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309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309A
KR20110134309A KR1020110054602A KR20110054602A KR20110134309A KR 20110134309 A KR20110134309 A KR 20110134309A KR 1020110054602 A KR1020110054602 A KR 1020110054602A KR 20110054602 A KR20110054602 A KR 20110054602A KR 20110134309 A KR20110134309 A KR 2011013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opening
pair
arm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913B1 (ko
Inventor
가쿠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3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암부재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선단 근방에 피걸림부를 가진 1쌍의 암을 가지는 수부재와,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일측 단부에 가짐과 아울러, 피걸림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1쌍의 암을 내부에 걸어 유지하는 걸림부를 타측 단부 근방에 가지는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암부재는 서로 대향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가짐과 아울러. 삽입구에 대향한 개방구를 타측 단부에 가지고, 제 1 측벽은 제 1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개방구로부터 1쌍의 암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측벽은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개방구로부터 1쌍의 암의 노출되는 형상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암부재에 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부재에는, 선단에 피걸림부를 가지는 서로 면(面)대칭하는 형상의 1쌍의 암이 기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에는,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수용부가 상기 1쌍의 암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의 수용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수부재의 피걸림부와 걸어 유지하는 투공(透孔)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와 암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삽입구에 대향한 벽면에 암의 선단이 맞닿지 않은 상태로, 암의 선단이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암부재에는,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수용부가 상기 삽입구에 대향한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암의 피걸림부를 걸어맞추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의 피걸림부와 암부재의 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는 삽입구에 대향한 개구로부터 암의 선단이 노출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개 평7-2410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6-204911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암의 선단이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구멍이나 투공을 통해서 수용부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에는 이러한 이물질이 수용부의 내부에 퇴적될 우려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암부재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결과, 수부재의 삽입에 대해서 상기 이물질이 장애물이 되어, 수부재를 암부재에 연결시킬 수 없게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수부재와 암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피걸림부의 전체가 삽입구에 대향한 개구로부터 노출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갔다고 하여도, 수용부에 들어간 이물질은 암의 선단에 의해서 수용부의 개구로부터 밀려 나오기 쉬워진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수용부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을 수용부로부터 밀어낼 수는 있지만, 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피걸림부의 전체가 수용부의 외측에서 걸어맞춰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해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암부재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선단 근방에 피걸림부를 가진 1쌍의 암을 가지는 수부재와, 상기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일측 단부에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걸림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1쌍의 암을 내부에 걸어 유지하는 걸림부를 타측 단부 근방에 가지는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편평한 방향으로 넓어지는 서로 대향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삽입구에 대향한 개방구를 가지고,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상기 1쌍의 암의 일측이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가 삽입구에 대향한 개방구를 가진다. 그리고, 암부재를 구성하는 제 1 측벽이 상기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암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암부재를 구성하는 제 2 측벽은 상기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암이 노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개방구로부터 암이 노출되는 형상을 제 2 측벽이 가지는 만큼, 암부재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개방구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개방구로부터 암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제 1 측벽이 가지는 만큼, 제 1 측벽 측에 있어서는 1쌍의 암의 선단 근방이 외부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암부재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측벽의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제 2 측벽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암부재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개방구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암부재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암에 의해서 밀려 나오는 것이 적지 않다. 이 점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방구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중 제 2 측벽으로 구성되는 가장자리가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 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측벽의 가장자리가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는 만큼, 제 2 측벽으로 구성되는 가장자리가 삽입구에 가깝게 된다. 그 결과, 암부재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삽입구 측으로부터 삽입된 암에 의해서 밀려 나오기 쉬워지기 때문에, 암부재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제 1 개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되,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개구 가장자리부보다도 상기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는 상기 걸림부인 제 2 개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피걸림부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방구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중 제 2 측벽의 가장자리가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제 2 개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 개구 가장자리부가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가 별도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서, 암부재의 구성을 보다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 측으로 돌출하는 제 2 피걸림 볼록부로서 상기 제 2 측벽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상기 제 2 측벽보다도 작은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측벽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제 2 피걸림 볼록부가 제 2 측벽보다도 얇다. 따라서,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는 암에 형성된 피걸림부가 제 2 측벽의 외표면에서 돌출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에 형성된 피걸림부와 제 2 측벽의 가장자리부와의 걸어맞춤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더욱 받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피걸림 볼록부를 더 가지며,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개방구까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상기 개방구의 사이에 상기 피걸림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도록 수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암부재에는 상기 수부재가 가지는 피걸림부를 삽입구와 개방구의 사이에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부재에 있어서의 어느 일 측면이 제 1 측벽 측에 배치되어 수부재와 암부재가 걸어맞춘 경우든, 수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일 측면이 제 2 측벽 측에 배치되어 수부재와 암부재가 걸어맞춘 경우든,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형태를 확장하면서, 암부재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 및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그 표면측에서 본 버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표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버클(1)의 전체구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클(1)의 수부재(2)에 있어서의 기단부(21)에는 가요성을 가진 1쌍의 암(22)이 당해 기단부(21)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버클(1)의 암부재(3)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편평한 방향으로 넓어지는 서로 대향한 제 1 측벽으로서의 표면측 측벽(31)과, 제 2 측벽으로서의 이면측 측벽(3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타측 단부에는 삽입구(3P)에 대향한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삽입구(3P)에서 개방구(3D)로 향한 방향을 삽입방향으로 하고, 1쌍의 암(22)이 나란히 형성되는 배열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또 버클(1)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 측을 표면측으로 하고, 버클(1)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 측을 이면측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가 가지는 좌우 1쌍의 암(22)의 각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 근방이 팽대(膨大)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 암(22)에 있어서의 우측 외측면 및 좌측 암(22)에 있어서의 좌측 외측면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인 암 걸림부(22S)가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외형을 가지는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에는 피걸림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23)는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피걸림 볼록부로서의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와,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제 2 피걸림 볼록부로서의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에는, 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이루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암구멍(24)이 상기 암(22)의 표면측에서 이면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도록, 즉 표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와 이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가 동일하게 되도록 수부재(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암구멍(24)이 1쌍의 암(22)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22)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수부재(2)가 예를 들면 수지성형에 의해서 형성될 때에는 수축 캐버티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암(22)의 기단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 암(22)의 선단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리브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의 외측면과 암부재(3)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 부위에 있어서, 즉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기단과 선단에 있어서 특히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버클(1)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그러짐(요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암(2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 내측면에는 1쌍의 암(22)을 서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진 띠 형상의 브리지(25)가 암(22)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되 피걸림부(23)보다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양단부(25a)의 각각은 일측 암(22)에서 타측 암(22)으로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 암(22)에 접속되는 브리지(25)의 단부(25a)는 당해 일측 암(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상태)에서, 당해 일측 암(22)의 기단을 중심으로 하여 당해 일측 암(22)과 브리지(25)의 접속부가 그리는 원호(C)의 접선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는 일측 암(22)과 타측 암(22)의 중간에 있어서 기단부(21) 측으로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대한 과도한 외력이 상기 1쌍의 암(22)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에도, 1쌍의 암(22)의 각각과 브리지(25)의 접속부에는 전단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기단부(21)에 대해서, 암(22)의 반대측에는 버클(1)에 의해서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은,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은,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3)를 구성하는 표면측 측벽(31)의 4개의 코너부와 이면측 측벽(32)의 4개의 코너부에 있어서는 삽입구(3P) 측의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과 개방구(3D) 측의 1쌍의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측면과 정합하는 가이드 면(WP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의 삽입구(3P)가 상기한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과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의해서 그 4개의 변(邊)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에는,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의 개방구(3D)가 상기한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과 1쌍의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그 4개의 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가 가지는 삽입구(3P)의 개구연부(開口緣部)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삽입구(3P) 측의 가장자리부인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삽입구(3P) 측의 가장자리부인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는 각각 개방구(3D)로 향해서,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따르도록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도록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에 의해서 구성되는 삽입구(3P)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면측 측벽(32)에 의해서 구성되는 삽입구(3P)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구(3P)에 의하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구(3P)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서로 면대칭하기 때문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기 쉬워지게 된다.
한편, 암부재(3)가 가지는 개방구(3D)의 개구연부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개방구(3D) 측의 가장자리부인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개방구(3D) 측의 가장자리부인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비대칭이 되도록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는 삽입구(3P)로 향해서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따르도록 표면측 측벽(31)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에 의해서 구성되는 개방구(3D)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구(3P)와 마찬가지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도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와 마찬가지로 삽입구(3P)로 향해서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보다도 삽입구(3P)로 향해서 더 오목하게 들어간 걸림 가장자리부(32S)를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삽입구(3P)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로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 중앙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단부에서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내측 측방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형성되는 만큼 이면측 측벽(32)에 의해서 구성되는 개방구(3D)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를 구성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 및 내측 측방 가장자리에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만이 걸림 가장자리부(32S)에서 노출되는 형상으로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내측 중앙 가장자리 및 내측 측방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구(3D)의 일부가 이면측 볼록부(23B)에 대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걸림부가 별도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서 암부재(3)의 구성을 보다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의 두께는 이면측 볼록부(23B)의 두께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와 이면측 측벽(32)에 형성된 걸림 가장자리부(32S)와의 걸어맞춤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예기치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측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안내홈(36)은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에서 개방구(3D)로 향해서 홈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표면측 삽입홈(36a)과,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의 개방구(3D) 측으로 확장된 걸림홈(36S)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홈(36S)을 구성하는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한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의 측벽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측벽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또,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안내홈(37)은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홈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을 구성하는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한 표면측 삽입홈(36a)과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의 측벽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안내된다.
또한, 암부재(3)에는 상기한 삽입구(3P) 및 개방구(3D) 외에,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암 관통구멍(SH)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과 삽입측 연결벽(WP)과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그 4개의 변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암 관통구멍(SH)의 개구연부는 상기한 1쌍의 암(22)이 가지는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의 각각의 암구멍(24)이 암부재(3)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또한 1쌍의 암 관통구멍(SH)의 각각이 암(22)에 의해서 폐색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의 형상이 암 관통구멍(SH)의 개구형상을 따르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따라서, 버클(1)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이 양성되면서, 1쌍의 암 관통구멍(SH)에서 암부재(3)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암부재(3)의 내부에는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중앙과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연결하는 칸막이판(38)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38)이 형성됨으로써,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이 휘어지거나 이면측 측벽(32)이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암부재(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에는 버클(1)에 의해서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부착되는 벨트 부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 부착부(39)에는 버클(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3개의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이 삽입구(3P)로부터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면, 우선 암(22)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1쌍의 암(22)의 선단이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한다. 그리고,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을 따라서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또,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을 따라서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 때, 1쌍의 암(22)의 각각에 있어서의 외측면은 그 암 걸림부(22S)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가이드 면(WPa)은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측면과 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되면, 1쌍의 암(22)의 각각에 있어서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만큼, 암(22)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에 의해서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 결과,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에 위치할 때에 1쌍의 암(22)이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가장 크게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하면, 암(22)의 외측면에 대한 가이드 면(WPa)에 의한 눌림상태가 해제되며, 그 후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휘어짐이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에 따르게 된다. 또한,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폭은 삽입구(3P)에서 개방구(3D)로 향해서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에 따라서 1쌍의 암(22)이 삽입되면, 1쌍의 암(22)은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일정한 비율로 휘어지면서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할 때에 암(22)에 대한 외력이 일단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암 걸림부(22S)와 가이드 면(WPa)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1쌍의 암(22)을 암부재(3)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계속해서 삽입되면,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에 도달하고,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되면, 걸림홈(36S)이 표면측 삽입홈(36a)보다도 넓게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또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이면측 안내홈(37)보다도 넓게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휘어져 있던 1쌍의 암(22)이 상기 걸림홈(36S)의 형상 및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형상에 따라서 서로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측벽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또,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내측 중앙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다.
이 때,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1쌍의 암(22)은 삽입구(3P) 및 개방구(3D)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1쌍의 암(22)은 그 선단 근방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가 개방구(3D)로부터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구(3D)에 있어서 암(22)이 노출되는 만큼,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1쌍의 암(22)의 진입과 아울러 개방구(3D)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개방구(3D)에 있어서 암(22)이 노출되지 않는 만큼,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이 외부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부가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어렵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3)가 삽입구(3P)에 대향한 개방구(3D)를 가진다. 그리고 암부재(3)를 구성하는 표면측 측벽(31)이 상기 표면측 측벽(31)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3D)로부터 암(22)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부재(3)를 구성하는 이면측 측벽(32)이 상기 이면측 측벽(32)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3D)로부터 암(22)이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방구(3D)로부터 암(22)이 노출되는 형상을 이면측 측벽(32)이 가지는 만큼,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개방구(3D)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개방구(3D)로부터 암(22)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표면측 측벽(31)이 가지는 만큼, 표면측 측벽(31)측에 있어서는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이 외부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부가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개방구(3D)는, 이면측 측벽(32)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의 가장자리보다도 이면측 측벽(32)의 가장자리가 삽입구(3P)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개방구(3D)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삽입구(3P)측으로부터 삽입된 암(22)에 의해서 밀려 나오는 것이 적지 않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방구(3D)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중 이면측 측벽(32)의 가장자리가 삽입구(3P)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개방구(3D)가 가진다. 따라서, 이면측 측벽(32)의 가장자리가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큼,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는 개방구(3D)가 삽입구(3P)에 가깝게 된다. 그 결과,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이 삽입구(3P)측으로부터 삽입된 암(22)에 의해서 밀려 나오기 쉬워지기 때문에,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한층 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표면측 측벽(31)은 개방구(3D)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를 가진다. 또 이면측 측벽(32)은 개방구(3D)의 가장자리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이면측 측벽(32)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보다도 삽입구(3P)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인 걸림 가장자리부(32S)를 가진다. 그리고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피걸림부(23){이면측 볼록부(23B)}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이면측 측벽(32)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걸림 가장자리부(32S)로부터 피걸림부(23){이면측 볼록부(23B)}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구(3D)를 구성하는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피걸림부(23){이면측 볼록부(23B)}에 대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가 별도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서, 암부재(3)의 구성을 보다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이면측 볼록부(23B)는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두께방향의 폭이 이면측 측벽(32)보다도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암(22)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암(22)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걸어맞춤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더욱 받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수부재(2)는 1쌍의 암(22)에 있어서 표면측 측벽(31)측으로 돌출하는 표면측 볼록부(23F)를 더욱 가지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에는 삽입구(3P)에서 개방구(3D)까지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며, 삽입구(3P)와 개방구(3D)의 사이에 표면측 볼록부(23F)를 안내하는 표면측 안내홈(36)과, 이면측 볼록부(23B)를 안내하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면측 측벽(32)의 개방구(3D)가 가지는 걸림 가장자리부(32S)는 표면측 볼록부(23F)와 이면측 볼록부(23B) 중 어느 일방과 걸어맞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부재(2)에 있어서의 어느 일 측면이 측면이 표면측 측벽(31)측에 배치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가 걸어맞춘 경우든, 수부재(2)에 있어서의 상기 일 측면이 측면이 이면측 측벽(32)측에 배치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가 걸어맞춘 경우든, 상기 (1)~(4)에 기재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 형태를 확장하면서, 암부재(3)의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퇴적을 억제하는 것 및 예기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실시할 수도 있다.
◎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선단 근방에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형성되고, 또한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선단 근방에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하여,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개소가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한정되는 구성, 즉 표면측 볼록부(23F)가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면측 볼록부(23F) 외, 표면측 안내홈(3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1)~(4)에 준하는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하는 것이 가능하다.
◎ 또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개소가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림홈(36S)에 한정되는 구성, 즉 이면측 볼록부(23B)가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면측 볼록부(23B) 외, 이면측 안내홈(37)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1),(2)에 준하는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이면측 볼록부(23B)는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두께방향의 폭이 이면측 측벽(32)과 동일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1)~(3)와 같은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을 높일 수 있다. 혹은 이면측 볼록부(23B)는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두께방향의 폭이 이면측 측벽(32)보다도 커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1)~(3)와 같은 효과를 얻으면서,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부(32S)와의 걸어맞춤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이면측 볼록부(23B)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의 두께방향의 폭이 이면측 측벽(32)보다도 커지는 경우에는 1쌍의 암(22)이 암부재(3)내를 슬라이드이동하고 나서, 이면측 볼록부(23B) 혹은 1쌍의 암(22)에 있어서 그 두께방향으로 수축하는 것과 같은 탄성이 필요하게 된다.
◎ 개방구(3D)에 있어서의 걸림 가장자리부(32S)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내측 측방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하여, 예를 들면 암(22)의 삽입방향, 혹은 암(22)의 이탈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도록,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보다도 삽입구(3P)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하여,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에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요컨데,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3D)로부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표면측 측벽(31)이 가지고, 또한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3D)로부터 1쌍의 암(22) 중 적어도 일측이 노출되는 형상을 이면측 측벽(32)이 가지는 구성이면 좋다.
◎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1쌍의 암(22)의 쌍방이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하여,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1쌍의 암(22) 중 어느 일측만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암(22)의 선단 근방이 개방구(3D)의 가장자리에서 이면측으로 노출되는 이상, 상기 (1)에 준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는 각각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술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혹은 상술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측 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요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는 상술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기단부 및 선단부를 폐색하는 형상이면 좋다.
◎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를 일측 암(22)과 타측 암(22)의 중간에 있어서 기단부(21) 측으로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쌍의 암(22)의 선단측을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암부재(3)에 형성한 칸막이판(38)과 브리지(25)가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 수부재(2)에 브리지(25)가 형성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브리지(25)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1쌍의 암(22)의 사이에, 기단부(21)로부터 암(22)의 삽입방향을 향해서 돌출함과 아울러, 암(22)을 암부재(3)에 삽입할 때에 수부재(2)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 이른바 센터 바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암(22)의 간격을 벌리려고 하는 외력이 암(22)에 작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부재(3)의 내부에는 칸막이판(38) 대신에 상기 센터 바를 안내하는 센터 바 안내부를 칸막이판(38)이 형성되어 있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 기단위치결정리브(27) 또는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생략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1)~(5)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암부재(3)의 내측면에 볼록형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이 상기 볼록형상리브에 눌리는 구성이면,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수부재(2)의 요동을 경감시킬 수 있다.
◎ 1쌍의 암(22)에 있어서 암구멍(24)이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된 암부재(3)의 측면, 즉 암 관통구멍(SH)으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암(22)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 칸막이판(38)을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칸막이판(38)이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 벨트 부착부(39)에는 3개의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깊은 홈을 몇 개라도 형성하여도 좋고, 혹은 깊은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를 암부재(3)에 형성하고, 상기 벨트의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부착되는 벨트 부착부(39)를 수부재(2)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버클(1)의 체결 시에 있어서의 벨트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C - 원호 1 - 버클
2 - 수부재 3 - 암부재
21 - 기단부 22 - 암
22S - 암 걸림부 23 - 피걸림부
23F - 표면측 볼록부 23B - 이면측 볼록부
24 - 암구멍 24a - 내주면
25 - 브리지 25a - 단부
25b - 중간부 26 - 벨트 유지부
27 - 기단위치결정리브 28 - 선단위치결정리브
31 - 표면측 측벽 31p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
31d -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 32 - 이면측 측벽
32p -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 32d -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
32S - 걸림 가장자리부 3P - 삽입구
3D - 개방구 WP - 삽입측 연결벽
WD - 개방측 연결벽 WPa - 가이드 면
SH - 암 관통구멍 36 - 표면측 안내홈
36a - 표면측 삽입홈 36S - 걸림홈
37 - 이면측 안내홈 38 - 칸막이판
39 - 벨트 부착부

Claims (5)

  1. 선단 근방에 피걸림부를 가진 1쌍의 암을 가지는 수부재와, 상기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일측 단부에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걸림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1쌍의 암을 내부에 걸어 유지하는 걸림부를 타측 단부 근방에 가지는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편평한 방향으로 넓어지는 서로 대향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삽입구에 대향한 개방구를 가지고,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1쌍의 암이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상기 1쌍의 암의 일측이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측벽의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제 2 측벽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제 1 개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되,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개구 가장자리부보다도 상기 삽입구 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는 상기 걸림부인 제 2 개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의 외표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피걸림부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 측으로 돌출하는 제 2 피걸림 볼록부로서 상기 제 2 측벽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상기 제 2 측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피걸림 볼록부를 더 가지며,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개방구까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상기 개방구의 사이에 상기 피걸림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10054602A 2010-06-07 2011-06-07 버클 KR101233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0563 2010-06-07
JP2010130563A JP5469543B2 (ja) 2010-06-07 2010-06-07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09A true KR20110134309A (ko) 2011-12-14
KR101233913B1 KR101233913B1 (ko) 2013-02-15

Family

ID=4509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02A KR101233913B1 (ko) 2010-06-07 2011-06-07 버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13321B2 (ko)
EP (1) EP2578103B1 (ko)
JP (1) JP5469543B2 (ko)
KR (1) KR101233913B1 (ko)
CN (1) CN102933109B (ko)
HK (1) HK1179836A1 (ko)
TW (1) TWI461157B (ko)
WO (1) WO2011155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771B2 (en) * 2012-02-16 2018-04-10 Ykk Corporation Buckle
CN102972929B (zh) * 2012-10-24 2015-03-11 上海柏拉斯运动用品配件有限公司 插扣
JP6761639B2 (ja) 2016-02-05 2020-09-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108685284A (zh) * 2018-06-22 2018-10-23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车辆及其安全带锁扣总成
USD1003192S1 (en) * 2020-01-17 2023-10-31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856Y2 (ja) * 1991-12-20 1996-11-2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H0646509U (ja) * 1992-12-07 1994-06-28 株式会社ニフコ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JP2594412Y2 (ja) * 1993-10-16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TW301145U (en) * 1993-10-16 1997-03-21 Yoshida Kogyo Kk Buckle
JP3009366B2 (ja) 1997-01-30 2000-02-14 美生 徳田 バックル
US20020083562A1 (en) * 2001-01-03 2002-07-04 Lerra Christopher G. Co-molded fastening devices
JP4148836B2 (ja) * 2002-09-20 2008-09-1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7020939B2 (en) * 2004-04-23 2006-04-04 Joseph Anscher Separable buckle
US7100252B2 (en) * 2005-01-31 2006-09-05 Joseph Anscher Dual locking buckle
JP4769597B2 (ja) 2006-03-02 2011-09-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5651282B2 (ja) *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5130306B2 (ja) 2008-01-23 2013-01-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4352A1 (en) 2013-05-02
EP2578103B1 (en) 2016-06-29
CN102933109B (zh) 2015-07-29
JP5469543B2 (ja) 2014-04-16
KR101233913B1 (ko) 2013-02-15
JP2011254929A (ja) 2011-12-22
TWI461157B (zh) 2014-11-21
EP2578103A1 (en) 2013-04-10
CN102933109A (zh) 2013-02-13
TW201200054A (en) 2012-01-01
WO2011155449A1 (ja) 2011-12-15
EP2578103A4 (en) 2015-07-15
HK1179836A1 (en) 2013-10-11
US8813321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38B1 (ko) 버클
KR101233913B1 (ko) 버클
EP2641498B1 (en) Buckle
EP1400183B1 (en) Buckle
KR20100126605A (ko) 버클
JP7177147B2 (ja) 光ファイバアダプタ用の遮光シャッタ
KR101241665B1 (ko) 버클
KR20100008130A (ko) 버클
KR101241560B1 (ko) 버클
KR101242935B1 (ko) 버클
KR101253442B1 (ko) 버클
KR101233956B1 (ko) 버클
JP201906095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JP2014133160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