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905A -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905A
KR20110130905A KR1020100050468A KR20100050468A KR20110130905A KR 20110130905 A KR20110130905 A KR 20110130905A KR 1020100050468 A KR1020100050468 A KR 1020100050468A KR 20100050468 A KR20100050468 A KR 20100050468A KR 20110130905 A KR20110130905 A KR 2011013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rneal
soft
center
cor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496B1 (ko
Inventor
이무석
마기중
오현진
Original Assignee
이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석 filed Critical 이무석
Priority to KR102010005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496B1/ko
Priority to PCT/KR2011/003196 priority patent/WO2011149196A2/ko
Publication of KR2011013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sthes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되는 소프트렌즈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각막교정술렌즈가 항상 각막의 동일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종래의 각막교정술렌즈 움직임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토록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a device for positioning the orthokeratology lens in center of cornea}
본 발명은 공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소프트렌즈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각막교정술렌즈가 항상 각막 중심에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고정되어 종래의 각막교정술렌즈의 움직임과 중심이탈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토록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로 크게 구분되고 있으며,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에게는 어떤 렌즈를 착용하든지 상관없이 눈물의 순환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리고, 하드렌즈(각막교정술렌즈)는 소프트렌즈보다 렌즈와 각막 사이에 두꺼운 눈물층이 형성되므로 눈물순환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고, 각막은 중심부보다 주변부의 커브가 크기 때문에 각막교정술렌즈의 내면과 접하고 있는 각막의 두꺼운 눈물층으로 인해 표면장력이 약해져서 움직임이 용이하여 중심이탈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즉,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이 눈을 감으면 렌즈는 눈꺼풀에 의해 눈물에 완전히 잠기게 되고, 눈을 뜨면 렌즈 주변부의 눈물은 각막의 중심부까지 유입되는 순환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사람의 눈은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항상 일정한 수분이 유지되지 않으면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은 수분이 부족한 드라이 아이 현상이 생기거나 부종 등 각막 미란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따라서, 기존의 산소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에도 다양한 구성의 눈물 순환방식이 적용되고 있었고, 그 실예를 살펴보면 콘택트렌즈의 중앙부분 전체에 눈물을 모으기 위한 요입 광학부를 형성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용 후 위 또는 아래를 보거나 눈을 깜박일 때 콘택트렌즈가 움직이면서 눈물을 상기 요입 광학부에 모으고, 정면을 볼 때 눈물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등록특허 제447488호에 산소공급렌즈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각막(6)에 장착되는 콘택트렌즈가 요입 광학부(2)와, 그 요입 광학부(2)의 외측으로 요입 광학부(2)보다 큰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주변부(3)와, 상기 요입 광학부(2)와 주변부(3)의 경계면에 구비되는 블랜드(4)로 형성되며, 상기 콘택트렌즈의 블랜드(4)에 무수히 많은 웨이브(5)를 형성하여 그 웨이브(5)를 통해 콘택트렌즈 외부의 눈물이 요입 광학부(2)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사용자가 눈을 깜박일 때마다 주변부(3)의 눈물이 블랜드(4)에 형성된 웨이브(5)를 통하여 요입 광학부(2)로 들어갔다가 배출되는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콘택트렌즈의 착용으로 인한 드라이 아이 현상과 부종, 각막 미란 등의 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택트 렌즈는, 각막에 콘택트 렌즈가 정확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눈을 깜박이면 렌즈가 각막의 일정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고 빈번하게 이동되어 주변 사물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콘택트렌즈가 이동되므로써 이를 교정하고자 사용자가 빈번하게 콘택트 렌즈를 접촉하여 오염이 쉽게 발생되므로서 각종 눈 질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력교정을 위한 렌즈가 항상 각막의 광학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렌즈의 이동으로 인한 오염이나 주변 사물의 인식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산소와 수분을 렌즈를 통해 각막 등에 용이하게 공급되면서 오염물은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소프트렌즈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각막교정술렌즈가 항상 각막중심의 동일 위치에 위치가 고정되어 종래의 하드렌즈 움직임과 중심이탈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토록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프트렌즈와 각막교정술렌즈가 분리형 구조로서 소프트렌즈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를 지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렌즈와 각막교정술렌즈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각막교정술렌즈의 일측에 대사공간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소프트렌즈와 각막교정술렌즈가 분리형구조로서 소프트렌즈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면서 각막교정술렌즈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향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력교정을 위한 각막교정술렌즈가 항상 각막의 광학부 정위치에 위치하고, 각막교정술렌즈의 이동으로 인한 오염이나 주변 사물의 인식불량을 방지하며, 산소와 수분을 렌즈를 통해 각막 등에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오염물은 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렌즈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막교정술렌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빛이 유입되는 각막(101)과 수정체(103) 및 시신경이 연결되는 망막(105)을 통하여 광학부(100)를 형성하는 안구(E)의 각막중심에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위치토록 할 때 그 일측에 각막(101)과 공막(120)을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하는 소프트렌즈(2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막(120)에 대응되어 각막 및 공막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안구(E)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제2렌즈(210)가 위치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소프트렌즈(230)는, 각막 및 공막의 노출부 전체를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중심에 구비되는 각막교정술렌즈(210)는 소프트렌즈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분리 제작된 후 소프트렌즈의 일측면에 각막교정술렌즈가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프트렌즈는 각막교정술렌즈를 각막에 눌러주어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시력교정에는 무관한 커버재의 역활을 수행하고, 각막교정술렌즈는 시력을 교정하는 RGP 하드렌즈 등의 역활을 수행한다.
더하여, 상기 소프트렌즈(230)와 각막교정술렌즈(210)가 분리형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일측에 각막교정술렌즈(21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31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수단(310)은, 각막교정술렌즈(210)에 대응되어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상부로 함몰되는 장착요부(311) 및 그 가장자리 둘레에 구비되는 걸림턱(313)으로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233)가 더 구비되면서 각막교정술렌즈(210)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향되는 지지부(2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소프트렌즈(230)와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각막교정술렌즈(210)의 일측에 대사공간(217)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소프트렌즈(230)는 노폐물의 배출과 산소의 유입 및 수분의 이동이 가능토록 복수의 대사공(237)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사공(237)은 각막교정술렌즈(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소프트렌즈(230)와 일정한 각도(a)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구(E)는, 굴절력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중에서 직접 산소공급을 받는 각막(101)을 통과한 빛이 투명한 볼록한 렌즈로서 무한대 거리를 주시할 때 볼록한 정도가 가장 얇아지고 근거리를 보면 볼록하게 조절되어 망막(105)에 정확히 상을 맺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정체(103)를 통과하면서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기능을 하는 망막(105)에 상을 맺혀 이에 연결되는 시신경을 통하여 상을 분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막(101)의 둘레에 위치한 공막(120)은, 시력에는 상관없이 흰 섬유조직으로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막(101)의 상부에 시력 조절을 위한 RGP 하드렌즈 등으로 이루어진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올려지게 된다.
즉, 상기 각막(101)의 중심에 위치토록 되는 종래의 렌즈 시력조절을 위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 항상 수정체(103)와 동심 상에 위치하여야 정확한 상을 망막에 맺을수 있도록 하나 각막(101)에는 렌즈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빈번하게 이동되었다.
이에 본원발명의 시력조절을 위한 렌즈는, 시력을 조절하는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위치결정수단(310)을 통하여 소프트렌즈(230)의 중심부에 위치될 때 각막교정술렌즈(210)의 중심이 각막중심에 위치토록 되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프트렌즈(230)는, 공막(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E)의 전면에 착용시 움직임이 방지되어 각막교정술렌즈(210)를 항상 정위치에 위치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프트렌즈(230)와 각막교정술렌즈(210)는, 위치결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233)가 더 구비되어 이에 각막교정술렌즈(210)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향되는 지지부(213)가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어 정위치에 위치결정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수단(310)은, 각막교정술렌즈(210)에 대응되어 상부로 함몰되는 장착요부(311) 및 그 가장자리 둘레에 구비되는 걸림턱(313)으로서 이루어져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삽입될 때 소프트렌즈와 각막교정술렌즈가 안구(E)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접촉토록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소프트렌즈(230)와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각막교정술렌즈(210)의 일측에 대사공간(217)이 구비되어 시력을 교정하면서도 안구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소프트렌즈(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사공(237)이 관통형성되어 노폐물의 배출과 산소의 유입 및 수분의 이동이 가능토록 되어 원활한 신진대사가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대사공(237)은 각막교정술렌즈(210)의 가장자리, 각막의 상부 둘레, 공막의 둘레를 따라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각막과 공막에 산소와 수분을 공급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사공(237)은 각막교정술렌즈(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소프트렌즈(230)면에 연직이 아닌 일정한 각도(a)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렌즈내에 최대의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그 내측에 산소나 수분 등의 유입 및 충진량이 극대화 되어 원활한 대사가 가능토록 된다.
이상과 같이 시력을 교정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안구에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101...각막 103...수정체
120...공막 210...소프트렌즈
230...각막교정술렌즈 311...장착요부
313...걸림턱

Claims (5)

  1. 빛이 유입되는 각막(101)과 수정체(103) 및 시신경이 연결되는 망막(105)을 통하여 광학부(100)를 형성하는 안구(E)의 각막중심에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위치토록 할 때 그 일측면에 각막(101)과 공막(120)을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하는 소프트렌즈(230)가 구비되어 각막교정술렌즈의 위치를 결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소프트렌즈(230)는 복수의 대사공(237)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막(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E)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위치토록 하면서
    분리 제작되어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일측에 각막교정술렌즈(21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3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기 위치결정수단(310)은, 각막교정술렌즈(210)에 대응되어 상부로 함몰되는 장착요부(311) 및 그 가장자리 둘레에 구비되는 걸림턱(313)으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막(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구(E)의 전면에서 움직임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위치토록 하면서
    분리 제작되어 상기 소프트렌즈(230)의 중앙부에 각막교정술렌즈의 단부가 지지토록 설치되는 스토퍼(233)와 각막교정술렌즈(210)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향되는 지지부(213)를 통하여 상호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렌즈(230)와 각막교정술렌즈(21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각막교정술렌즈(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프트렌즈의 일측에 대사공간(2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공(237)은 각막교정술렌즈(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프트렌즈에 형성되면서 소프트렌즈와 연직이 아닌 일정한 각도(a)를 유지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KR1020100050468A 2010-05-28 2010-05-28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KR10111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468A KR101115496B1 (ko) 2010-05-28 2010-05-28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PCT/KR2011/003196 WO2011149196A2 (ko) 2010-05-28 2011-04-29 눈물순환 및 산소순환 기능을 갖는 다목적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468A KR101115496B1 (ko) 2010-05-28 2010-05-28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05A true KR20110130905A (ko) 2011-12-06
KR101115496B1 KR101115496B1 (ko) 2012-03-05

Family

ID=4549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468A KR101115496B1 (ko) 2010-05-28 2010-05-28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07Y1 (ko) * 2014-05-19 2015-06-05 (주)리치아일랜드 콘택트렌즈
EP2778750B1 (en) * 2013-03-13 2022-10-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Hydrogel lens having raised portions for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and tear flow
CN117224315A (zh) * 2023-11-14 2023-12-15 深圳市新产业眼科新技术有限公司 舒适型角膜塑形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337Y2 (ko) 1973-10-17 1978-06-10
KR100599024B1 (ko) * 2005-01-19 2006-07-12 범진선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US20060290882A1 (en) 2005-06-27 2006-12-28 Paragon Vision Sciences, Inc. Laminated contact le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8750B1 (en) * 2013-03-13 2022-10-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Hydrogel lens having raised portions for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and tear flow
KR200477407Y1 (ko) * 2014-05-19 2015-06-05 (주)리치아일랜드 콘택트렌즈
CN117224315A (zh) * 2023-11-14 2023-12-15 深圳市新产业眼科新技术有限公司 舒适型角膜塑形镜
CN117224315B (zh) * 2023-11-14 2024-03-08 深圳市新产业眼科新技术有限公司 舒适型角膜塑形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496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7648C (en) Soft contact lens
TWI653487B (zh) 用於預防及/或減緩近視加深之遮罩鏡片的設計
US3507566A (en) Contact lens and spectacle lens structure
KR200477407Y1 (ko) 콘택트렌즈
CN113325608B (zh) 用于治疗视力障碍的方法和设备
CN109937376A (zh) 在接触镜片的上部中包括透镜的接触镜片
JP6101633B2 (ja)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
GB2571167A (en) Eye exercise device
JP201501817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JP2022089853A (ja) 矯正レンズ
KR101115496B1 (ko)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KR100485763B1 (ko) 렌즈
Sivak et al. Contact lens design for lateralizing visual input
CN203941353U (zh) 隐形眼镜的改良构造
CN208752324U (zh) 一种眼镜片
CN208672938U (zh) 应用星形清晰区来增加散焦影像范围的镜片
KR20150141209A (ko) 핀홀 렌즈를 이용한 물안경
CN217279167U (zh) 具有视觉功能补偿作用的眼镜镜片
CN208888510U (zh) 一种有效控制近视度数增长的眼镜
CN218956953U (zh) 一种用于延缓近视进展的离焦型镜片贴膜
JP2019086748A (ja) ピンホールメガネ及び視力回復方法
CN201489215U (zh) 一种具有防治近视功能的眼镜
WO2020066473A1 (ja) スマー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レンズ
KR101773428B1 (ko) 보조렌즈를 구비한 안경
KR20170095568A (ko) 약시 교정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