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495B1 -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495B1
KR102650495B1 KR1020230102188A KR20230102188A KR102650495B1 KR 102650495 B1 KR102650495 B1 KR 102650495B1 KR 1020230102188 A KR1020230102188 A KR 1020230102188A KR 20230102188 A KR20230102188 A KR 20230102188A KR 102650495 B1 KR102650495 B1 KR 10265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frame
vertical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노형호
조제연
권혁성
이현진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
Priority to KR102023010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 기능이 있으면서도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선이 관통되는 배선공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격판, 및 상기 이격판의 후단에 구비되고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받침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PHOTOVOLTAIC REFLECTIVE SOUND INSULATION BOARD FOR SOUND INSULATION TUN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 기능이 있으면서도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등을 따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등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문제와 함께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이며, 특히, 주변 지역에 학교나 관공서가 위치한 도로 등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바닥에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에 설치되는 방음판(방음판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환경 친화적인 전기 생산 방식인 태양광 발전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솔라셀이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을 지면에 설치해야 하는데, 상기한 태양광 패널(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213호(이하 종래기술)는 조립식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 또는 주택주변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판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투명 방음패널의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음패널은 상부와, 하부의 끼워지는 프레임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부의 프레임과 끼움 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면 상부프레임이다.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와 끼움 부의 고정으로, 방음판의 설치 시 탈착이 가능하며, 설치 도중 미끄러짐이나 탈착되지 않고 밀착 고정키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발전 기능이 없으며,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의 설치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특히 태양광 모듈의 전선을 배선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음 터널의 기존 PMMA 소재나 PC 소재로 마감되었던 천장용 자재의 반사형 방음판 기준으로 충족하며 방음 성능을 갖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배선공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및 이의 조립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추가 부속 철물 등이 불필요한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및 이의 조립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배선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및 이의 조립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선이 관통되는 배선공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격판, 및 상기 이격판의 후단에 구비되고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받침다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직끼움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공은,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 바닥에 형성된 바닥공, 및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 측부에 형성된 측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평끼움홈을 형성하는 수평내부프레임, 상기 수평내부프레임을 감싸는 수평외부프레임, 상기 수평내부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 및 상기 수평내부프레임, 상기 수평외부프레임 및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중공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공은,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공과 마주보는 제1외측공, 및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의 측부에 형성된 측부공과 마주보는 제2외측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중공에 삽입되는 수평끼움돌부, 및 상기 몸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수직중공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돌부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공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코너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공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통공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통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홈 및 상기 수직끼움홈 각각의 폭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의 둘레 단부를 감싸되, 상기 수평끼움홈에 삽입되는 개스킷; 및 상기 태양광 모듈이 삽입된 수평끼움홈에 채워지는 채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다수의 솔라셀을 포함하는 셀부, 및 상기 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셀부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에 삽입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이격판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판은, 상기 측부공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지주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제1연결재,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결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재는, 지주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 지주에 연결되고 제1결합판보다 제2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판, 상기 제1결합판의 제2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체결판의 제3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판, 및 상기 제1측면판의 전단과 제1측부판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제1전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2방향의 역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재는, 상기 제1전방판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재는, 상기 제1전방판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단이 지주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밀폐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끼움홈을 형성하는 수직내부프레임, 상기 수직내부프레임을 감싸는 수직외부프레임, 상기 수직내부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수직외부프레임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수직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외부프레임은, 전방외판, 후방외판, 상기 전방외판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향외판, 상기 후방외판 외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향외판, 상기 후향외판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전방내향외판, 상기 전향외판 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내향외판, 상기 전방내향외판 내측단과 상기 후방내향외판 내측단을 연결하는 연결외판, 및 상기 전방내향외판, 상기 후방내향외판, 상기 연결외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패드의 단부가 삽입되는 외측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및 이웃하는 프레임부재들의 전방에 부착되고 이웃하는 프레임부재의 수직프레임들 사이를 덮는 방수테이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이하 제1프레임부재)의 타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 전방에 연결되고 타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이하 제2프레임부재)의 타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부재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덮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선이 상기 배선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전선을 이동시키는 단계(S10); 및 상기 태양관 모듈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장착하는 단계(S20); 상기 받침다리를 지주에 연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제1방향의 길이를 갖는 제1연결재를 지주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갖는 제2연결재를 상기 제1연결재에 연결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고, 상기 (S30) 단계는 상기 받침다리를 상기 제1연결재 또는 상기 제2연결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공을 통과한 전선 단부를 상기 이격판보다 내측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사이에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S51), 및 방수테이프를 이웃하는 프레임부재들에 부착하여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사이를 덮는 단계(S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폐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방음 터널의 기존 PMMA 소재나 PC 소재로 마감되었던 천장용 자재의 반사형 방음판 기준으로 충족하며 방음 성능을 갖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추가 부속 철물 등이 불필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배선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의 분리 도면이다.
도 2는 정션박스가 2개 구비된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태양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태양광 모듈의 배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측부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태양광 모듈과 개스킷의 모서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스킷 및 채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부재 및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밀폐부재가 이웃하는 프레임부재들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연장판 및 제1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의 분리 도면이다. 도 2는 정션박스가 2개 구비된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태양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P)은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구조물'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P))은 태양광 모듈(1), 프레임부재(2) 및 받침다리(3)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1)은 둘레 단부가 후술하는 프레임부재(2)에 장착되는 차음부재(11) 및 다수의 솔라셀(121)(solar-cell)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부재(11)에 연결되는 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차음부재(11)는 예시적으로 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상기한 셀부(12)가 배치되어 한 쌍의 유리와 셀부(12) 공지된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볼팅 결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1)은 상기한 차음부재(11)의 단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한 셀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예시적으로 케이블 등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정션박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정션박스(13)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부착 또는 끼움결합 등)에 의해 상기한 차음부재(11)의 둘레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부재(2)는 상기 태양광 모듈(1)의 둘레(단부)에 장착(상기한 차음부재(11)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1)의 전선(14)이 관통되는 배선공(21)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프레임부재(2)는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1)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평끼움홈(221)이 형성된 수평프레임(22), 및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1)의 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수직끼움홈(231)이 형성된 수직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도 3과 같이 본 장치를 정면 상에서 봤을 때 상기 태양광 모듈(1)의 중심측(수평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측 또는 수직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좌우 방향 측 또는 상하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평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측(상부, 상단 등)은 도 3을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등)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태양광 모듈(1) 및 프레임부재(2)가 결합된 조립체가 방음터널 지주(S)에 설치된 상태가 아닌 상기 조립체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평프레임(22)은 태양광 모듈(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한 수직프레임(23)은 태양광 모듈(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장치는 도 3과 같이 정면 상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평끼움홈(221)은 상기 수평프레임(2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한 수평프레임(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직끼움홈(231)은 상기한 수직프레임(2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한 수직프레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수평끼움홈(221) 및 수직끼움홈(231) 각각에 상기한 태양광 모듈(1)의 차음부재(11)가 삽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프레임부재(2)와 태양광 모듈(1)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조물은 차음부재(11)와 셀부(12)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1)을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방음 성능(차음부재(11)는 소음을 반사시킴)을 가지면서도, 상기한 태양광 모듈(1)을 통해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선공(21)은 상기 수평끼움홈(221)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231)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공(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닥공(211)은 끼움홈들의 바닥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2) 또는 수직프레임(23)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선공(21)은 상기 수평끼움홈(221)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231)의 측부(측면)에 형성되는 측부공(212)(측부공(212)은 도 2 및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측부공(212)은 끼움홈의 측부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2)의 전방 또는 후방을 관통하거나 수직프레임(23)의 전방 또는 후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은 후술하는 수평내부프레임(222) 또는 후술하는 수직내부프레임(23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후방이란 본 구조물이 방음터널의 지주(S)에 설치됐을 때를 기준으로 터널 내부측 방향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배면측 방향(후술하는 도 7을 기준으로 'A'방향의 역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이란 상기 방음터널의 외부측 방향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정면측 방향(후술하는 도 7을 기준으로 'A'방향)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은 정션박스(13)를 포함한다고 하였고, 상기한 정션박스(13)에는 전선(14)이 연결된다고 하였는데, 상기한 정션박스(13) 등이 수평끼움홈(221) 또는 수직끼움홈(231)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고 부식 발생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태양광 모듈의 배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부재(2)가 배선공(21)을 포함하여, 상기한 전선(14)을 바닥공(211)으로 빼내어 배선(도 4의 [C] 참조) 하거나 측부공(212)으로 빼내어 배선(도 4의 [D] 참조)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1)의 전선 배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닥공(211)은 태양광 모듈(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2) 중 상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부공(212)은 도 1과 같이 태양광 모듈(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2) 중 상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후방(정온시설 측)에 형성되어 전방에 전선(14)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태양광 모듈(1)은 두 개의 정션박스(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정션박스(13) 중 어느 하나는 +극과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극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 각각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예를 들어 2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 각각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장공일 수 있다.
즉, 상기한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이 수평프레임(22)에 형성되는 경우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갖는 장공일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23)에 형성되는 경우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션박스(13)에 연결되는 전선(14)의 배선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있어 정션박스(13)의 설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5는 측부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부공(212)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일정공(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측부공(212)이 수평프레임(22)에 형성되는 경우 일정공(212a)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수평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며 수직 방향과 평행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측부공(212)이 수직프레임(23)에 형성되는 경우 일정공(212a)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수직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 방향과 평행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측부공(212)은 상기 일정공(212a)의 단부(길이를 설정하는 단부)에서 만곡 되게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돌출되는 만곡공(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부공(212)의 첨예한 부분을 최소화하여 전선(14)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22)은 상기 수평끼움홈(221)을 형성하는 수평내부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내부프레임(222)은 바닥판(222a) 및 상기 바닥판(222a)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부판(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닥판(222a) 및 측부판(222b) 각각이 상기 수평끼움홈(221)의 바닥 및 측부(측면)을 각각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 각각은 상기한 바닥판(222a) 및 측부판(222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22)은 상기 수평내부프레임(222)을 감싸는 수평외부프레임(223) 및 상기 수평내부프레임(222)의 내측단과 상기 수평외부프레임(223)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프레임(2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2)은 상기 수평내부프레임(222), 수평외부프레임(223) 및 수평연결프레임(225)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중공(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수평중공(224)은 후술하는 코너결합구(24)의 수평끼움돌부(242)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수직프레임(23) 또한 수직끼움홈(231)을 형성하는 수직내부프레임(232), 상기 수직내부프레임(232)을 감싸는 수직외부프레임(233), 상기 수직내부프레임(232)의 내측단과 수직외부프레임(233)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프레임(2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23)은 상기 수직내부프레임(232), 수직외부프레임(233), 및 수직연결프레임(235)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중공(23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중공(234)에는 후술하는 코너결합구(24)의 수직끼움돌부(243)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배선공(21)은 상기 수평외부프레임(223)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221)의 바닥(상기 바닥판(222a))에 형성된 바닥공(211)과 마주보는 제1외측공(213), 및 상기 수평외부프레임(223)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221)의 측부(상기 측부판(222b))에 형성된 측부공(212)과 마주보는 제2외측공(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프레임(22)이 후술하는 수평끼움돌부(242)가 삽입되는 수평중공(224)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한 배선공(21)이 외측공(제1외측공(213) 및 제2외측공(214)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함으로써, 수평끼움홈(221)에서 바닥공(211) 또는 측부공(212)을 통해 수평중공(224)에 진입된 전선(14)을 상기 외측공을 통해 프레임부재(2) 외부로 배선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외측공(213)은 바닥공(211)의 형상과 상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외측공(214)은 상기한 측부공(212)의 형상과 상응할 수 있다.
상기한 바닥공(211) 및 측부공(212)이 수직프레임(23)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한 제1외측공(213) 및 제2외측공(214) 또한 상기한 수직프레임(23)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부재(2)는 몸체(241), 상기 몸체(24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중공(224)에 삽입되는 수평끼움돌부(242), 및 상기 몸체(24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프레임(23)에 형성된 수직중공(234)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돌부(243)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코너결합구(24)를 통해 상기한 수평프레임(22)과 수직프레임(23)은 상호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정면 상에서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코너결합구(24)는 본 장치의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선공(21)은 상기 몸체(241)에 형성되는 코너공(215)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몸체(241)는 상기한 수직끼움돌부(243)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241a),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241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끼움돌부(242)는 수평플레이트(24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코너공(215)은 상기한 수직플레이트(241a)에 형성된 제1통공(215a)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241b)에 형성된 제2통공(215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코너공(215)을 포함함으로써, 코너결합구(24)를 통해 전선(14)을 배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배선을 본 장치의 측부 상측으로 하고자 할 때는 상기한 제2통공(215b)을 통해 배선을 수행(도 4의 [A]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장치의 상하부 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배선을 하지 않고 측방향 측으로 하고자 배선을 하고자 할 때는 상기한 제1통공(215a)을 이용하여 배선을 수행(도 4의 [B] 참조)할 수 있다.
상기한 제2통공(215b) 등의 배선공(21)은 물이 배출되는 배수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태양광 모듈과 개스킷의 모서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몸체(241)는 상기 수직플레이트(241a)의 전단과 수평플레이트(241b)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방플레이트(241c), 및 수직플레이트(241a)의 후단과 수평플레이트(241b)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방플레이트(241d)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241c) 및 후방플레이트(241d) 각각은 전방 및 후방 각각에서 태양광 모듈(1)의 모서리 측을 보호하는 부재이다.
이때 수평끼움홈(221) 및 수직끼움홈(231) 각각의 폭(전후방 길이)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41c)와 후방플레이트(241d)의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한 수평끼움홈(221) 등에 삽입되는 태양광 모듈(1)의 모서리 부분이 전방플레이트(241c)와 후방플레이트(241d)와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여 파손에 취약한 태양광 모듈(1)의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결합구(24)의 수평플레이트(241b)가 수직플레이트(241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연결되고, 상기한 프레임부재(2)의 수평내부프레임(222) 및 수평외측프레임(223)이 상호 이격되고, 수직내부프레임(232)과 수직외부프레임(233)이 상호 이격되어 태양광 모듈(1)의 모서리 부분이 수직플레이트(241a)와 수평플레이트(241b) 각각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태양광 모듈(1)의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음부재(11)의 상단과 상기 셀부(12) 상단의 거리(이하 제1거리)는 차음부재(11)의 하단과 상기 셀부(12) 하단 간의 거리(이하 제2거리)보다 클 수 있다.
태양광 모듈(1)이 상기한 프레임부재(2)에 장착되어 지주(S)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한 햇빛이 프레임부재(2)에 가려져 셀부(12)의 상부에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할 경우 태양광 모듈(1)의 제작비용 대비 발전 효율이 저하되어 경제적이지 못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은 그 제1거리가 제2거리보다 크도록 하여 셀부(12)의 비교적 전체 부분에 햇빛이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방음 터널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1)의 발전 효율을 향상).
도 7은 개스킷 및 채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1)의 둘레 단부를 감싸되, 상기 수평끼움홈(221) 및 수직끼움홈(23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개스킷(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1)과 개스킷(3)이 삽입된 수평끼움홈(221) 및 수직끼움홈(231) 각각에 채워지는 채움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3)은 예시적으로 수지,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한 채움부재(4)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개스킷(3) 및 채움부재(4)를 포함하여 태양광 모듈(1)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고, 수평내부프레임(222) 및 수직외부프레임(233) 각각과 태양광 모듈(1)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 하여 본 장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태양광 모듈(1)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코너결합구(24)는 수평끼움돌부(242)의 외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수평끼움돌부(242)와 수평외부프레임(223)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돌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연결부재 및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밀폐부재가 이웃하는 프레임부재들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8을 참조하면, 받침다리(5)는 상기 프레임부재(2) 후방(지주(S) 측)에서 후방(지주(S)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격판(51), 및 상기 이격판(51)의 후단에 구비되고 방음터널 지주(S)와 연결되는 연결판(52)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S)는 예시적으로 H형강일 수 있다.
상기한 받침다리(5)의 이격판(51)은 예시적으로 수평외부프레임(223) 및 수직외부프레임(233)의 외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판(52)은 상기 이격판(5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연결부재(6)와 연결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구조물은 제1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건물 지주(S)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판(52)이 연결되는 제1연결재(6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이란 도 8을 기준으로 정면-배면 방향 길이일 수 있으며, 상기한 수직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재(6)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재(6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재(6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결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2방향은 도 8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한 수평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연결판(52)은 상기한 연결부재(6)의 전방 측에 볼트 등을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판(52)이 상기한 이격판(5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고 하였으므로, 상기한 볼트 등이 연결판(52)을 관통하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프레임부재(2) 내측으로 볼트를 설치할 필요 없어, 받침다리(5)와 상기한 연결부재(6)의 결합을 위한 볼트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재(6)는 후술하는 제1측면판(613) 또는 제1측부판(614)과 결합되는 제1결합플레이트(631), 및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631) 상단 또는 후단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 측으로 연장되어 제2연결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플레이트(632)를 포함하는 결합수단(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631) 및 제2결합플레이트(632) 각각은 볼트공이 형성되어 볼트를 매개로 제1연결재(62) 및 제2연결재(62)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한 이격판(51)은 상기한 측부공(212)과 제2외측공(214) 각각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측부공(212)과 제2외측공(214)을 통해 끼움홈(수평끼움홈(221) 또는 수직끼움홈(231))에서 배출되는 전선(14)이 외측에 배치되는 이격판(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연결판(52)은 연결부재(6)의 전방에 배치된다고 하였는데, 상기한 이격판(51)은 상기한 연결부재(5)와 프레임부재(2)(배선공(21))를 이격시켜 배선공(21)을 통해 배출되는 전선(14)이 배선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선(14)은 상기한 이격판(51) 내측에 배치되어 배선되며 상기한 연결부재(6)(제1연결재(6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조물은 배선공(21)과 받침다리(5)를 포함하여 전선(14)의 배선이 용이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S)에 연결되어 기존 건물의 외장 소재로 시공되었던 대리석 및 알루미늄 복합패널 등의 소재와 다른 태양광 모듈(1)을 설치함으로써, 전기 생산을 통한 탄소절감을 실현하고 태양광 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자재 및 설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부재(2)와 연결되는 받침다리(5)를 지주(S)와 직접 연결할 경우, 태양광 모듈(1)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 할 경우 받침다리(5)와 지주(S)의 결합 해제와 결합을 반복해야 한다. 이러할 경우 지주(S)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본 구조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6)를 지주(S)에 한번 연결하기만 하면, 연결부재(6)와 받침다리(5)를 볼트 등을 매개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1)의 탈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개선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재(61)는 지주(S)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611), 지주(S)에 연결되고 제1결합판(611)보다 제2방향 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판(6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판(611) 및 제2체결판(612) 각각은 볼트 등을 매개로 지주(S)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재(61)는 상기 제1결한판(611)의 제2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판(613), 상기 제1체결판의 제3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판(6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2방향의 역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1연결재(61)는 상기 제1측면판(613)의 전단과 제1측부판(614)의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52)이 연결되는 제1전방판(6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재(61)는 상기한 제1측면판(613), 제1측부판(614) 및 제1전방판(615)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전방판(615)은 예시적으로 전선(14)이 관통과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제1연결재(61)가 제1홈부(618)를 포함하여 전선(14)이 배선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연결재(61)는 상기한 제1전방판(615)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이탈방지돌기(6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돌기(616)는 제1연결재(61)의 길이와 평행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돌기(616)는 받침다리(5)가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재(61)는 상기 제1전방판(615)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그 후단이 지주(S)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6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전방판(615)이 후방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연결재(61)는 상기 제1결합판(611)과 제1체결판(612)을 관통하는 볼트부재(6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연결재(61)는 상기 제1측면판(613)의 전단측에서 제3방향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620), 및 상기 제1측부판(614) 전단측에서 제2방향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판(6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620)과 제1연장판(621)은 제1연결재(61)에서 프레임부재(2)와 연결되는 부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외부프레임(233)은 전방외판(233a) 및 후방외판(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외판(233a)은 한 쌍의 수직연결프레임(235) 중 전방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것이며, 후방외판(233b)은 한 쌍의 수직연결프레임(235) 중 후방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수직외부프레임(233)은 전방외판(233a)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향외판(233c), 후방외판(233b) 외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향외판(233d), 후향외판(233c)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전방내향외판(233e), 전향외판(233d) 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내향외판(233f), 및 전방내향외판(233e)와 후방내향외판(233f)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연결외판(233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외부프레임(233)은 상기 전방내향외판(233e), 상기 후방내향외판(233f), 상기 연결외판(233g)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홈(233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홈(233h)은 도 8에도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구조물은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의 수직프레임(23)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71)(예시적으로 EVA 패드)를 포함하는 밀폐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패드(71)는 상기한 외측홈(233h)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패드(71)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패드(71)는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 사이를 막아 프레임부재(2)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특히 배선공(21)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어 태양광 모듈(1)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밀폐부재(7)는 상기 패드(71) 전방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의 수직프레임들(23)들 사이를 덮는 방수테이프(7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테이프(72)는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패드(71)의 전방에 실리콘이 도포되어 상기 실리콘을 매개로 방수테이프(72)와 부착될 수 있다.
방수테이프(72)는 후방이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의 수직프레임(23)들 각각의 전방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장치는 일 측(도 8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제3방향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이하 제1프레임부재)의 타 측(도 8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제2방향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23) 전방에 연결되고 타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이하 제2프레임부재)의 일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23) 전방에 연결되고 밀폐부재(7)(예시적으로 방수테이프(72))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덮개(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덮개(73)는 통상의 볼트 등을 매개로 프레임부재(2)와 연결될 수 있다.
방수테이프(72)는 프레임부재(2)와 패드(71) 사이의 경계를 막아 방수성을 더욱 강화하는 구성이며, 고정덮개(73)는 방수테이프(72) 전방에 배치되어 방수테이프(7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이다.
도 11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시공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방법은 상술한 본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술한 본 구조물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제1 배선 단계(S10), 조립 단계(S20), 및 지주 연결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선 단계(S10)는 태양광 모듈(1)의 전선(14)이 상기 배선공(21)을 관통하도록 상기 전선(14)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배선 단계(S10)에서 상기 전선(14)는 수평끼움홈(221) 또는 수직끼움홈(231)에 삽입되어 상기한 바닥공(211) 또는 측부공(212)을 통해 상기 수평중공(224) 또는 수직중공(234)에 삽입되고, 상기 제1외측공(213) 또는 상기 제2외측공(214)을 통해 프레임부재(2)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선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 단계(S20)는 상기 태양광 모듈(1)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부재(2)를 이동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1)(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재(2)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지주 연결 단계(S30)는 상기 받침다리(5)를 상기 지주(S)에 연결하는 단계(도 10의 [B] 참조)이다.
본 방법은 지주 연결 단계(S30) 이전에 수행되는 연결재 설치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재 설치 단계(S5)는 제1방향의 길이를 갖는 제1연결재(61)를 지주(S)에 전방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갖는 제2연결재(62)를 상기 제1연결재(61)에 연결하는 단계(도 10의 [A] 참조)이다.
상기 (S5) 단계는 도 11 상에서 제1 배선 단계(S10)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주 연결 단계(S30) 이전에 수행되는 한 상기 (S10) 단계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으며 (S20) 단계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주 연결 단계(S30)는 상기 받침다리(5)를 상기 제1연결재(61) 또는 제2연결재(62)에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상기 지주 연결 단계(S30)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배선공(21)을 통과한 전선(14) 단부를 상기 이격판(51)보다 내측에 배치한 상태러 상기 연결부재(6)(제1연결재(61)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배선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 사이에 패드(71)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단계(S51), 및 상기 방수테이프(72)를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에 부착하여 이웃하는 프레임부재(2) 사이를 덮는 단계(S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폐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단계(S50)가 (S51) 단계와 (S52)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S52) 단계는 (S51)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방법은 고정덮개(73)를 이웃하는 프레임부재(7)에 연결하여 방수테이프(72) 전방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P
태양광 모듈: 1 차음부재: 11
셀부: 12 솔라셀: 121
정션박스: 13 전선: 14
프레임부재: 2 배선공: 21
바닥공: 211 측부공: 212
일정공: 212a 만곡공: 212b
제1외측공: 213 제2외측공: 214
코너공; 215 제1통공: 215a
제2통공: 215b 수평프레임: 22
수평끼움홈: 221 수평내부프레임: 222
바닥판: 222a 측부판: 222b
수평외부프레임: 223 수평중공: 224
수평연결프레임: 225 수직프레임: 23
수직끼움홈: 231 수직내부프레임: 232
수직외부프레임: 233 전방외판: 233a
후방외판: 233b 후향외판: 233c
전향외판: 233d 전방내향외판: 233e
후방내향외판: 233f 연결외판: 233g
외측홈: 233h 수직중공: 234
수직연결프레임: 235 코너결합구: 24
몸체: 241 수직플레이트: 241a
수평플레이트: 241b 전방플레이트: 241c
후방플레이트: 241d 수평끼움돌부: 242
수직끼움돌부: 243 끼움돌기: 244
개스킷: 3 채움부재: 4
받침다리: 5 이격판: 51
연결판: 52 연결부재: 6
제1연결재: 61 제1결합판: 611
제1체결판: 612 제1측면판: 613
제1측부판: 614 제1전방판: 615
제1이탈방지돌기: 616 제1지지판: 617
제1홈부: 618 제2연결재: 62
결합수단: 63 밀폐부재: 7
패드: 71 방수테이프: 72
고정덮개: 73

Claims (21)

  1.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선이 관통되는 배선공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격판, 및 상기 이격판의 후단에 구비되고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받침다리;
    상기 태양광 모듈의 둘레 단부를 감싸되, 수평끼움홈 및 수직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개스킷;
    상기 태양광 모듈과 개스킷이 삽입된 수평끼움홈 및 수직끼움홈 각각에 채워지는 채움부재;
    제1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지주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제1연결재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결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이웃하는 프레임부재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및 이웃하는 프레임부재들의 전방에 부착되고 이웃하는 프레임부재의 수직프레임들 사이를 덮는 방수테이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밀폐부재; 및
    일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이하 제1프레임부재)의 타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 전방에 연결되고 타 측이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이하 제2프레임부재)의 타 측에 배치된 수직프레임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부재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내측에 상기 태양광 모듈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직끼움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공은,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 바닥에 형성된 바닥공, 및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 측부에 형성된 측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평끼움홈을 형성하는 수평내부프레임, 상기 수평내부프레임을 감싸는 수평외부프레임, 상기 수평내부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 및 상기 수평내부프레임, 상기 수평외부프레임 및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중공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공은,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공과 마주보는 제1외측공, 및 상기 수평외부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끼움홈의 측부에 형성된 측부공과 마주보는 제2외측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중공에 삽입되는 수평끼움돌부, 및 상기 몸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수직중공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돌부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공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코너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공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통공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통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홈 및 상기 수직끼움홈 각각의 폭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다수의 솔라셀을 포함하는 셀부, 및 상기 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셀부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끼움홈 또는 상기 수직끼움홈에 삽입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은, 상기 측부공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재는,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 상기 지주에 연결되고 제1결합판보다 제2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판, 상기 제1결합판의 제2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체결판의 제3방향 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판, 및 상기 제1측면판의 전단과 제1측부판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제1전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2방향의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재는,
    상기 제1전방판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제1전방판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단이 상기 지주의 전방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끼움홈을 형성하는 수직내부프레임, 상기 수직내부프레임을 감싸는 수직외부프레임, 상기 수직내부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수직외부프레임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수직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외부프레임은,
    전방외판, 후방외판, 상기 전방외판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향외판, 상기 후방외판 외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향외판, 상기 후향외판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전방내향외판, 상기 전향외판 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내향외판, 상기 전방내향외판 내측단과 상기 후방내향외판 내측단을 연결하는 연결외판, 및 상기 전방내향외판, 상기 후방내향외판, 상기 연결외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패드의 단부가 삽입되는 외측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30102188A 2023-08-04 2023-08-04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5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188A KR102650495B1 (ko) 2023-08-04 2023-08-04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188A KR102650495B1 (ko) 2023-08-04 2023-08-04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495B1 true KR102650495B1 (ko) 2024-03-22

Family

ID=9048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188A KR102650495B1 (ko) 2023-08-04 2023-08-04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4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102A (ko) * 2007-08-10 2009-02-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방음판
KR20100089724A (ko) * 2009-02-03 2010-08-12 김주연 수평조립 및 유지, 보수가 유리한 교체형 조명방음패널
KR101206467B1 (ko) *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1215907B1 (ko) * 2010-07-16 2012-12-27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방음벽 및 캐노피용 멀티 프로파일
KR20170124041A (ko) * 2016-04-29 2017-11-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011B1 (ko) * 2017-03-19 2018-04-03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KR102380655B1 (ko) * 2021-08-12 2022-04-01 주식회사 태산 전체 및 부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양면 발전형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투명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및 이의 부분 유지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102A (ko) * 2007-08-10 2009-02-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방음판
KR20100089724A (ko) * 2009-02-03 2010-08-12 김주연 수평조립 및 유지, 보수가 유리한 교체형 조명방음패널
KR101215907B1 (ko) * 2010-07-16 2012-12-27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방음벽 및 캐노피용 멀티 프로파일
KR101206467B1 (ko) *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20170124041A (ko) * 2016-04-29 2017-11-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차음형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011B1 (ko) * 2017-03-19 2018-04-03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KR102380655B1 (ko) * 2021-08-12 2022-04-01 주식회사 태산 전체 및 부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양면 발전형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투명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및 이의 부분 유지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08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3400B1 (ko) 방음패널용 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101324500B1 (ko) 지붕형 태양광 모듈 장치
KR101845011B1 (ko)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CN114457964B (zh) 一种模块化装配式安装的一体化屋面光伏系统
KR20150123021A (ko)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KR102424882B1 (ko) 탈부착 방식으로 내진성능을 강화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251709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을 위한 평지붕형 커튼 월 마운트 조립체
KR102650495B1 (ko) 방음 터널용 태양광 발전 반사형 방음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124913A (zh) 新建太阳能屋顶一体化发电系统
KR102658218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5321B1 (ko)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KR101826395B1 (ko) 트러스형 방음터널 구조물
KR20190101029A (ko)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 없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1152619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628863B1 (ko) 방음터널용 태양광 모듈 고정구조
CN101565978A (zh) 光伏幕墙安装系统
CN217353096U (zh) 一种保护排线的光电幕墙节点结构
JP407839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CN105356835A (zh) 太阳能光伏组件缺口填胶式粘接密封结构
WO201115231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JP5886598B2 (ja) 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KR100839633B1 (ko) 태양전지판넬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마감재
JP3166508U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架台システム
CN219604577U (zh) 一种光伏保温一体板和光伏保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