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129A -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129A
KR20110133129A KR1020100052688A KR20100052688A KR20110133129A KR 20110133129 A KR20110133129 A KR 20110133129A KR 1020100052688 A KR1020100052688 A KR 1020100052688A KR 20100052688 A KR20100052688 A KR 20100052688A KR 20110133129 A KR20110133129 A KR 2011013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ston
outrigger
eccentric ca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이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희 filed Critical 이덕희
Priority to KR102010005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129A/ko
Publication of KR201101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를 지지하는 아우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으로 아우트리거를 고정하는 장치를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하여 한번의 조작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장차의 측부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으로부터 빔이 측방향으로 인출되며, 하우징과 빔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상하측이 관통된 피스톤 삽입공을 갖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삽입공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고정공 위치와 연통되도록 실린더가 부착되며, 실린더의 상단 양측으로는 각각 체결공을 가진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피스톤 삽입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되어 그 걸림턱의 하단이 스프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체결공을 형성된 편심캠을 가지며, 일측으로는 노브가 형성되면서 편심캠이 상기 본체의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핀에 의해 편심캠이 고정됨과 아울러 피스톤의 상단이 편심캠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작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Outrigger holding device for special 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특장차를 지지하는 아우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으로 아우트리거를 고정하는 장치를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하여 한번의 조작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차, 펌프카, 크레인 등의 특장차에는 차량이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수평을 유지하게 위해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아우트리거(Outrigger)가 장착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양측부로 인출되는 아우트리거(100)가 장착되는데, 아우트리거의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된 아우트리거 빔(120)을 사람이 손으로 인출한 다음,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130)를 하측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차량(1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빔(120)이 고정되도록 하우징(110)에는 하나의 고정공(111)이 형성되고, 빔(120)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공(121)이 형성되어 있어서, 빔(120)의 인출길이를 조절한 다음 하우징(110)의 고정공(111)과 빔(120)의 고정공(121)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고정핀을 삽입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빔(12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핀을 일일이 삽입함으로써 불편함이 뒤따르고, 또한 고정핀이 분실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우징의 고정공의 위치에 고정되며, 한번의 레버 작동에 의해 피스톤이 하우징과 빔의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빔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핀이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장차의 측부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으로부터 빔이 측방향으로 인출되며, 하우징과 빔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상하측이 관통된 피스톤 삽입공을 갖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삽입공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고정공 위치와 연통되도록 실린더가 부착되며, 실린더의 상단 양측으로는 각각 체결공을 가진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피스톤 삽입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되어 그 걸림턱의 하단이 스프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체결공을 형성된 편심캠을 가지며, 일측으로는 노브가 형성되면서 편심캠이 상기 본체의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핀에 의해 편심캠이 고정됨과 아울러 피스톤의 상단이 편심캠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의 빔을 수동으로 인출시킨 후 고정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일일이 핀을 삽입하지 고정하지 않고, 노브를 가진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의해 한번의 동작으로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이 편리하고, 또한 고정핀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구조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결합 단면도.
도 4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아우트리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 단면도로서, 크게 본체(200), 스프링(300), 피스톤(400), 피스톤 작동부(500)로 구성된다.
본체(200)는 원통형으로 되고, 상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내측으로 피스톤 삽입공(221)이 형성된 실린더(220)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220)의 하단은 도 1의 하우징(110)의 고정공(111) 위치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고정판(2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삽입공(221)의 하측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242)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220)의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편(230,240)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지지편(230,240)에는 동일한 위치에 체결공(231,2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00)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피스톤 삽입공(2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도 3에서와 같이 그 하단이 피스톤 삽입공(221)의 걸림턱(242)에 걸려서 실린더(220)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300)이 피스톤 삽입공(2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 형태의 피스톤(400)이 피스톤 삽입공(221)의 내측 즉, 스프링(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톤(400)의 상단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410)이 형성됨으로써 그 걸림턱(410)의 하단에 스프링(300)의 상단이 걸리게 되어 스프링(300)이 상측으로도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실린더(220)의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230,240)의 사이에는 피스톤 작동부(500)가 삽입되어 체결핀(600)이 체결공(231,511,241)에 삽입됨으로써 상호가 체결되는데, 상기 피스톤 작동부(500)는 상기 지지편(230,240)의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편심캡(510)과, 상기 편심캠(510)에는 체결공(511)이 형성되어 체결핀(600)에 의해 지지편(230,240)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편심캠(510)의 상측으로는 노브(520)가 형성되며, 편심캠(510)의 하단면은 피스톤(400)의 상단과 스피링(300)의 반발력에 의해 서로 접촉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실린더(220)의 하단이 아우트리거의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되, 결합공(111)의 내측으로 피스톤(400)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하우징(110)으로부터 빔(120)을 인출시키면서 고정공(111,121)을 일치시킨 후 도 4(a)와 같이 노브(520)를 들어올리게 되면, 편심캠(510)이 회전하여 피스톤(400)의 상단을 누르게 되어 피스톤(400)의 하단이 하우징(110)과 빔(120)의 고정공(111,121)에 삽입됨으로써 빔(120)이 고정된다.
하우징(110)과 빔(1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4(b)와 (c)같이 노브(520)를 내리게 되면, 편심캠(510)이 회전하게 되고, 피스톤(400)이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편심캠(510)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10)과 빔(120)의 고정공(111,121)으로 이탈하여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200 : 본체 220 : 실린더
221 : 피스톤 삽입공 230,240 : 지지편
400 : 피스톤 500 : 피스톤 작동부
510 : 편심캠 520 : 노브
600 : 체결핀

Claims (1)

  1. 특장차의 측부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으로부터 빔이 측방향으로 인출되며, 하우징과 빔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된 특장차의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상하측이 관통된 피스톤 삽입공을 갖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삽입공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고정공 위치와 연통되도록 실린더가 부착되며, 실린더의 상단 양측으로는 각각 체결공을 가진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피스톤 삽입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되어 그 걸림턱의 하단이 스프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체결공을 형성된 편심캠을 가지며, 일측으로는 노브가 형성되면서 편심캠이 상기 본체의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핀에 의해 편심캠이 고정됨과 아울러 피스톤의 상단이 편심캠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KR1020100052688A 2010-06-04 2010-06-04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KR2011013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88A KR20110133129A (ko) 2010-06-04 2010-06-04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88A KR20110133129A (ko) 2010-06-04 2010-06-04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29A true KR20110133129A (ko) 2011-12-12

Family

ID=4550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688A KR20110133129A (ko) 2010-06-04 2010-06-04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3556A (zh) * 2016-06-29 2016-09-07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随车起重机用多节嵌套式大起升高度伸缩支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3556A (zh) * 2016-06-29 2016-09-07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随车起重机用多节嵌套式大起升高度伸缩支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683B2 (ja) 固定具
US20090120480A1 (en) Locking device for a tent
ES2643292T3 (es) Relé electromagnético
JP6308369B2 (ja) ブラシホルダアセンブリ、およびブラシ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交換する方法
ES2433101T3 (es) Dispositivo para colocar un elemento de fijación
RU2012126817A (ru) Замок в сборе для крепления износного элемента экскаватора
NZ583898A (en) A latch operated by a magnetic mechanism
USD519820S1 (en) Extension pole
RU200910504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кожи
JP2011019622A (ja) 紐状体の留め具
TWI670195B (zh) 框架鎖
EA027155B1 (ru)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асывающей трубы пылесоса
KR20110133129A (ko)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고정장치
ES2566680T3 (es) Conector de fijación para mástiles telescópicos de tiendas de campaña
EP3037212A1 (en) Wrench combing sleeve
JP2017077139A (ja) アースフック
JP2007137179A5 (ko)
JP4582486B2 (ja) 流体圧機器におけるスイッチ取付機構
JP6131086B2 (ja) ブームの伸縮機構
KR101778288B1 (ko) 잠금식 맨홀뚜껑
CN105626969A (zh) 一种线束线卡装置
CN202764806U (zh) 电车搭扣锁
CN104790724A (zh) 一种内开锁装置
US7559115B2 (en) Retractable luggage pull rod with rotating hook
EP2722468A3 (fr) Ensemble pour la fixation temporaire au sol de tout type d'équipement pour l'agencement d'espaces en vue d'évènements spécif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