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765A -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765A
KR20110133765A KR1020100053348A KR20100053348A KR20110133765A KR 20110133765 A KR20110133765 A KR 20110133765A KR 1020100053348 A KR1020100053348 A KR 1020100053348A KR 20100053348 A KR20100053348 A KR 20100053348A KR 20110133765 A KR20110133765 A KR 2011013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terminal
stereoscopic image
imag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852B1 (ko
Inventor
오범환
김보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8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가 개시된다.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는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1 영상을 기본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2 영상을 보조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2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MOBLE TERMINAL APPARATUS FOR SUPPORTING PHOTOGRAPH OF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본 카메라 외에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2 영상을 입력 받음으로써, 입체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3차원 영화의 흥행과 함께 입체 생생한 입체 영상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휴대단말의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카메라가 내장되어 촬영을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기술로서, 입체 영상에 대한 촬영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로서, 전화 기능에 컴퓨터 기능이 함께 지원되는 스마트폰이 활성화 됨에 따라, 전화기 보다는 소형 컴퓨터로 활용되면서,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입체 영상 기술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이에, 휴대단말을 이용한 입체 영상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입체 영상 기술 지원으로 인해 휴대단말의 디자인이 많이 한정되고, 전력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결과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에 있어서, 디자인 한정 및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입체 영상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 카메라 외에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2 영상을 입력 받음으로써, 입체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카메라의 형태가 다양하고, 탈착이 가능하여, 이동단말장치의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고,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는,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1 영상을 기본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2 영상을 보조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2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카메라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본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 카메라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카메라 외에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2 영상을 입력 받음으로써, 입체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카메라의 형태가 다양하고, 탈착이 가능하여, 이동단말장치의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고,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는 휴대단말(예컨대, 핸드폰, PDA) 또는 노트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101)는 기본 카메라(103), 보조 카메라(105), 디스플레이부(107) 및 프로세서(109)를 포함한다.
기본 카메라(103)는 대상물체를 촬상하여 제1 영상(예컨대, 좌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카메라(103)는 이동단말장치(101)의 내부에 장착되어,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카메라(105)는 상기 대상물체를 촬상하여 제2 영상(예컨대, 우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카메라(105)는 이동단말장치(101)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동단말장치(101)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장치에 장착되어,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카메라(105)는 기본 카메라(103)의 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렌즈를 위치시켜, 같은 대상물체를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 장치는 내부의 어댑터(adapter)를 이동단말장치(101)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또는 체결하여, 이동단말장치(10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 장치는 전파를 감지하는 안테나와 함께 보조 카메라(105)를 구비할 수 있고, 예컨대, 휴대가 용이한 스틱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 모듈 장치는 이동단말장치(101)에 이동식으로 내장되거나, 탈착식의 외부 장치일 수 있으며, 이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보조 카메라(105)는 기본 카메라(103)와 평행하게 위치하게 하고, 위치 또는 방향 조절이 가능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체에 대한 입체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부(107)는 먼저, 기본 카메라(103)에 의해 입력된 제1 영상을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카메라(105)에 의해 입력된 제2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7)는 프로세서(109)에 의해,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입체 영상을 제1, 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9)는 제1, 2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프로세서(109)는 상기 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입체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09)는 입체 영상에 대한 생성 가능신호(예컨대, 알림표시, 또는 알림음)를 출력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반면, 프로세서(109)는 상기 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보조 카메라(105)가 조절된 후, 조절된 보조 카메라(105)에 의해 촬상된 보조 영상 및 제1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9)는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입체 영상에 대한 생성 불가능신호를 출력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사용자는 보조 카메라(105)의 위치 또는 방향을 변경하여, 이동단말장치(101)가 제2 영상과 구별되어 제2 영상을 대체할 수 있는 보조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9)는 상기 재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제1 영상 및 보조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카메라 외에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2 영상을 입력 받음으로써, 입체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카메라의 형태가 다양하고, 탈착이 가능하여, 이동단말장치의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고,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장치(201)는 제1 케이스(202), 본체(203) 및 제2 케이스(204)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201)는 본체(203)의 일측에 체결되어, 어댑터(205) 및 제1 조절부(206)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로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체(203)는 안테나(예컨대, 다단 안테나, 207)를 구비하고, 일측에 이동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어댑터(205) 및 본체(203)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206)를 구비하고, 타측에 보조 카메라(209) 및 보조 카메라(209)와 연결되어, 보조 카메라(209)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는 제2 조절부(20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4)는 본체(203)의 타측에 체결되어, 제2 조절부(208) 및 보조 카메라(209)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로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장치(201)는 제1 조절부(206) 및 제2 조절부(208)를 구비 함으로써, 이동단말장치의 기본 카메라 또는 대상물체를 기준으로, 카메라 모듈 장치(201)에 구비된 보조 카메라(209)의 위치 또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 장치(201)는 제1 케이스(202) 또는 제2 케이스(204)에 연결된 끈을 구비하여, 휴대성을 편리하게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장치(301)는 터치형 휴대단말로서, 뒷면에 기본 카메라(302)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장치(301)는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303)와, 보조 카메라(312)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장치(311)의 어댑터(313)를 체결 함으로써, 기본 카메라(302) 및 보조 카메라(312)에 의해 획득된 제1, 2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2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장치(301)는 탈착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장치(311)에 구비된, 보조 카메라(312)를 조절하여, 기본 카메라(302)의 렌즈 및 보조 카메라(312)의 렌즈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40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측면에 연결부(402)를 위치시키고,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402)와, 보조 카메라(412)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장치(411)의 어댑터(413)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장치(501)는 터치형 휴대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휴대단말일 수 있고, 뒷면에 장착된 카메라(502)와 수평으로 위치하는 연결부(503) 및 보조 카메라(512)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장치(511)의 어댑터(513)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장치(6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단말일 수 있고, 상단 폴더부에 장착된 기본 카메라(602) 및 기본 카메라(602)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하단 폴더부에 장착된 보조 카메라(603)를 구비하여, 기본 카메라(602) 및 보조 카메라(603)에 의해 획득된 제1, 2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장치(701)는 뒷면에 기본 카메라(702)를 장착하고, 보조 카메라(703)를 구비하는 이동식 카메라 모듈 장치(704)를 포함 함으로써, 기본 카메라(702) 및 보조 카메라(704)를 수평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카메라(704)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이동단말장치(701)는 이동식 카메라 모듈 장치(703)를 삽입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장치(703)의 휴대가 보다 용이하고, 외형 디자인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장치(801)는 노트북일 수 있고, 노트북 상단 커버의 상부에 기본 카메라(802) 및 보조 카메라(804)가 구비된 이동식 카메라 모듈 장치(8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식 카메라 모듈 장치(803)는 이동 및 회전을 통해, 기본 카메라(802) 방향으로 위치한 보조 카메라(804)의 렌즈 방향을, 기본 카메라(802)의 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켜, 입체 영상의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01에서, 이동단말장치는 기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1, 2 영상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기본 카메라는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될 수 있는 반면, 보조 카메라는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동단말장치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장치에 장착되어,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카메라는 기본 카메라와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기본 카메라의 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렌즈를 위치시키도록 조절 됨에 따라, 대상물체에 대한 입체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단계 903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제1, 2 영상을 분석한다. 즉, 이동단말장치는 제1, 2 영상을 분석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905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단계 907에서, 제1, 2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장치는 입체 영상에 대한 생성 가능신호(예컨대, 알림표시, 또는 알림음)를 출력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반면, 단계 905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단계 909에서, 보조 카메라가 조절된 후, 조절된 보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보조 영상을 입력 받고, 보조 영상 및 제1 영상을 재분석한다. 즉, 이동단말장치는 조절된 보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보조 영상 및 제1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재확인하고, 단계 9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장치는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입체 영상에 대한 생성 불가능신호를 출력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단계 905, 907를 반복하여,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재확인 결과,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제1 영상 및 보조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103: 기본 카메라
105: 보조 카메라
107: 디스플레이부
109: 프로세서

Claims (4)

  1.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1 영상을 기본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대상물체를 촬상한 제2 영상을 상기 기본 카메라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보조 카메라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2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입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카메라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본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 카메라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되는,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장치는,
    전파를 감지하는 안테나와 함께, 상기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체 영상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보조 카메라가 조절된 후, 상기 조절된 보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보조 영상 및 상기 제1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생성 여부를 재확인하는,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KR1020100053348A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KR10111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48A KR101117852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48A KR101117852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65A true KR20110133765A (ko) 2011-12-14
KR101117852B1 KR101117852B1 (ko) 2012-03-16

Family

ID=4550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48A KR101117852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84B1 (ko) * 2015-04-17 2016-10-14 나노터치시스템(주) 휴대폰 장착형 입체 영상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81B1 (ko) * 2005-09-29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84B1 (ko) * 2015-04-17 2016-10-14 나노터치시스템(주) 휴대폰 장착형 입체 영상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852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call service
US10551833B2 (en)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ing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401124B (zh) 视频录制的方法和装置
US914865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KR102114377B1 (ko) 전자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프리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0629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954193B1 (ko) 어레이 카메라, 전기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20443B1 (ko) 깊이 정보를 활용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26251A (ko)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700352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359262B (zh) 动画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00031263A (ko) 파노라마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US974306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CN111005715B (zh) 确定气井产量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3000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40354784A1 (en) Shooting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model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50020831A (ko) 입체 영상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0174699A (zh) 确定断层封闭性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117466B (zh) 表格格式转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91445A (zh) 竖排文字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500280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A2827594C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KR101117852B1 (ko)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CN111753606A (zh) 一种智能模型的升级方法及装置
KR2017003648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와 통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