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255A -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 - Google Patents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255A
KR20110132255A KR1020110050683A KR20110050683A KR20110132255A KR 20110132255 A KR20110132255 A KR 20110132255A KR 1020110050683 A KR1020110050683 A KR 1020110050683A KR 20110050683 A KR20110050683 A KR 20110050683A KR 20110132255 A KR20110132255 A KR 20110132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ring
floss
chai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갑
Original Assignee
최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갑 filed Critical 최병갑
Publication of KR2011013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61C15/042Dental floss comprising protuberances along its length, e.g. balls or kn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02G3/326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the elastic properties due to the construction rather than to the use of elast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치아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신축성 치실과 청소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슬형 신축성치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축성 치실은 고무로 제조되거나 사슬형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는 치실을 감을 수 있도록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개개인에 적당한 크기와 장력으로 치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청소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를 사용할 경우,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Description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Circular Shaped Ring Connected with Dental Floss and Elastic, Stretchable Dental Floss}
본 발명은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신축성 치실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입안에 들어온 음식물을 위와 장을 거쳐서 완전한 소화가 되도록 충분히 잘게 부수어 주는 저작기능을 수행하는데, 치아 사이의 공간부에 끼인 음식물 조각과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섬유질 등은 박테리아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제공함은 물론 입 냄새 및 잇몸을 상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반드시 치아를 청소하여야 되는데, 통상은 음식물 섭취 후 날카로운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아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거나, 칫솔에 치약을 묻힌 상태에서 반복적인 칫솔질을 실시하여 치아로부터 잔류 음식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만약, 날카로운 이쑤시개 등을 이용하여 치아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잇몸 또는 치근을 손상시켜 출혈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도가 심해 치과의사의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류나, 나무, 대나무 등으로 된 이쑤시개를 장기간 사용 시에는 치아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져 음식물을 씹을 때 치아사이에 음식물 조각이 더욱 많이 끼이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한편, 칫솔을 이용하여 치아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에 비해 안전한 상태로 치아 사이에 끼인 상당량의 음식물 조각을 제거하는 이점을 갖지만,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조각과 섬유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에 치석(齒石)이 생성되므로 주기적으로 치과에 찾아가 치아 사이에 끼인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을 실시하여야만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치아에 치석이 끼였는데도 불구하고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치석이 잇몸을 파고 들어가 치근(齒根)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잇몸 질환이 유발되거나 풍치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되고, 심한 경우에는 치아가 빠지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치실은 일반 칫솔로 잘 닦을 수 없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치태를 제거하여 치주염이나 치아 우식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없애주어 치아와 잇몸의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치아청결 기구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치실은 적당한 길이, 예를 들면 보통 40 ~ 50cm 정도의 길이로 실을 잘라낸 다음, 실의 양 끝을 양 손의 가운데 손가락에 몇 차례 감아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한 후,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나 프러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손가락에 감기 위해 대충 넉넉하게 실을 잘라내기 때문에 불필요한 실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고, 특히 가운데 손가락에 감긴 실에 의하여 사용 중 손가락에 피가 통하지 않고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치실 사용 방법으로 치실을 원으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손가락은 아프지 않지만,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크기가 다르므로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만들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의 플로스 홀더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보조기구는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청소 효율이 떨어지고,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된 후, 버려지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환경오염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일반 치실보다 사용 빈도가 낮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53915호에서는 고리형 손잡이가 있는 치실을 개시하였다. 이는 치실을 길게 자르지 않아,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고리형 손잡이로 인하여 사용 중에 치실을 놓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손잡이 부분이 치실로 되어 있어, 치실 사용 시 여전히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치실은 여러 겹의 가는 나이론 또는 PTFE(polytetrafloroethylene)의 필라멘트를 모아 실 또는 태입 형태로 만들어 면이 매끄러우므로 치면에 밀착시켜 사용해야 청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치실을 만들거나, 신축성이 없는 재료의 치실이지만 사슬형 고리 형태로 만들면 치면의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신축성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개개인에 적당한 크기와 장력으로 치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한 신축성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를 사용할 경우,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재질과 형태의 치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반지형 치실 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실을 감을 수 있도록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실; 상기 치실의 일 끝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상기 제1 반지형 치실고리와 연결된 치실의 다른 끝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지형 치실고리의 안쪽으로 포개지면서 결합되는 제 2 반지형 치실고리를 포함하는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바깥부분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고리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개개인에 적당한 크기와 장력으로 치실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슬 형태의 치실은 보다 효율적인 치면의 청소가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를 사용할 경우,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치실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슬형 신축성 치실의 구조 및 신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의 신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개개인에 적당한 크기와 장력으로 치실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착안하였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실의 경우, 그 자체로는 신장율이 거의 없으므로 원형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길이가 달라지면 그에 따라 치실의 파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인 라텍스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로는 에틸렌-프로피렌고무(EPDM),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아크릴고무(ACM), 플르오르 고무(FPM), 실리콘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클로로프렌 고무(CR), 니트릴 고무(NBR), 부틸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래 신축성을 가지지 않거나, 신축성이 작은 소재(예로 기존의 치실이나 금속의 극세사)라도, 치실의 구조를 사슬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치실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사슬형 신축성 치실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슬형 신축성 치실의 구조 및 신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사슬형 신축성 치실은 사슬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슬형 치실은 뜨개질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슬뜨기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치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면, 마, 모시, 견섬유, 아크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금속 극세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금속 극세사의 재료로는 금, 은,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레스스틸, 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금속 극세사의 경우 신축성이 없으나, 사슬형으로 제조하여 신축성을 부여시킬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독이 가능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치실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치실의 사슬의 지름은 0.5~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치간부의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0.5~1.0㎜, 1.5~2.0㎜, 2.5~3.0㎜, 3.5~4.0㎜, 4.5~5.0㎜ 등으로 구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치실의 사슬 지름이 0.5㎜미만인 경우에는 치면의 청소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5.0㎜을 초과할 경우에는 사슬의 형태를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슬형 치실의 두께는 치실의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2~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나일론 소재의 일반 치실의 두께는 0.1㎜내외이며, 금속 극세사의 두께는 0.02~0.04㎜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슬형 치실은 1가닥의 일반 치실을 가지고 뜨개질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슬뜨기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치실의 두께가 0.02㎜미만인 경우 치면의 청소 효율이 감소하고 잇몸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고, 0.15㎜를 초과할 경우 치간부의 접촉점을 통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사슬형 신축성 치실 또는 일반 치실을 반지형 치실 고리와 함께 사용할 경우, 치실의 휴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사슬형 신축성 치실 또는 일반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지형 치실고리의 재질은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금, 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실리콘, 우레탄 등의 플라스틱류, 자석,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는 치실을 보관하거나, 치실을 이용하는데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 4~7을 통하여 그 변형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는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어,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사슬형 신축성 치실 또는 일반 치실을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치실을 별도의 휴대용기 등에 보관하지 않고, 직접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 치실이라 함은 상기 신축성 치실보다 낮은 신장율을 가지는 치실을 의미한다.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는 한쪽 또는 양쪽에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사슬형 신축성 치실 또는 일반 치실을 결합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의 신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지형 치실 고리 세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 세트는 휴대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1쌍의 반지형 치실고리에 상기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 시 제1 반지형 치실고리 안쪽으로 제2 반지형 치실고리를 겹쳐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치실; 상기 치실의 일 끝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상기 제1 반지형 치실고리와 연결된 치실의 다른 끝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지형 치실고리의 안쪽으로 포개지면서 결합되는 제 2 반지형 치실고리를 포함하는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제2 반지형 치실 고리는 치실을 감을 수 있도록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을 바깥부분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고리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고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은 외부로부터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고리의 틈을 통하여 바깥부분으로 신장되고, 상기 힘이 사라지면 탄성에 의하여 제자리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지형 치실고리는 반지의 수평면을 따라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된 치실은 상기 반지형 치실고리를 분리시켜 제거시키고, 새로운 치실을 상부 또는 하부 고리 내부에 위치시킨 후, 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고리에는 결합을 위한 홈 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지형 치실고리의 재질이 자석인 경우에는 별도의 홈 또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 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고무로 제조된 신축성 치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인 라텍스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치실.
  3. 사슬형 신축성 치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 신축성 치실의 사슬의 지름은 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 치실의 두께는 0.02~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 신축성 치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아크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금속 극세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극세사는 금, 은,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및 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
  8. 치실을 감을 수 있도록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일반 치실, 제1항 내지 제2항의 신축성 치실 및 제3항 내지 제7항의 사슬형 신축성 치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
  10. 치실;
    상기 치실의 일 끝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상기 제1 반지형 치실고리와 연결된 치실의 다른 끝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지형 치실고리의 안쪽으로 포개지면서 결합되는 제 2 반지형 치실고리를 포함하는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일반 치실, 제1항 내지 제2항의 신축성 치실 및 제3항 내지 제7항의 사슬형 신축성 치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제2 반지형 치실 고리는 치실을 감을 수 있도록 고리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고리 세트.
  13.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2항의 신축성 치실 및 제3항 내지 제7항의 사슬형 신축성 치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실을 바깥부분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고리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형 치실 고리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신축성 치실 또는 사슬형 신축성 치실은 외부로부터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고리의 틈을 통하여 바깥부분으로 신장되고, 상기 힘이 사라지면 탄성에 의하여 제자리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치실 고리.
KR1020110050683A 2010-05-31 2011-05-27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 KR20110132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64 2010-05-31
KR20100051164 2010-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55A true KR20110132255A (ko) 2011-12-07

Family

ID=4506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683A KR20110132255A (ko) 2010-05-31 2011-05-27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32255A (ko)
WO (1) WO201115263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533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 Partikelsensoreinheit
WO2016052969A1 (ko) * 2014-10-01 2016-04-07 (주)부러쉬라인 실리콘 치실
US10517703B2 (en) 2014-03-18 2019-12-31 Flexi Floss Ltd. Dental flo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452A (en) * 1992-06-19 1993-04-06 Cheng Peter S C Dental flossing arrangement and method
US5477871A (en) * 1994-04-07 1995-12-26 Sanchez, Jr.; Daniel Dental floss retainer ring
US5692530A (en) * 1995-09-21 1997-12-02 Anchor Advance Products, Inc. Braided dental floss
JP2004174110A (ja) * 2002-11-28 2004-06-24 Yoshiko Sagano 糸楊子
KR20060015352A (ko) * 2006-02-02 2006-02-16 조해용 박막을 이용한 치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533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 Partikelsensoreinheit
US10517703B2 (en) 2014-03-18 2019-12-31 Flexi Floss Ltd. Dental flossing device
WO2016052969A1 (ko) * 2014-10-01 2016-04-07 (주)부러쉬라인 실리콘 치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2637A2 (ko) 2011-12-08
WO2011152637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4796A1 (en) Dental interproximal cleaning device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KR20110132255A (ko) 치실이 결합되어 있는 반지형 치실 고리 및 신축성 치실
WO2006041637A3 (en) Toothpick device
US20060207628A1 (en) Rubber floss
KR20020079290A (ko) 덴탈 플로스 제공 이쑤시개
KR101530364B1 (ko) 실리콘 치실
TW200819113A (en) Interproximal space cleaning tape
US20150059791A1 (en) Floss type cleaning device
US20220218453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CN111888024B (zh) 一种自锁牙线棒
KR200265143Y1 (ko) 환형 치실
US3747612A (en) Dental instrument
KR20060015352A (ko) 박막을 이용한 치실
JP4772481B2 (ja) 歯磨きスティック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US20140305460A1 (en) Dental flosser
US20240115365A1 (en) Dental flossing device
TW202000150A (zh) 兼具牙籤、牙間刷及牙線棒結構之三合一潔牙棒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200377954Y1 (ko)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RU7846U1 (ru) Зубочистка
JP2020146424A (ja) デンタルフロス
US20160015490A1 (en) Brush apparatus for interproximal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