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290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290A
KR20110134290A KR1020110053879A KR20110053879A KR20110134290A KR 20110134290 A KR20110134290 A KR 20110134290A KR 1020110053879 A KR1020110053879 A KR 1020110053879A KR 20110053879 A KR20110053879 A KR 20110053879A KR 20110134290 A KR20110134290 A KR 2011013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rms
arm
open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442B1 (ko
Inventor
가쿠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3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의 평활화를 도모하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잘못된 조립을 억제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평하고 팽대하는 형상의 선단부를 가진 1쌍의 암(22)을 가지는 수부재(2)와, 상기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편평한 개구인 삽입구(3P)를 일측의 단부에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3)를 구비한다. 1쌍의 암(22)은, 해당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동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암부재에 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부재에는, 선단에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서로 면(面)대칭하는 형상의 1쌍의 암이 기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암의 중앙에는 직선형상의 센터 바가 기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에는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수용부가 상기 1쌍의 암 및 상기 센터 바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부의 중앙에는 상기 센터 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편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의 수용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수부재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걸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버클의 연결 동작에서는, 우선, 1쌍의 암이 나열되는 방향과 삽입구의 길이가 긴 변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수부재와 암부재가 대향하고, 이 상태에서 1쌍의 암이 삽입구에 삽입된다. 그리고, 1쌍의 암이 수용부의 내측면으로 안내됨과 아울러, 센터 바가 칸막이 편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암부재의 걸림 볼록부에 수부재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암부재의 수용부에 수부재의 암이 적확하게 안내되어 암부재에 수부재가 잘못된 형태로 삽입되는 소위 잘못된 조립이 억제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0191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1쌍의 암이 나열되는 방향과 삽입구의 길이가 긴 변의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암의 선단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암 및 각 암을 수용하는 수용부는, 상기한 상태에서 삽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해서 형성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1쌍의 암이 나열되는 방향과 삽입구의 길이가 긴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암부재의 삽입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규정된 조립위치와 다른 형태로 암부재의 수용부에 수부재의 암이 조립되게 된다. 그 결과, 수부재와 암부재에 있어서의 규정된 연결구조를 버클에 있어서 담보할 수 없고, 버클에 요구되는 연결 기능이나 분리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과제는 수부재로서 센터 바를 구비하지 않은 구조에 있어서도 대체로 공통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의 평활화를 도모하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잘못된 조립을 억제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편평하고 팽대(膨大)하는 형상의 선단부를 가진 1쌍의 암(arm)을 가지는 수부재와, 상기 1쌍의 암이 삽입되는 편평한 개구인 삽입구를 일측의 단부에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해당 1쌍의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해당 1쌍의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의 버클에 의하면, 삽입구에 삽입되는 1쌍의 암은,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 선단부의 두께가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동(同) 선단부의 폭이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진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일치하는 규정된 방식으로 수부재와 암부재가 조립될 때에는, 1쌍의 암이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1쌍의 암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부재와 암부재가 조립될 때에는,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각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크기 때문에, 구조상, 각 암이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수부재와 암부재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의 평활화를 도모하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잘못된 조립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의 두께방향으로 돌출하는 피걸림부를 상기 선단부에 가지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한 상판과 하판을 가지며, 해당 상판 혹은 하판 중 적어도 일측의 내표면에는, 상기 피걸림부와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와,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걸림부까지 상기 피걸림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걸림부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의 두께가, 상기 안내홈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상기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1쌍의 암을 암부재와 걸어맞춰지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또, 피걸림부를 포함한 각 암의 두께는, 안내홈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안내홈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크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시에는, 피걸림부가 안내홈에 맞닿으면서 상기 걸림부까지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이 암부재와 걸어맞춰지는 위치까지 적확하게 안내되게 되어, 수부재와 암부재의 원활한 조립이 실현된다.
또, 삽입구에 있어서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삽입구의 개구 폭보다 피걸림부를 포함한 각 암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암부재의 수평방향에서 걸림부와 연이어 통하지 않는 위치에 각 암이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수부재와 암부재의 잘못된 조립이 최적하게 억제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긴 변의 방향으로 상기 삽입구를 2분할하는 칸막이판을 가지고,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이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에 형성된 1쌍의 상기 피걸림부의 각각을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걸림부까지 연장되는 측면을 따라 안내하는 것이며,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최대 폭은, 상기 안내홈의 측면과 상기 칸막이판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암의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피걸림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1쌍의 암의 선단에 있어서의 최대 폭이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안내홈의 홈폭보다 커진다. 수부재와 암부재가 잘못해서 조립되는 형태에서는,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서 각 부재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이것에 기인해서, 상기 분할된 삽입구에 규정된 조립 암이 아닌 다른 측의 암이 삽입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더라도,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규정된 조립 암이 아닌 다른 측의 암이 칸막이판에 맞닿거나, 혹은 상기 암의 피걸림부가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맞닿기 때문에, 수부재와 암부재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삽입의 도중에서 스스로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특히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립위치가 어긋난 것에 기인하는 잘못된 조립이 최적하게 억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선단부의 두께가 피걸림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이 피걸림부의 부위에 의거해서, 선단에 있어서의 최대 폭이 규정된다. 따라서, 1쌍의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의 조립, 또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립위치가 어긋난 방식으로 조립되는 상태에서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피걸림부가 암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선단부는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단부가 상기 삽입구의 개구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1쌍의 암이 암부재에 삽입되면,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1쌍의 암이 암부재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단부가 상기 칸막이판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1쌍의 암이 암부재에 삽입되면,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1쌍의 암의 각각이 본래 위치해야 할 걸어맞춤 위치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선단부의 폭을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으로 하면서도,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의 평활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서 1쌍의 암이 접속된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가 규정된 조립위치와 다른 형태로 조립되려고 하면, 접속부재가 암부재의 일측의 단부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하여, 수부재와 암부재의 잘못된 조립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1쌍의 암이 접속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로서의 구조상의 안정화가 도모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그 표면측에서 본 버클의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를 표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와, 암부재를 삽입방향에서 본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 및 암부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를 표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와, 암부재를 표면측에서 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와 암부재의 조립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버클(1)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클(1)의 수부재(2)에 있어서의 기단부(21)에는 가요성을 가진 좌우 1쌍의 제 1 암(22r) 및 제 2 암(22l)에 의해서 구성되는 암(arm, 22)이 상기 기단부(21)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버클(1)의 암부재(3)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편평한 방향으로 넓어지는 서로 대향한 상판으로서의 표면측 측벽(31)과 하판으로서의 이면측 측벽(3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타측 단부에는, 삽입구(3P)에 대향한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삽입구(3P)에서 개방구(3D)로 향한 방향을 삽입방향으로 하고, 1쌍의 암(22)이 나열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한다. 또 버클(1)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 측을 표면측으로 하고, 버클(1)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 측을 이면측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가 가지는 1쌍의 암(22)의 각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 근방이 팽대(膨大)하는 형태로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암(22)의 선단부는 상기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22I)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22I)은, 좌우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경사면(22Ii)과, 좌우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 경사면(22Io)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우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우측 외표면, 및 좌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좌측 외표면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인 암 걸림부(22S)가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외형을 가지는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에는 상기 암(22)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피걸림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23)는 암(22)의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있어서, 상기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피 걸림 볼록부로서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와,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제 2 피 걸림 볼록부로서의 이면측 볼록부(23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암(22)의 선단 근방에는, 단면이 마름모형상을 이루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암구멍(24)이 상기 암(22)의 표면측에서 이면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도록, 즉 표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와 이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가 동일하게 되도록, 수부재(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암구멍(24)이 1쌍의 암(22)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22)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수부재(2)가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서 형성될 때, 수축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암(22)의 기단(基端)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형성되어 있고, 또 암(22)의 선단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 리브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의 외표면과 암부재(3)의 내표면의 거리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 부위, 즉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기단과 선단에서 특히 짧아진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버클(1)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그러짐(요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암(2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1쌍의 암(22)을 서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진 띠형상의 접속부재로서의 브리지(25)가, 암(22)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되 피걸림부(23)보다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양 단부(25a)의 각각은, 일측의 암(22)에서 타측의 암(22)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의 암(22)에 접속되는 브리지(25)의 단부(25a)는, 당해 일측의 암(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 당해 일측의 암(22)의 기단을 중심으로 당해 일측의 암(22)과 브리지(25)의 접속부가 그리는 원호(C)의 접선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는, 일측의 암(22)과 타측의 암(22)의 중간에 있어서 기단부(21) 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대한 과도한 외력이 상기 1쌍의 암(22)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1쌍의 암(22)의 각각과 브리지(25)의 접속부에는 전단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기단부(21)에 있어서의 상기 1쌍의 암(22)이 형성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버클(1)에 의해서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은,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은,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암부재(3)를 구성하는 표면측 측벽(31)의 4개의 코너부와 이면측 측벽(32)의 4개의 코너부에 있어서, 삽입구(3P) 측의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과 개방구(3D) 측의의 1쌍의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표면과 정합하는 가이드 면(WP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에는,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삽입구(3P)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삽입측 연결벽(WP)에 의해서 그 4개의 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에는,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의 개방구(3D)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그 4개의 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가 가지는 삽입구(3P)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삽입구(3P) 측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삽입구(3P) 측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는, 각각 개방구(3D)를 향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따르도록,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도록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구(3P)에 의하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구(3P)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서로 면대칭하기 때문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기 쉬워지게 된다.
한편, 암부재(3)가 가지는 개방구(3D)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개방구(3D) 측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개방구(3D) 측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서 비대칭이 되도록,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는, 삽입구(3P)를 향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따르도록 표면측 측벽(31)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구(3D)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구(3P)와 마찬가지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의거하는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도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와 같이, 삽입구(3P)를 향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2d)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31d)보다도 삽입구(3P)를 향해서 더욱 오목하게 패인 걸림 가장자리부(32S)를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삽입구(3P)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로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 중앙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단부에서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내측 측방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형성되는 만큼, 개방구(3D)에서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가장자리부(32S)를 구성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와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만이 걸림 가장자리부(32S)에서 노출되도록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내측 중앙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즉,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수부재(2)가 암부재(3)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방구(3D)의 일부가 이면측 볼록부(23B)에 대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걸림부가 별도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서, 암부재(3)의 구성을 보다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측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안내홈(36)은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홈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표면측 삽입홈(36a)과,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의 개방구(3D) 측으로 확장된 걸림홈(36S)을 가지고 있다. 이 걸림홈(36S)을 구성하는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한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의 측벽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측벽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또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안내홈(37)은,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홈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안내홈(37)을 구성하는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한 표면측 삽입홈(36a)과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가지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의 측벽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안내된다.
또한 암부재(3)에는, 상기한 삽입구(3P) 및 개방구(3D) 외에,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암 관통구멍(SH)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좌우방향과 평행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삽입측 연결벽(WP), 및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서 그 4개의 변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암 관통구멍(SH)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한 1쌍의 암(22)이 가지는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3)의 내부에는,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중앙과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연결하는 칸막이판(38)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판(38)에 의해서 삽입구(3P)가 그 길이가 긴 변의 방향으로 2분할됨과 아울러, 암부재(3)의 내부공간(S)이 좌우방향으로 2분할된다. 이것에 의하여, 암부재(3)의 내부에는, 1쌍의 암(22r) 및 암(22l)이 개별로 수용되는 제 1 수용공간(Sr)과 제 2 수용공간(Sl)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버클(1)에서는, 상기 버클(1)을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 1 수용공간(Sr) 및 제 2 수용공간(Sl)의 각각에 좌우 1쌍의 암(22r,22l)이 수용되어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피걸림부(23)가 걸어맞춰지는 상태가,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규정된 조립위치가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38)이 형성됨으로써,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이 휘어지거나 이면측 측벽(32)이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에는 버클(1)에 의해서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부착되는 벨트 부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벨트 부착부(39)에는 버클(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3개의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7 ~ 도 9를 참조하여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조를, 이들 수부재(2) 및 암부재(3)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수부재(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와, 삽입방향에서 본 암부재(3)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대비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1쌍의 암(22) 측의 돌출 방향으로부터 본 수부재(2)를 정면에서 보았을 대의 구조와, 삽입방향에서 본 암부재(3)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대비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수부재(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와, 암부재(3)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대비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를 구성하는 1쌍의 암(22)은, 암 걸림부(22S)에서 내측단까지의 폭(D1)이 암부재(3)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충분히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은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선단부의 폭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있다(D1>D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도 7의 예에서는 X 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도 7의 예에서는 Y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조립될 때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는 도중에서 1쌍의 암(22)의 외측 경사면(22Io) 또는 내측 경사면(22Ii)이,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또는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 맞닿는다. 그 결과,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삽입구(3P)에 1쌍의 암(22)이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1쌍의 암(22)의 각각이 삽입구(3P)에 삽입되는 도중에서 정지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를 구성하는 1쌍의 암(22)의 선단은, 피걸림부(23)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D3)가,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4)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D3<D4). 또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의 선단은, 피걸림부(23)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D3)가,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5)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D3>D5).
한편,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 피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D6)는,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5)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D6<D5).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조립시에는, 표면측 볼록부(23F) 및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방향을 향해서 홈폭이 점차 좁아지는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에 맞닿으면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1쌍의 암(22)이 암부재(3)와 걸어맞춰지는 위치까지 적확하게 안내된다.
또,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조립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삽입구(3P)에 있어서의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면측 볼록부(23F) 및 이면측 볼록부(23B)가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또는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암부재(3)의 수평방향에서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연이어 통하지 않는 위치에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잘못된 조립이 최적하게 억제되게 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의 각각은, 그 선단부에 있어서의 최대 폭이 되는 암 걸림부(22S)에서 내측단까지의 폭(D1)이,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측면과 칸막이판(38)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최대거리(D7)보다 충분히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D1>D7).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최대 폭(D1)은, 삽입구(3P)에서부터 개방구(3D) 측에 형성된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이르기까지의 각 안내홈(36,37)의 측면과 칸막이판(38)의 어느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제 2 수용공간(Sl)에 대한 조립용 암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제 2 암(22l)이 아닌 제 1 암(22r)이 삽입된 경우이더라도, 그 도중에서 제 1 암(22r)의 선단이 칸막이판(38)에 맞닿는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삽입의 도중에서 스스로 정지되어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립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기인하는 잘못된 조립이 억제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일치하는 규정된 방식으로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서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면, 우선 암(22)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WPa)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1쌍의 암(22)의 선단이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어서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을 따라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또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때, 피걸림부(23)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두께(D3)가,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개구 폭(D4)보다 작고, 또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개구 폭(D5)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 것에 의하여(D5<D3<D4), 피걸림부(23)가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측면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각각의 1쌍의 암(22)이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외측 경사면(22Io)이 가이드 면(WPa)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개방구(3D) 측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1쌍의 암(22)이 외측 경사면(22Io)의 형상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내측 경사면(22Ii)이 상기 칸막이판(38)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개방구(3D) 측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1쌍의 암(22)이 외측 경사면(22Io)의 형상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와 같이,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외측 경사면(22Io) 및 내측 경사면(22Ii)과, 각 안내홈(36,37) 및 칸막이판(38)이 함께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1쌍의 암(22) 각각을 삽입구(3P)의 삽입방향으로 유도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폭(D1)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이면서도, 각각의 암(22)이 암부재(3)와 걸어맞춰지는 위치로 원활하게 안내되게 된다.
또, 1쌍의 암(22)의 각각에 있어서의 외표면은, 암 걸림부(22S)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가이드 면(WPa)은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표면과 정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되면, 1쌍의 암(22)의 각각에 있어서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WP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만큼, 암(22)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WPa)에 의해서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 결과,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에 위치할 때에, 1쌍의 암(22)이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가장 크게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하면, 암(22)의 외표면에 대한 가이드 면(WPa)에 의한 눌림상태가 해제되며, 그 후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휘어짐이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에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폭은 삽입구(3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에 따라서 1쌍의 암(22)이 삽입되면, 1쌍의 암(22)은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일정한 비율로 휘어지면서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할 때에 암(22)에 대한 외력이 일단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암 걸림부(22S)와 가이드 면(WPa)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1쌍의 암(22)을 암부재(3)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계속해서 삽입되면,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에 도달하고,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되면, 걸림홈(36S)이 표면측 삽입홈(36a)보다 넓게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또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이면측 안내홈(37)보다 넓게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중앙측으로 휘어져 있던 1쌍의 암(22)이, 상기 걸림홈(36S)의 형상 및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형상을 따라 서로 좌우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측벽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또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부(32S)의 내측 중앙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서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면, 우선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외측 경사면(22Io) 및 내측 경사면(22Ii)이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또는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 맞닿는다. 그리고, 1쌍의 암(22)을 삽입구(3P)에 삽입시키려고 하는 힘이 더욱 가해진다 하더라도,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폭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충분히 큰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쌍의 암(22)의 선단부가 삽입구(3P)에 삽입되는 것이 그 도중에서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 삽입구(3P)에 삽입되는 1쌍의 암(22)을,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선단부의 두께가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작고, 또한, 동 선단부의 폭이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큰 형상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일치하는 규정된 방식으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조립될 때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조립될 때에는,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각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크기 때문에, 구조상, 각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조립의 평활화를 도모하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잘못된 조립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2〉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구(3P)의 개구 가장자리에서부터 개방구(3D)에 걸쳐서, 1쌍의 암(22)을 암부재(3)와 걸어맞춰지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와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피걸림부(23)를 포함한 각 암(22)의 두께(D3)를,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4)보다 작고, 또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5)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조립시에는, 피걸림부(23)가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측면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이 암부재(3)와 걸어맞춰지는 위치까지 적확하게 안내되게 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원활한 조립이 실현된다.
또, 삽입구(3P)에 있어서의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5)보다, 피걸림부(23)를 포함한 각 암의 두께(D3)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암부재(3)의 수평방향에서 걸림 가장자리부(32S)와 연이어 통하지 않은 위치로 각 암(22)이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잘못된 조립이 최적하게 억제되게 된다.
〈3〉 피걸림부(23)를 1쌍의 암(22)이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각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최대 폭(D1)을 칸막이판(38)에 의해 분할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폭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잘못된 조립의 한 형태로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서 삽입구(3P)에 1쌍의 암(22)이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규정된 조립 암{22r(22l)}이 아닌 다른 측의 암{22l(22r)}이 칸막이판(38)에 맞닿는다. 혹은, 각 암(22)의 피걸림부(23)가, 표면측 안내홈(36) 또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맞닿는다. 이와 같은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부재가 맞닿는 것에 의해,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된 형태로 걸어맞춰지는 것이 삽입의 도중에서 스스로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특히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립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기인하는 잘못된 조립이 최적하게 억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암(22)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두께가 피걸림부(23)에 있어서 정해지고, 상기 피걸림부(23)의 부위에 의거하여 선단부에 있어서의 최대 폭(D1)이 정해진다. 따라서,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서로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의 조립, 또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립위치가 어긋난 방식으로 조립되는 상태에서 암(22)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피걸림부(23)가 암부재(3)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4〉 1쌍의 암(22)의 각각의 선단부에,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외측 경사면(22Io) 및 내측 경사면(22Ii)을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은, 그 선단에 있어서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 경사면(22Io)이 가이드 면(WPa)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개방구(3D) 측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외측 경사면(22Io)의 형상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또, 1쌍의 암(22)은, 그 선단에 있어서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경사면(22Ii)이 상기 칸막이판(38)에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개방구(3D) 측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외측 경사면(22Io)의 형상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폭(D1)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2)보다 큰 형상이면서도, 각각의 암(22)이 암부재(3)와 걸어맞춰지는 위치로 원활하게 안내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에 의한 피걸림부(23)를 통한 각 암(22)의 안내와, 삽입구(3P)의 가이드 면(WPa)에 의한 외측 경사면(22Io)을 통한 각 암(22)의 안내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보다 적확하고 원활하게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걸어맞춤을 행할 수 있게 된다.
〈5〉 좌우 1쌍의 암(22r,22l)을, 접속부재인 브리지(25)에 의해 접속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규정된 조립위치와는 다른 형태로 조립되려고 해도, 브리지(25)가 암부재(3)의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또는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하여,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잘못된 조립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암(22)이 브리지(2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수부재(2)로서의 구조상의 안정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를, 일측의 암(22)과 타측의 암(22)의 중간에 있어서 기단부(21)를 향해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쌍의 암(22)의 선단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암부재(3)에 형성된 칸막이판(38)과 브리지(25)가 간섭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 수부재(2)에 브리지(25)가 형성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브리지(25)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1쌍의 암(22)의 사이에, 기단부(21)에서 암(22)의 삽입방향을 향해서 돌출됨과 아울러, 암(22)을 암부재(3)에 삽입할 때에 수부재(2)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 소위 센터 바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암(22)의 간격을 벌리려고 하는 외력이 암(22)에 작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부재(3)의 내부에는 칸막이판(38) 대신에 상기 센터 바를 안내하는 센터 바 안내부를 칸막이판(38)이 형성되어 있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 1쌍의 암(22)의 각각의 선단부에,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외측 경사면(22Io) 및 내측 경사면(22Ii)을 형성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측 경사면(22Io) 혹은 내측 경사면(22Ii)만을 1쌍의 암(22)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기 〈4〉에 준한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것 외에,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형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단면이 반 타원인 형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4〉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것 외에,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형상은 편평하고 팽대하는 형상이 되는 형상이면 좋고,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1쌍의 암(22)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1쌍의 암(22)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이면 좋다.
◎ 암부재(3)의 내부에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38)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칸막이판(38)을 생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피걸림부(23)를 1쌍의 암(22)이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각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최대 폭(D1)을 칸막이판(38)에 의해 분할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폭(D7)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다른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부재(2)와 암부재(3)가 잘못 조립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있어서는, 각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최대 폭(D1)을 칸막이판(38)에 의해 분할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폭 이하가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상기 〈1〉,〈2〉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또, 피걸림부(23)는 1쌍의 암(22)의 선단부 중 걸림 가장자리부(32S)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중앙 근방, 혹은, 외측 단부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 암부재(3)의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표면에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홈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표면측 안내홈(36)을 형성하고, 암부재(3)의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홈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이면측 안내홈(37)을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소정의 곡률에 따라 홈폭이 작아지는 홈을, 암부재(3)의 표면측 측벽(31) 혹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2〉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것 외에,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32p)에서 개방구(3D)를 향해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홈폭이 일정한 홈을, 암부재(3)의 표면측 측벽(31) 혹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즉, 암부재(3)의 표면측 측벽(31) 혹은 이면측 측벽(32)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홈이 1쌍의 암(22)의 선단부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피걸림부(23)를 삽입구(3P)에서부터 걸림 가장자리부(32S)까지 안내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 1쌍의 암(22)을, 피걸림부(23)를 포함한 각 암(22)의 두께(D3)가,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삽입구(3P)의 길이가 짧은 변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4)보다 작고, 또한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D5)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걸림부(23)를 포함한 각 암(22)의 두께(D3)는, 1쌍의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두께방향과 삽입구(3P)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이 일치하는 규정된 조립방식에 있어서,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삽입 가능한 두께이면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1〉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기단위치결정리브(27) 또는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생략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한 〈1〉 ~ 〈5〉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서, 암부재(3)의 내측면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이 상기 볼록 리브에 눌려지는 구성이면,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생략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수부재(2)의 요동을 경감시킬 수 있다.
◎ 개방구(3D)에 있어서의 걸림 가장자리부(32S)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중앙 가장자리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측방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해서 예를 들면, 암(22)의 삽입방향, 혹은 암(22)의 이탈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걸림 가장자리부(32S)가 형성되어도 좋다.
◎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선단 근방에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형성되고, 또한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선단 근방에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변경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개소가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부(32S)로 한정되는 구성, 즉 표면측 볼록부(23F)가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표면측 볼록부(23F) 외에 표면측 안내홈(3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1〉에 준한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 또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개소가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림홈(36S)으로 한정되는 구성, 즉 이면측 볼록부(23B)가 생략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이면측 볼록부(23B)의 외에, 이면측 안내홈(37)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1〉에 준한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버클 2 - 수부재
3 - 암부재 21 - 기단부
22,22r,22l - 암 22S - 암 걸림부
22Ii - 내측 경사면 22Io - 외측 경사면
23 - 피걸림부 23B - 이면측 볼록부
23F - 표면측 볼록부 24 - 암구멍
24a - 내주면 25 - 브리지
25a - 단부 25b - 중간부
26 - 벨트 유지부 27 - 기단위치결정리브
28 - 선단위치결정리브 31 - 표면측 측벽
31p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부 31d -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부
32 - 이면측 측벽 32d -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부
32p -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부 32S - 걸림 가장자리부
3P - 삽입구 3D - 개방구
36 - 표면측 안내홈 36a - 표면측 삽입홈
36S - 걸림홈 37 - 이면측 안내홈
38 - 칸막이판 39 - 벨트 부착부
WD - 개방측 연결벽 WP - 삽입측 연결벽
WDa - 가이드 면 SH - 암 관통구멍
Sr - 제 1 수용공간 Sl - 제 2 수용공간

Claims (5)

  1. 편평하고 팽대(膨大)하는 형상의 선단부를 가진 1쌍의 암을 가지는 수부재와,
    상기 1쌍의 암이 삽입되는 편평한 개구인 삽입구를 일측의 단부에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해당 1쌍의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해당 1쌍의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의 두께방향으로 돌출하는 피걸림부를 상기 선단부에 가지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한 상판과 하판을 가지며, 해당 상판 혹은 하판 중 적어도 일측의 내표면에는, 상기 피걸림부와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와,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걸림부까지 상기 피걸림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걸림부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의 두께가, 상기 안내홈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작고, 또한, 상기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짧은 변의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길이가 긴 변의 방향으로 상기 삽입구를 2분할하는 칸막이판을 가지고,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이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에 형성된 1쌍의 상기 피걸림부의 각각을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걸림부까지 연장되는 측면을 따라 안내하는 것이며,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최대 폭은 상기 안내홈의 측면과 상기 칸막이판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을 하는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선단부는 상기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버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10053879A 2010-06-07 2011-06-03 버클 KR101253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0516 2010-06-07
JP2010130516A JP5469541B2 (ja) 2010-06-07 2010-06-07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90A true KR20110134290A (ko) 2011-12-14
KR101253442B1 KR101253442B1 (ko) 2013-04-11

Family

ID=4509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879A KR101253442B1 (ko) 2010-06-07 2011-06-03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69541B2 (ko)
KR (1) KR101253442B1 (ko)
TW (1) TWI486133B (ko)
WO (1) WO20111554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1187B2 (ja) * 2000-09-27 2005-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775725B2 (ja) * 2000-09-28 2006-05-1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08178570A (ja) * 2007-01-25 2008-08-07 Ykk Corp バックル
JP5651282B2 (ja) *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1213328B1 (ko) * 2008-01-23 2012-12-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5452A1 (ja) 2011-12-15
TWI486133B (zh) 2015-06-01
JP2011254915A (ja) 2011-12-22
KR101253442B1 (ko) 2013-04-11
JP5469541B2 (ja) 2014-04-16
TW201200055A (en) 201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38B1 (ko) 버클
US9936771B2 (en) Buckle
JP5990140B2 (ja) コネクタ
JPWO2014141387A1 (ja) バックル
KR101233913B1 (ko) 버클
JP4032925B2 (ja) コネクタ
KR101253442B1 (ko) 버클
CN102544869B (zh) 连接器
WO2010101217A1 (ja) 鍵付きバックル
KR101242935B1 (ko) 버클
KR101241665B1 (ko) 버클
JP6605296B2 (ja) バックル
KR101241560B1 (ko) 버클
KR101233956B1 (ko) 버클
CN216850496U (zh) Mpo连接器
JP202108255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