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509A -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509A
KR20110129509A KR1020100048902A KR20100048902A KR20110129509A KR 20110129509 A KR20110129509 A KR 20110129509A KR 1020100048902 A KR1020100048902 A KR 1020100048902A KR 20100048902 A KR20100048902 A KR 20100048902A KR 20110129509 A KR20110129509 A KR 2011012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liquid
storage space
hot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045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0004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4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 A23G9/24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for coating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28Arrangement and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Abstract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는 액상물이 제1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제1저장부재; 상기 제1저장부재 보다 상부가 더 높게 형성되어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액상물이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 흘러내리고, 승강이송장치에 의해 하강하는 아이스바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딥핑되는 제2저장부재; 및 상기 제1저장부재와 상기 제2저장부재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저장공간의 액상물을 제2저장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순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순환공급장치{CIRCULATION SUPPLY DEVICE FOR LIQUEFIED MATERIAL}
본 발명은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워진 액상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액상물이 쉽게 굳는 것을 방지하고, 손실을 최소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과류 아이스 크림은 일정한 크기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에 아이스 크림이 충진되는 용기형 아이스크림과, 다양한 형상의 스틱에 빙수를 결빙시켜 가공되는 스틱형 아이스 바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스틱형 아이스바는 한가지의 내용물을 그대로 얼려서 형성되는 일체 타입과, 얼려진 아이스바를 초코 혹은 커피맛 등의 액상물에 침액(浸液; 딥핑(Dipping))하여 외부에 별도의 층을 적층하므로 사용자에게 2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는 딥핑타입이 있다.
종래의 딥핑된 스틱형 아이스바를 제조하는 공정은 우선 몰드(결빙기)에 빙수를 공급하고 스틱을 도입하여 저온으로 결빙시켜 아이스바를 제조한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이송된 아이스바를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으로 액상물 저장수단에 담겨진 액상물에 딥핑하고, 인출한 후 아이스바의 외부에 적층된 액상물을 재차 얼려주는 과정을 반복한 후 배출 및 포장하여 출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액상물 저장수단은, 액상물을 단순하게 담아주는 역활만 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에 액상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액상물을 배출하는 배출관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액상물 저장수단은 단순하게 액상물을 보관 기능만을 지니고 있어 짧은 시간 내에 액상물이 쉽게 굳어지므로 딥핑 효율 및 아이스바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수시로 액상물을 교환해야 하므로 액상물의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부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상물에 열을 가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키고, 순환공급부를 거쳐 상부 저장용기로 공급된 액상물에 아이스바를 딥핑하므로 액상물이 쉽게 굳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는 액상물이 제1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제1저장부재; 상기 제1저장부재 보다 상부가 더 높게 형성되어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액상물이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 흘러내리고, 승강이송장치에 의해 하강하는 아이스바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딥핑되는 제2저장부재; 및 상기 제1저장부재와 상기 제2저장부재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저장공간의 액상물을 제2저장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순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재는 온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이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의 경화가 방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저장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식혀진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배출관;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열을 가하여 데워주는 온수가열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제1저장공간에 외부로부터 중공을 갖게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관부재; 상기 중공으로 끼워져 상기 보호관부재와 기밀되고 베어링 결합되어 구동부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커플링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의 액상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장부재의 바닥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상물을 유입하고 안내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안내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부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확산판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에 1열 이상으로 형성된 나선으로 이송하는 액상물이 상측으로 치솟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하부에 절곡 형상의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부재 바닥에 형성된 걸림돌부에 액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하부에 갖도록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1저장부재와 상기 제1저장부재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에 첨가물을 함유한 액상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1저장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다수 개 형성된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액상물을 교반하도록 비틀림 판재 또는 수평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교반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는 하부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상물에 열을 가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키고, 순환공급부를 거쳐 상부 저장용기로 공급된 액상물에 아이스바를 딥핑하므로 액상물이 쉽게 굳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의 순환공급부의 일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 예에 따른 순환공급부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순환공급부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는, 프레임(10), 제1저장부재(20), 제2저장부재(40) 및 순환공급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제1저장부재(20)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12)가 구비된다.
프레임(10)은 제1저장부재(20)를 수직으로 받쳐주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재(20)는 액상물이 제1저장공간(26)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제1저장부재(20)는 온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32)을 갖도록 이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26)에 저장된 액상물이 경화 방지되게 구성된다.
제1저장부재(20)는 상측 면이 개방된 저장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저장부재(20)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저장부재(20)는 수용공간(32)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36); 및 온수공급관(36)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수용공간(32)에서 식혀진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배출관(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재(20)는 수용공간(32)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6) 및 온도감지센서(46)에서 감지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열을 가하여 온수를 데워주는 온수가열히터(48)를 포함한다.
온도감지센서(46) 및 온수가열히터(48)는 제1저장부재(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제1저장공간(26)에는 액상물이 공급되도록 상부 측면부에 형성된 액상물공급관(22)과, 액상물공급관(22)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제1저장공간(26)에 저장된 액상물을 회수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액상물배출관(24)이 더 구비된다.
제2저장부재(40)는 제1저장부재(20)보다 상부가 더 높게 설치되어 제2저장공간(44)으로 유입된 액상물이 제1저장공간(36)으로 흘러내리고, 승강이송장치(2)에 의해 하강하는 아이스바(4)가 제2저장공간(44)에 딥핑되도록 구성된다.
제2저장부재(40)는 제1저장부재(20)의 상측 개방면 보다 더 좁은 면적이 상측으로 개방되게 이루어진 저장통 형상의 구성이다.
제2저장부재(40)의 저면과 제1저장부재(20)의 제1저장공간(26)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간격부재(42)가 구비된다.
간격부재(42)는 액상물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원형봉, 다각형 봉 또는 다각형 블럭으로 형성된다.
승강이송장치(2)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에 다수 개의 그립퍼(3, griper)에 아이스바(4)의 스틱(6)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를 이용하여 이송플레이트를 하강하여 아이스바를 딥핑하도록 작동하는 구성이다. 물론, 승강이송장치(2)는 이외에도 다른 여러 방식으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환공급부(50)는 제1저장부재(20)와 제2저장부재(40)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저장공간(20)의 액상물을 제2저장공간(44)으로 순환 공급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공급부(50)는 제1저장공간(26)에 외부로부터 중공을 갖게 연결되어 액상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관부재(58), 중공으로 끼워져 보호관부재(58)와 기밀되고 베어링(62) 결합되어 구동부(52)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원형 또는 다각 봉 형상의 회전부재(60), 회전부재(6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커플링 결합되어 회전부재(60)와 함께 회전하여 제1저장공간(26)의 액상물을 제2저장공간(44)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부재(70) 및 스크류부재(7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1저장부재(20)의 바닥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상물을 유입하고 안내하여 배출공(82)으로 배출하는 안내부재(76)을 포함한다.
보호관부재(58)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이다.
보호관부재(58)과 회전부재(60) 사이에는 베어링(62)의 상측에 패킹 또는 리테이너에 의해 기밀되는 시일링부재(63)가 더 포함된다.
회전부재(60)의 상측에는 2개의 끼움돌기(64)가 형성되어 스크류부재(70)의 삽입공 저면에 형성된 끼움공(74)에 커플 결합되어 회전부재(60)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70)에 전달되게 구성된다.
구동부(52)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54)와, 구동모터(54)의 동력을 회전부재(60)로 전달하는 감속기(56)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모터(54)는 중공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류부재(70)의 상부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확산판(72)이 구비되어 스크류부재(70)에 1열 이상으로 형성된 나선으로 이송하는 액상물이 상측으로 치솟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류부재(70)의 나선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2열로 형성되되, 2개의 확산판(72)의 하부에 각각 나선의 단부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안내부재(76)는 하부에 절곡 형상의 걸림홈부(78)가 형성되어 제1저장부재(20) 바닥에 형성된 걸림돌부(80)에 액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하부에 갖도록 걸림 결합된다.
안내부재(76)의 하측 면에는 걸림홈부(78)에 인접하여 제1저장공간(26)의 바닥면에 닿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돌부(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교반부(90)는 제1저장부재(20)와 제1저장부재(40)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44)에 첨가물을 함유한 액상물을 교반하는 교반부(90)를 포함한다.
액상물에 함유된 첨가물은 땅콩, 호두 또는 아몬드 등의 건과류 분쇄입자, 과자 분쇄입자, 기타 여러가지의 첨가물 분쇄입자를 포함한다.
교반부(9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이스바(4)에 초코액, 커피액등의 액상물을 묻히면서 그와 더불어 첨가물이 다수 부착되게 구성되는 아이스바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상물 아래로 첨가물이 가라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반부(90)로 첨가물을 골고루 섞이도록 저어주기 위함이다.
상기 교반부(90)는 제1저장부재(20)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92)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98), 교반축(98)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다수 개 형성된 결합돌부(100) 및 결합돌부(100)에 결합되어 회전시 액상물을 교반하도록 비틀림 판재 또는 수평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교반판부재(102)를 포함한다.
구동부(92)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94)와, 구동모터(94)의 동력을 교반축(98)으로 전달하는 감속기(96)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모터(94)는 중공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반판부재(102)는 교반축(98)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 각도를 갖도록 방사 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교반축(98)에서 구동부(92)의 반대측 단부에는 제1저장부재(20)와 제2저장부재(40)의 측면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분리축부재(104)가 더 구비되므로, 분리축부재(104)를 외부에서 당겨 교반축(98)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교반축(98)을 상측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순환공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액상물공급관(22)을 통하여 이송된 액상물을 제1저장부재(20)의 제1저장공간(26)에 저장한다.
이때, 제1저장부재(20)는 이중구조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32)에 온수공급관(36)을 통하여 데워진 온수가 유입되므로 제1저장공간(26)에 저장된 액상물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수가 식은 경우에는 온수공급관(36)보다 하측에 구비된 온수배출관(38)을 통하여 식은 온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연이어, 제1저장부재(20)의 하측에 설치된 구동모터(94)의 동력을 감속기(96)를 통해 전달하여 회전부재(60)를 회전하면, 회전부재(60)와 보호관부재(58)사이에 구비된 베어링(62)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부재(60)에 구비된 끼움돌기(64)에 끼워진 끼움공(74)에 의해 스크류부재(70)가 회전하면서 스크류부재(70) 외측에 구비된 안내부재(76)의 걸림홈부(78), 지지돌부(84)와 제1저장공간(26)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으로 액상물이 유입되고, 스크류부재(70)의 나선을 따라 액상물이 상승하게 된다.
연속해서, 상승한 액상물은 스크류부재(70)의 상측 외주면에 구비된 확산판(72)에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흩어져 제2저장부재(40)의 제2저장공간(44)으로 공급된다.
제2저장공간(44)에 액상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제2저장부재(40)의 상측면 주위로 액상물이 흘러 내려 제1저장부재(20)의 제1저장공간(26)으로 다시 수용되고, 수용공간(32)에 저장된 온수에 의해 데워져서 순환공급부(50)를 거쳐 반복 순환하게 된다.
한편, 제2저장공간(44)에 저장된 액상물에 첨가물이 함유된 경우에는, 구동모터(94)의 구동력을 감속기(96)을 거쳐 교반축(98)으로 전달하여 회전함으로써, 교반축(98)의 결합돌부(100)에 고정된 교반판부재(102)에 의해 첨가물이 액상물 내에서 골고루 섞이면서 교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여 그립퍼(3)에 스틱(6)이 고정된 아이스바(4)가 승강이송장치(2)의 하강작동에 의해 제2저장부재(40)의 제2저장공간(44)에 담겨진 액상물에 딥핑되면서 아이스바(4)의 외측면에 액상물 또는 첨가물을 함유한 액상물을 묻힌 후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1저장공간(26)에 담겨진 액상물이 지속적으로 제2저장공간(44)으로 순환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승강이송장치 4 : 아이스바
10 : 프레임 20 : 제1저장부재
26 : 제1저장공간 32 : 수용공간
40 : 제2저장부재 42 : 간격부재
50 : 순환공급부 52 : 구동부
58 : 보호관부재 60 : 회전부재
70 :스크류부재 72 : 확산판
76 : 안내부재 78 : 걸림홈부
80 : 걸림돌부 84 : 지지돌부
90 : 교반부 92 : 구동부
98 : 교반축 102 : 교반판부재

Claims (5)

  1. 액상물이 제1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제1저장부재;
    상기 제1저장부재보다 상부가 더 높게 형성되어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액상물이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 흘러내리고, 승강이송장치에 의해 하강하는 아이스바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딥핑되는 제2저장부재; 및
    상기 제1저장부재와 상기 제2저장부재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저장공간의 액상물을 제2저장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순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재는 온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이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의 경화가 방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저장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식혀진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배출관;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열을 가하여 데워주는 온수가열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제1저장공간에 외부로부터 중공을 갖게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관부재;
    상기 중공으로 끼워져 상기 보호관부재와 기밀되고 베어링 결합되어 구동부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커플링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의 액상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장부재의 바닥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상물을 유입하고 안내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부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확산판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에 1열 이상으로 형성된 나선으로 이송하는 액상물이 상측으로 치솟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하부에 절곡 형상의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부재 바닥에 형성된 걸림돌부에 액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하부에 갖도록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1저장부재와 상기 제1저장부재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에 첨가물을 함유한 액상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1저장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다수 개 형성된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액상물을 교반하도록 비틀림 판재 또는 수평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교반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KR1020100048902A 2010-05-26 2010-05-26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KR10121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02A KR101212045B1 (ko) 2010-05-26 2010-05-26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02A KR101212045B1 (ko) 2010-05-26 2010-05-26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09A true KR20110129509A (ko) 2011-12-02
KR101212045B1 KR101212045B1 (ko) 2012-12-13

Family

ID=4549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02A KR101212045B1 (ko) 2010-05-26 2010-05-26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2068B2 (en) 2011-08-29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99Y1 (ko) * 2001-12-18 2002-04-12 이익재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 초콜릿 도포장치
KR200381919Y1 (ko) * 2005-01-11 2005-04-20 전동수 콘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2068B2 (en) 2011-08-29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45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0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drinks
WO2010082185A4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de-to-order frozen beverage
CN201641612U (zh) 奶粉冲调装置
CN216396050U (zh) 一种食品用香精加工用均质机
KR101212045B1 (ko) 액상물 순환공급장치
CN210299347U (zh) 一种秘制红豆冰淇淋生产设备
CN220243619U (zh) 一种定量添加装置及液体食品原料加工设备
CN208030179U (zh) 一种保温缸
CN219272858U (zh) 一种营养液调配器
CN106983394A (zh) 一种新型食品搅拌装置
CN101248962A (zh) 奶粉冲调机
CN211159409U (zh) 一种乳制品生产辅助混合装置
CN212087928U (zh) 一种雪糕生产用定量装料设备
CN217527088U (zh) 灌注设备
CN217202001U (zh) 精华液灌装装置
CN219463293U (zh) 一种原料调配罐
CN220149204U (zh) 一种功能饮料自动进液调配器
CN220384138U (zh) 一种油炸食品调味系统
CN214114899U (zh) 膏体灌装机
CN213862739U (zh) 一种基于散机仓组合的成品仓
CN213503021U (zh) 一种用于膏霜护肤品的灌装设备
CN215884142U (zh) 一种奶粉灌装用方便上料的储存装置
CN220859352U (zh) 冰淇淋分层或混合灌注装置
CN217313007U (zh) 一种膏滋生产用恒温搅拌罐装机
CN217746905U (zh) 一种饲料添加剂的预混料配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