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251A - 시설물지주 보강재 - Google Patents

시설물지주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251A
KR20110134251A KR1020100089200A KR20100089200A KR20110134251A KR 20110134251 A KR20110134251 A KR 20110134251A KR 1020100089200 A KR1020100089200 A KR 1020100089200A KR 20100089200 A KR20100089200 A KR 20100089200A KR 20110134251 A KR20110134251 A KR 2011013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cility
holding
reinforceme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표
Original Assignee
이윤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표 filed Critical 이윤표
Priority to KR102011005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295A/ko
Publication of KR2011013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with movable anchoring elements; with separately driven anchor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설물지주 설치시 시설물지주 하부가 지중에 매립되어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여주는 시설물지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설물지주 삽입시 시설물지주 하부 외측의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으로 벌어져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여 별도의 근가 설치 없이 시설물지주를 설치할 수 있는 지주보강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시설물지주 설치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시설물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지주보강재 상단을 망치로 쳐서 지중에 박아 넣으면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서서히 수직으로 삽입되면서 지주보강재 하단 외측에 부착된 지지대가 수평으로 펼쳐지며 지중으로 삽입되 지주보강재는 지중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주보강재 내측에 필요한 만큼의 지주보강재를 삽입하여 타입봉을 이용 내측에 삽입된 지주보강재를 지중으로 삽입시키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필요한 만큼의 시설물지주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에서 시설물지주를 설치시 발생하는 시설물지주의 기울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물지주 하단에 별도의 근가를 설치하거나, 커다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손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설물지주 보강재 {Pole Armature}
본 고안은 연약지반에서의 시설물지주 설치시 시설물지주 하부에 부착되어 지중에 매립,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여주는 시설물지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3, 도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물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지주보강재 상단을 망치로 쳐서 하단을 지중에 박아 넣으면 지주보강재 하단부가 지중에 서서히 수직 삽입되면서 하단 외측에 지지대가 수평으로 펼쳐지고 지주보강재는 지중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주보강재 내측에 필요한 만큼의 지주보강재를 삽입하여 타입봉을 이용 내측에 삽입된 지주보강재를 지중으로 삽입시키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필요한 만큼의 시설물지주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연약지반에서 별도의 터파기나, 근가의 설치없이 시설물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지주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설물지주 설치는 지중에 터파기를 하고 시설물지주 하부를 터파기한 구덩이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설물지주 하단에 별도의 근가를 설치하며, 또한 기초콘크리트를 지중에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단의 기초볼트에 시설물지주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일련의 시설물지주 설치작업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연약지반에서 이러한 종래의 터파기 후 시설물지주를 직접 매립하거나,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한 후 시설물지주를 설치하면 일정시간 경과 후 시설물지주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약간의 외부 충격으로 시설물지주가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에서 시설물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ㅂ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시설물지주 설치시 시설물지주 하부 외측의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으로 벌어져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여 별도의 근가 설치 없이 시설물지주를 설치할 수 있는 지주보강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시설물지주 설치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시설물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지주보강재 상단을 망치로 쳐서 지중에 박아 넣으면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서서히 삽입되면서 지주보강재 하단 외측에 부착된 지지대의 하단부 지지대돌기가 지중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대가 수평으로 펼쳐지고 지주보강재는 지중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주보강재 내측에 필요한 만큼의 지주보강재를 삽입하여 타입봉을 이용 내측에 삽입된 지주보강재를 지중으로 삽입시키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필요한 만큼의 시설물지주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주보강재 상단 내측에 시설물지주 하단을 일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시설물지주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파놓은 수직구덩이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시킨다음, 시설물지주에 부착된 윈치의 와이어를 지지대밭침대에 부착된 와이어걸이에 걸고 윈치를 감으면 시설물지주는 지중으로 서서히 수직 삽입되면서, 시설물지주 하단이 부착된 지주보강재의 지지대 내측을 누르면서 지지대 하단의 지지대돌기가 지중으로 수평 삽입되고, 지지대는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지주보강재를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켜 줌으로써 연약지반에서 별도의 터파기나, 근가의 설치 없이 시설물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지주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보강재 하부의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으로 펼쳐져 지중에 고정됨으로써 연약지반에서 시설물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시설물지주의 기울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물지주 하단에 별도의 근가를 설치하거나 또는 커다란 콘크리트 구조물 기초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시설물지주에 시설물지주 받침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제작되어 운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장비진입이 어렵거나, 산비탈, 정원 등 작업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다단으로 지주보강재의 설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시설물지주를 설치할 수 있다.
도면 1은 기존의 시설물지주 설치상태도
도면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단지주보강재 구성도
도면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단지주보강재 설치도
도면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독지주보강재 구성 및 설치도
도면 5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지주보강재 구성 및 설치도
도면 6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지주보강재 설치도
본 고안에 의한 시설물지주의 설치구조는 도3, 도4, 도5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3가지 형태의 다단지주보강재(60), 단독지주보강재(70), 결합지주보강재(80)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도3의 다단지주보강재(60) 설치도를 보면, 외측지주보강재(20) 내측에 일직으로 중간지주보강재(30)을 삽입시키고, 삽입된 중간지주보강재(30) 내측에 일직으로 내측지주보강재(40)을 삽입하여 지주보강재를 결합하여 다단지주보강재(60)를 만든다.
다단지주보강재(60)를 시설물지주 설치 위치에 두고 다단지주보강재(60) 상단에 외측타입봉(50)을 대고 외측타입봉(50) 상면을 망치로 쳐서 다단지지주보강재(60)를 서서히 지중에 수직 삽입시키면, 다단지주보강재(60) 하단 외측의 외측지지대(24)는 하단부의 뾰족한 형태의 외측지지대돌기(26)가 지중으로 파고들며, 외측지지대(24)는 서서히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외측지지대(24) 상단이 외측지지대삽입홈(23) 내측에 삽입, 지중에 수평으로 벌어져 설치된다.
다단지주보강재(60)가 지중에 설치되면, 중간타입봉(51)을 설치된 다단지주보강재(60) 상단 내측의 중간지주보강재(30)에 대고 중간타입봉(51)의 상면을 망치로 쳐서 중간지주보강재(30)을 지중에 서서히 수직 삽입시키면 중간지주보강재(30) 하단 외측의 중간지지대(34)는 하단부의 뾰족한 형태의 중간지지대돌기(36)가 지중으로 파고들며, 중간지지대(34)는 서서히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중간지지대(34) 상단이 중간지지대삽입홈(33) 내측에 삽입, 지중에 수평으로 벌어져 설치되고, 중간지주보강재(30) 상단의 중간상부걸림턱(31)이 외측하단 외측지지대삽입홈(23) 내측에 삽입된 외측지지대(24) 상단에 고정되어 중간지주보강재(30)의 추가 지중삽입을 방지하고, 외측지지대(24)를 수평상태로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중간지주보강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측타입봉(52)을 다단지주보강재(60) 상단 내측의 내측지주보강재(40)에 대고 내측타입봉(52)의 상면을 망치로 쳐서 내측지주보강재(40)을 지중에 서서히 삽입시키면 내측지주보강재(40) 하단 외측에 부착된 내측지지대(44)는 하단부의 뾰족한 형태의 내측지지대돌기(46)가 지중으로 파고들며 서서히 수평으로 벌어지고 내측지지대(44) 상단이 지지대고정판(42) 하단을 밀고 내측지지대삽입홈(43) 내측에 삽입되면서 지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내측지지대삽입홈(43)에 삽입된 내측지지대(44) 상단의 상면이 지지대고정판(42) 하단에 결합 고정되고, 내측지주보강재(40) 상단의 내측상부걸림턱(41)이 외측 하단 중간지지대삽입홈(33) 내측에 삽입된 중간지지대(34) 상단에 고정되어 내측지주보강재(40)의 추가 지중 삽입을 방지하고, 중간지지대(34)를 수평상태로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다단지주보강재(6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단지주보강재(60) 상단의 외측보강재플랜지부(21)에 플랜지시설물지주(10) 하단의 플랜지부(11)을 대고 플랜지결합홈(12)에 일치시킨 후 플렌지결합 볼트/너트(22)로 단단히 조여 설치를 완료한다.
또한 도4의 단독지주보강재(70) 구성 및 설치도를 보면 시설물지주 설치위치에 단독지주보강재(70)를 놓고 상단에 외측타입봉(50)을 대고 외측타입봉(50) 상면을 망치로 치면 단독지주보강재(70) 하부가 지중에 서서히 수직 삽입되면서 단독지주보강재(70) 외측 하단에 부착된 지지대(74)의 하단 지지대돌기(78)가 지중에 삽입되면서 지지대(74) 상단의 고정핀(73)과 결합되어 있는 지지대회전돌기(75)가 고정핀고정돌기(75)를 누루면 고정핀스프링(77)은 수축되면서 고정핀고정돌기(76)가 고정핀(73) 내측으로 삽입되고 지지대회전돌기(75)의 끝이 고정핀고정돌기(76)의 끝을 지나면 고정핀고정돌기(76)는 다시 튀어나와 지지대(74)가 반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지지대(74)는 수평으로 벌어지고 단독지주보강재(70)의 지중 설치가 완료된다.
단독지주보강재(70)의 지중설치가 완료되면 단독지주보강재(70) 상단 내측에 시설물지주 하부를 일직으로 삽입 후 고정볼트/너트(72)로 시설물지주를 단독지주보강재에 고정 결합시켜 시설물지주의 설치를 완료한다.
아울러, 도5, 도6의 결합지주보강재(80)의 구성 및 설치도를 보면 설치할 시설물지주의 적당한 위치에 윈치(83)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와이어삽입홈(81)과 와이어고정볼트(82)를 각각 설치하고, 결합지주보강재(80)의 상단결합부를 시설물지주 하부 외측에 일직으로 삽입 후 지주고정볼트/너트(84)로 시설물지주와 결합지주보강재(80)를 결합 고정시킨다.
시설물지주에 부착된 윈치(83)의 와이어(90)를 와이어삽입홈(81)을 통하여 시설물지주 내측에 삽입 후 결합지주보강재(80) 하단의 지지대받침대(88)에 부착돤 와이어걸이(89)에 고정 결합시킨다.
결합지주보강재(80)의 시설물지주 결합이 완료되면 시설물지주를 설치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해놓은 수직구덩이 내측에 일직으로 시설물지주를 삽입시키면서 시설물지주에 부착된 윈치(83)를 이용하여 지지대받침대(88)에 부착된 와이어(90)를 서서히 감으면 시설물지주는 결합지주보강재(80)와 결합된 시설물지주의 하부가 지지대(85)를 누르면서 지중으로 수직 삽입되고, 지지대(85)는 지지대(85) 끝에 부착된 지지대돌기(86)가 지중으로 파고들면서 지지대이동홈(87)을 따라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지중에 설치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윈치(83)에 부착된 와이어(90)를 와이어고정볼트(83)에 고정시켜 지지대(85)가 수평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 으로써 결합지주보강재(80)의 설치를 완료한다.
10. 플랜지시설물지주 11. 지주플랜지 12.플랜지결합홈
20. 외측지주보강재 21. 외측플랜지 22. 플랜지고정 볼트/너트
23.지지대삽입홈 24.외측지지대 25.외측지지대돌기
30. 중간지주보강재 31.중간상부걸림턱 33.중간지지대삽입홈
34. 중간지지대 35.중간지지대돌기
40. 내측지주보강재 41.내측상부걸림턱 42.지지대고정판
43.내측지지대삽입홈 44.내측지지대 45.내측지지대돌기
50. 외측타입봉 51.중간타입봉 52.내측타입봉
60. 결합지주보강재
70. 단독지주보강재 71.시설물지주 결합부 72.지주고정 볼트/너트
73.고정핀 74.지지대 75.지지대회전돌기
76.고정핀고정돌기 77.고정핀스프링
80. 삽입지주보강재 81.와이어삽입홈 82.와이어고정볼트
83. 윈치 84. 기주고정볼트/너트 85.지지대
86.지지대돌기 87.지지대이동홈 88.지지대받침대
89.와이어걸이 90.와이어

Claims (5)

  1. 상단에 시설물지주를 결합할수 있는 플랜지부; 하단 외측의 외측지지대;
    외측지지대가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외측지지대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외측지지대 삽입홈;이 포함되고, 중간지주보강재가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외측지주보강재;
    외측보강재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되고, 상단에 외측지주보강재의 지지대를 수평으로 고정시켜주는 상부걸림턱; 하단 외측의 지지대; 지지대가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대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대삽입홈;이 포함되고 내측지주보강재가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중간지주보강재;
    중간보강재 내측에 일직으로 삽입되고 상단에는 중간지주보강재의 지지대를 수평으로 고정시켜주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중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화살촉형태의 뾰족돌기; 하단 외측에 부착된 지지대가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대상단이 지지대고정판 하단을 밀고 지주내측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삽입홈; 지지대가 수평으로 펼쳐지면 지지대 상면에 부착되어 지지대를 고정시켜주는 지지대고정판;이 구성된 내측지주보강재;
    상황에 따라 2단, 3단, 4단등 다양한 형태로 다단 결합하여 지중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다단지주보강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지주보강재의 하단외측에 부착된 지지대는 각 지주보강재가 지중에 삽입시 자연스럽게 바같으로 벌어져 지중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대 상부는 넓고 하부는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또는 감각뿔 구조로 형성된 지지대; 지지대 하단에는 지지대의 수평지중 삽입을 보조해주는 바같쪽으로 휘어진 뾰족안 형태의 지지대돌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지주보강재
  3. 청구항1에 있어서 내측지주보강재 하단의 지지대고정판은 지지대가 벌어지면서 지지대상단부가 지지대고정판 하단부를 밀면서 지주보강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지대삽입홈; 지지대고정판 하단이 지지대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대의 수평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지지대고정판; 수평으로 벌어져 상단이 지지대고정판 하단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대;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 내측지주보강재 설치구조
  4. 상단에 시설물지주를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시설물지주결합부;
    결합부에 삽입된 시설물지주를 고정시켜주는 지주고정볼트/너트;
    결합부 하단에 부착되어 지중에 삽입되는 끝이 화살촉 형태의 지주보강재 고정핀;
    지주보강재 고정핀 하단 외측에 부착되어 지주보강재 지중삽입시 수평으로 벌어져 지주보강재의 지지력을 확보하여주는 지지대;
    지지대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
    지지대가 수평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질수 있도록 기어형태로 형성된 지지대회전돌기;
    지지대회전돌기와 맞물리면서 지지대가 역방향으로 움직이지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핀고정돌기;
    고정핀고정돌기가 회전돌기와 맞물려 고정돌기를 고정핀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수축하는 고정핀스프링;이 더 포함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지주보강재 설치구조
  5. 상단에 시설물지주 하부를 내측에 수직으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시설물지주결합부; 결합부에 삽입된 시설물지주를 고정시켜주는 지주고정볼트/너트;
    결합부 하단에 지지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이동홈;
    지지대를 고정시켜주는 지지대하부 받침대;
    지지대를 당겨주기 위한 윈치에 부착된 와이어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지지대받침대에 형성된 와이어걸이;
    지지대가 원활하게 수평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지지대받침데에 형성된 지지대고정회전핀;
    시설물지주 지중 삽입시 지지대이동홈을 따라 수평으로 벌어져 지중에 삽입고정되는 끝이 휘어진 역삼각형 구조를 갖는 지지대;
    시설물지주에 부착된 윈치를 감으면 와이어는 윈치에 감기면서 시설물지주하부가 결합된 지주보강재의 지지대를 누르면서 시설물지주는 지중에 수직삽입되고 지지대는 수평으로 벌어져 지주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결합지주보강재 설치구조
KR1020100089200A 2010-06-08 2010-09-13 시설물지주 보강재 KR20110134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296A KR20110134295A (ko) 2010-06-08 2011-06-07 시설물지주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3768 2010-06-08
KR1020100053768 2010-06-08
KR1020100071707 2010-07-25
KR20100071707 2010-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51A true KR20110134251A (ko) 2011-12-14

Family

ID=455016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00A KR20110134251A (ko) 2010-06-08 2010-09-13 시설물지주 보강재
KR1020110054296A KR20110134295A (ko) 2010-06-08 2011-06-07 시설물지주 보강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296A KR20110134295A (ko) 2010-06-08 2011-06-07 시설물지주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1342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27A (ko) * 2018-12-03 2020-06-11 김현정 지형에 따라 지지구조물의 지지가 용이한 근가장치
KR102307525B1 (ko) * 2021-03-30 2021-10-01 조상엽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용 보강지주
CN114215417A (zh) * 2021-12-27 2022-03-22 重庆三电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电塔建设的塔墩
KR20220075042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진정보기술 환경친화형 통신용 강관주
KR102512927B1 (ko) * 2022-11-30 2023-03-22 유니온산업 주식회사 난간용 로프고정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05Y1 (ko) * 2013-05-02 2013-11-13 주식회사 톤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KR200476162Y1 (ko) * 2014-11-17 2015-02-03 이윤표 조립식파이프기초
KR101982632B1 (ko) * 2017-12-29 2019-05-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감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27A (ko) * 2018-12-03 2020-06-11 김현정 지형에 따라 지지구조물의 지지가 용이한 근가장치
KR20220075042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진정보기술 환경친화형 통신용 강관주
KR102307525B1 (ko) * 2021-03-30 2021-10-01 조상엽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용 보강지주
CN114215417A (zh) * 2021-12-27 2022-03-22 重庆三电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电塔建设的塔墩
KR102512927B1 (ko) * 2022-11-30 2023-03-22 유니온산업 주식회사 난간용 로프고정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95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251A (ko) 시설물지주 보강재
CN101981258B (zh) 塔地基系统
US681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tabilizing subsided slabs, flatwork and foundations of buildings
KR101554513B1 (ko) 조경법면 설치구조물 및 농작물 지지대와 시설물 보호에 사용되는 앵커핀
US10140894B2 (en) Yard sign anchor and stabilizer
KR100982566B1 (ko) 건축 조경용 수목보호대
US20190010727A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CN106592611A (zh) 混凝土防护板、生态边坡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692203B1 (ko) 메쉬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면매설용 중심 가이드장치
JP6795354B2 (ja) 支柱の立設装置
KR101595306B1 (ko) 회전에 의한 기계식 정착형 어스 앵커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30002676U (ko) 시설물지주 콘크리트 다단기초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63978B1 (ko) 유물 발굴용 임시 지상구조물
JP2007166974A (ja) 分解移動可能な組立式パイプハウス
US20090064633A1 (en) Telescopic Post and Bracing System for Bedrock Locations
KR101670472B1 (ko)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
KR200329996Y1 (ko)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JP6452056B1 (ja) ポール取付け用の埋設台座
JP2009084864A (ja) 落石防護兼雪崩予防施設
KR200477655Y1 (ko)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
KR200405207Y1 (ko) 도로용 가시설 설치대 구조
CN214460444U (zh) 基坑边坡支护加固装置
JP3711439B2 (ja) 植栽樹木の根鉢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