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75B1 -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75B1
KR101007875B1 KR1020100078081A KR20100078081A KR101007875B1 KR 101007875 B1 KR101007875 B1 KR 101007875B1 KR 1020100078081 A KR1020100078081 A KR 1020100078081A KR 20100078081 A KR20100078081 A KR 20100078081A KR 101007875 B1 KR101007875 B1 KR 10100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vegetation
water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광
박종일
홍성민
박철민
홍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
Priority to KR102010007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진 물의 유출방향을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 가이드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관은 타측 끝단과 관수케이스 바닥면 간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를 이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토양으로 물이 자동 공급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토양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고,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이 커지더라도 토양의 각 부위로 물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Plant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본 발명은 자동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화분들은 물과 양분의 공급을 토양이 가지고 있는 보습력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므로 식물의 성장 특성에 따라 화분의 크기와 토양의 양이 결정되는 것이고, 따라서 물 흡수량이 많은 식물의 경우 필요이상으로 큰 화분을 사용하게 됨으로 운반 및 물관리에 커다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토양에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물을 직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물주는 주기를 맞추기 어려워 식물이 고사하거나 수분 공급이 과다해 식물이 썩어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의 여행을 하는 경우 식물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의 하부로 토양을 타고 바닥면의 통공을 통해 흘러나온 물을 받아내기 위하여 물 받침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물 받침대는 그 크기가 화분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물이 넘쳐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물 받침대에 고인 물에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마를 경우 이물질이 남아 미관상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화분에 물을 줄 때는 적당한 양을 맞추기 어려워 화장실 등의 공간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분이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은, 격벽(10)에 의해 재배조(30)와 저수조(20)의 공간으로 나뉘어지며, 저수조(20)에는 물통(40)이 거꾸로 장착된다. 상기 물통(40)은,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물통본체(41)와, 상기 물통본체(41)의 주둥이에 끼워지는 물통마개(42)로 이루어진다. 물통마개(42)는 물통 입구를 가리는 부위가 이중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기 이중 구조 중 외측부는 중심부에 마개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부는 패킹마개a(44)와 패킹마개b(45)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마개a(44)와 패킹마개b(45)가 맞닿아 있는 단면은 물통본체(120)의 내부를 안쪽으로 보았을 경우 패킹마개b(45)가 패킹마개a(44)보다 안쪽에 들어가도록 비스듬히 잘려져 맞닿아 있는 구조여서 물통(40)을 거꾸로 하여도 저수조(20)에 삽입되는 순간까지 물이 새지 아니한다.
그러나 물통(40)이 저수조(20)에 장착되면, 저수조(20)의 내부 바닥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패킹마개 누름부(22)가 물통마개(42)에 형성되어 있는 마개통공(43)을 관통한 후 패킹마개b(45)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되는바, 물통(40) 내의 물은 저수조(20)의 바닥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격벽(210)이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32)가 재배조(30)의 공간에 설치되며, 저수조(20) 내의 물이 재배조(3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격벽(10)에는 통공(12)이 형성되고, 통공(12)에는 물의 유출 속도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조절부(2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은, 물통(40) 내의 물이 재배조(30) 내의 토양(S)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바 사용자가 직접 토양(S)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고, 토양(S)으로 물이 과잉으로 공급됨에 따라 물이 바닥으로 흘러나올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을 많이 공급해야 하는 종과 물을 많이 공급하지 아니해야 하는 종이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은 재배조(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항상 일정하므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통(40)으로부터 배출된 물에 의해 토양(S)의 하측 일부가 항상 잠겨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재배조(30)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썩을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재배조(30)의 면적을 증감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재배조(30)의 크기를 처음부터 크게 설계하는 경우 통공(12)과 인접한 지점의 토양(S)에는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반면 통공(12)과의 거리가 먼 지점의 토양(S)에는 물이 거의 공급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양으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고, 토양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고,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이 커지더라도 토양의 각 부위로 물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진 물의 유출방향을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 가이드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관은 타측 끝단과 관수케이스 바닥면 간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급수관은 일측이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되되,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입구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측면과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길이 변경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입구가 상기 장착블록을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입구가 하향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블록 상에 장착되는 물탱크; 일측이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수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장착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삽입슬롯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관수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하여 삽입된 장착블록의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수케이스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며,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장착블록의 장착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타측 끝단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수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장착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삽입슬롯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관수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하여 삽입된 장착블록의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수케이스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삼투압 또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에 깔린 물을 상기 식생케이스 내의 토양으로 전달하는 물전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에 높이조절나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관수케이스 및 식생케이스는 각각 둘 이상 구비되며, 이웃하는 두 관수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일측 관수케이스 내의 물이 타측 관수케이스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통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를 이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토양으로 물이 자동 공급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토양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화단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토양으로 채워지는 공간의 면적이 커지더라도 토양의 각 부위로 물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모든 지점에 식물을 고르게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급수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포함되는 물탱크와 급수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포함되는 물탱크와 급수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3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4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5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6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6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복수 개의 관수케이스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100)와, 내측에 토양(S)이 채워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에 장착되는 식생케이스(200)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300)와, 일측이 상기 물탱크(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30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향해 유출되도록 물의 유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급수관(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식생케이스(200)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되고, 삼투압 또는 모세관 현상의 원리에 의해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바닥에 깔린 물을 상기 토양(S)으로 전달하는 물전달수단(21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식생케이스(200)에 하나의 물전달수단(210)이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물전달수단(210)의 개수가 많을수록 토양(S)의 각 부위로 물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바, 상기 물전달수단(210)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토양(S)의 하측 일부만이 물에 살짝 잠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전달수단(210)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3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수케이스(100)의 상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베이스부재(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물탱크(300)가 관수케이스(100)의 상면에 장착될 때에도 상기 물탱크(300)는 관수케이스(100)의 상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착탈의 용이성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블록(320)을 결합 매개체로 관수케이스(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물은 급수관(310)을 통해 관수케이스(100)의 바닥으로 배출되어 점차적으로 관수케이스(10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가 높아져 급수관(310)의 하단이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물에 잠기게 되면, 상기 물탱크(3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물탱크(300)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는바,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물은 더 이상 배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물은 급수관(310)의 하단이 어느 정도 물에 잠길 때까지만 배출되는바,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는 급수관(310)의 하단보다 약간 높은 정도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 급수관(310)을 통해 물탱크(30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 가능하게 되면,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진공압이 해제됨에 따라 물탱크(300) 내부의 물은 관수케이스(100) 내측으로 배출되는바,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는 다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물전달수단(210)을 통하여 토양(S)으로 전달되는 물의 양은 많아지게 되고,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수위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급수관(310) 하단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급수관(310)의 하단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더 명확하게는 상기 급수관(310)의 하측 끝단과 관수케이스(100) 바닥면 간의 거리를 변경시킴으로써) 변경 토양(S)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급수관(310)의 하단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조로는 여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바, 급수관(310)의 하단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급수 화분과 같이 식물이 심어지는 식생케이스(200)가 관수케이스(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토양(S)에 식물을 새로 심거나 분갈이를 할 때 식생케이스(200)만을 빼내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식재 및 분갈이가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포함되는 물탱크(300)와 급수관(31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에 포함되는 물탱크(300)와 급수관(31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급수관(310)의 하단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급수관(310) 전체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는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급수관(310)은 일측이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에 결합되되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급수관(310)을 물탱크(300) 내측으로 밀어 넣거나 물탱크(300) 외측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물탱크(300)가 관수케이스(100)에 장착되었을 때 급수관(310)의 하단 높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탱크(300) 내의 물은 급수관(310)의 내부를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와 결합되는 측의 급수관(310) 외주면에는 패킹(31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관(310)이 물탱크(300)의 입구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급수관(310)은 물탱크(300)의 입구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310)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물탱크(300) 입구에 결합되면, 상기 급수관(310)을 물탱크(300) 내측으로 일정 거리 밀어 넣고 물탱크(300)를 관수케이스(100)에 장착시켰을 때 급수관(310)의 하단 위치가 상승하게 되는바,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물이 토양(S)으로 전달된다. 반대로, 상기 급수관(310)을 물탱크(300)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인출시켜놓고 물탱크(300)를 관수케이스(100)에 장착시키면 급수관(310)의 하단 위치가 상승하게 되는바,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다 적은 양의 물이 토양(S)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인장 등과 같이 물을 조금만 주어야 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급수관(310)의 하단이 거의 관수케이스(100) 바닥에 닿을 정도로 위치시키고, 열대식물 등과 같이 비교적 물을 많이 주어야 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급수관(310)의 하단을 관수케이스(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재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을 주는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급수관(310)의 대부분을 물탱크(300)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식생케이스(200) 내의 토양(S)을 제거하여 상기 식생케이스(200) 내에는 물만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물속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을 재배할 수도 있다.
한편, 물탱크(300)의 입구에 급수관(3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직접 결합되면 상기 급수관(310)은 물탱크(300)의 입구 길이만큼만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 역시 물탱크(300)의 입구 길이만큼만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물탱크(300)의 입구 길이가 짧더라도 급수관(310)의 슬라이딩 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330)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310)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관(33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관(310)에 구비된 패킹(312)은 상기 슬라이드관(330)의 내측면과 상기 급수관(310)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관(330)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급수관(310)은 물탱크(300)의 입구 길이만큼만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관(330)의 길이만큼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 변경 범위가 슬라이드관(330)의 길이만큼 커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관(330)이 추가로 구비되면, 물탱크(300)의 입구가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급수관(310)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물탱크(300)의 형상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310)의 일측이 물탱크(300)의 입구에 고정되더라도 급수관(310)의 하단 위치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관(310)은 길이변경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관(310)이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면 상기 급수관(310)의 자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급수관(310)이 물탱크(300)에 장착되는 위치를 변경시키지 아니하더라도 급수관(310) 하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주름관 구조는 음료수 섭취 시 사용되는 스트로우(straw)나 공조분야에 사용되는 덕트 등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3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4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급수관(310)의 장착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급수관(310)의 하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물탱크(300) 자체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급수관(310)의 하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400)이 추가로 구비되고, 물탱크(300)는 입구가 하향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블록(400) 상에 장착되며, 급수관(310)은 일측(도 6에서는 상측)이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에 결합되고 타측(도 6에서는 하측)이 상기 장착블록(400)을 관통하여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측벽에는 상기 장착블록(400)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삽입슬롯(220)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관수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슬롯(220)을 관통하여 삽입된 장착블록(400)의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구비되는바, 사용자는 관수케이스(100)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슬롯(220) 중 적정한 높이의 삽입슬롯(220)에 장착블록(400)을 삽입시킨 후 상기 장착블록(400)에 물탱크(300)를 결합시킴으로써, 급수관(310)의 하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장착블록(400)의 높이가 가변되면서도 급수관(31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장착블록(40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급수관(310)은 물탱크(300)의 입구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삽입슬롯(220) 중 어느 슬롯에 장착블록(400)이 삽입되는지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400)의 높이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면, 급수관(310)의 하측 끝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는 삽입슬롯(220)들의 이격 거리만큼씩만 좁혀지거나 넓어질 수 있으므로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급수관(310)의 하측 끝단과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 간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관수케이스(100) 내의 수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40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어(4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어(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worm gear)에 포함되는 웜(worm)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이 수직을 향하도록 관수케이스(100)의 측벽에 장착되고, 장착블록(400)은 승강기어(410)의 나사산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기어(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400)이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410)는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회전 각도 및 방향에 따라 장착블록(400)을 미세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기어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블록(400)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급수관(310)이 상하로 슬라이딩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급수관(310)이 물탱크(300)의 입구에 고정 결합되거나, 더 나아가 상기 물탱크(300)의 입구를 하향으로 길게 연장시키고 급수관(310)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100)와,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에 장착되며 내측에 토양(S)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200)와, 상기 관수케이스(100)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400)과,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입구가 상기 장착블록(400)을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물탱크(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관(310)이 생략되면 부품수 및 조립공정수가 줄어들게 되는바,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물탱크(300)가 장착블록(40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경우만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물탱크(300)가 장착블록(400)의 상면에 장착되면 장착블록(400)을 승강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급수 화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가 관수케이스(100)나 기타 베이스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310)의 하측만이 장착블록(400)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블록(400) 승강 시 물탱크(300)는 승강되지 아니하고 급수관(310)의 하측만이 장착블록(400)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블록(400)에 급수관(310)의 하측만이 결합되면 장착블록(4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없어지게 되므로 장착블록(400) 승강이 보다 용이해지며, 장착블록(400)의 파손 우려가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장착블록(400)이 최대한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급수관(310)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물탱크(300)와 장착블록(4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급수관(310)은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할 것이며, 장착플록의 승강에 따라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5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토양(S)이 채워지는 식생케이스(2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관수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거치턱(110)에 안착됨으로써 저면이 관수케이스(100)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수케이스(100) 바닥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저면에 높이조절나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생케이스(200)의 저면에 높이조절나사가 장착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생케이스(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나사는 세탁기나 책상 등과 같이 높이 조정이 요구되는 여러 종류의 제품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6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제6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12는 복수 개의 관수케이스(10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600)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단의 넓이 및 모양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되는 식생케이스(200)가 각각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면적을 보다 넓히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관수케이스(100)를 측방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관수케이스(100)에 식생케이스(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관수케이스(100)가 측방으로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관수케이스(100)마다 물탱크(300)가 장착되면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공간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관수케이스(100) 및 식생케이스(200)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식물 재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관수케이스(100)가 측방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관수케이스(100)에만 물탱크(300)가 장착되고, 이웃하도록 배열되는 관수케이스(100)들은 내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두 관수케이스(100)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두 관수케이스(1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통수관(5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수관(500)은 일측 관수케이스(100) 내의 물이 타측 관수케이스(100)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 역할을 하게 되는바, 도 10에 도시된 관수케이스(100)들이 상기 통수관(500)을 통해 내부가 연통되도록 구성되면, 어느 하나의 관수케이스(100)에만 물이 공급되더라도 공급된 물은 모든 관수케이스(100)로 전달되는바, 모든 관수케이스(100)에 안착된 식생케이스(200) 내의 토양(S)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통수관(500)의 외주면과 관수케이스(100) 사이로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상기 통수관(500)의 외주면과 관수케이스(100) 사이에는 수팽창 지수재(5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팽창 지수재(510)는 물이 접촉될 때 부피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바, 최초 통수관(500)을 관수케이스(10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수팽창 지수재(510)와 통수관(500)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거나 수팽창 지수재(510)와 관수케이스(10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더라도, 관수케이스(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수팽창 지수재(510)의 팽창에 의해 상기 간격들은 완전히 밀폐되어 관수케이스(100)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팽창 지수재(510)는 건설 및 토목분야, 수처리분야에서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관(500)에 의해 관수케이스(100)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관수케이스(100)들이 상호 이격되면, 관수케이스(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그대로 유출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는 이웃하는 관수케이스(100)들을 하나로 체결하는 체결수단(60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6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관수케이스(100)들의 모서리 부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돌기(610)를 구비하여, 각각의 삽입돌기(610)가 서로 다른 관수케이스(100)의 모서리부위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이웃하는 관수케이스(100)들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610)가 관수케이스(100)의 모서리부위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케이스(200)는 관수케이스(100) 내에 안착되었을 때 모서리부위가 관수케이스(100)의 모서리부위와 이격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600)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웃하는 두 개의 관수케이스(1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관수케이스 110 : 거치턱
200 : 식생케이스 210 : 물전달수단
300 : 물탱크 310 : 급수관
320 : 고정블록 330 : 슬라이드관
400 : 장착블록 410 : 승강기어
500 : 통수관 510 : 수팽창 지수재
600 : 체결수단 610 : 삽입돌기

Claims (13)

  1.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진 물의 유출방향을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 가이드하는 급수관;
    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관은 타측 끝단과 관수케이스 바닥면 간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급수관은 일측이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되되,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입구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측면과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길이 변경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5.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입구가 상기 장착블록을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물탱크;
    를 포함하되,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6.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입구가 하향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블록 상에 장착되는 물탱크;
    일측이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급수관;
    을 포함하되,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7.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관수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에 안착되며, 내측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는 식생케이스;
    상기 관수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되 장착 높이가 변경 가능한 장착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며,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급수관;
    을 포함하여, 상기 장착블록의 장착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타측 끝단 높이가 가변되며,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장착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삽입슬롯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관수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하여 삽입된 장착블록의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케이스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투압 또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관수케이스의 바닥에 깔린 물을 상기 식생케이스 내의 토양으로 전달하는 물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케이스는, 저면에 높이조절나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케이스 및 식생케이스는 각각 둘 이상 구비되며,
    이웃하는 두 관수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일측 관수케이스 내의 물이 타측 관수케이스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통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KR1020100078081A 2010-08-13 2010-08-13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KR10100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81A KR101007875B1 (ko) 2010-08-13 2010-08-13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81A KR101007875B1 (ko) 2010-08-13 2010-08-13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875B1 true KR101007875B1 (ko) 2011-01-14

Family

ID=4361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081A KR101007875B1 (ko) 2010-08-13 2010-08-13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6B1 (ko) 2012-01-18 2013-08-09 전홍기 식생블록
KR101425187B1 (ko) 2013-04-04 2014-08-08 박성열 입면 녹화 시스템
KR200477376Y1 (ko) *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WO2021039723A1 (ja) * 2019-08-29 2021-03-04 公立大学法人大阪 潅水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セルプラグ
KR20240002332A (ko) 2022-06-29 2024-01-05 조남강 수경재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167A (ja) 2002-08-28 2004-03-18 Yoshifumi Nagasawa 給水タンク付き植物栽培用の鉢
KR100512692B1 (ko)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JP2005278585A (ja) * 2004-03-30 2005-10-13 Yoshifumi Nagasawa 倒立式補助タンクによる鉢への給水
JP2008109873A (ja) 2006-10-30 2008-05-15 Nangoku Kosan Kk 果菜類の多段階根域制限栽培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92B1 (ko)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JP2004081167A (ja) 2002-08-28 2004-03-18 Yoshifumi Nagasawa 給水タンク付き植物栽培用の鉢
JP2005278585A (ja) * 2004-03-30 2005-10-13 Yoshifumi Nagasawa 倒立式補助タンクによる鉢への給水
JP2008109873A (ja) 2006-10-30 2008-05-15 Nangoku Kosan Kk 果菜類の多段階根域制限栽培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6B1 (ko) 2012-01-18 2013-08-09 전홍기 식생블록
KR101425187B1 (ko) 2013-04-04 2014-08-08 박성열 입면 녹화 시스템
KR200477376Y1 (ko) *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WO2021039723A1 (ja) * 2019-08-29 2021-03-04 公立大学法人大阪 潅水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セルプラグ
US11950550B2 (en) 2019-08-29 2024-04-09 University Public Corporation Osaka Irrigation device and cell plug used for same
KR20240002332A (ko) 2022-06-29 2024-01-05 조남강 수경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2819B2 (en) Multiple potted-plant self-watering system
KR101007875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식생장치
AU2014208274A1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JP4948034B2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JP2007110933A (ja) 間断式栽培方法及び間断式栽培用育苗床パネル
KR101245232B1 (ko) 파이프 타입 식물재배기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1267938B1 (ko) 자동급수 식생장치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60024445A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CN210298899U (zh) 一种带水位调节结构的水培种植管道
CN202907519U (zh) 一种绿化屏风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190125730A (ko) 기능성 화분
JP2007151451A (ja) 間断式給水栽培装置
KR20230174623A (ko) 수위조절기구를 구비한 수경식물 재배기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2406445B1 (ko)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배수 구조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