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139A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Google Patents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2139A KR20110132139A KR20100051980A KR20100051980A KR20110132139A KR 20110132139 A KR20110132139 A KR 20110132139A KR 20100051980 A KR20100051980 A KR 20100051980A KR 20100051980 A KR20100051980 A KR 20100051980A KR 20110132139 A KR20110132139 A KR 20110132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lifier
- peaking
- transmission line
- main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2—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92—A hybrid coupler being us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circui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3—A transmission line being used as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amplifying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피킹 증폭기에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출력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전 범위에서 동작하는 제 1 경로부; 포화전력에서 6-dB BOP 지점에서부터에서 동작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경로부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상기 입력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1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 및 상기 제 1 경로부에 포함된 주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포함된 주 피킹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피킹 증폭기에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출력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낮은 출력 전력에서도 높은 효율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연구되어 왔다. 최근에 이용되고 있는 WCDMA(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서스) 신호 같은 변조 신호들은 9dB 이상의 높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를 가지며, PAPR 만큼의 BOP(back-off power)된 출력 전력에서 전력증폭기를 사용하기 위해 더 낮은 출력 전력에서 높은 효율을 가지는 도허티 전력증폭기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허티 전력증폭기에서는 6-dB BOP에서 높은 효율을 발생하기 때문에 더 많은 BOP에서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서 N-way,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허티 전력증폭기들은 낮은 출력 전력에서 높은 효율을 발생시킨 후 출력 전력이 포화 전력에 이르기까지 출력에서는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way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신호는 3-way 전력 분배기(101)를 통해 캐리어 증폭기(104), 제 1 피킹 증폭기(105), 및 제 2 피킹 증폭기(106)의 입력으로 나뉜다. 입력 정합 회로(103)과 출력 정합 회로(107)는 각 전력증폭기의 이득과 효율을 최적화시키며 λ/4 전송선로(108)에 의해서 캐리어 증폭기(104)의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낮은 입력에서도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 λ/4 전송선로(108)로 인한 캐리어 증폭기(104)와 제 1 피킹 증폭기(105), 제 2 피킹 증폭기(106) 사이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1 피킹 증폭기(105)와 제 2 피킹 증폭기(106)의 입력에 λ/4 전송선로(102)를 삽입한다. 일반적으로 n-way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입력에 n-way 전력 분배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캐리어 증폭기(104)의 이득이 낮아지고, 제 1 피킹 증폭기(105)와 제 2 피킹 증폭기(106)이 동시에 작동되어 한 BOP 지점에서 높은 효율을 보이고 포화 출력 전력에 이르기까지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는 전력 분배기(201)를 통해 캐리어 증폭기(203), 피킹 증폭기(204)로 나뉘며, 입력 정합 회로(103)와 출력 정합 회로(107)는 각 전력증폭기의 이득과 효율을 최적화시킨다. λ/4 전송선로(206)에 의해서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낮은 입력에서도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으며 λ/4 전송선로(206)로 인한 캐리어 증폭기(203)와 피킹 증폭기(204) 사이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피킹 증폭기(204)의 입력에 λ/4 전송선로(207)를 삽입한다. 이때 캐리어 증폭기(203)와 피킹 증폭기(204) 사이의 출력 비에 따라서 최대 효율이 나타나는 BOP 지점이 결정된다. 비대칭 전력증폭기는 큰 BOP에서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 캐리어 증폭기(203)와 피킹 증폭기(204) 사이의 소자 크기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입력 매칭 회로(202)와 출력 매칭 회로(205)가 서로 다르고 위상지연도 다르기 때문에 설계하기가 힘들다. 게다가 n-way 도허티 증폭기와 마찬가지로 큰 BOP에서 높은 효율을 나타낸 뒤에 포화 전력에 이르기까지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3-way 및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큰 BOP에서 높은 효율을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허티 전력증폭기들은 낮은 출력에서 높은 효율을 가진 뒤 최대 출력에서 높은 효율을 가질 때까지 높은 효율을 유지하기 힘들며,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경우에는 최대 출력 전력이 다른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 전력증폭기와 부 전력증폭기 간의 위상 차이를 맞추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같은 소자를 사용하면서도 넓은 출력범위에서도 일정하게 높은 효율을 발생할 수 있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피킹 전력증폭기를 도허티 전력증폭기로 이용하고 입력의 크기에 따라 피킹 전력증폭기의 각 증폭기들이 동작하기 위해서 주 피킹 전력증폭기의 앞단에 클래스 C 급(class-C) 바이어스의 구동 증폭기를 연결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전 범위에서 동작하는 제 1 경로부; 포화전력에서 6-dB BOP 지점에서부터 동작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경로부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상기 입력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1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 및 상기 제 1 경로부에 포함된 주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포함된 주 피킹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증폭기는 모든 입력크기에서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캐리어 증폭기를 구비하고, 및 상기 입력 신호의 크기가 10dBm을 초과하는 입력크기인 경우에 상기 주 피킹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피킹 증폭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경로부와 상기 제 2 경로부 간의 지연을 보상하기 하기 위한 λ/2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송선로 만큼의 위상차를 보상하는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경로부는 낮은 입력 신호 범위, 즉 입력 신호가 10 dBm 이하의 입력 범위에서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λ/4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입력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Class-C 피킹 증폭기 및 Class-B 캐리어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누설되지 않게 막아주기 위해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의 출력에 전송선로를 삽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λ/4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 출력의 상기 전송선로 만큼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 출력에 전송선로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와 상기 이중 도허티 증폭기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λ/4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기 않을 때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주 피킹 증폭기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주 피킹 전력증폭기로써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이용하고,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구동 증폭기가 스위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넓은 출력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유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3-way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종래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 및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입력 크기에 따른 효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각 증폭기의 드레인 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효율 및 이득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이며, 5MHz 대역폭을 가지는 WCDMA 신호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34.5 dBm의 출력전력에서 디지털 선형왜곡기를 이용한 선형화 전후의 출력 스펙트럼.
도 2는 종래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 및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입력 크기에 따른 효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각 증폭기의 드레인 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효율 및 이득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GHz이며, 5MHz 대역폭을 가지는 WCDMA 신호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34.5 dBm의 출력전력에서 디지털 선형왜곡기를 이용한 선형화 전후의 출력 스펙트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 1 캐리어 증폭기(301), 제 1 λ/4 전송선로(302) 및 피킹 증폭기(303)를 포함한다. 피킹 증폭기(303)는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 제 2 λ/4 전송선로(303b), 제 3 λ/4 전송선로(303c) 및 제 1 피킹 증폭기(30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낮은 입력 신호 범위, 즉 입력 신호가 10 dBm 이하의 입력 범위에서는 제 1 캐리어 증폭기(301)만 동작하며, 제 1 λ/4 전송선로(302)로 인해서 제 1 캐리어 증폭기(301)의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36 dBm의 낮은 출력 전력에서도 높은 효율을 낸다. 이때 피킹 증폭기(303)의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와 제 1 피킹 증폭기(303d)는 각각 class-B와 class-C 급 증폭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낮은 입력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입력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가 동작하게 되며, 제 1 캐리어 증폭기(301)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2 λ/4 전송선로(303b)에 의해서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의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입력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효율의 감소 없이 39% 이상의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입력이 최대가 되면, 제 1 캐리어 증폭기(301),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 및 제 1 피킹 증폭기(303d)가 모두 동작하게 되어 높은 효율을 발생한다. 그리고, 제 1 캐리어 증폭기(301), 제 2 캐리어 증폭기(303b) 및 제 1 피킹 증폭기(303d) 사이의 위상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 제 3 λ/4 전송선로(303c)를 제 1 피킹 증폭기(303d)의 입력에 연결한다.
도 4는 종래의 도허티 전력증폭기 및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서의 입력 크기에 따른 효율 특성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비대칭 도허티와 3-way 도허티 증폭기들과는 달리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에서와 같이 6dB BOP 지점에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므로 넓은 출력 범위에서 높은 효율이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되는 전력증폭기용 소자는 낮은 입력에서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상적인 높은 효율을 얻기 힘들기 때문에 제 2 캐리어 증폭기(303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 1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501), 제 1 λ/2 전송선로(502), 구동 증폭기(503), 주 캐리어 증폭기(504), 제 1 전송선로(505), 주 피킹 증폭기(506), 제 1 λ/4 전송선로(507), 제 4 전송선로(508) 및 제 4 λ/4 전송선로(509)를 포함한다. 구동 증폭기(503)는 구동 캐리어 증폭기(503a)와 구동 피킹 증폭기(20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 피킹 증폭기(506)는 제 2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506a), 피킹 증폭기(506b), 제 2 전송선로(506c), 캐리어 증폭기(506d), 제 3 전송선로(506e), 제 2 λ/4 전송선로(506f) 및 제 3 λ/4 전송선로(506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체적인 작용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는 제 1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501)를 통해서 동일한 크기의 신호가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각 전송선로를 통해서 나누어진다. 10 dBm의 낮은 입력 신호에서는 구동 증폭기(503)에서 구동 캐리어 증폭기(503a) 및 구동 피킹 증폭기(503b)가 각각 class-AB급 및 class-C급 증폭기이기 때문에 구동 캐리어 증폭기(503a)만 동작하고 구동 피킹 증폭기(503b)는 동작하지 않는다. 구동 캐리어 증폭기(503a)를 지난 입력 신호는 주 캐리어 증폭기(504)에 의해 증폭되고, 제 1 λ/4 전송선로(507)에 의해 출력임피던스가 증가하여 낮은 입력 신호에서도 높은 효율을 발생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10 dBm을 초과하는 입력크기에서부터 구동 피킹 증폭기(503b)가 동작하기 시작하여, 구동 피킹 증폭기(503b)의 출력은 주 피킹 증폭기(506)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구동 피킹 증폭기(503b)는 입력 크기에 따라서 동작하기 때문에 주 피킹 증폭기(506)의 동작을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구동 피킹 증폭기(503b)의 출력 신호는 제 2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506a)의 입력으로 사용되며, 제 2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506a)는 피킹 증폭기(506b)와 캐리어 증폭기(506d)의 입력신호가 90°의 위상차가 생기도록 만들어준다. 피킹 증폭기(506b)의 경우 class-C급 증폭기이므로 큰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이상 캐리어 증폭기(506d)만 동작하게 된다. 캐리어 증폭기(506d)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는 제 2 λ/4 전송선로(506f)에 의해서 높은 효율을 유지하게 되고, 입력 크기가 증가하면 피킹 증폭기(506b)가 동작하게 되어 포화 출력 전력에 이르기까지 높은 효율을 유지한다.
즉, 낮은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도허티 증폭기의 특성에 따라서 주 캐리어 증폭기(504)만 동작하게 되며 낮은 입력에서도 높은 효율을 발생한다. 입력 크기가 증가할수록 구동 피킹 증폭기(503b)에 의해서 주 피킹 증폭기(506)가 동작하게 되며, 입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주 피킹 증폭기(506)의 캐리어 증폭기(506d)와 피킹 증폭기(506b)가 도허티 증폭기의 동작을 함으로써 높은 효율을 유지하게 된다.
주 피킹 증폭기(506)에서 캐리어 증폭기(506d)가 동작하는 동안 캐리어 증폭기(506d)의 출력 전력이 피킹 증폭기(506b)로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 3 전송선로(506d)를 삽입하고, 제 3 전송선로(506e)에 의한 위상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2 전송선로(506c)를 피킹 증폭기(506b) 출력에 연결한다. 입력 크기에 따라서 주 피킹 증폭기(506)의 부하 임피던스와 전체 이중 도허티 증폭기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서 제 3 λ/4 전송선로(506g)를 주 피킹 증폭기(506)의 출력에 연결한다.
낮은 입력신호에서 주 캐리어 증폭기(504)만 동작하는 동안 주 피킹 증폭기(506)로 누설되는 전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 4 전송선로(508)를 주 피킹 증폭기(506)의 출력에 연결하고, 제 4 전송선로로 인하여 발생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1 전송선로(505)를 삽입한다. 주 캐리어 증폭기(504)와 주 피킹 증폭기(506)의 출력 임피던스와 이중 도허티 증폭기의 특성 임피던스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해서 제 4 λ/4 전송선로(509)를 출력에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 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각 증폭기의 드레인 전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 피킹 증폭기(503b)가 주 피킹 증폭기(506)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 피킹 증폭기(506)의 캐리어 증폭기(506d)와 피킹 증폭기(506b)는 각각 9-dB BOP, 6-dB BOP에서 동작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 GHz인 정현파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출력 전력에 따른 효율 및 이득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36.1 dBm의 출력 전력에서 35 %의 효율과 26.6 dB의 이득을 나타내었으며, 39.8 dBm과 44.8 dBm의 출력 전력에서 39 % 이상의 높은 효율을 유지하였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주파수가 2.14 GHz이며, 5 MHz 대역폭을 가지는 WCDMA 신호가 입력신호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34.5 dBm의 출력전력에서 DPD를 이용한 선형화 전후의 출력 스펙트럼을 도시하고 있다. 선형화 전의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은 ±5-MHz offset에서 -36 dBc 였지만, DPD(digital predistortion)를 이용하여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선형성을 개선시킨 결과 ±5-MHz offset에서의 ACLR은 -50 dBc 보다 낮은 좋은 선형성을 보여준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1 : 제 1 캐리어 증폭기
302 : 제 1 λ/4 전송선로
303 : 피킹 증폭기
501 : 제 1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
502 : 제 1 λ/2 전송선로
503 : 구동 증폭기
504 : 주 캐리어 증폭기
505 : 제 1 전송선로
506 : 주 피킹 증폭기
507 : 제 1 λ/4 전송선로
508 : 제 4 전송선로
509 : 제 4 λ/4 전송선로
302 : 제 1 λ/4 전송선로
303 : 피킹 증폭기
501 : 제 1 하이브리드 전력분배기
502 : 제 1 λ/2 전송선로
503 : 구동 증폭기
504 : 주 캐리어 증폭기
505 : 제 1 전송선로
506 : 주 피킹 증폭기
507 : 제 1 λ/4 전송선로
508 : 제 4 전송선로
509 : 제 4 λ/4 전송선로
Claims (13)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제 1 캐리어 증폭기와, 제 1 λ/4 전송선로 및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킹 증폭기는 제 2 캐리어 증폭기, 제 2 λ/4 전송선로, 제 3 λ/4 전송선로 및 제 1 피킹 증폭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캐리어 증폭기와 상기 제 1 피킹 증폭기는 각각 클래스-B 급(class-B) 증폭기와 class-C 증폭기를 이용하며,
10 dBm 이하의 낮은 입력에서는 상기 제 1 캐리어 증폭기만 동작하고,
10 dBm에서 15 dBm의 입력 크기 범위에서는 상기 제 1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2 캐리어 증폭기가 동작하고,
15 dBm을 초과하는 입력 크기에서는 상기 제 1 캐리어 증폭기, 상기 제 2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1 피킹 증폭기가 모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증폭기, 상기 제 2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1 피킹 증폭기 사이의 위상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 제 3 λ/4 전송선로를 상기 제 1 피킹 증폭기의 입력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크기가 10 dBm 이하의 범위에서 동작하는 제 1 경로부;
입력 신호의 크기가 10 dBm을 초과하는 범위에서 동작하는 제 2 경로부;
상기 제 1 경로부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상기 입력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1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 및
상기 제 1 경로부에 포함된 주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 2 경로부에 포함된 주 피킹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증폭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크기가 10 dBm 이하 경우에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캐리어 증폭기를 구비하고, 및 상기 입력 신호의 크기가 10 dBm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 피킹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와 상기 제 2 경로부 간의 지연을 보상하기 하기 위한 λ/2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송선로 만큼의 위상차를 보상하는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부는,
낮은 입력 신호 범위, 즉 입력 신호가 10 dBm 이하인 범위에서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λ/4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입력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Class-C 피킹 증폭기 및 Class-B 캐리어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누설되지 않게 막아주기 위해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의 출력에 전송선로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λ/4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Class-C 피킹 증폭기 출력의 상기 전송선로 만큼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Class-B 캐리어 증폭기 출력에 전송선로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피킹 증폭기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와 상기 이중 도허티 증폭기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λ/4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부는,
상기 주 피킹 증폭기가 동작하기 않을 때 상기 주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주 피킹 증폭기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1980A KR101091971B1 (ko) | 2010-06-01 | 2010-06-01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1980A KR101091971B1 (ko) | 2010-06-01 | 2010-06-01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2139A true KR20110132139A (ko) | 2011-12-07 |
KR101091971B1 KR101091971B1 (ko) | 2011-12-09 |
Family
ID=4550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1980A KR101091971B1 (ko) | 2010-06-01 | 2010-06-01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197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5821B1 (ko) * | 2011-06-17 | 2013-04-24 | 주식회사 피플웍스 | 삽입형 바이어스 혼합 전력 증폭장치 |
CN103312272A (zh) * | 2012-03-14 | 2013-09-18 |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 多模式Doherty功率放大器 |
KR20140116439A (ko) * | 2011-12-29 | 2014-10-02 | 알까뗄 루슨트 | 대역폭 확장된 도허티 전력 증폭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927B1 (ko) * | 2014-12-02 | 2016-09-08 | 전자부품연구원 | 광대역 도허티 전력 증폭기 |
KR102564085B1 (ko) * | 2018-08-20 | 2023-08-04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도허티 증폭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519B1 (ko) * | 2006-07-28 | 2007-09-20 | 김종헌 | 2단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
CN101904089B (zh) | 2007-12-21 | 2012-10-31 | Nxp股份有限公司 | 具有最小输出网络的3路Doherty放大器 |
JP2009260658A (ja) * | 2008-04-16 | 2009-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力増幅器 |
JP5243192B2 (ja) | 2008-11-12 | 2013-07-24 |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 増幅器 |
-
2010
- 2010-06-01 KR KR1020100051980A patent/KR1010919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5821B1 (ko) * | 2011-06-17 | 2013-04-24 | 주식회사 피플웍스 | 삽입형 바이어스 혼합 전력 증폭장치 |
KR20140116439A (ko) * | 2011-12-29 | 2014-10-02 | 알까뗄 루슨트 | 대역폭 확장된 도허티 전력 증폭기 |
CN103312272A (zh) * | 2012-03-14 | 2013-09-18 |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 多模式Doherty功率放大器 |
CN103312272B (zh) * | 2012-03-14 | 2016-06-01 |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 多模式Doherty功率放大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1971B1 (ko) | 201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8177B2 (en) | N-way doherty distributed power amplifier with power tracking | |
US7688135B2 (en) | N-way Doherty distributed power amplifier | |
EP2493069B1 (en) | Amplifier | |
US8604881B2 (en) | Efficiency improvement of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supply switching and digitally controlled gate bias modulation of peaking amplifier | |
US7091772B2 (en) | Power amplification by using different fixed power supply signals for the amplifier | |
JP5217182B2 (ja) | 高周波増幅回路 | |
US9825593B2 (en) | Highly linear, highly efficient wideband RF power amplifier having wide video bandwidth capability | |
KR101091971B1 (ko) | 이중 도허티 전력증폭기 | |
Markos et al. | A 50 W unsymmetrical GaN Doherty amplifier for LTE applications | |
Lee et al. | A high power asymmetric Doherty amplifier with improved linear dynamic range | |
Eswaran et al. | Power amplifier design methodologies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 |
Darraji et al. | RF/DSP codesign methodology of enhanced Doherty amplifiers | |
JP5522843B2 (ja) | 電力増幅器 | |
Wolff et al. | A novel model for digital predistortion of discrete level supply-modulated RF power amplifiers | |
Darraji et al. | High efficiency Doherty amplifier combining digital adaptive power distribution and dynamic phase alignment | |
Chen et al. | A K-band power amplifier with parasitic diode linearizer in 0.18-μm CMOS process using 1.8-V supply voltage | |
Yang et al. | A 1.8–2.3 GHz broadband Doherty power amplifier with a minimized impedance transformation ratio | |
Colantonio et al. | Doherty power amplifier and GaN technology | |
Dalwadi et al. | Efficient Doherty feed-forward linear power amplifier for CDMA 2000 base-station applications | |
Golestaneh et al. | Three-way Doherty power amplifier for efficient amplification of wideband signals with extended PAPR | |
KR20120048480A (ko) | 구동증폭기를 이용한 3-웨이 도허티 전력증폭기 | |
Watanabe et al. | A 3-bit, 2-watt, digital-analog gallium nitride power amplifier for 64-QAM bandwidth efficient modulation with 25% power savings | |
Hone et al. | Noncontiguous LTE channel amplification using a multilevel outphasing transmitter | |
Darraji et al. | Mitigation of the impacts of the dynamic phase variation on the performance of GaN and LDMOS Doherty power amplifiers/transmitters | |
Darraji et al. | Mixed analog/digital design of wireless Doherty power amplifiers and transmit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