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62Y1 - 조립식파이프기초 - Google Patents

조립식파이프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62Y1
KR200476162Y1 KR2020140008405U KR20140008405U KR200476162Y1 KR 200476162 Y1 KR200476162 Y1 KR 200476162Y1 KR 2020140008405 U KR2020140008405 U KR 2020140008405U KR 20140008405 U KR20140008405 U KR 20140008405U KR 200476162 Y1 KR200476162 Y1 KR 200476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able support
pipe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표
Original Assignee
이윤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표 filed Critical 이윤표
Priority to KR2020140008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설물지주 설치시 시설물지주 하부에 부착되어 지중에 매립,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해주는 시설물지주 기초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콘크리트기초 설치에 따른 제작, 운반, 시공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설물지주 기초의 시공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시설물지주 설치를 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조건에 맞게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설치 후 지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또는 프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탈,착 이 가능한 조립식구조의 지주기초(20)을; 구성하였으며, 가장 먼저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되는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 그리고 고정지지대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 (72,77,82,88)과 결합하여 지중에 삽입,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로; 구성된 조립식 파이프기초로 경량이며, 조립식구조로 이루어져 시공 및 철거가 쉽고 간편하여 울타리기초 등 시설물지주의 설치에 있어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조립식파이프기초{Assembling type pipe base}
본 고안은 시설물지주 설치시 시설물지주 하부에 부착되어 지중에 매립,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해주는 시설물지주 기초에 관한 것으로 울타리지주, 가로등지주 등 시설물지주를 설치하는데 있어 기존의 터파기와 무거운 콘크리트 기초의 사용 대신에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로 구성된 조립식파이프기초로 되어 있어 터파기가 필요 없고, 경량으로 운반과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한 조립식파이프기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지주 기초는 울타리기초, 가로등기초 등 일상생활 속에 매우 폭넓게 이용되고 도1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설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시설물지주 설치위치에 터파기를 한 후 시설물지주 하부를 일정 깊이로 구덩이을 파고 구덩이에 묻어서 설치하거나, 시설물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설물지주 하단에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거나, 일정크기의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 상단의 기초볼트를 이용하여 시설물지주와 결합하거나, 또는 기초 콘크리트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시설물지주를 삽입, 결합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설물 지주의 설치작업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시설물지주 설치는 터파기 후 시설물지주를 직접 매립하거나, 시설물지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기초의 제작 및 운반과 지중에 콘크리트기초를 설치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는 등의 많은 시간과 비용의 발생 문제와 더불어, 철거시에도 땅을 파거나, 콘크리트기초를 제거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보완하여 본 고안자가 시설물지주보강재(2011. 06. 07 출원번호 10-2011-0054296)와 시설물지주 콘크리트 다단기초(2012. 03. 30 출원번호 20-2012-0002590)을 출원하였으며, 출원중인 방식 또한 일체형 기초구조로 시설물지주의 크기나 주변상황 등에 따라 상황에 맞는 기초를 각각 제작하여야 하며, 땅속에 삽입되는 고정지지대와 가동지지대의 땅속에서의 고정이 완벽하지 않아 설치 후 한쪽으로 기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이 우려된다. 이와 더불어 기초와 시설물지주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설치 후 일정부분 시간이 지나면 시설물지주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반과 시공 및 철거가 간편하고 다양한 환경조건에 맞게 시설물지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주기초의 탈,착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만들었으며, 땅속에 삽입되는 기초의 고정을 확실하게 확보하여 설치된 시설물지주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립식 파이프 기초의 가동지지대와 고정지지대 결합방식을 개발함으로써, 시설물지주 기초의 시공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시설물지주 설치를 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이프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조건에 맞게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설치 후 지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또는 프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탈,착 이 가능한 조립식구조의 지주기초(20)을; 구성하였으며, 가장 먼저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되는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 그리고 고정지지대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77,82,88)과 결합하여 지중에 삽입,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로; 구성된 조립식 파이프기초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환경조건에 맞게 시설물지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주기초의 탈,착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시설물지주 기초의 시공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기존의 시설물지주 설치도
도2 본 고안의 지주기초 구성도
도3 본 고안의 분리형가동지지대 구성도
도4 본 고안의 일체형가동지지대 구성도
도5 본 고안의 플렌지형고정지지대 구성도
도6 본 고안의 파이프형고정지지대 구성도
도7 본 고안의 플렌지형고정지지대 설치도(분리형)
도8 본 고안의 플렌지형고정지지대 설치도(일체형)
도9 본 고안의 파이프형고정지지대 설치도(분리형)
도10 본 고안의 파이프형고정지지대 설치도(일체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시설물지주(10)의 설치를 위한 기초의 구조는 대표적으로 콘크리트 기초가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기초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콘크리트 구조물과 기초상면에 구성되어 시설물지주(10)와 결합되는 기초볼트와 같은 지표면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자가 고안한 조립식 파이프기초의 지표면구조물은 지표면에 설치되어 시설물지주(10)와 결합하는 지주기초(20), 지주기초(20)와 결합하는 상부파이프지지대(51,61,76,86)로 구성되며,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설치구조는 고정지지대(74,79,84,89)와 가동지지대(53,63)가 결합된 형태의 파이프기초 설치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시설물지주(10) 설치에 있어서 지중에 설치되는 파이프기초와 지표면에 설치되는 지주기초(20) 및 상부파이프지지대(51,61,76,86)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2~6에서 예시된 구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기초(2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기주기초(20)와 결합될 시설물지주(10)는 하단에 지주고정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지주기초(20)는 중앙 내측에 상부파이프지지대(51,61)와 결합 될 상부파이프지지대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기주기초(20) 외측에는 시설물지주(10) 하단에 형성된 지주고정구멍(11)과 결합될 지주고정나사홈(22) 형성되어 있으며, 지주기초(10) 하단에는 플렌지고정지지대(70,80)의 상부플렌지(71,81)에 형성된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73,83)과 결합 될 지주기초고정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지지대의 2가지 형태인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공통점은 각 가동지지대의 상단 내측에는 고정너트나사홈(52, 62)에 고정너트(57,65)가 결합, 고정되어 있는 점이며, 차이점은 분리형가동지지대(50)는 별도로 가동지지대(53)가 갖추어져 있으며, 일체형가동지지대(60)는 파이프를 세로로 부분적으로 절단한 형태의 가동지지대(63)가 상부파이프지지대(61)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형가동지지대(50)는 상부파이프지지대(51) 하단에 하단플렌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플렌지(56)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54)과 가동지지대고정돌기(5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체형가동지지대(60)는 상부파이프지지대(61) 하단에 가동지지대(63) 다수 개가 각각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동지지대(63)의 상단과 상부파이프지지대(61) 하단 경계지점에는 가동지지대(63)의 지중삽입 시 원활한 지중삽입 및 고정을 위하여 약간 둥그렇게 안쪽으로 구부러진 가동지지대상부홈(64)이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지지대의 2가지 형태인 플렌지형고정지지대 (70,80)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의 구성도이며, 도 6은 파이프형가동지지대(75,85)의 구성도로 가동지지대(53,63)의 형태에 따라 가동지지대이동구멍 (72,76,82,87)의 형태와 구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2가지 형태의 고정지지대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비교적 경량구조의 시설물지주(10)을 설치하기 위한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는 상부플렌지(71,81) 중앙아랫면에 고정지지대(74,84)가 형성되고, 상부플렌지(71,81) 내측에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82)과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73,8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82)의 구멍 내측과 내측 사이의 간격은 삽입되는 가동지지대(53,63)의 직선간격보다 약 5~10MMm 정도 넓게 형성되어 있어 가동지지대(53,63)가 지중에 삽입 시 벌어지면서 삽입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립식파이프기초의 다단설치가 가능하여 중량구조의 시설물지주(10)설치에 유리한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는 상부파이프지지대(51,61) 하단 내측중앙에 고정지지대(79,89), 하단 외측면에 가동지지대이동구멍(77,87), 외측 상단 1/3 지점에 지중삽입경계표시(9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체형가동지지대(62)와 분리형가동지지대(53)의 가동지지대(53,63)형태와 갯수에 따라 가동지지대이동구멍 (72,76,82,87)의 형태와 갯수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구성된다는 점이다.
도 7과 도 8은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와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결합설치 과정과 플렌지형고정지지대(8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결합설치 과정을 나타낸 프렌지형고정지지대(70,80)을 이용한 조립식파이프기초 설치상세도이며,
도 9와 도 10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와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결합설치 과정과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결합설치 과정을 나타낸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을이용한 조립식파이프기초 설치상세도 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에서 예시한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을 이용한 조립식파이프기초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가동지지대(50) 하단에 하단플렌지(56)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하단플렌지(56) 내측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54)에 가동지지대(53)을 서로 엇갈리게 대각선으로 삽입하고, 고정너트(57)을 상부파이프지지대(51)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고정너트나사홈(52)에 결합, 고정시켜 분리형가동지지대(50) 조립을 완료한다.
시설물지주(10)을 설치할 위치에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의 플렌지상단을 망치로 쳐서 상부플렌지(71,81) 아랫면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대 (74,84)을 지중에 삽입시켜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의 설치를 완료한다.
먼저 도 7에서 예시한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설치완료된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의 상부플렌지(71)상면 내측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에 조립완료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가동지지대(53)의 하단 끝 부분을 일치시켜 결합시킨 후, 망치로 결합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상단을 내리치면, 가동지지대(53)는 상단부가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상단 내측에 결합된 고정너트(57)의 하단에 걸려 위로 상승할 수 없고, 또한 삽입되는 가동지지대(53)의 지지대간 직선거리가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 구멍간 내측 사이의 거리보다 적으므로 망치로 내려치는 힘에 의하여 하단플렌지(56)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 (54)과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의 상부플렌지(71)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 (72)을 따라 삽입각이 벌어지면서 지중에 서서히 삽입, 고정된다.
이때,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가동지지대(53)는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하단플렌지(56)에 형성된 가동지지대고정돌기(54)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가동지지대(53)는 분리형가동지지대(50)에 더욱 더 단단히 결합된다.
도 8에서 예시한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일체형가동지지대(60)는 별도의 조립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외측 중간 하단에 형성된 가동지지대(63)의 끝 부분을 플렌지형고정지지대(80)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과 일치시켜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상면을 망치로 내리치면 가동지지대(63)는 상단부분에 가동지지대상부홈(63) 둥그렇게 구부려 가공되어 있어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을 따라 지중에 삽입될 때, 구부러진 부분이 휘어지면서 가동지지대(63)가 지중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고정지지대와 가동지지대의 결합설치가 완료된다.
가동지지대(53,63)의 플렌지형고정지지대(80,70) 결합설치가 완료되면 지표면에는 플렌지형고정지지대(71,81) 상면에 지주기초(20)와 결합될 상부파이프지지대(51,61)가 형성된다.
형성된 상부파이프지지대(51,61) 외측에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지주기초(20)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파이프기초결합구멍(21) 내측을 일직으로 삽입하고, 지주기초(20) 하단에 형성된 지주기초고정돌기(23)을 플렌지형고정지지대(71,81)의 플렌지에 형성된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73,83)에 일치시킨 후 지주기초(20) 중앙 상단에 고정와샤(42)을 놓고 고정볼트(40)을 지주기초(20) 내측에 결합된 상부파이프지지대(51,61)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고정너트나사홈(52,62)에 결합되어 설치된 고정너트(65, 57)와 일치시켜 고정시키면,
지주기초(20)는 지주기초고정돌기(23)가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73,83)을 따라 지주에 삽입되면서 지주기초(20)가 플렌지형고정지지대(71,81)로부터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키며, 고정볼트(40)는 분리형 및 일체형가동지지대(50,60)와 지주기초(20)을 단단히 결합시켜 지주기초(20)의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 완료된 지주기초(20)의 외측면에 설치될 시설물지주(10)의 내측크기와 설치된 지주기초(20) 외측크기를 비교하여 설치 후 시설물지주(10)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주간격조절판(30)을 지주고정나사홈 (22)이 가려지지 않도록 설치하고, 시설물지주(10) 내측을 지주지초(20)외측에 일직으로 삽입시킨 다음 고정볼트(40)로 시설물지주(10) 하단에 형성된 지주고정구멍(11)과 지주기초(20) 외측면에 형성된 지주고정홈(22)을 일치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시설물지주(10)의 설치를 완료한다.
도 9 및 도 10의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을 이용한 조립식파이프기초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서 예시한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와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조립을 완료한 후,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내측에 일직으로 조립완료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 외측을 삽입하고,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77)에 삽입된 가동지지대(53)의 하단 끝 부분을 일치시켜 결합시키면, 분리형가동지지대(50)는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외측에는 가동지지대(53) 끝 부분이 돌출, 형성된 상태로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와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결합이 완료된다.
시설물지주(10) 설치위치에 결합완료된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상면을 망치로 내려치면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대(78)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하단부분이 지중삽입경계표시(90)까지 지중에 서서히 삽입 고정되며, 지표면에 지주기초(20)와 결합될 상부파이프지지대(76)만 남고 나머지 부분은 지중에 묻힌 형태가 된다.
타입봉을 이용하여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의 내측에 결합되어 설치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상단을 내리치면 도 7 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형 가동지지대(50)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을 따라 지중에 벌어지면서 삽입되고 가동지지대고정돌기(55)에 고정됨으로써 고정지지대와 가동지지대의 결합설치가 완료된다.
도 10에서 예시한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내측에 일직으로 일체형가동지지대(60) 외측을 삽입하고,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87)에 삽입된 가동지지대(63)의 하단 끝 부분을 일치시켜 결합시키면, 일체형가동지지대 (60)는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 내측에 삽입, 결합 되고, 외측에는 가동지지대(63) 끝 부분이 돌출, 형성된 상태로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와 분리형가동지지대 (60)의 결합이 완료된다.
시설물지주(10) 설치위치에 결합완료된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상면을 망치로 내려치면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대(88)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하단부분이 지중삽입경계표시(90)까지 지중에 서서히 삽입 고정되며, 지표면에 지주기초(20)와 결합될 상부파이프지지대(86)만 남고 나머지 부분은 지중에 묻힌 형태가 된다.
타입봉을 이용하여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의 내측에 결합되어 설치된 분리형가동지지대(60)의 상단을 내리치면 도 8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체형가동지지대(60)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을 따라 지중에 벌어지면서 삽입, 고정됨으로써 고정지지대와 가동지지대의 결합설치가 완료된다.
결합설치가 완료되면 도 7 및 도 9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하여 시설물지주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예를 들면 파이프형태를 원형에서 사각형 또는 8각형 등으로 변형하여 구성하는 등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시설물지주 11. 시설물지주고정구멍 20. 지주기초
21. 상부파이프지지대결합구멍 22.지주고정나사홈 23. 지주기초고정돌기 30. 지주간격조절판 40. 고정볼트 41. 고정너트 42. 고정와샤
50. 분리형가동지지대 51. 상부파이프지지대 52. 고정너트나사홈 53. 가동지지대 54. 가동지지대이동구멍 55. 가동지지대고정돌기
57. 고정너트 60. 일체형가동지지대 61. 상부파이프지지대
62. 고정너트나사홈 63. 가동지지대 64.가동지지대상부홈 65. 고정너트
70,80. 플렌지형고정지지대 71,81. 상부플렌지 72,82.가동지지대이동구멍
73,83.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 74,84. 고정지지대
75,85. 파이프형고정지지대 76,86. 상부파이프지지대
77,87. 가동지지대이동구멍 78,88. 고정너트나사홈 79,89. 고정지지대
90. 지중삽입경계표시

Claims (8)

  1. 시설물지주(10)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식파이프기초에 있어서,
    시설물지주(10) 하단 내측에 일직으로 결합하여 고정볼트(40)로 시설물지주(10)와 결합하는 지주기초(20);
    지주기초(20) 외측에 결합하여 시설물지주(10)와 지주기초(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주는 지주간격조절판(30);
    하부구조인 고정지지대(74,84)는 지중에 설치되고, 상부구조인 상부플렌지(71,81)는 지면에 설치되는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
    하부구조인 고정지지대(79,89)는 지중에 설치되고, 상부구조인 상부파이프지지대(76,86)의 지중삽입경계표지(90) 상단부분이 지면에 설치되는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77)을 따라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동지지대(53)가 상부파이프지지대(51)와 분리,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가동지지대(50);
    플렌지형고정지지대(80)와 파이프형고정지지대(85)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87)을 따라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동지지대(63)가 상부파이프지지대(61)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일체형가동지지대(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주기초(20)는
    프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 내측에는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상부파이프지지대(51,61) 외측면에 내측면이 일직으로 결합될 상부파이프지지대결합구멍(21);이
    기주기초(20) 외측에는 시설물지주(10) 하단에 형성된 지주고정구멍(11)과 결합될 지주고정나사홈(22);및
    지주기초(20) 하단에는 플렌지고정지지대(70,80)의 상부플렌지(71,81)에 형성된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73,83)과 결합되어 지주기초(20)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해주는 지주기초고정돌기(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렌지형고정지지대(70,80)는
    지중에 삽입되어 시설물지주(10)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해주는 고정지지대(74,84);와
    가동지지대(53,63)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82)과
    지주기초(20)의 지주기초고정돌기(23)와 결합되는 지주기초고정돌기구멍 (73,8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렌지(71,8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플렌지(71,81)는
    환봉형태인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가동지지대(53)가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고, 타원형 형태의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이 다수개가 형성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용 상부플렌지(71);
    파이프의 부분적 형태인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가동지지대(63)가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는 부채꼴 형태의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이 다수개가 형성된 일체형가동지지대(60)용 상부플렌지(8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5.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형고정지지대(75,85)는
    상부파이프지지대(79,89) 하단 중앙에 설치되어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지지대(79,89);와
    가동지지대이동구멍(77,87) 하단내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분리형가동지지대(50)와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가동지지대(53,63)가 결합되어 파이프지지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파이프지지대(76,86);와
    상단내측에 상부파이프지지대(76,86)외측에 결합하여 설치된 지주기초(20)의 탈,착을 할 수 있는 고정너트(41)을 결합, 고정해주는 고정너트나사홈(78,88);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부파이프지지대(76,86)는
    하단에 환봉형태인 분리형가동지지대(50)의 가동지지대(53)가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수개의 타원형 형태의 가동지지대이동구멍(72);이
    파이프의 부분적 형태인 일체형가동지지대(60)의 가동지지대(63)가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부채꼴 형태의 가동지지대이동구멍(82);이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7.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형가동지지대(50)는
    상부파이프지지대(51) 상단 내측에는 외측에 결합하여 설치된 지주기초(20)을 고정볼트(40) 및 고정와샤(42)을 이용하여 고정 및 탈착할 수 있는 고정너트(57);와
    고정너트(57)을 고정 및 탈착할 수 있는 고정너트나사홈(52);이
    하단 내측에는 삽입된 가동지지대(53)의 이탈방지 및 이동을 도와주는 가동지지대이동구멍(53)과 가동지지대(53)의 고정을 도와주는 가동지지대고정돌기(54)가 형성된 하단플랜지(56);및
    하단플렌지(56)에 형성된 가동지지대이동구멍(53) 내측에 삽입되어 분리, 결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가동지지대(5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8.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형가동지지대(60)는
    상부파이프지지대(61) 상단 내측에는 외측에 결합하여 설치된 지주기초(20)을 고정볼트(40) 및 고정와샤(42)을 이용하여 고정 및 탈착할 수 있는 고정너트(65);와
    고정너트(65)을 고정 및 탈착할 수 있는 고정너트나사홈(62);이
    하단에는 상부파이프지지대(61)와 일체로 구성된 다수개의 가동지지대(63);가동지지대(63) 상단과 상부파이프지지대(61) 하단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가동지지대(63)의 벌어짐을 원활하게 해주는 가동지지대상부홈(6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파이프기초.
KR2020140008405U 2014-11-17 2014-11-17 조립식파이프기초 KR200476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05U KR200476162Y1 (ko) 2014-11-17 2014-11-17 조립식파이프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05U KR200476162Y1 (ko) 2014-11-17 2014-11-17 조립식파이프기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801 Division 2013-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62Y1 true KR200476162Y1 (ko) 2015-02-03

Family

ID=5259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405U KR200476162Y1 (ko) 2014-11-17 2014-11-17 조립식파이프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6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3U (ko) * 1997-07-15 1999-02-18 김이남 지면 지지형 지주 구조
KR20110134295A (ko) * 2010-06-08 2011-12-14 이윤표 시설물지주 보강재
KR20130002676U (ko) * 2011-10-24 2013-05-03 이윤표 시설물지주 콘크리트 다단기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3U (ko) * 1997-07-15 1999-02-18 김이남 지면 지지형 지주 구조
KR20110134295A (ko) * 2010-06-08 2011-12-14 이윤표 시설물지주 보강재
KR20130002676U (ko) * 2011-10-24 2013-05-03 이윤표 시설물지주 콘크리트 다단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88B1 (ko) 가로등 지주
KR20150145485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지지장치
JP5592514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架台の設置方法
KR101569865B1 (ko)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JP2013238010A (ja) ソーラーパネル架台及びソーラーパネル架台の施工方法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200476162Y1 (ko) 조립식파이프기초
JP6139831B2 (ja) 太陽光パネル架台の設置構造及び施工方法
JP5499194B1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架台
KR101247672B1 (ko) 온실 기초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KR20110009836A (ko)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JP6435218B2 (ja)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仕口の構築方法と仕口構造、アンカーボルト固定治具
KR101530062B1 (ko) 건축용 울타리
KR200437077Y1 (ko) 엘앵커 고정구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KR20160046629A (ko) 인도교 구조 및 인도교 시공용 강재 구조물
KR200419888Y1 (ko) 펜스고정구 및 이를 갖는 펜스
KR20050103871A (ko) 높이조절용 울타리
KR20190063505A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KR101984772B1 (ko) 기둥구조물 조립체
KR101717288B1 (ko) 다른 직경의 관 연결 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주 및 지주 시공 방법
KR102540040B1 (ko) 다수의 경사말뚝을 구비한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7211808B2 (ja) 流木捕捉体および流木捕捉体の構築工法ならびに流木捕捉工の設置構造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