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475A - 다용도 화분 - Google Patents

다용도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475A
KR20110135475A KR1020100055215A KR20100055215A KR20110135475A KR 20110135475 A KR20110135475 A KR 20110135475A KR 1020100055215 A KR1020100055215 A KR 1020100055215A KR 20100055215 A KR20100055215 A KR 20100055215A KR 20110135475 A KR20110135475 A KR 20110135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water
upper plate
water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733B1 (ko
Inventor
조영운
조계성
Original Assignee
조영운
조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운, 조계성 filed Critical 조영운
Priority to KR102010005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화분 자체로 또는 화분 받침으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화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고,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를 타고 물받이 이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흙 또는 화분을 직접 받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에 다수개가 마련되어, 공급된 물을 상판(110)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부(150)로 배수시키는 배수공(120) 중, 상기 상판(1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배수공(121)에 안착되어,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수분공급심지(140)를 고정시키는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부(15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상판(110) 상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용도 화분(100)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중앙 배수공(121)이 마련되는 테두리 상부면에 수직 돌출되어,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수직 승강 슬라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승강유도수단(111); 상기 배수공(120)이 마련되는 상판(110) 하부면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수되는 물이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낙하집중수단(112); 원형 판체의 외주연에 동일 간격을 두고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의 수직승강유도수단(111)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이드홈(131)과,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관통하는 중앙의 통공(132) 및 상기 통공(132) 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배수구멍(133)으로 이루어진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심지(141) 및 상기 가로심지(141)의 중간부분에 걸쳐지게 "∩"자 형태로 마련되어, 양측 선단부는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불받이부(150)로 연장 유도되는 세로심지(142)로 이루어진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세팅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의 크기(너비, 깊이) 또는 별도 안착되는 화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구조 또는 크기의 화분 내지는 화분받침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를 타고 물받이 이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화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갈이 시에 뭉쳐진 흙이 부서지거나 흩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화분{MULTI PURPOSE FLOWERPO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화분 자체로 또는 화분 받침으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화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고,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를 타고 물받이 이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된 다용도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ㆍ꽃 등과 같은 식물을 좁은 공간에서 재배하기 위해 흙을 일정 형상과 모양으로 빚어서 구워 만든 그릇이다.
이러한 화분 중에서 물을 자주 요구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그리고, 물의 공급시기를 놓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물을 주고 있는데 이는 극히 번거롭고 특히, 상기한 수경재배의 경우 물의 지속적인 공급을 게을리 하면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주의를 요하고 있다.
또한, 화초나 수경재배의 경우 햇볕이 드는 쪽으로 이동 또는 방향 전환 등을 고려하여야 하는바, 무거운 화분을 자주 옮기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화분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국내특허등록출원10-2008-32444호(다용도 화분 ; 출원일 2008.04.05.자)가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발명은 화분 받침대를 개량하여 화분 받침대로서의 기능과 함께 급수기능을 함께 구비한 것으로, 급수기능에 있어서 급수조절 기능과 물의 지속적인 공급수단을 겸한 것이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단턱진 통공(11a)이 형성된 상판(11); 상기 상판(11)의 외경 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중 하방으로 돌출된 주연부분에 물유입홈1(12a)이 형성된 상부환턱(12); 상기 상판(11)의 하부면 중 상부환턱(12) 하단부분과 통공(11a) 사이에 하향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 주연부분에 물유입홈2(13a)가 형성된 하부환턱(13); 판체 형상으로 되면서 중앙에 끼움구멍(14a)이 형성되고, 외곽부분에 연통홈(14b)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받침편(14c)이 마련되어, 상기 상판(11)의 통공(11a) 상부면 단턱(11b) 또는 화분(1)의 바닥면 중앙구멍(2) 중 어느 한 부분에 안착되는 차단부재(14); 일측 단은 상기 차단부재(14)의 끼움구멍(14a)에 엇걸어 끼워지고, 타측 단은 하방으로 늘어져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 및 이와 관련된 종래 화분 내지는 화분 받침들은 급수부재(15)인 심지 등을 차단부재(14)에 결합 고정시키기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난해하여 크기가 다른 화분 내지는 화분받침 내지는 화분받침에 화분이 안착된 구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10)의 상판(11) 하부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어, 물이 흙에 공급된 후 연통홈(14b)을 거쳐 통공(11a)을 통해 물받이(미도시) 부분으로 낙하될 때, 평평한 상판(11)의 하부면을 타고 흘러서 물받이 이외의 주변 바닥으로 떨어져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갈이를 위해 차단부재(14) 하부를 상부로 밀어 올릴 경우, 차단부재(14) 및 차단부재(14)를 중심으로 뭉쳐져 있던 흙이 일직선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유동하게 되므로, 뭉쳐져 있던 흙이 부서지거나 흩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화분 자체로 또는 화분 받침으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화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고,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를 타고 물받이 이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된 다용도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흙 또는 화분을 직접 받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에 다수개가 마련되어, 공급된 물을 상판(110)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부(150)로 배수시키는 배수공(120) 중, 상기 상판(1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배수공(121)에 안착되어,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수분공급심지(140)를 고정시키는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부(15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상판(110) 상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용도 화분(100)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중앙 배수공(121)이 마련되는 테두리 상부면에 수직 돌출되어,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수직 승강 슬라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승강유도수단(111); 상기 배수공(120)이 마련되는 상판(110) 하부면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수되는 물이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낙하집중수단(112); 원형 판체의 외주연에 동일 간격을 두고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의 수직승강유도수단(111)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이드홈(131)과,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관통하는 중앙의 통공(132) 및 상기 통공(132) 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배수구멍(133)으로 이루어진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심지(141) 및 상기 가로심지(141)의 중간부분에 걸쳐지게 "∩"자 형태로 마련되어, 양측 선단부는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불받이부(150)로 연장 유도되는 세로심지(142)로 이루어진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의 본 발명은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세팅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의 크기(너비, 깊이) 또는 별도 안착되는 화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구조 또는 크기의 화분 내지는 화분받침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를 타고 물받이 이외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화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갈이 시에 뭉쳐진 흙이 부서지거나 흩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분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화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화분받침)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분공급심지의 길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갈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 또는 화분을 직접 받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에 다수개가 마련되어, 공급된 물을 상판(110)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부(150)로 배수시키는 배수공(120) 중, 상기 상판(1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배수공(121)에 안착되어,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수분공급심지(140)를 고정시키는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부(15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상판(110) 상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분(100)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중앙 배수공(121)이 마련되는 테두리 상부면에 수직 돌출되어,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수직 승강 슬라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승강유도수단(111); 상기 배수공(120)이 마련되는 상판(110) 하부면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수되는 물이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낙하집중수단(112); 원형 판체의 외주연에 동일 간격을 두고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의 수직승강유도수단(111)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이드홈(131)과,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관통하는 중앙의 통공(132) 및 상기 통공(132) 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배수구멍(133)으로 이루어진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심지(141) 및 상기 가로심지(141)의 중간부분에 걸쳐지게 "∩"자 형태로 마련되어, 양측 선단부는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불받이부(150)로 연장 유도되는 세로심지(142)로 이루어진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상판(110)은 외곽 테두리 부분이 "∧"형상으로 절곡 마련되는 환턱(113); 상기 환턱(113)의 외측방향의 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별도의 화분걸이(1)가 끼워지는 화분걸이구멍(114); 상판(110)의 하부면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받이부(150)가 슬라이드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지지하는 물받이지지부재(115); 상기 상판(110)과 물받이부(15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1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10)은 원형을 기본으로 하여 실시예를 적용하나, 타원일 수 도 있고, 삼각형 내지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승강유도수단(111)은 중앙 배수공(121)이 위치한 상판(110)의 상부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수직으로 마련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수직승강유도수단(111)은 실시예적으로 2개를 적용하였으나 3개 또는 4개일 수 도 있고, 그 높이는 심지고정부(130)의 두께 보다 높을 수 있으며, 상기 상판(110)과 사출성형 시 동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별도의 돌기가 나사 결을 통해 형성될 수 도 있으며 나사 그 자체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물낙하집중수단(112)은 중앙 배수공(121)을 포함한 모든 배수공(120)이 위치한 상판(110)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공(120)이 위치한 상판(110) 하부면이 하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별도의 배수공이 마련된 차단판체가 상기 배수공(120)이 위치한 상판(11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고정(접착 도는 열융착)될 수 도 있으며, 그 형상들은 돌출된 상태로 평면체일 수 도 있고 하향 만곡진 돔 형태 또는 역 삼각뿔 형태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환턱(113)의 높이는 화분으로 적용 시 흙이 흘러내려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이면 만족(약 1cm ~ 5cm)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배수공(120)은 물받이부(150)가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 배수공(121)은 직경이 넓은 단일의 통공일 수 있으며, 그 외 배수공(120)은 직경이 중앙 배수공(12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통공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심지고정부(130)는 실시예적으로 원형의 판체일 수 도 있으나, 타원형일 수 도 있고 삼각형 내지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분공급심지(140)는 레이온사(인견)와 폴리프로필렌사(PP; Poly Propylene)를 겹쳐서 된 직물로서, 끈 형태일 수 도 있고 벨트형태일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수분공급심지(140) 중 가로심지(141)는 적어도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직경 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으로, 직물 면적체를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갖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심지(140) 중 세로심지(141)는 끈 또는 벨트 형태의 직물로서, 반으로 접은 길이가 상기 가로심지(141)로부터 상판(110) 하방의 물받이부(150)에 이르러 늘어지는 정도이면 만족하며, 그 길이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세로심지(142)의 중간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접으면 타측 단은 길게 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심지(141)가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위치시키고, 상기 세로심지(142)를 반으로 접은 후, 접혀진 부분이 상기 가로심지(141)의 상부 중간 부분을 심지고정부(130)에 압박할 수 있도록, 양측 선단부를 심지고정부(130)의 통공(132)을 관통시켜 잡아당긴다.
그리하면, 가로심지(141)가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에 압착 고정되고, 세로심지(142)의 양측 단부는 심지고정부(130)의 하부면에 늘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심지고정부(130)를 중앙 배수공(121)이 위치한 상판(110) 부분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판(110)에 마련된 수직승강유도수단(111)에 심지고정부(130)의 가이드홈(131)을 대응시킨 후 하강시키면, 상판(110)의 정확한 위치에 심지고정부(130)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그 안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을 상판(110)에 집적시킨 후, 흙에 식물을 심고 흙에 물을 주면, 물이 중앙 배수공(121)을 포함한 배수공(120)들을 통해 배수되어 상판(110) 하방에 마련된 물받이부(150)에 고이게 된다.
이때, 배수되는 물은 상기 중앙 배수공(121)을 포함한 배수공(120)의 하부에 마련된 물낙하집중수단(112)에 의해 상판(110) 하부면을 타고 흘러서 물받이부(15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이 흐름 원리에 따라, 상기 상판(110)의 하부면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어 있는 물낙하방지수단(112) 이외의 부분으로 번지지 않고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된 물은 상기 물받이부(150)에 고이게 되며, 고인 물은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흡수하여 흙으로 재공급한다. 그러므로, 상기 물받이부(150)에 고인 물을 버리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바닥에 안치시킬 수 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걸이구멍(114)에 화분걸이(1)를 걸어서 공중에 매달아 놓을 수 도 있다.
전술한 내용들은 본 발명이 화분으로 이용되어진 실시예이나, 본 발명은 화분받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판(110) 상부면에 별도의 화분(2)을 올려놓고, 상기 별도의 화분(2) 내측 바닥에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결합된 심지고정부(130)를 안착시킨 후, 수분공급심지(140)를 물받이부(150) 측으로 늘어트려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것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심지(140)의 길이 조절이 가능(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수분공급심지(140)를 구성하는 세로심지(141)의 중간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접으면, 타측 단은 길게 늘어지면서 길이가 신장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분갈이를 할 때도 유용하다.
즉,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갈이를 위해 상판(110) 하부에서 심지고정부(130)를 밀어 올리면, 심지고정부(130)의 가이드홈(131)이 상판(110)의 수직승강유도수단(111)을 타고 유동없이 일직선으로 들어올려지고, 이 과정에서 뭉쳐져 있던 흙 역시 유동없이 들어올려져 상판(110)으로부터 탈리되면, 이를 조심스럽게 다른 화분으로 옮겨 심는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140)의 고정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세팅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의 크기(너비, 깊이) 또는 별도 안착되는 화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구조 또는 크기의 화분 내지는 화분받침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화분의 저부인 상판(110) 하부면을 타고 물받이부(150)가 위치한 이외의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화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에 대해 심지고정부(130)의 안정적인 안착 내지는 좌우 유동없이 수직 방향으로 탈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갈이 시에 뭉쳐진 흙이 부서지거나 흩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분 110 : 상판
111 : 수직승강유도수단 112 : 물낙하집중수단
113 : 환턱 114 : 화분걸이구멍
115 : 물받이지지부재 116 : 받침대
120 : 배수공 121 : 중앙 배수공
130 : 심지고정부 131 : 가이드홈
132 : 통공 133 : 배수구멍
140 : 수분공급심지 141 : 가로심지
142 : 세로심지 150 : 물받이부
1 : 화분걸이 2 : 화분(별도의)

Claims (1)

  1. 흙 또는 화분을 직접 받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에 다수개가 마련되어, 공급된 물을 상판(110)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부(150)로 배수시키는 배수공(120) 중, 상기 상판(1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배수공(121)에 안착되어,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수분공급심지(140)를 고정시키는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부(15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상판(110) 상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분(100)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중앙 배수공(121)이 마련되는 테두리 상부면에 수직 돌출되어,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수직 승강 슬라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수직승강유도수단(111); 상기 배수공(120)이 마련되는 상판(110) 하부면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수되는 물이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낙하집중수단(112); 원형 판체의 외주연에 동일 간격을 두고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의 수직승강유도수단(111)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이드홈(131)과, 상기 수분공급심지(140)가 관통하는 중앙의 통공(132) 및 상기 통공(132) 둘레에 다수개 형성된 배수구멍(133)으로 이루어진 심지고정부(130);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가로심지(141) 및 상기 가로심지(141)의 중간부분에 걸쳐지게 "∩"자 형태로 마련되어, 양측 선단부는 상기 심지고정부(13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불받이부(150)로 연장 유도되는 세로심지(142)로 이루어진 수분공급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분.
KR1020100055215A 2010-06-11 2010-06-11 다용도 화분 KR10119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15A KR101193733B1 (ko) 2010-06-11 2010-06-11 다용도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15A KR101193733B1 (ko) 2010-06-11 2010-06-11 다용도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75A true KR20110135475A (ko) 2011-12-19
KR101193733B1 KR101193733B1 (ko) 2012-10-22

Family

ID=4550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215A KR101193733B1 (ko) 2010-06-11 2010-06-11 다용도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76Y1 (ko) *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35Y1 (ko) 2006-04-11 2006-07-03 김진흥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76Y1 (ko) *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US11490574B2 (en) 2017-11-03 2022-11-08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 water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733B1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76Y1 (ko)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JP2016540523A (ja) 複合鉢植物自己給水システム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JP2021531830A (ja) 自動給水が可能な懸架式植木鉢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193733B1 (ko) 다용도 화분
KR101361448B1 (ko) 다용도 화분받침
US9572309B2 (en) Adjustable planter disk
KR101007875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KR20150133616A (ko) 자동급수 화분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30138931A (ko) 상하이동형 화분 테이블
US10433498B1 (en) System for improving plant yield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0457473Y1 (ko) 화분
KR200497562Y1 (ko)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