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697A -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697A
KR20110129697A KR1020100049220A KR20100049220A KR20110129697A KR 20110129697 A KR20110129697 A KR 20110129697A KR 1020100049220 A KR1020100049220 A KR 1020100049220A KR 20100049220 A KR20100049220 A KR 20100049220A KR 20110129697 A KR20110129697 A KR 2011012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ehicle
signal
owner
borr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윤
차용건
박재흥
Original Assignee
박광윤
차용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윤, 차용건 filed Critical 박광윤
Priority to KR102010004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697A/ko
Publication of KR2011012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지 상태의 차량의 차주 호출 방법으로서, 호출자의 부호신호 이벤트를 안내하는 표지가 차량에 설치되며, (a) 호출 신호 감지 수단이 외부에서 가해진 부호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제어수단이 상기 부호신호를 해석하고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통신 수단이 상기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CALL METHOD FOR A CAR-OWNER AND A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의 소유자를 호출하는 방법, 호출 장치 및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의 호출은 차량의 도난 및 견인 시의 비상호출뿐만 아니라, 주차 중 차량의 소유자를 단순히 호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경제성장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결과, 자동차는 오늘날 생활 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자동차의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며, 그 크기도 크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 중 하나가 자동차의 도난과 같은 보안 문제이며, 또 다른 주요 문제는 주정차의 어려움이다. 후자는 주로 도시 지역의 대표적인 골치거리이며, 사람들간의 다툼, 법률 위반 및 과태료, 교통 정체 등의 원인이 되며, 차량의 파손과 견인 조치가 발생하기도 한다.
허용된 지역에 주차를 하게 되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도시 자체의 유한한 공간과 범람하는 자동차로 인하여 운전자는 어쩔 수 없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주정차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는 자신의 휴대폰 번호가 기재된 메모를 자기 차량에 남기고, 필요 시에 제3자가 그 번호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긴급 전화를 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일상적인 문화가 되었다. 매번 메모를 남기는 것이 귀찮기 때문에, 대다수의 운전자는 아예 휴대폰 번호판를 자기 차량에 부착해 놓는다.
그러나 이는 또 다른 심각한 문제, 특히 범죄를 초래하는 위험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차량 소유자의 휴대폰 번호가 악의적인 타인에게 입수되면 쉽게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범죄행위로는 스토커, 공갈, 협박, 납치, 강도 등의 범죄가 대표적이며, 특히 운전자가 여성인 경우가 범죄의 주된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주정차 후의 호출의 편리성을 위해서, 개인 정보 노출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한 데 따른 것이다. 또한, 상업적인 목적으로 주정차 된 차량 소유자의 휴대폰 번호를 쉽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스팸메일(SMS 메시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시도가 있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가상 전화 번호나 중개번호를 이용한 운전자 호출 시스템이다. 이 종래기술은 차량 운전자의 실제 휴대폰 번호 대신에, 서비스 제공 회사에 미리 등록한 가상 번호를 차량에 표시해 두고, 제3자(호출자)가 그 가상 번호로 전화를 걸면 자동으로 미리 매치된 실제 휴대폰 번호로 SMS 메시지를 보내거나, 가상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자와 통화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차량 소유자 또는 운전자의 휴대폰 번호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인 정보 보호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종래기술의 실제 서비스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며, 또한 대부분의 운전자는 상기 종래기술의 서비스를 외면하고 있다. 그것은 단지 개인 정보 보호라는 단 한 가지 이유만으로 가상 전호 번호 또는 중개 번호를 이용한 운전자 호출 서비스에 가입하기에는, 경제성이나 효율성의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이지 못했던 결과로 분석된다. 더욱이 그 가상번호나 중개 번호가 노출되므로 이를 이용한 SMS 스팸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어 서비스를 통한 기대효과가 줄어 든다.
한편, 주정차 중인 차량의 운전자를 제3자가 호출하는 경우는, 대게 운전자가 허용되지 않은 지역에 주정차를 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출자가 과오를 범한 운전자를 호출할 때, 그 호출자가 소정의 이동 통신 요금을 부담해야만 한다. 즉 잘못된 원인은 차량의 운전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출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져야만 하는 것이 상기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한계이기도 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장착한 장치의 활용도를 높여 서비스의 효용성 증대하고 개인정보 유출 등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출자가 직접 차주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지 않아도 자동으로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호출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전혀 지우지 않으면서 더욱 편리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호출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에는 경제성과 편리성이 각각 독자적인 요소로 평가되어야 함을 첨언해 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주의 개인정보를 전혀 남기지 않음과 동시에, 다양한 차량 상태 정보를 차주가 원격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 경보기의 호출 방법을 신규하게 응용하고자 하였다. 종래의 차량 경보기는 차량이 견인되거나 도난 사고가 발생하면 원거리에 있는 차량 소유자의 단말기로 그 사실을 알려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경보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카센터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불편하였다. 또한, 이 장치는 차량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이동되거나 파손될 때의 경보장치이므로, 주정차 중인 차량의 차주를 제3자가 호출하는 데에는 적용되지 못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정지 상태의 차량의 차주 호출 방법으로서:
호출자의 부호신호 이벤트를 안내하는 표지가 차량에 설치되며,
(a) 호출 신호 감지 수단이 외부에서 가해진 부호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제어수단이 상기 부호신호를 해석하고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통신 수단이 상기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호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호신호는, 상기 표지가 안내하는 위치를 향한 ① 노크 신호, ② 접촉 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메시지 전송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의 호출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그 메시지전송 사실을 상기 표지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국면은, 고정수단을 통해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차주 호출 장치로서:
차량을 통해 표시되는 차주 호출 입력부;
차량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부호 신호를 감지하는 부호 감지부;
충전 가능한 전원부;
부호 신호의 입력 시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차주의 이동 통신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무선 호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호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시의 차주 호출의 경우 상기 부호 신호는 ① 노크 신호, ② 접촉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주 호출 장치는, 차주의 이동 통신 단말로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 호출 결과를 표시하는 호출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주의 호출 번호 설정을 포함하는 기능 세팅용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호출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시거잭에 의해 충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는, 견인, 도난, 차량 파손 등의 긴급 상황 시에 차주의 휴대폰으로 즉시 그 사실 여부를 통지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정차 후 제3자에 의해 차주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매우 간단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목적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유한 효과는 차주의 개인 정보 보호라는 이 기술분야의 요청을 확실하게 해결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자가 직접 차주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지 않아도 자동으로 차주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호출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전혀 지우지 않으면서 더욱 편리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주정차 시의 차주 호출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10)가 차량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10)의 외부 전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주 호출 방법의 실시예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부호신호로서 노크 3번을 입력했을 때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부호신호로서 노크 1번을 입력했을 때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충격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중에 발생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10)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호출자가 차주 호출을 위한 부호 신호를 입력하기 용이하며, 부호 신호 입력 방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운전석 근방의 전방 유리 또는 조수석 근방의 전방 유리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차주 번호판이 부착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10)의 최선의 하우징 형태를 설명한다. 차주 호출 장치(10)는 사각형의 얇은 패널 형태로 전면에는 차주 호출을 안내하고 호출 상태를 출력하며 호출을 위한 부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그 후면에는 기능 세팅을 위한 수단(명령입력부)이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버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용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수단과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하우징 안에는 회로소자들과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이들 회로소자와 부품들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어부, 부호감지부, 전원부, SMS 송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 LCD 패널을 통한 표시부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차주 호출 장치(10)의 하우징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의 패널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원형, 타원형, 다른 기하학적 형태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10)의 전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사각의 패널 형상의 차주 호출 장치(10)는 점착제, 접착제, 밀착식 흡착구, 접착테이프 등에서 선택되는 고정수단(19)을 통해 차량 전면 유리 안쪽 표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차주 호출 장치(10)의 전면부에는 차주 호출 입력부(13), LCD 표시부(11), 태양광 전지판(15), 호출방법 알림부(14), 경고 표시부(12)가 포함될 수 있다.
차주 호출 입력부(13)는 호출자가 소정의 부호 신호를 입력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이 부호 신호는 노크 신호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차주 호출 입력부(13) 영역에 "노크 해 주세요" 라는 문자를 표시해 둘 수 있다. 그리고 호출방법 알림부(14)에 "차주 호출 시에는 우측의 원 안에 톡톡톡 세 번 노크해 주십시오"라는 문구를 표시하여 호출방법을 호출자에게 안내해 줄 수 있다. 또한, 차량 유리창 등에 지나치게 큰 충격을 가해서 차량을 파손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경고 표시부(12)에는 "경고! 차량을 파손하지 마십시오" 또는 "지나치게 세게 유리창을 때리지 마십시오!", "주먹이나 물건으로 때리지 마십시오", "문을 노크하듯이 살살 노크해 주세요", "차량 파손시 법적 책임을 져야 합니다!"등의 경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의 문구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선택 또는 고안될 수 있음을 첨언해 둔다. 또한, 입력하는 부호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호출방법 알림부(14)와 경고 표시부(12)의 문구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 감지부(120)는 입력되는 부호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부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량 내부에서 차량 호출 장치(10)의 전면부와 차량 유리 부분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부호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호 신호는 ① 노크 신호, ② 접촉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노크 신호는 호출자가 차량 호출 입력부(13) 영역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을 노크하듯이 톡톡 두드림으로써 발생하는 부호 신호이다.
접촉 신호는 차량 호출 입력부(13)에 호출자의 손가락 등의 피부를 접촉할 때 발생하는 부호 신호이며, 정전용량이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호출 입력부(13)에 호출자의 피부를 일정 시간 누르고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열이 전달되거나 어두워지므로 주위 온도나 밝기 변화 패턴을 감지하여 호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신호는 차량 호출 입력부(13) 근방에 "차 좀 빼주세요" 등의 호출자 목소리를 가했을 때 발생하는 부호 신호이며, 가해지는 음성 주파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부호 신호로서 노크 신호를 이용하였다. 노크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적인 진동에 의한 아날로그신호 파형을 감지하여 증폭 또는 변조하여 제어부의 A/D(Analog/Digital) 변환기로 입력한다.
이 진동의 파형을 감지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호 신호의 입력인지, 이동 중 발생하는 진동인지 또는 충격 파형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파형들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미리 제어부에 세팅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가 구별할 수 있다. 도 5는 세 번 노크한 경우의 파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신호의 모양과 간격이 일정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한 번 노크를 한 경우의 파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노크 한 개의 파형을 검출하여 여러 번, 즉 2번 이상 입력되는 파형과 비교하여 부호 신호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과 도 8은 각각 충격 파형과 이동 중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충격 파형의 경우 주기성이 없고 불규칙적이며 입력신호가 크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도 8의 이동 중 파형의 경우 규칙적인 파형의 특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지속적인 파형을 보였다.
제어부(100)은 부호 신호의 입력 시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내용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부호 감지부(12)에서 감지되어 제어부(100)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차량에 직접적인 충격과 간접 충격을 구분할 수 있으며 직접 충격인 경우 부호 신호, 파손, 이동(견인 또 도난)으로 분류하여 해당 문자 메시지를 차주에게 알릴 수 있다.
명령 입력부(130)는 기능 세팅을 위한 수단이며, 1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명령입력부(130)는 차량소유주 호출 번호 설정, 문자 알림 설정모드 차량 소유주 번호 알림 모드 기능 해제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두 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기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 두 개 동시 짧게 누름: 모드변경/기능시작/기능종료
- 두 개 동시 길게 누름: 설정 시작/종료
- 좌 짧게 누름: 숫자 증가/커서 좌로
- 우 짧게 누름: 숫자 감소/커서 우로
- 좌 길게 누름: 다음 메뉴 아이템 위로
- 우 길게 누름: 다음 메뉴 아이템 아래로
전원부(140)는 도 3의 내부 회로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은 충전지를 사용하고, 태양전지판(150)에 의해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차량의 시거잭(160)을 통해서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박막의 LCD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성 출력도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호출이 성공했는지 못 했는지 등을 알리고 과도한 출격을 가할 시에 경고 메시지 등을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무선 호출모듈(17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주의 휴대폰으로 SMS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휴대폰은 대기 상태에서도 위치정보를 위한 송신을 하기 때문에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3일 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정지 상태일 경우만 동작하면 되므로, 정지 상태(주차)에서 차주 호출 기능이 동작상태로 설정되면 1회만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주기적인 갱신이 필요 없으므로 전력 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차주 호출 장치를 이용한 차주 호출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차주 호출 방법은 주정차 시, 즉 정지 상태의 차량의 차주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호출자의 부호신호 이벤트, 즉 차주를 호출하기 위한 부호신호를 입력하는 이벤트를 안내해 주기 위한 표지가 차량에 설치되며, 이 표지가 전술한 차주 호출 장치를 의미한다.
먼저 호출자는 표지에 있는 차량 호출 입력부를 통해 부호신호를 입력한다(S10). 이 부호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① 노크 신호, ② 접촉 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호출 신호 감지 수단인 부호 감지부가 외부에서 가해진 상기 부호신호를 감지하여 인식하고(S11), 제어수단이 정해진 규정에 의하여 상기 부호신호를 해석하고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한다(S12). 제어수단이 차주 호출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어수단은 무선 통신 수단으로 하여금 메시지 전송을 명령하고, 무선 통신 수단은 기입력된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 호출 메시지, 즉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13).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출 메시지가 차주의 휴대폰으로 전송 완료되고 차주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호출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어수단은 LCD 표시부를 통해 호출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호출자로 하여금 제대로 차주를 호출 하였음을 안내하여 반복적인 호출을 방지한다(S14).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12)

  1. 정지 상태의 차량의 차주 호출 방법으로서:
    호출자의 부호신호 이벤트를 안내하는 표지가 차량에 설치되며,
    (a) 호출 신호 감지 수단이 외부에서 가해진 부호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제어수단이 상기 부호신호를 해석하고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통신 수단이 상기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 호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신호는, 상기 표지가 안내하는 위치를 향한 ① 노크 신호, ② 접촉 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인, 차주 호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메시지 전송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인, 차주 호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는 것인, 차주 호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주 호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d) 차주의 휴대폰 단말로의 호출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그 메시지전송 사실을 상기 표지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주 호출 방법.
  7. 고정수단을 통해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차주 호출 장치로서:
    차량 유리를 통해 표시되는 차주 호출 입력부;
    차량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부호 신호를 감지하는 부호 감지부;
    충전 가능한 전원부;
    부호 신호의 입력 시 차주 호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차주의 이동 통신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무선 호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 호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주차 시의 차주 호출의 경우 상기 부호 신호는 ① 노크 신호, ② 접촉신호, 또는 ③ 음성 신호인 차주 호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주 호출 장치는, 차주의 이동 통신 단말로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 호출 결과를 표시하는 호출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주 호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주 호출 장치는, 차주의 호출 번호 설정을 포함하는 기능 세팅용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주 호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충전되는 것인, 차주 호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시거잭에 의해 충전 가능한 차주 호출 장치.
KR1020100049220A 2010-05-26 2010-05-26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KR20110129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20A KR20110129697A (ko) 2010-05-26 2010-05-26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20A KR20110129697A (ko) 2010-05-26 2010-05-26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97A true KR20110129697A (ko) 2011-12-02

Family

ID=4549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220A KR20110129697A (ko) 2010-05-26 2010-05-26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6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66B1 (ko) * 2013-04-17 2014-11-13 주식회사 카모아 차량용 주차 알림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9451187A (zh) * 2019-01-08 2019-03-08 北京筑梦园科技有限公司 一种挪车服务方法、系统及服务器
KR102228183B1 (ko) * 2020-12-01 2021-03-17 손영진 개인정보 노출 방지가 가능한 안내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66B1 (ko) * 2013-04-17 2014-11-13 주식회사 카모아 차량용 주차 알림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9451187A (zh) * 2019-01-08 2019-03-08 北京筑梦园科技有限公司 一种挪车服务方法、系统及服务器
KR102228183B1 (ko) * 2020-12-01 2021-03-17 손영진 개인정보 노출 방지가 가능한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497B1 (en) Method, system, and structure for disabling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the occurrence of one or more predetermined conditions
CN107347091A (zh) 一种挪车通知处理方法及挪车指示装置
CN205149772U (zh) 一种车内智能安全报警装置
US20130189964A1 (en) Texting safety system
CN103568968A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后视镜行车记录仪
KR20110129697A (ko) 차량 소유자 호출 방법 및 호출 장치
CN102143433A (zh) 一种通过手机软件远程控制汽车防盗报警器的方法
JP2013191960A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CN109153352B (zh) 汽车智能提醒方法及装置
CN201932118U (zh) 汽车防盗定位监控装置
CN203805848U (zh) 一种智能车载导航防盗终端
WO2008062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distraction during driving
CN105225418A (zh) 一种车载装置及预防遗漏生物误锁汽车内的方法
CN107650835A (zh) 挪车呼叫通信装置
CN204161308U (zh) 一种智能车载导航防盗终端
CN203219495U (zh) 感应式车主提醒装置
CN106379232B (zh) 携带物品提醒的方法及装置
CN202444637U (zh) 带有专用功能按键的车载3g智能信息终端
CN210466700U (zh) 一种智能挪车提醒装置
CN202071809U (zh) 无线汽车预警器
CN110682860B (zh) 一种针对加油站内通话的车载智能报警方法及其系统
CN107222231A (zh) 车辆定位呼叫装置及呼叫方法
CN203805847U (zh) 一种智能车载导航防盗终端
CN107743177A (zh) 通话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取存储介质
CN210324536U (zh) 一种网约车的报警装置及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30

Effective date: 201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