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35A -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335A
KR20110133335A KR1020100053007A KR20100053007A KR20110133335A KR 20110133335 A KR20110133335 A KR 20110133335A KR 1020100053007 A KR1020100053007 A KR 1020100053007A KR 20100053007 A KR20100053007 A KR 20100053007A KR 20110133335 A KR20110133335 A KR 2011013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llage
viewing
image
miniature
t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근
진용옥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이옥근
최철규
진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근, 최철규, 진용옥 filed Critical 이옥근
Priority to KR102010005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335A/ko
Publication of KR2011013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94Beam path
    • G06K7/1060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 G06K7/1066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using hol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 상기 소형 이동체의 운행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생성된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축소모형 마을 전체를 기차여행 하는 간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보다 생생하고 재미있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변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기차 여행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현실감을 높일 수 있고, 직접 가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생한 축소모형 마을 관람을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viewing system for miniature village traveling,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축소모형 마을에서 운행하는 이동체에서 촬영한 영상을 3D 영상으로 제공하거나 홀로그램 또는 증강현실로 표현하는 가상의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형제작 기술의 발달과 하나의 장소에서 다양한 도시의 풍경을 집약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축소모형(미니어처:miniature)으로 만들어진 도시 또는 마을을 만들어 전시하는 경우가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축소모형을 제작된 도시에서 실제 소형 기차가 운행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축소 모형 마을의 모습은 실제와 거의 유사하고 실제의 축소 모형 운송 수단(기차, 자동차, 비행기, 선박, 우주선 등)을 운행시킴으로써, 더욱 생생함과 현실감을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니어처 세상은 실물과 같은 정교한 모형의 모습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도시 또는 마을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축소 집약하여 전시한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관광 명소로 알려지고 있어서, 세계의 여러 지방자치단체 또는 일정한 사업자가 미니어처 세상을 제작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미니어처 세상은 정적인 모형뿐만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소형크기의 이동체를 만들어 정기적으로 운행하여 관광객들에게 현실감을 높이고 있고, 모형의 제작 또한 더욱 정교하게 만들어져 실세 세상을 축소한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정밀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객들이 모형 주변을 걸어다니거나 지나가며 관람하는 것이어서, 모형 마을 또는 세상을 전면 구경하는 관찰자 입장이라는 한계가 있고, 여러 도시를 축소하여 만들어졌지만, 실제 그 도시를 현실감 있게 느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축소모형 마을은 직접 관람자가 현장에 방문하여 구경하여야 그 실감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높은 현실감과 여행체험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축소모형 마을 전체를 기차여행(다른 이동체 포함) 하는 간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보다 생생하고 재미있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하며, 여행의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직접 가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생한 축소모형 마을 관람을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 상기 소형 이동체의 운행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생성된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3D 재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 상기 소형 이동체 운행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받아 3D 영상으로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형 이동체는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우주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 영상에 이를 혼입시켜 실제의 장면과 동일한 느낌이 나도록 표시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상기 3D 재생장치에서 증강현실이 부가된 영상을 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3D, 재생장치는 관람을 위한 캡슐과, 상기 캡슐 내부에 설치되는 3D 플레이어 및 주변 효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변 효과 장치는 상기 소형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오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람 프로그램을 외부의 3D 재생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인터넷 망을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람서버의 관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에서 3D 영상 서비스로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형 이동체는 자동차, 기차 및 배, 비행기, 우주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고, 상기 3D 영상에 제공되는 음향을 홀로포닉(holophonic) 입체 음향으로 출력하여 상기 관람자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부가정보를 상기 관람서버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전경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증강현실을 통한 부가정보는 상기 전경의 영상에 나타나는 축소모형 마을의 장소명 또는 관련 정보를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증강현실을 통한 부가정보는 상기 전경의 영상에 나타나는 축소모형 마을에 동물 또는 식물 주변환경, 계절풍경 등 의 가상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d) 단계는 축소모형 외부에 설치된 캡슐 또는 상영관에서 3D 재생장치를 통하여 입체영상으로 상기 촬영된 전경 영상을 재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슐 또는 상영관에 주변 효과장치를 설치하여 관람자의 오감 중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하여 상기 소형 이동체의 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을 통하여 축소모형 마을 전체를 기차여행(때로는 다른 교통수단)하는 간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증강현실을 통한 부가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손으로 제작한 축소모형 마을의 컨텐츠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생생하고 재미있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차 등이 운행되면서 느끼는 진동 또는 외부 숲속과 같은 맑고 시원한 공기를 표현하여 관람자가 마치 실제로 기차 여행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직접 가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생한 축소모형 마을 관람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인터넷에 연결하면 모형마을에 오지 않아도 집에서도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이버 게임에 몰입하는 청소년들에게 축소모형 마을의 관람을 통하여 최근 온라인 또는 싸이버 중독 현상 등이 폐해가 나타나는 신세대에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놀잇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독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소모형을 제작된 도시에서 실제 소형 기차(때로는 다른 교통기관) 가 운행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110); 상기 소형 이동체 이동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115);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200);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생성된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축소모형 마을(100) 외부에서 일반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아닌, 축소모형 마을(100)에서 실제로 운행하고 있는 이동체(110) 즉, 기차 등에 소형카메라(115)를 설치하고 기차를 운행하면서 카메라를 통해 전경(120)을 촬영하고 이를 외부의 상영관 또는 캡슐과 같은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300)를 통해 전경 촬영 영상을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재현하여 관람자 등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소형 이동체(110)는 차량, 기차 및 배와 비행기, 우주선 같은 이동체를 말하고, 축소모형 마을(100)에서 도로, 레일 및 뱃길 등을 통하여 마을 전체를 관통하는 길을 만들어 이들 소형 이동체(110)를 운행하도록 하고,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110)에 소형 카메라(115)를 장착하여 이동하면서 주변의 전경(120)들을 촬영하게 된다.
촬영된 영상은 소형 크기에 맞게 전경이 상대적으로 실물 크기로 보일 수 있도록 초점 및 거리가 미리 조정된 것이고, 이와 같은 조정은 축소모형을 더욱 실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실제로 기차 등으로 여행하는 여행자가 외부의 풍경을 보며 즐기는 것처럼 축소모형 마을(100)에서 기차를 운행시키고 카메라로 외부 전경을 촬영함으로써, 축소모형 마을(100) 전체를 기차여행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촬영된 영상은 기차에 설치된 송신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송신은 무선송신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차가 축소모형 마을(100) 전체를 운행하기 때문에 유선으로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간단한 무선장치로 용이하게 송신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시하지 않음)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 영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상기 3D 재생장치에서 증강현실이 부가된 영상을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즉, 축소마을에서 운행되는 소형 이동체(110)에서 촬영 영상이 실제 영상이라면, 여기에 각종의 정보를 부가하는 부가정보가 증강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증강현실을 통해 부가되는 정보는 축소모형 마을(100)에 각각의 산, 빌딩, 도로, 다리 등의 환경 및 건축물의 명칭 또는 역사적 정보를 함께 부가하여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축소모형 마을(100)에 존재하진 않지만 각종의 살아있는 동,식물을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에 증강현실 영상으로 부가하여 제공함으로써, 손으로 제작한 축소모형 마을(100)의 컨텐츠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생생하고 재미있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외에도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정보 또는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또는 기차에 GPS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RFID, 위치비컨 또는 마커(117)를 축소마을 모형 전체에 산재하여 설치하게 되면, 카메라가 축소모형 마을을 촬영하면서, 각각의 설치한 RFID, 위치비컨 또는 마커(117)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에서 특정한 증강현실 부가영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RFID, 위치비컨 또는 마커(117)의 간단한 설치로 GPS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계속적인 송수신에 의한 통신상태의 불안정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3D 재생장치(300)는 축소모형 마을(100) 외부에 위치되어 관람자들이 관람하는 상영관 또는 캡슐과, 상기 상영관 또는 캡슐 내부에 설치되는 3D 플레이어(135) 및 주변효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D 플레이어는 일반적인 평판형 3D 플레이어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형 카메라 장치(11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PC와 같은 관람서버(200)에서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프로그램을 상기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300)에서 재생하여 관람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300)의 주변효과 장치는 기차 또는 차량의 탑승자가 느끼는 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장치로서, 진동, 또는 바람 냄새 등의 오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느낌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장치를 통해 기차 등이 운행되면서 느끼는 진동 또는 외부 숲속과 같은 맑고 시원한 공기를 표현하여 관람자가 마치 실제로 기차 여행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100)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110); 상기 소형 이동체 이동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115);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200);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인터넷 망(250)을 통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받아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축소마을에 근접하여 위치한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300)를 통해 오프라인 관람자에게 축소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 시스템이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400)가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관람서버(200)에 접속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상술한 축소마을 여행 전경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받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 관람서버(200)에서 인터넷 망(25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400)에게 관람 프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면, 클라이언트는 각자가 보유한 3D 또는 홀로그램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영상을 제공받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면, 실제로 축소모형 마을(100)에 직접 가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생한 축소모형 마을(100) 관람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실제로 기차여행을 하는 것과 같은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온라인을 통한 상기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영상의 제공뿐만 아니라, 상술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정보 또는 영상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100)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S100);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100)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110);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S120); 및 (d) 상기 관람 프로그램을 외부의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을 살펴보면, 축소모형(miniature)으로 만들어진 도시 또는 마을에서 실제로 운행하는 기차와 같은 소형 이동체에 소형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차의 운행에 따라 펼쳐지는 전경을 촬영한다.(S100) 촬영된 영상은 축소모형 마을(100) 외부에 있는 관람서버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다.(S110) 여기서 무선통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람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 관람 프로그램 영상으로 변환하여(S120) 관람자가 관람할 수 있는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S130)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는 캡슐의 형태로 소수의 인원을 수용하여 상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형 상영관을 통하여 상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는 상술한 캡슐 또는 내부에 설치된 3D 또는 홀로그램 플레이어로 구성되어, 관람자가 착석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각 및 청각뿐만 아니라 오감을 통해 관람자에게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효과장치를 구비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100)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S200);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100)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210);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S220); 및 (d) 인터넷 망을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람서버의 관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에서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 서비스로 제공받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축소모형 마을 인근에 위치한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관람객들에게 여행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망을 통하여 직접 현장에 참여하지 못한 다수인에게 온라인 상으로 상술한 축소모형 마을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간접적 여행 관람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상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해당 관람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등록되고,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게 되면 관람서버에서 상술한 영상을 제공하게 되는데, 클라이언트는 3D 또는 홀로그램 플레이어를 통해 자신의 위치에서 여행 관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온라인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축소모형 마을(100) 내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GPS로 상기 소형 카메라로 촬영된 전경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S105), 수신된 위치정보를 무선 송신기를 통해 관람서버로 전송하고(S115), 관람서버에서 이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부가정보를 생성하여(S125), 증강현실 부가정보를 촬영된 영상에 부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35)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축소모형 마을(100)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서 촬영한 영상의 제공뿐만 아니라, 축소모형 마을(100)에 실재하는 다양한 미니어처 배경에 더하여 동,식물 등 생명체 또는 각종의 인간 캐릭터를 새롭게 창조하여 부가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수작업을 통해 만든 축소모형들이 표현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다양한 사이버 영상(홀로그램,증강현실)을 부가함으로써 볼거리를 많이 제공하고 생생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실제크기보다 훨씬 축소하여 만든 축소모형을 걸어다니며 구경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운행하는 기차 등과 같은 소형이동체의 시점에서 주위의 배경, 또는 사물의 미니어처를 촬영하여 관람함으로써 실제 기차여행과 같은 느낌을 재현하고, 특정한 실제장소를 모방하여 만든 축소모형 마을(100)을 관람할 수 있게 되어 그 특정장소의 실제여행과 같은 간접경험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는 시각에 의한 입체영상의 제공뿐만 아니라, 청각, 후각 촉각 등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험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주변 효과장치를 구비하여 소형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의 효과를 나타내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4D 장치와 같은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어 보다 입체적인 기차 여행관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제로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촬영되는 테마화 된 지방 또는 여행지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고도, 위경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여행지의 환경과 유사한 체감(오감)을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주변효과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에 제공되는 음향은 홀로포닉 음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더욱더 현실감을 높이고, 관람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홀로포닉 녹음 시스템은 유고스컬리가 만든 것으로, 기본적으로 더미헤드(링고)를 사용해서 녹음하는 타입의 시스템이다. 현장 관람자나 온라인상의 참여자에게 입체감과 현장감을 더욱 높여 음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온라인상의 축소모형 마을(100) 여행 관람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람서버에 인증 등록하고, 일정한 여행 운임료 등을 온라인상에서 결제하게 되면, 각종의 여행관람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여행관람은 하나의 노선만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도시 등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도시 등을 자신이 온라인상에서 직접 선택하여 여행관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의 폭이 높고,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느낌을 추가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축소모형 마을, 110: 소형 이동체, 115: 소형 카메라, 120: 전경
200: 관람서버, 250: 인터넷 망, 300: 3D 재생장치, 400: 클라이언트

Claims (18)

  1.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
    상기 소형 이동체의 운행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생성된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3D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2.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진 마을에서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
    상기 소형 이동체 운행에 따른 상기 마을의 전경을 촬영하는 상기 소형 이동체 전면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관람서버; 및
    상기 관람서버에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받아 3D 영상으로 재생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이동체는 자동차, 기차, 배 및 우주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재생장치는 홀로그램 재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관람 프로그램 영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상기 3D 재생장치에서 증강현실이 부가된 영상을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D 재생장치는
    관람을 위한 캡슐과, 상기 캡슐 내부에 설치되는 3D플레이어 및 주변 효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효과 장치는 상기 소형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오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9.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람 프로그램을 외부의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0.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축소모형 마을을 운행하는 소형 이동체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축소모형 마을 외부에 위치한 관람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람서버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관람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인터넷 망을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람서버의 관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에서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 서비스로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이동체는 자동차, 기차, 배 및 우주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D 또는 홀로그램 영상에 제공되는 음향을 홀로포닉(holophonic) 입체 음향으로 출력하여 상기 관람자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부가정보를 상기 관람서버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전경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을 통한 부가정보는 상기 전경의 영상에 나타나는 축소모형 마을의 장소명 또는 관련 정보를 해당 위치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을 통한 부가정보는 상기 전경의 영상에 나타나는 축소모형 마을에 동물 또는 식물의 가상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축소모형 외부에 설치된 캡슐 또는 상영관에서 3D 또는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통하여 입체영상으로 상기 촬영된 전경 영상을 재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또는 상영관에 주변 효과장치를 설치하여 관람자의 오감 중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하여 상기 소형 이동체의 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모형 마을에 복수개 설치된 RFID, 위치비컨 및 마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해당 위치정보를 상기 카메라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부가정보를 상기 관람서버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전경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00053007A 2010-06-04 2010-06-04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133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07A KR20110133335A (ko) 2010-06-04 2010-06-04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07A KR20110133335A (ko) 2010-06-04 2010-06-04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35A true KR20110133335A (ko) 2011-12-12

Family

ID=4550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07A KR20110133335A (ko) 2010-06-04 2010-06-04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3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858A (ko) * 2014-04-14 2016-08-03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현실을 증강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CN107133858A (zh) * 2017-05-31 2017-09-05 安徽爱上农家乐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基于农家乐信息资源的线上游购娱服务系统和方法
CN110191307A (zh) * 2018-02-23 2019-08-30 罗罗艺术计划株式会社 通过无线电遥控车操纵和实时影像传输的微型陆地巡游系统
CN114485660A (zh) * 2021-12-27 2022-05-13 江苏集萃未来城市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空地机器人协同控制与感知定位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858A (ko) * 2014-04-14 2016-08-03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현실을 증강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US9922461B2 (en) 2014-04-14 2018-03-20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Reality augmenting method, client device and server
CN107133858A (zh) * 2017-05-31 2017-09-05 安徽爱上农家乐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基于农家乐信息资源的线上游购娱服务系统和方法
CN110191307A (zh) * 2018-02-23 2019-08-30 罗罗艺术计划株式会社 通过无线电遥控车操纵和实时影像传输的微型陆地巡游系统
CN114485660A (zh) * 2021-12-27 2022-05-13 江苏集萃未来城市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空地机器人协同控制与感知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5799B2 (ja) 拡張現実及び仮想現実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95330B (zh) 一种面向智慧旅游实现场景构建的游客服务平台
Nayyar et al. Virtual Reality (VR) &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ies for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JP7079207B2 (ja) 立体視的な拡張現実画像および仮想現実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575844B (en) Group virtual reality tour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ES2656868T3 (es) Dispositivo portátil, sistema y método de realidad virtual
JP2020513957A (ja) 拡張乗り物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475774A (zh) 虚拟现实环境中的视图位置处的观众管理
US20210058597A1 (en) Augmented windows to display advertisements
CN112150885B (zh) 基于混合现实的驾驶舱系统及场景构建方法
JP2019535090A (ja) 仮想現実アトラクション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30036371A1 (en) Virtual World Overlays, Related Software,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Thereof
CA2883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synthetic objects withinreal-world video clip
CN111462334A (zh) 一种智能互动展馆系统
CN108144294A (zh) 互动操作实现方法、装置及客户端设备
KR20110133335A (ko)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Rahim et al. Aftermath of pandemic Covid-19 on tourism industry: A review on virtual tourism platform
CN113194410A (zh) 一种5g与虚拟增强现实融合的旅游信息处理方法和系统
Loijens et al. What is augmented reality?
CN108447128A (zh) 一种ar的方法
KR20220065388A (ko) 전자 스포츠 경기에 관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3055606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Li et al. Virtual yamahoko parade experience system with vibration simulation
KR100856546B1 (ko) 몰입적 체험 관광 장치
Reynell et al. Hardware and software for skateboard trick visualisation on a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