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465A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5465A KR20110135465A KR1020100055195A KR20100055195A KR20110135465A KR 20110135465 A KR20110135465 A KR 20110135465A KR 1020100055195 A KR1020100055195 A KR 1020100055195A KR 20100055195 A KR20100055195 A KR 20100055195A KR 20110135465 A KR20110135465 A KR 201101354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e
- gel
- electrolyte composition
- solar cell
- polymer electroly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1245 gel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496 iodine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group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claims 1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IVCMUVGRRDWTDK-UHFFFAOYSA-M 1-methyl-3-propylimidazol-1-ium;iodide Chemical compound [I-].CCCN1C=C[N+](C)=C1 IVCMUVGRRDWTDK-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UUIMDJFBHNDZOW-UHFFFAOYSA-N 2-tert-butylpyridine Chemical compound CC(C)(C)C1=CC=CC=N1 UUIMDJFBHNDZ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02016 Aerosil® 200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01150090068 PMII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ZMZDMBWJUHKJPS-UHFFFAOYSA-M Thiocyanate anion Chemical compound [S-]C#N ZMZDMBWJUHKJP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ZMZDMBWJUHKJPS-UHFFFAOYSA-N hydrogen thiocyanate Natural products SC#N ZMZDMBWJUHKJ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SFPQDYSOPQHZAQ-UHFFFAOYSA-N 2-methoxy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OC(C)C#N SFPQDYSOPQHZ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OOWFYDWAMOKVSF-UHFFFAOYSA-N 3-methoxy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OCCC#N OOWFYDWAMOKV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VAUCKIRQBBSSJ-UHFFFAOYSA-M sodium iodide Chemical compound [Na+].[I-] FVAUCKIRQBBSS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AZUYLZMQTIKGSC-UHFFFAOYSA-N 1-[6-[4-(5-chloro-6-methyl-1H-indazol-4-yl)-5-methyl-3-(1-methylindazol-5-yl)pyrazol-1-yl]-2-azaspiro[3.3]heptan-2-yl]prop-2-en-1-one Chemical compound ClC=1C(=C2C=NNC2=CC=1C)C=1C(=NN(C=1C)C1CC2(CN(C2)C(C=C)=O)C1)C=1C=C2C=NN(C2=CC=1)C AZUYLZMQTIKG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NMYWSMUMWPJLR-UHFFFAOYSA-L Calcium iodide Chemical compound [Ca+2].[I-].[I-] UNMYWSMUMWPJLR-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RFFFKMOABOFIDF-UHFFFAOYSA-N Pent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N RFFFKMOABOFI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40 calcium iod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413 calcium iod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AYWVJHJZHQCIE-UHFFFAOYSA-L zinc iodide Chemical compound I[Zn]I UAYWVJHJZHQCI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GBBZLMLLFVFKJM-UHFFFAOYSA-N 1,2-diiodoethane Chemical compound ICCI GBBZLMLLFVFK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BOIAZWJIACNJF-UHFFFAOYSA-N 1h-imidazole;hydroiodide Chemical compound [I-].[NH2+]1C=CN=C1 JBOIAZWJIACN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ZXYQEHISUMZAT-UHFFFAOYSA-N 2-[(2-hydroxy-5-methylphenyl)methyl]-4-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C1=CC=C(O)C(CC=2C(=CC=C(C)C=2)O)=C1 XZXYQEHISUMZ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18 Aerosil® 300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BSXBDMCNVYBCE-UHFFFAOYSA-M I.[Li]I Chemical compound I.[Li]I SBSXBDMCNVYBC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YSYBNSRMMFSBSU-UHFFFAOYSA-N OC(C(C1=CC=CC=C1)=O)C1=CC=CC=C1.I Chemical compound OC(C(C1=CC=CC=C1)=O)C1=CC=CC=C1.I YSYBNSRMMFSB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FEHLDPGIKPNKL-UHFFFAOYSA-N allyl iodide Chemical compound ICC=C HFEHLDPGIKPN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816 ammonium iod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SGUXGJPBTNFBAD-UHFFFAOYSA-L barium iodide Chemical compound [I-].[I-].[Ba+2] SGUXGJPBTNFBA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8 barium iod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444 barium iod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WPCXDBCEDWUSOU-UHFFFAOYSA-N benzoyl iodide Chemical compound IC(=O)C1=CC=CC=C1 WPCXDBCEDWUS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QPRBTXUXXVTKB-UHFFFAOYSA-M caesium iodide Chemical compound [I-].[Cs+] XQPRBTXUXXVTK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GBRBMTNGQBKBQE-UHFFFAOYSA-L copper;diiodide Chemical compound I[Cu]I GBRBMTNGQBKB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ZZFYRREKKOMAT-UHFFFAOYSA-N diiodomethane Chemical compound ICI NZZFYRREKKOM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85 fumed silic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VTICUPFWKNHNG-UHFFFAOYSA-N iodoethane Chemical compound CCI HVTICUPFWKNH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NQOMBQAUSQDDS-UHFFFAOYSA-N iodomethane Chemical compound IC INQOMBQAUSQD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BQZGVMWPHXIKEQ-UHFFFAOYSA-L iron(ii) iodide Chemical compound [Fe+2].[I-].[I-] BQZGVMWPHXIKE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BLQJIBCZHWBKSL-UHFFFAOYSA-L magnesium iodide Chemical compound [Mg+2].[I-].[I-] BLQJIBCZHWBKS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41 magnesium iod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WYFOIJABGVEFP-UHFFFAOYSA-L manganese(ii) iodide Chemical compound [Mn+2].[I-].[I-] QWYFOIJABGVEF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KEOZZYXWAIQFO-UHFFFAOYSA-M mercury(1+);iodide Chemical compound [Hg]I QKEOZZYXWAIQF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QKKCMWPOASMDQR-UHFFFAOYSA-J molybdenum(4+);tetraiodide Chemical compound I[Mo](I)(I)I QKKCMWPOASMDQR-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6 oxidation-reduction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FTHARXEQHJSEH-UHFFFAOYSA-N silicon tetraiodide Chemical compound I[Si](I)(I)I CFTHARXEQHJS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18 sodium iod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09—Solid electroly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8—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copolymers, e.g. pluronic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전해질 누출 문제없이 낮은 결정성을 가짐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시 전해액 주입구 막힘 현상을 가져오지 않아 전해액 주입이 용이하고 수명 특성을 향상시켜 높은 광전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낮은 결정성을 가져 우수한 수명 특성을 제공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광전환 효율을 갖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 분자가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미립자층을 포함한 광전극(음극), 백금 촉매를 포함한 대전극(양극) 및 산화-환원 전해질로 구성된다. 그 중 전해질은 태양전지의 광전효율과 내구성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로서 종래에는 주로 액상 전해질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액상 전해질은 휘발성 유기용매를 함유하기 때문에 유기용매의 휘발 및 누액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태양전지의 내구성, 즉 수명 특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용매가 없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도 사용되었으나,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액체 전해질에 비해 이온 전도도가 현저히 떨어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되어 광전환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전해질의 누출 문제를 해결하고 태양전지의 광전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준고체 상태의 비휘발성 이온성 겔 전해질을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겔형 전해질은 비교적 높은 결정성을 가져 전해액 주입구 막힘 현상을 일으키고 태양전지 내 전자의 확산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었기에, 보다 낮은 결정성을 가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유용하게 적용가능한 겔형 전해질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질 누출 문제없이 낮은 결정성을 가짐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시 전해액 주입구 막힘 현상을 가져오지 않아 전해액 주입이 용이하고 수명 특성을 향상시켜 높은 광전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 전해질 누출 문제없이 낮은 결정성을 가짐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시 전해액 주입구 막힘 현상을 가져오지 않아 전해액 주입이 용이하고 수명 특성을 향상시켜 높은 광전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각각 실시예 1a 및 1b에서 제조된 겔형 전해질, 및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다양한 무기 나노입자 첨가량을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다양한 분자량의 블록 공중합체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다양한 요오드 농도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0.06 M 농도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장기 효율(long term test)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다양한 무기 나노입자 첨가량을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다양한 분자량의 블록 공중합체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다양한 요오드 농도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0.06 M 농도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장기 효율(long term test)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4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PEG)l-(PPG)m-(PEG)n
상기 식에서,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90% 범위의 몰분율, 바람직하게는 l은 5 내지 40%, m은 20 내지 90%, n은 5 내지 40% 범위의 몰분율을 나타내며, 이들의 합은 100%이다.
상기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 및/또는 할로겐 산화-환원쌍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 나노입자는 실리카(fumed silica, SiO2)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무기 나노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 나노입자는 7 내지 15 nm,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 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 나노입자를 사용할 경우 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휘발성 유기용매가 적정량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된 휘발성 유기용매는 태양전지 제조공정 중 전지 내부에 전해질 조성물 주입 후 건조를 통해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휘발 제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할로겐 산화-환원쌍은 요오드(I2)/요오드염이 적합하며, 상기 요오드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튬, 요오드화마그네슘,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규소, 요오드화망간,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몰리브덴,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철, 요오드화세슘,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수은, 요오드화암모늄, 요오드화메틸, 요오드화메틸렌, 요오드화에틸, 요오드화에틸렌, 요오드화이소프로필, 요오드화이소부틸, 요오드화벤질, 요오드화벤조일, 요오드화알릴, 요오드화이미다졸리움, 요오드화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산화-환원쌍은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요오드의 경우 0.06 내지 0.2 몰농도(M)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가교제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미립자층을 포함한 광전극(음극), 백금 촉매를 포함한 대전극(양극), 및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양태에 따르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광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된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건조시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한 후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법의 구체적인 조건은 통상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법에 근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 전해질 누출 문제없이 낮은 결정성을 가짐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시 전해액 주입구 막힘 현상을 가져오지 않아 전해액 주입이 용이하고 수명 특성을 향상시켜 높은 광전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겔형 전해질(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사용하지 않음)과 액체 전해질의 물성 비교 (
참조예
)
실시예 1a
Aerosil-200 (직경 12 nm)을 폴리에틸렌글리콜 (수평균 분자량 300)에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의 양으로 분산시켜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b
Aerosil-200 (직경 12 nm)과 Aerosil-300 (직경 7 nm)의 혼합물 30 중량%, 및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06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전해질:전해액의 중량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통상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공정에 근거하되 하기 조건에 따라 염료-흡착된 TiO2 광전극, 백금 대전극, 및 상기 실시예 1a 또는 1b에서 제조된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유닛 셀(unit cell)에 주입한 후 80 ℃ 오븐에서 하룻밤 방치시켜 건조시킨 다음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였다.
광전극 : 12 ㎛
산란층 : 없음
염료 : ref. N719_E-Solar (0.5 mM) in EtOH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 Surlyn-두께 60 ㎛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a (실시예 1a의 경우) 및 표 1b (실시예 1b의 경우)에 나타내고, 각각의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도 1a 및 1b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의 물성 및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하기 표 1c 및 도 1c에 나타내었다. 이때, 기존의 액상 전해질로서,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06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액상 전해질 주입 후 바로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1a 내지 1c 및 도 1a 내지 1c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한 달간 1주일 간격으로 효율을 측정해 본 결과, 겔형 전해질은 효율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등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이는 반면, 액체 전해질은 Jsc(단락전류)의 급격한 반감으로 효율이 저하되는 등 낮은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무기 나노입자 첨가량 변화에 따른 물성 비교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2800, PEG: 5%, PPG: 90%, PEG: 5%의 몰분율을 갖는 공중합체)에 용해시킨 Aerosil-200 (직경 12 nm)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2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전해질:전해액의 중량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Aerosil-200의 첨가량을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6 및 7 중량%로 변화시켰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통상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공정에 근거하되 하기 조건에 따라 염료-흡착된 TiO2 광전극, 백금 대전극,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유닛 셀(unit cell)에 주입한 후 80℃ 오븐에서 하룻밤 방치시켜 건조시킨 다음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였다.
광전극 : 8 ㎛
산란층 : 없음
염료 : ref. N719_E-Solar (0.5 mM) in EtOH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 Surlyn-두께 60 ㎛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a에 나타내고,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의 물성을 하기 표 2b에 나타내었다. 이때, 기존의 액상 전해질로서,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06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액상 전해질 주입 후 바로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2a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무기 나노입자를 7 중량%로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는 전도성 측면에서는 액상 전해질에 기인하여 확실히 우수하나, 장기 효율 측면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겔형 전해질이 훨씬 유리하다.
[실시예 3]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변화에 따른 물성 비교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에 용해시킨 Aerosil-200 (직경 12 nm)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2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전해질:전해액의 중량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을 2800, 4400 및 5800(수평균 분자량 2800의 경우 PEG: 5%, PPG: 90%, PEG: 5%의 몰분율을 갖는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4400 및 5800의 경우 PEG: 15%, PPG: 70%, PEG: 15%의 몰분율을 갖는 공중합체)으로 변화시켰으며, 수평균 분자량이 2800 및 4400인 경우는 Aerosil-200의 첨가량을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 중량%로, 그리고 수평균 분자량이 5800인 경우는 Aerosil-200의 첨가량을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로 조절하였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통상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공정에 근거하되 하기 조건에 따라 염료-흡착된 TiO2 광전극, 백금 대전극, 및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유닛 셀(unit cell)에 주입한 후 80 ℃ 오븐에서 하룻밤 방치시켜 건조시킨 다음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였다.
광전극 : 12 ㎛
산란층 : 있음 (DJG2/ZrO2_5%)
염료 : ref. N719_E-Solar (0.5 mM) in EtOH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 Surlyn-두께 60 ㎛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고,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의 물성 및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기존의 액상 전해질로서,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MPN)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8 M), I2 (0.2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액상 전해질 주입 후 바로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3 및 도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수평균 분자량이 2800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수평균 분자량이 5800인 블록 공중합체는 융점이 80 ℃이어서 상온에서 일부 고형화 가능성이 있음). 참고로,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는 전도성 측면에서는 액상 전해질에 기인하여 확실히 우수하나, 장기 효율 측면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겔형 전해질이 훨씬 유리하다.
[실시예 4] 요오드의 농도 변화에 따른 물성 비교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2800, PEG: 5%, PPG: 90%, PEG: 5%의 몰분율을 갖는 공중합체)에 용해시킨 Aerosil-200 (직경 12 nm) 7 중량%와, MeCN(아세토니트릴):VCN(발레로니트릴) 85:15(v/v) 혼합물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7 M), I2,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전해질:전해액의 중량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요오드의 몰농도를 0.06, 0.2, 0.1 및 0.15 M으로 변화시켰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통상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공정에 근거하되 하기 조건에 따라 염료-흡착된 TiO2 광전극, 백금 대전극,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유닛 셀(unit cell)에 주입한 후 80 ℃ 오븐에서 하룻밤 방치시켜 건조시킨 다음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였다.
광전극 : 12 ㎛
산란층 : 있음 (DJG2/ZrO2_5%)
염료 : ref. N719_E-Solar (0.5 mM) in EtOH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 Surlyn-두께 60 ㎛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고,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의 물성 및 광전변환 특성 그래프를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기존의 액상 전해질로서, MeCN(아세토니트릴):VCN(발레로니트릴) 85:15(v/v) 혼합물에 용해시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PMII, O.7 M), I2 (0.06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GSCN, 0.05 M) 및 tert-부틸피리딘(TBP, 0.5 M)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액상 전해질 주입 후 바로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4 및 도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요오드를 0.15M로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액상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Ref)가 가장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장기 효율 측면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겔형 전해질이 훨씬 유리하다.
한편, 이를 입증하고자, 실시예 4에서 제조된 0.15 M 농도를 갖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기존의 액상 전해질을 각각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장기 효율(long term test)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로부터, 기존 액상 전해질과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 최초 효율은 떨어지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효율이 거의 그대로 우수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2000 내지 8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화학식 1]
(PEG)l-(PPG)m-(PEG)n
상기 식에서,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90% 범위의 몰분율을 나타내며, 이들의 합은 100%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조성물이 실리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가 7 내지 15 n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조성물이 할로겐 산화-환원쌍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산화-환원쌍이 요오드(I2)/요오드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가 염료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미립자층을 포함한 광전극(음극), 백금 촉매를 포함한 대전극(양극), 및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광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된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건조시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한 후 전해질 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195A KR20110135465A (ko) | 2010-06-11 | 2010-06-11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PCT/KR2011/004253 WO2011155789A2 (ko) | 2010-06-11 | 2011-06-10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195A KR20110135465A (ko) | 2010-06-11 | 2010-06-11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5465A true KR20110135465A (ko) | 2011-12-19 |
Family
ID=4509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195A KR20110135465A (ko) | 2010-06-11 | 2010-06-11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5465A (ko) |
WO (1) | WO2011155789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6239A (ko) * | 2021-08-17 | 2023-02-24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삼중블록공중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9025B1 (ko) * | 2005-12-08 | 2008-04-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및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KR20090076410A (ko) * | 2008-01-08 | 2009-07-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상기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
-
2010
- 2010-06-11 KR KR1020100055195A patent/KR2011013546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06-10 WO PCT/KR2011/004253 patent/WO2011155789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6239A (ko) * | 2021-08-17 | 2023-02-24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삼중블록공중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55789A3 (ko) | 2012-05-18 |
WO2011155789A2 (ko) | 2011-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84968B1 (en) | Ionic liquid electrolyte | |
JP4515948B2 (ja) | ゲル状電解質用原料キット、ゲル状電解質用電解質組成物及び光増感型太陽電池 | |
JP2003264011A (ja) | 染料感応太陽電池 | |
US20090173381A1 (en) | Gel type electrolyt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gel type electrolyte | |
KR101406985B1 (ko) |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1137379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Chen et al. | Polyvinyl butyral-based thin film polymeric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long-term stability | |
KR20080029231A (ko)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5139501B2 (ja) | 色素増感太陽電池用の電解質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 |
Dissanayake et al. | Efficiency enhancement by mixed cation effect in polyethylene oxide (PEO)-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388598B1 (ko) | 다공성 고분자 박막으로 도포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 |
JP4008669B2 (ja) | 光増感型太陽電池 | |
KR101054470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
US7910015B2 (en) | Polymer electrolyt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 |
JP2012104427A (ja) | 電解質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 |
KR20110135465A (ko) | 겔형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JP4291541B2 (ja) | 光電変換用酸化物半導体電極およ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 | |
Shahbaz et al. | A poly (styrene-co-acrylonitrile) gel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improved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 |
KR101819883B1 (ko) | 인시츄 경화형 고분자 젤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장치 | |
KR101184531B1 (ko) |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
Law et al. | Brief air heating of TiO 2/dye films, to 120–250° C; the effect on resulting liquid junction dye sensitised solar cells (DSSCs) and melt-processed solid-state DSSCs | |
KR101006078B1 (ko) | 고체형 나노복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 |
KR20150104375A (ko) | 기능성 네트워크 폴리머 막 전해질을 이용한 준고체상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Somsongkul et al. | Efficiency and stability enhancement of quasi-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PEO composite polymer blend electrolytes | |
KR102159600B1 (ko) | 준고체 전해질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준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