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40B1 -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40B1
KR101830840B1 KR1020160053600A KR20160053600A KR101830840B1 KR 101830840 B1 KR101830840 B1 KR 101830840B1 KR 1020160053600 A KR1020160053600 A KR 1020160053600A KR 20160053600 A KR20160053600 A KR 20160053600A KR 101830840 B1 KR101830840 B1 KR 10183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ar cell
cell module
delete delete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041A (ko
Inventor
정유근
조정제
김병준
김규진
문민호
임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동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동영이엔지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음형 태양전지모듈은 결정질 태양전지모듈 및 차음패널이 적용 가능한 이중구조의 알루미늄 프레임을 포함하고, 태양전지모듈 적층구조의 최하단에 단층 또는 복층판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적용하여 차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SOUNDPROOF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음형 태양전지모듈과 그 설치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또한 그러한 차음형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프레임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음성능이 포함된 태양전지모듈 및 차음성능을 높일 수 있는 부자재의 적용이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며, 종래의 결정질 태양전지모듈 제조방법 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 및 그 설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석유 등 화석연료 에너지를 대체할 청정한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로서 태양전지모듈의 적용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특수 목적의 다양한 형태로 태양전지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도로는 기존의 시설중심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지능형 교통체계로 발전됨에 따라 이에 따른 전력수요가 예측되어 도로 자체의 자가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즉, 미래의 도로는 단순한 이동수단인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및 환경친화적 기반 시설을 활용하여 필요전력을 생산하는 등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향후 신재생 에너지 확대 측면에서, 방음벽 및 방음터널 공사 시 태양광발전시설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의 경우 대규모 부지 확보 또는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외부에 노출된 일정공간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여 그 자체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도로적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아울러, 위와 같은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의 경우 주거단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빈번하므로 에너지 측면 이외에도 소음 차단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태양광 발전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은 기존 방음패널 전면 일부에 태양전지모듈을 부착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근시안적 접근방법으로 단순한 방음벽의 일부분을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적용한 것이 아닌, 차음성능과 태양광 발전이 일체화된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에 이용 가능한 차음부자재를 포함하여 차음성능을 구비한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차음성능과 태양광 발전 효과를 모두 포함한 태양전지를 실제 환경에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결정질 태양전지모듈 제조방법 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양산성을 갖춘 모듈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447448 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인식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차음성능이 있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러한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전지모듈을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치 프레임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형 태양전지모듈은, 유리(Glass), 충진재(EVA), 태양전지(Solar Cell), 충진재(EVA), 백시트(Back Sheet), 폴리카보네이트(단층 또는 복층판) 순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가 최하단에 추가되어 적층형성된 구조의 태양전지모듈이다.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결정질 실리콘을 사용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 차음성능이 요구되는 곳에 적용 가능한 결정질 태양전지모듈로서, 태양전지모듈과 차음패널을 각각 고정하는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차음패널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상기 알루미늄 프레임에 체결되는 모듈접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차음패널이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부 측면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외부 측면프레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제1하측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2상측부가 외부 측면프레임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내부 측면프레임을 곡형으로 처리하여 둥글게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측면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된 홈에는 단자함으로부터 연결된 케이블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의 일정 부분을 타공하여, 타공된 구멍으로 케이블을 통과시켜 배선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태양전지모듈과 차음패널을 각각 고정하는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음패널과 상기 차음패널이 삽입 체결되는 하부프레임이 육각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하나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정 부분을 타공하여, 타공된 구멍으로 케이블을 통과시켜 배선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 차음성능이 요구되는 곳에 적용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의 제작방법으로서,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프레임에 차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내부 측면프레임을 곡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이 연결되는 프레임이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케이블의 배선처리 공간을 확보하는 제작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유리(Glass), 충진재(EVA), 태양전지(Solar Cell), 충진재(EVA), 백시트(Back Sheet), 폴리카보네이트 순으로 적층형성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단층 또는 복층판으로 형성되어 최하단에 추가되어 적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프레임은 결정질 태양전지모듈에서 차음성능을 부가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과 더불어 차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음패널이 체결될 수 있는 설치프레임에 의해 차음성능을 가진 다양한 부자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음 차단 효과와 태양광발전을 통한 에너지생산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는 차음형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이용하면 측면프레임에 전기 배선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설치가 가능해 에너지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태양전지모듈을 재활용하여 본건발명의 상부프레임에 설치하고 하부프레임을 변형하여 차음부자재를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태양전지모듈과 프레임 체결 부분에 방수 실리콘 작업을 통하여 빗물 등의 진입을 차단하여 구조적 안정성 제고에도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소음방지용 투명방음판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의 설치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터널 덮개부에 적용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이 적용된 터널 덮개부 프레임의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이 적용된 터널 덮개부 프레임에서 측면프레임에 타공된 구멍으로 단자함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터널 덮개부에 적용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터널 덮개부에 적용한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터널 및 확대한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스케일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고 설명을 위하여 일부를 확대 내지 축소하여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형 태양전지모듈은 발전 효율이 높은 결정질 실리콘을 사용한다.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는 태양광을 전류로 변환시키고,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여 태양전지모듈 전력의 출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그렇기 때문에 박막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현재 태양전지소재로는 결정질 실리콘과 실리콘 박막,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박막, CdTe(Cadmium Telluride) 박막, 유기 염료 등 다양한 소재가 쓰이고 있으나, 제한된 설치면적에서 최대설치가 가능하여 변환 효율이 비교적 높은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전지가 유리하다.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10)은 여러 개의 태양전지(Solar Cell)(13)를 원상태 또는 잘라서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제작하고, 유리(Glass)(11), 충진재(EVA)(12), 태양전지(Solar Cell)(13), 충진재(EVA)(12), 백시트(Back Sheet)(14), 폴리카보네이트(15) 순으로 적층구조를 형성하며, 백시트(14) 후면에 폴리카보네이트(15)가 추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건발명에서는 백시트(14) 후면에 폴리카보네이트(15)가 단층 또는 복층구조로 삽입되는데, 단층 또는 복층구조의 폴리카보네이트(15) 자체로부터 방음/차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5)를 복층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층 사이의 내부에 공기층이 있어 단열 및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단층의 단판에 비하여 단열 및 보온성이 우수해 외기에 노출되더라도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중/삼중의 공기층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인 면에서도 안정성이 향상되고, 빛의 산란효과가 있어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UV, 온도, 습도로부터 태양전지모듈(10)을 보호하며, 장기간의 태양광 시스템의 성능이 유지되는데 기여한다.
즉, 본건발명에 있어서 복층구조의 폴리카보네이트(15)는 그 자체의 차음/방음 효과에 추가하여 열환경적으로도 우수하며, 외기에 노출되는 도로의 방음벽, 중앙분리대, 휴게소, 터널 덮개부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눈부심을 방지하여 주거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5)는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태양전지모듈(10)의 차음 효과 및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태양전지(Solar Cell)(13)는 매우 얇아 파손되기 쉬우므로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견고하고,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재로 제작된 프레임 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결정질 태양전지모듈의 프레임에서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을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이 상부에 존재할 뿐, 차음패널(16)과 같은 다양한 부자재를 설치할 공간이 없었으며, 특히 태양전지 모듈과 모듈 사이의 배선의 통과를 위한 통공 공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과 모듈 사이의 방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도 1의 소음방지 차단 투명방음판 프레임(1)이 적용된 터널 덮개부를 태양전지모듈(10)과 차음패널(16)을 모두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이 적용된 터널 덮개부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을 보여주는 도 3 및 도 7에서는, 차음성능을 보유한 부자재, 예를 들어 차음패널(16)을 하부프레임(4)에 추가로 장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의 상부프레임(3)에서 제1상측부(3-1)와 제1하측부(3-2)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태양전지모듈(10)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4)의 제2상측부(4-1)와 제2하측부(4-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는 상기 차음패널(16)이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건발명의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은 상부프레임(3)과 하부프레임(4)의 이중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의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음패널(16)을 하부프레임(4)에 위치시키고 상부프레임(3)과 하부프레임(4) 사이의 내부 측면프레임(5-1)을 곡선으로 처리하여 둥글게 홈이 형성되도록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을 제작한다. 상기 하부프레임(4)과 상부프레임(3)은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5-1)에서 돌출된 구조로 외부 측면프레임(5-2)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각기 차음패널(16)과 태양전지모듈(10)의 일부를 맞물어서 정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프레임(4)은 제2상측부(4-1)와 제2하측부(4-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부(4-2)는 상기 차음패널(16)을 거치시키고 상기 상측부(4-1)는 상기 하측부(4-2)에 거치된 상기 차음패널(16)을 감싸되 상기 외부 측면프레임(5-2)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상기 하측부(4-2)보다 길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부프레임(3)도 제2상측부(3-1)와 제2하측부(3-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부(3-2)에 상기 태양전지모듈(10)을 거치시키고 상기 하측부(3-2)에 거치된 상기 태양전지모듈(10)을 상기 상측부(3-1)로 감싼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에서 내부 측면프레임(5-1)과 외부 측면프레임(5-2) 사이에 보이드(void)(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 프레임(50)의 실제 설치 공법은 도 4에서 설명한다.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5-1)과 마주보는 동일한 구조의 내부 측면프레임(5-1) 사이, 즉 모듈과 모듈 사이에 형성된 둥글게 홈이 형성된 공간에 단자함(19)으로부터 연결된 케이블(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둥글게 홈이 형성된 공간은, 본건발명의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의 내부 측면프레임(5-1)이 곡형으로 되어 있으되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5-1)이 상기 외부 측면프레임(5-2)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반대로 외부 측면프레임(5-2) 반대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이 적용된 터널 덮개부 프레임(50)의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태양전지모듈(10)이 알루미늄 캡바(Cap Bar)(7)에 의해 고정되며 프레임 안쪽에 고무 가스켓(8)이 장착되고 방수 실리콘(9)을 주입하여 누수차단 및 프레임을 보강한다. 모듈과 모듈 사이는 알루미늄 캡바(Cap Bar)(7)와 상부프레임(3)를 포함하여 실리콘(9) 작업이 가능하므로, 모듈 내부에 외부 수분이나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 프레임(50)을 확대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널 덮개부 프레임(50)의 내부 측면프레임(5-1) 및 외부 측면프레임(5-2)의 일정 부분을 타공(18)하여 단자함(19)에서 연결된 케이블(20) 처리가 용이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10)이 상부프레임(3)에 체결되고, 하부프레임(4)에 차음패널(16)이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음패널(16)을 하부프레임(4)의 제2상측부(4-1)와 제2하측부(4-2) 사이에 배치하고, 장착을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4)과 차음패널(16)을 관통하게 하여 육각 볼트 및 너트(17)로 함께 나사 고정시킨다.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40)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 프레임(60)의 실제 설치 공법은 도 8에서 설명한다. 상기 하부프레임(4)과 측면프레임(5)이 연결되는 프레임에서 연장된 지지프레임(6)으로 인하여 지지대(2)와 지지프레임(6) 사이에 케이블(20)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이것은 상기 육각 볼트 및 나사(17)의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10) 하단에 위치한 단자함(19)에서 연결된 케이블(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6)의 일정 부분을 타공하면 케이블(20) 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15)를 최하단에 적용한 태양전지모듈(10)은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에 체결되는 모듈접합부(22)에 양면테이프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프레임(30, 40)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 프레임(50, 60)이 설치된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터널(7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방음부 및 터널 덮개부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모듈을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BIPV는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면서 건축외장재를 대체하여 건설비용을 절감시키고, 건축외관 디자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음성능을 부가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실용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케일에 따라 도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하여 도시되었다.
1: 투명방음판 프레임
2: 지지대
3: 상부프레임
3-1: 상부프레임의 제1상측부
3-2: 상부프레임의 제1하측부
4: 하부프레임
4-1: 하부프레임의 제2상측부
4-2: 하부프레임의 제2상측부
5: 측면프레임
5-1: 내부 측면프레임
5-2: 외부 측면프레임
6: 지지프레임
7: 알루미늄 캡바(Cap Bar)
8: 고무 가스켓
9: 실리콘
10: 태양전지모듈
11: 유리
12: 충진재(EVA)
13: 태양전지(Solar Cell)
14: 백시트(Back Sheet)
15: 폴리카보네이트
16: 차음패널
17: 육각 볼트 및 너트
18: 타공
19: 단자함
20: 케이블
21: 보이드(void)
22: 모듈접합부
30, 40: 태양전지모듈 프레임
50, 60: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을 적용한 터널 덮개부 프레임
70 :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터널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도로의 방음벽 및 터널 덮개부 등 차음성능이 요구되는 곳에 적용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으로서,
    태양전지모듈과 차음패널을 각각 고정하는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차음패널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차음패널이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부 측면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외부 측면프레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제1하측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2상측부가 상기 외부 측면프레임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을 곡형으로 처리하여 둥글게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내부 측면프레임이 연결되는 프레임에서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의 지지대와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정 부분을 타공하여, 타공된 구멍으로 케이블을 통과시켜 배선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이 때,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유리(Glass), 충진재(EVA), 태양전지(Solar Cell), 충진재(EVA), 백시트(Back Sheet), 폴리카보네이트 순으로 적층형성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단층 또는 복층판으로 형성되어 최하단에 추가되어 적층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결정질 실리콘을 사용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알루미늄 캡바(Cap Bar)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의 안쪽에 고무 가스켓이 장착되고 방수 실리콘을 주입하여 누수차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상기 알루미늄 프레임에 체결되는 접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프레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53600A 2016-04-29 2016-04-29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83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00A KR101830840B1 (ko) 2016-04-29 2016-04-29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00A KR101830840B1 (ko) 2016-04-29 2016-04-29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41A KR20170124041A (ko) 2017-11-09
KR101830840B1 true KR101830840B1 (ko) 2018-02-23

Family

ID=6038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600A KR101830840B1 (ko) 2016-04-29 2016-04-29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6053B (zh) * 2020-08-31 2021-12-17 江苏晶品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吸光单晶硅片
KR102650495B1 (ko) * 2023-08-04 2024-03-22 주식회사 태산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41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361B2 (en) Rooftop system with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20110247282A1 (en) Building Construction
WO2017219798A1 (zh) 一种包含太阳能电池组件的屋顶
KR101830840B1 (ko)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6083A (ko) 복층 단열유리 구조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
JPWO2015016244A1 (ja) 太陽電池装置
CN104124913A (zh) 新建太阳能屋顶一体化发电系统
WO2017219799A1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
CN107086850A (zh) 扣板式光伏组件建筑构件
CN102044990A (zh) 一种无框bipv太阳能组件的安装方法
KR20150068792A (ko) 박막형 태양전지모듈을 증착 매립한 방음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US20120285533A1 (en) Construction material structure for use with solar power
US20160069031A1 (en) Street- or railway section arrangement
CN215167266U (zh) 一种一体装配式光伏复合屋面
AU2016307884A1 (en) Ambient heat collection panel
KR20130098659A (ko) 태양전지모듈 고정용 프로파일
CN206759380U (zh) 扣板式光伏组件建筑构件
CN206003785U (zh) 便携式铝板光伏组件
JP200627853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Kaldani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s
KR10260882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발코니 설치 단열구조
CN219268767U (zh) 光伏建筑一体化幕墙组件
KR102479295B1 (ko) Bipvt 복합모듈
CN102776990A (zh) 卡槽式全密封太阳能光伏建筑一体化屋顶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