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134A -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 Google Patents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134A
KR20110131134A KR1020110050713A KR20110050713A KR20110131134A KR 20110131134 A KR20110131134 A KR 20110131134A KR 1020110050713 A KR1020110050713 A KR 1020110050713A KR 20110050713 A KR20110050713 A KR 20110050713A KR 20110131134 A KR20110131134 A KR 20110131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eeve
guide
fixing
fixing membe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석
조성윤
홍성표
구자오
Original Assignee
유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앤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3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troducing bone substitute, for implanting bone graft implants or for compacting them in the bone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술부의 뼈에 우선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10)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가이드 부재(100),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체결되고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300) 및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뼈 고정부재 이외에도 인공관절 또는 임플란트 등 뼈에 고정되는 부재를 삽입하는 시술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APPARATUS FOR POSTIONING IMLPLANTS IN A BONE}
본 발명은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골절부에 시술시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시술할 수 있는 시술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나아가, 뼈에 고정되는 임플란트 및 인공관절과 같은 다양한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시술에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뼈 골절부위의 고정에 사용되는 수술방법은 체내 고정 방법으로서 피부 및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부의 뼈를 노출시킨 후 뼈 속에 고정부재, 예를 들면 둥근 원통형의 금속정 또는 골수강 내 고정못을 삽입하여 뼈의 골절부를 관통하여 단단히 결속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1개가 삽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하나의 뼈가 여러 부위에 복합 골절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만 골절부위의 고정이 가능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복수의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뼈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고정부재는 상호 체결되어 하나의 고정부재처럼 기능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하나의 고정부재에 다른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하나의 고정부재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뼈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부에 나중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정확히 체결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술을 위한 시술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을 살펴보면 뼈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복합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시술 예를 보이고 있으며, 뼈에 먼저 삽입 고정된 제1 고정부재(10)에 제2 고정부재(20)가 삽입되며 이러한 시술을 위해서 제1 가이드 부재(100), 제2 가이드 부재(200) 및 가이드 슬리브(300)를 구비한 시술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뼈 내부나 신체 내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상기 제2 고정부재(20)가 결합하므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수술실용 투시 방사선 기계(C-armed Fluoroscopy, 이른바 C-arm)를 통하여 시술하여야 하며, 투시 방사선 기계를 사용하더라도 고정부재 상호 간 정확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나아가, 상기 제1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는 고정부재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1 고정부재(10)가 비교적 타이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시술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복합 골절 부위에 복수의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수술에 있어서 편리하면서도 정확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는 시술부의 뼈에 우선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10)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가이드 부재(100),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체결되고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300) 및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를 관통하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20)를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을 통하여 시술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체결되는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가 마련되고,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와 상호 체결되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가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가이드 슬리브(300)가 상호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와 결합하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밀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는 제2 고정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를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을 사용하여 제2 가이드 부재에 고정하므로 제2 고정부재의 제1 고정부재로의 체결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가 관통하는 관통부에 가이드 슬리브와 결속되는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가 형성되므로, 가이드 슬리브 고정 유닛과 함께 상기 가이드 슬리브를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 슬리브와 제2 가이드 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뼈 고정부재 이외 기타 임플란트나 인공관절의 삽입술에 있어서도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다양한 시술에 적용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서 가이드 슬리브 및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서 가이드 슬리브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재의 삽입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서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서 가이드 슬리브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를 이용하여 제2 고정부재의 삽입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는 시술부의 뼈에 우선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10)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가이드 부재(100),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체결되고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300) 및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재(10)는 일반적으로 긴 막대나 봉 형상을 가지고 시술부에 삽입되는 일단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결합되는 타단을 구비하며 시술부인 뼈에 우선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골절부를 고정하는 경우 뼈에 먼저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10)에는 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20)가 관통하는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부위 및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는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제2 고정부재(20)가 결합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예를 들어 대퇴부의 경우 제1 고정부재(10)와 제2 고정부재(20)가 120도에서 130도 사이에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의 각도에 따라 제2 고정부재가 제2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서 정확하게 가이드 되어야 하므로,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의 각도에 상응하여 제2 고정부재(20)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부재(200)(후술함)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는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늘어날수록 더 많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제4 고정부재 관통부 등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는 일반적으로 막대나 호 형상의 강체로 구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재 체결부(110)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제2 가이드 부재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부재 체결부(12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는 상기 제1 고정부재(10)의 일단을 삽입할 때 제1 고정부재(10)의 타단에 단단히 체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거나, 직접 제1 가이드 부재(100)에 충격을 가하여 제1 고정부재의 일단이 뼈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체결부(120)를 통해 제2 가이드 부재(200)와 결합하게 되므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는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 위치 및 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는 상기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300)가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제2 가이드 부재(200)에는 가이드 슬리브(300)가 관통되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2 고정부재(20)를 뼈에 삽입하기 위한 환자의 피질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 슬리브(300)의 내경을 통하여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20)가 회전하면서 뼈에 삽입될 때 피질부를 보호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는 가이드 슬리브(300)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를 포함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 시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환자의 외부에서 시술부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전단부가 제2 고정부재(20)가 삽입되는 뼈에 근접하여 배치되머, 가이드 슬리브(300)의 삽입거리는 환부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에 결합되며 관통부를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환자의 시술부에 가이드 슬리브(300)의 전단부를 쉽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상기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고 지지하므로 일단 시술하려는 위치에서는 가이드 슬리브(300)가 안정적으로 제2 고정부재(2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부재(200)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체결되는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의 내측 일부에 암 나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의 외경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의 암 나사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수나사 형태로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호 체결되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야 시술시 가이드 슬리브(3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시술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하게 가이드 슬리브(300)가 시술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이드 슬리브(300)의 일부가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은 가이드 슬리브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 결합하여 회전하는 너트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방향으로 돌려 밀착시켜 나사 체결의 힘으로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제2 가이드 부재(2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결국, 가이드 슬리브(300)의 전단이 시술부에 위치하면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가 더욱 안정적인 구조로 제2 고정부재의 삽입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 가이드 슬리브(300) 및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의 체결 구조를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를 사용하여 왼쪽 대퇴골의 골절부위에 제1 고정부재(10)와 제2 고정부재(20)를 삽입하는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고정부재(10)는 제1 가이드 부재(100)와 결합하여 환자의 대퇴골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되어 제1 골절부(11)를 관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재(10)에는 후에 삽입되는 제2 고정부재(20)가 체결되는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 및 제1 고정부재(10)를 뼈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1 고정부재 고정핀(미도시)이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고정핀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에 제2 가이드 부재(200)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와 동심축을 가지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제2 고정부재 관통부(11)의 각도에 상응하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 마련된 제2 가이드 부재(200)를 적용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를 통하여 결국 제2 고정부재(20)가 안내되어 삽입되므로 제1 고정부재(10)와 제2 고정부재(20)가 정확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가이드 슬리브(300)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효과적인 시술을 위해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를 통해 제2 고정부재(20)가 삽입되는 뼈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가이드 슬리브(300) 전단을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와 가이드 슬리브(30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가이드 슬리브(300)와 제2 가이드 부재(200)가 직접 결합이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유격이나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제2 가이드 부재(200)에 고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사용하여 가이드 슬리브(300)와 제2 가이드 부재(200)를 고정할 수 있어 결국 이중의 고정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의 내경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 안내부(310)를 통해 제2 고정부재(20)가 시술부에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제2 고정부재(20)는 시술부에 회전하면서 삽입되고 제2 골절부(21)을 관통하여 제1 고정부재(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제2 고정부재(200)가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결합하여 골절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고정부재 11; 제1 골절부
11; 제2 고정부재 관통부 12; 제1 고정부재 고정핀 결합부
20; 제2 고정부재 21; 제2 골절부
100; 제1 가이드 부재 110; 제1 고정부재 체결부
120; 제2 가이드 부재 체결부 200; 제2 가이드 부재
210;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 220;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
300; 가이드 슬리브 310; 제2 고정부재 안내부
320;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 330; 가이드 슬리브 핸들
400; 가이드 슬리브 고정 유닛

Claims (3)

  1. 시술부의 뼈에 우선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10)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가이드 부재(100);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00)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체결되고 제2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300) 및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를 관통하는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20)를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을 통하여 시술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1 고정부재(10)와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와 체결되는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가 마련되고,상기 가이드 슬리브(300)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와 상호 체결되는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가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와 가이드 슬리브(300)가 상호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와 결합하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밀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관통부(210)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에 암 나사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체결부(220)의 암 나사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수나사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은 수나사 형태인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너트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부(320)를 매개로 상기 가이드 슬리브 고정유닛(400)을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방향으로 돌려 밀착시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30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KR1020110050713A 2010-05-28 2011-05-27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KR20110131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521 2010-05-28
KR1020100050521 2010-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134A true KR20110131134A (ko) 2011-12-06

Family

ID=4549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13A KR20110131134A (ko) 2010-05-28 2011-05-27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1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2054A (zh) * 2014-04-25 2015-11-04 上海微创骨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髋关节置换的导向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012053A (zh) * 2014-04-25 2015-11-04 上海微创骨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直插式髋关节置换的导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2054A (zh) * 2014-04-25 2015-11-04 上海微创骨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髋关节置换的导向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012053A (zh) * 2014-04-25 2015-11-04 上海微创骨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直插式髋关节置换的导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6994C2 (ru)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уемая при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тканей
US1186480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mi-rigid bone fixation
JP4619355B2 (ja) 頭蓋および顔面骨折復位用アッセンブリー
US10064670B2 (en) Sacral fixation system
US20030135211A1 (en) Intramedullary nail, device for inserting a screw into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8876822B2 (en) Intramedullary nail system with tang fixation after lock screw placement
US98838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ressing plate
TW201538120A (zh) 附接骨板之裝置及套件
JP6951338B2 (ja) 舟状月状骨再構成のための方法、機器およびインプラント
JP5914771B2 (ja) 骨接合具および骨接合術
US20100234846A1 (en) Intramedullary radial head locking pin implant
JP2013532523A (ja) 保護スリーブ保持機構
JP2004527276A (ja) 骨固定装置およびジグ
CN104688322A (zh) 用于髓内钉远端锁钉的定位装置
KR20110131134A (ko) 뼈 고정부재 시술장치
US20130178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placement of a surgical device
US10448982B2 (en) Reinforced cannulated screw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JP3609825B1 (ja) 骨接合器具
JP4605793B2 (ja) 髄内釘の姿勢矯正装置
US20080200952A1 (en) Bone Fixator
EP3572007A1 (en) Suturing device
US10258353B2 (en) Surgical assembly for the implantation of an implant in an osseous structure
CN219661868U (zh) 一种骨折固定装置
CN219835670U (zh) 一种导向锁紧装置及其骨折固定系统
JP7052084B2 (ja) 医療用ネジの挿入手術のための手術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手術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