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370A -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370A
KR20110131370A KR1020100050773A KR20100050773A KR20110131370A KR 20110131370 A KR20110131370 A KR 20110131370A KR 1020100050773 A KR1020100050773 A KR 1020100050773A KR 20100050773 A KR20100050773 A KR 20100050773A KR 20110131370 A KR20110131370 A KR 2011013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ir layer
air
liver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990B1 (ko
Inventor
안영섭
황상근
이성진
김성태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9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47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integral grooves or rabbets for holding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유리; 내측유리; 중앙유리; 상기 외측유리와 내측유리 및 중앙유리를 삼중으로 기밀 있게 결합시키되, 상기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층 압력이 다른 한쪽의 공기층 압력보다 더 클 경우,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공기층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공기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통로가 형성된 간봉 및; 상기 다층유리의 외측유리 외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공기층 압력이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공기층으로 공기의 일부가 이동하여 등압을 유지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유리나 태양저지가 파손되는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Fair glass and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fair glass }
본 발명은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으로 밀폐된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압이 높아질 경우 다른 한쪽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양쪽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다층유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이러한 다층유리에 설치된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란 태양광을 포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발전장치로서 최근 고유가에 따라 그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태양전지는 보통 태양광을 수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등에 일정각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최근에는 건물이 (초)고층화 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 건물의 옥상이나 지봉 등의 공간만으로는 건물에 필요한 태양전지를 설치하는데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건물의 벽체 및 지붕 등에 사용되는 다층유리에 투명한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전기에너지의 생성은 물론 태양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실내의 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BIPV :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모듈이 제공되고 있다.
즉,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를 건축자재로 적용시켜 건물의 외장재로 활용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주거환경의 고급화와 문화생활의 향상 및 건축물의 초고층화 등으로 인해 차음과 단열, 결로 방지 등의 용도로 각광받고 있는 다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유리의 구조 및 설치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데, 종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다층유리 중 하나의 예 구조를 도 1 및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다층유리 구조는 건물 벽체에 소정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의 내측 테두리부에 샤시프레임(미도시됨)이 설치되며, 이 샤시프레임의 결합부에는 내측프레임(G1), 외측유리(G2) 및 중앙유리(G3)로 이루어진 다층유리가 접착테이프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다층유리(G1,G2,G3)는 금속재(알루미늄)의 간봉(2)과 접착테이프(4)를 통해 그 결합이 이루어져서 내부에 건조 공기층(A1,A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층(A1,A2)은 양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차음과 단열, 결로 방지를 위하여 서로 밀폐되게 형성되는데, 외측유리(G2)가 상대적으로 태양광을 더 많이 조사받게 됨으로써,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보다 고온상태일 가능성이 매우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한쪽 즉 외측유리(G2)를 접하는 공기층 온도가 더 높을 경우, 온도상승에 따른 압력상승으로 외측유리(G2) 및 중앙유리(G3)가 팽창되어 파손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6)가 상기한 다층유리에 적용된 경우, 태양전지(6)는 외측유리(G2)의 외면에 설치되게 되는데, 태양전지(6)가 태양광 조사에 따라 발전을 함에 따라 발열이 발생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외측유리(G2)가 내측유리(G1) 및 중앙유리(G3)에 비해 열을 더 받게 되는바, 결국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이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보다 고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의 경우에도 외측유리(G2) 및 중앙유리(G3)가 팽창되어 파손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외기와 태양광 조사에 따른 영향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하절기의 경우 내부 공기층이 태양전지(6)의 발열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는 있지만, 외기와 태양광 조사에도 저온을 유지하는 동절기의 경우에는 내부 공기층이 태양전지(6)의 발열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 및 중앙유리(G3)와, 그 사이의 공기층(A1,A2)들이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외측유리(G2) 외면에 설치된 태양전지(6)가 발전에 따른 발열을 할 경우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과,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은 비교적 큰 온도차를 나타내게 될 우려가 크며, 이에 따라 외부 공기층(A2)이 내부 공기층(A1)에 비하여 심하게 팽창되어 결국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및 태양전지(6)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쪽으로 밀폐된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층 공기압이 높아질 경우 다른 한쪽의 공기층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양쪽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어느 한 쪽의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다층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층유리에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이 적용된 경우에, 태양전지의 발전에 따른 발열로 어느 한쪽의 공기층 공기압이 높아지면 다른 한쪽의 공기층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양쪽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역시 어느 한 쪽의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되도록 한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는, 외측유리; 내측유리; 중앙유리 및; 상기 외측유리와 내측유리 및 중앙유리를 삼중으로 기밀 있게 결합시키되, 상기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층 압력이 다른 한쪽의 공기층 압력보다 더 클 경우,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공기층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공기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통로가 형성된 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연통로는 공기가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봉은, 상기 외측유리와 내측유리의 안쪽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하면부와, 상기 양측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되 관통구가 형성된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부로 구성된 하부 간봉부와; 상기 하부 간봉부의 양측면부 상단과 일정간격의 간극을 두고 안착지지되고, 외측유리 및 내측유리의 안쪽면과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안착지지부와, 상기 안착지지부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끝단에 형성되어 중앙유리의 양면과 기밀 있게 밀착지지되는 헤밍부와, 상기 헤밍부 아래쪽의 공간 저부에 설치되어 중앙유리의 양 끝단부가 안착지지되는 개스킷과, 상기 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 간봉부의 걸림돌기부와 이탈되지 않게 체결되는 걸림턱부로 구성된 상부 간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간봉부의 양측면부 상단과 상기 상부 간봉부의 안착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상기 하부 간봉부의 격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는, 상기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격벽부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개폐가 이루어지는 대류 유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대류 유도 개폐장치는, 상기 격벽부의 관통구를 차폐시키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봉부 또는 상부 간봉부의 일측 공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재가 별도의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격벽부의 관통구를 차폐시키도록 한쪽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한 다층유리와; 상기 다층유리의 외측유리 외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에 의하면, 양쪽으로 밀폐된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층 공기압이 높아질 경우 다른 한쪽의 공기층으로 공기가 이동됨으로써, 양쪽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여 어느 한 쪽의 유리가 파손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층유리에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이 적용된 경우에, 태양전지의 발전에 따른 발열로 어느 한쪽의 공기층 공기압이 높아지면 다른 한쪽의 공기층으로 공기가 이동됨으로써, 양쪽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여 역시 어느 한 쪽의 유리가 파손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층유리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도 1에서의 간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다층유리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의 간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의 간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는,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의 3중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 및 중앙유리(G3)를 기밀 있게 적층 결합시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A1,A2)을 갖도록 하는 간봉(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간봉(10)은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 및 중앙유리(G3)를 기밀 있게 적층 결합시킴으로써,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에 공기층(A2)을 형성하고,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에 공기층(A1)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간봉(10)은,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의 양쪽 내면과 접착테이프(도면부호 미부여) 등으로 부착,고정되는 하부 간봉부(20)와, 이 하부 간봉부(20)와 착탈되며 중앙유리(G3)의 끝단부가 안착지지되는 상부 간봉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간봉부(20)는,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의 안쪽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는 양측면부(22)와, 이 양측면부(22)를 일체로 연결하는 하면부(24)와, 상기 양측면부(22)와 하면부(24)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되 관통구(28)가 형성된 격벽부(26)와, 상기 격벽부(26)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간봉부(40)는, 하부 간봉부(20)의 양측면부(22) 상단과 일정간격의 간극(100)을 두고 안착지지되고, 외측유리(G2) 및 내측유리(G1)의 안쪽면과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안착지지부(42)와, 이 안착지지부(42)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44)와, 이 경사부 끝단에 형성되어 중앙유리(G3)의 양면과 기밀 있게 밀착지지되는 헤밍(hemming)(46)부와, 상기 헤밍부 아래쪽의 공간 저부에 설치되어 중앙유리(G3)의 양 끝단부가 기밀 있게 안착지지되는 개스킷(48)과, 상기 경사부(44)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 간봉부(20)의 걸림돌기부(30)와 이탈되지 않게 체결되는 걸림턱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간봉(10)에는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과,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로는 하부 간봉부(20)의 양측면부(22) 상단과 상부 간봉부(40)의 안착지지부(4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00)과, 상기 하부 간봉부(20)의 격벽부(26)에 형성된 관통구(28)가 된다.
한편, 상기 격벽부(26)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개폐가 이루어지는 대류 유도 개폐장치(200)가 설치되는데, 이 대류 유도 개폐장치는 상기 격벽부(26)의 관통구(28)를 차폐시키는 차폐부재(202)와,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봉부(20) 또는 상부 간봉부(40)의 일측 공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204)와, 상기 힌지부(204)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재(202)가 별도의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격벽부(26)의 관통구(28)를 차폐시키도록 한쪽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수단(미도시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는 도면에서는 상기 힌지부(204)가 상부 간봉부(40)의 일측 공간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하부 간봉부(20)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간봉(10)은 외측유리(G2)와 내측유리(G1) 및 중앙유리(G3)의 양쪽 단부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바, 서로 대향되는 각각의 간봉(10)에 설치되는 대류 유도 개폐장치(2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게 된다.
즉, 어느 한쪽의 간봉에 설치된 대류 유도 개폐장치는,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으로부터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이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의 간봉에 설치된 대류 유도 개폐장치는,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부터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쪽의 공기층(A1,A2)은 서로 반대쪽의 공기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즉, 순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한쪽의 공기층 압력이 높을 경우라도 항시 양쪽의 공기층은 등압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내기 온도보다 외기 온도가 높거나 태양광의 조사 온도가 높아서 외측유리(G2)가 내측유리(G1)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을 유지할 경우,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은 고온에 따라 압력이 높아져 팽창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에 존재하는 일부의 공기는 어느 하나의 간봉에 형성되는 연통로를 통해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에 존재하는 일부 공기는 팽창에 따라 상부쪽 간봉의 연통로를 통해 대류 유도 개폐장치를 개방시켜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쪽 간봉의 연통로에 설치된 대류 유도 개방장치의 차폐부재(202)는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고,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 방향으로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바, 하부쪽 간봉의 연통로를 통해서는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 일부 공기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하여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 압력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 압력과 등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부쪽 간봉의 대류 유도 개폐장치의 차페부재는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연통로 즉, 하부 간봉부(20)의 격벽부(26)에 형성된 관통구(28)를 다시 차폐시킴으로써, 더 이상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반대로, 외기 온도보다 내기 온도가 높아서 내측유리(G1)가 외측유리(G2)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을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의 반대로 하부쪽 간봉의 연통로가 개방되면서 양 공기층이 등압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유리의 외측유리(G2) 외면에 태양전지(6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층유리의 외측유리(G2) 외면에 태양전지(60)가 설치된 구성을 제외하면, 다층유리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다층유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태양광의 조사로 인해 태양전지(60)가 발전을 할 경우, 발전에 따른 발열로 인해 외측유리(G2)가 내측유리(G1)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은 고온에 따라 압력이 높아져 팽창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에 존재하는 일부의 공기는 어느 하나의 간봉에 형성되는 연통로를 통해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에 존재하는 일부 공기는 팽창에 따라 상부쪽 간봉의 연통로를 통해 대류 유도 개폐장치를 개방시켜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쪽 간봉의 연통로에 설치된 대류 유도 개방장치의 차폐부재는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고,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 방향으로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바, 하부쪽 간봉의 연통로를 통해서는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 일부 공기가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으로 이동하여 내측유리(G1)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1) 압력이 외측유리(G2)와 중앙유리(G3) 사이의 공기층(A2) 압력과 등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부쪽 간봉의 대류 유도 개폐장치의 차페부재는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연통로 즉, 하부 간봉부(20)의 격벽부(26)에 형성된 관통구(28)를 다시 차폐시킴으로써, 더 이상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G1 : 내측유리 G2 : 외측유리
G3 : 중앙유리 A1,A2 : 공기층
10 : 간봉 20 : 하부 간봉부
22 : 양측면부 26 : 격벽부
28 : 관통구 40 : 상부 간봉부
42 : 안착지지부 60 : 태양전지
100 : 간극 200 : 대류 유도 개폐장치
202 : 차폐부재 204 : 힌지부

Claims (7)

  1. 외측유리;
    내측유리;
    중앙유리 및;
    상기 외측유리와 내측유리 및 중앙유리를 삼중으로 기밀 있게 결합시키되, 상기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 중, 어느 한쪽의 공기층 압력이 다른 한쪽의 공기층 압력보다 더 클 경우,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공기층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공기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통로가 형성된 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공기가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봉은,
    상기 외측유리와 내측유리의 안쪽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하면부와, 상기 양측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되 관통구가 형성된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부로 구성된 하부 간봉부와;
    상기 하부 간봉부의 양측면부 상단과 일정간격의 간극을 두고 안착지지되고, 외측유리 및 내측유리의 안쪽면과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안착지지부와, 상기 안착지지부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끝단에 형성되어 중앙유리의 양면과 기밀 있게 밀착지지되는 헤밍부와, 상기 헤밍부 아래쪽의 공간 저부에 설치되어 중앙유리의 양 끝단부가 안착지지되는 개스킷과, 상기 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 간봉부의 걸림돌기부와 이탈되지 않게 체결되는 걸림턱부로 구성된 상부 간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간봉부의 양측면부 상단과 상기 상부 간봉부의 안착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상기 하부 간봉부의 격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는, 상기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의 공기층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개폐가 이루어지는 대류 유도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류 유도 개폐장치는,
    상기 격벽부의 관통구를 차폐시키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봉부 또는 상부 간봉부의 일측 공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재가 별도의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격벽부의 관통구를 차폐시키도록 한쪽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유리와;
    상기 다층유리의 외측유리 외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20100050773A 2010-05-31 2010-05-31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10117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773A KR101177990B1 (ko) 2010-05-31 2010-05-31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773A KR101177990B1 (ko) 2010-05-31 2010-05-31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70A true KR20110131370A (ko) 2011-12-07
KR101177990B1 KR101177990B1 (ko) 2012-08-28

Family

ID=4549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0773A KR101177990B1 (ko) 2010-05-31 2010-05-31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89B1 (ko) * 2012-02-22 2014-05-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
KR101482164B1 (ko) * 2013-04-30 2015-0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월
EP3574175A4 (en) * 2017-01-30 2020-12-02 GS Research LLC GLAZING UNIT, FASTENED WITH ADHESIVE, MULTI-PANEL WINDOW ARRANGEMENT AND METHOD FOR DOING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810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이델 태양전지 모듈용 컬러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556A (ja) 2002-05-15 2003-11-25 Fukuchi Kenso:Kk 熱割れ防止多層高断熱ガラ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89B1 (ko) * 2012-02-22 2014-05-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
KR101482164B1 (ko) * 2013-04-30 2015-0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월
EP3574175A4 (en) * 2017-01-30 2020-12-02 GS Research LLC GLAZING UNIT, FASTENED WITH ADHESIVE, MULTI-PANEL WINDOW ARRANGEMENT AND METHOD FOR DO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990B1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263B2 (en) Method of making unitized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conversion module
JP5424753B2 (ja) 建物一体型太陽光発電用接続箱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177990B1 (ko)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102324166B1 (ko) 벽체용 태양광 모듈 복합 패널
KR100894575B1 (ko)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커튼월 시스템
RU2313642C1 (ru) Солнечная батарея как элемент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027773B1 (ko) 교체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패널시스템
KR20120012769A (ko) 광전지 패널 벽
KR101820052B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어충진도어
KR101005597B1 (ko) 태양광 발전 창호
WO2011152569A1 (ko)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101549416B1 (ko) 태양광 냉난방 장치
CN218292386U (zh) 一种幕墙单元、光伏幕墙及建筑物
EP4032179B1 (en) A solar power generator
KR101830840B1 (ko)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5521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CN116938125A (zh) 真空低碳发电遮光玻璃
KR20180068451A (ko) 경량화된 건물일체형 태양전지 창호
KR102250206B1 (ko) 벽체용 복합 유니트 패널
KR101500031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H101334A (ja) 太陽電池を封入した複層ガラス
CN219825741U (zh) 真空低碳发电遮光玻璃
KR102436723B1 (ko) 커튼월 모듈
CN103035764B (zh) Bipv光伏组件用呼吸型光伏接线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