KR20110136076A (ko) | 2010-06-14 | 2010-06-14 | 이형관 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076A true KR20110136076A (ko) | 2011-12-21 |
Family
ID=4550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853A KR20110136076A (ko) | 2010-06-14 | 2010-06-14 | 이형관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607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25743A1 (ko) * | 2012-02-23 | 2013-08-29 | Lee Jong-Tae |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
CN103907544A (zh) * | 2014-04-29 | 2014-07-09 | 四川宁氏牧业设备有限公司 | H型肉鸡笼用左右水线连接固定机构 |
-
2010
- 2010-06-14 KR KR1020100055853A patent/KR201101360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25743A1 (ko) * | 2012-02-23 | 2013-08-29 | Lee Jong-Tae |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
CN103907544A (zh) * | 2014-04-29 | 2014-07-09 | 四川宁氏牧业设备有限公司 | H型肉鸡笼用左右水线连接固定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36076A (ko) | 이형관 연결구 | |
CN110726025A (zh) | 一种多接口转换塑料管道 | |
JP4796447B2 (ja) | 樹脂製分岐継手 | |
CN107816592A (zh) | 用于连接金属复合管材的管件 | |
CN207437944U (zh) | 一种安装方便的水利用排水管道 | |
CN207406967U (zh) | 一种hdpe低层异径弯头 | |
CN202510887U (zh) | 变径接头 | |
CN210179121U (zh) | 一种给水排水工程用管道连接装置 | |
CN216666669U (zh) | 一种多通过水管件 | |
CN202302472U (zh) | 一种带加热装置的输油管路 | |
CN215215060U (zh) | 一种水利管道装置 | |
CN206529855U (zh) | 一种改进的溢流管 | |
KR20110093498A (ko) | 브이형 내부구조부를 갖는 하수관 | |
CN210267824U (zh) | 一种集分水器专用配件 | |
CN209141432U (zh) | 一种塑料管材定径套 | |
CN201475579U (zh) | 塑料管道伸缩环 | |
CN201925649U (zh) | 一种pp-r过桥弯 | |
CN201462278U (zh) | 一种变径弯管 | |
CN217326147U (zh) | 接排水装置 | |
CN208024996U (zh) | 过桥管件 | |
CN212584436U (zh) | 一种建筑给排水管道过楼导管 | |
CN210117573U (zh) | 一种洗衣机排水管及洗衣机 | |
CN215699381U (zh) | 一种大口径管道对口焊接用抱箍装置 | |
CN205350399U (zh) | 暖气连接角阀 | |
CN209197525U (zh) | 一种废水回收热量交换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