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548A -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548A
KR20110128548A KR1020100048063A KR20100048063A KR20110128548A KR 20110128548 A KR20110128548 A KR 20110128548A KR 1020100048063 A KR1020100048063 A KR 1020100048063A KR 20100048063 A KR20100048063 A KR 20100048063A KR 20110128548 A KR20110128548 A KR 2011012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glucose
blood sugar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687B1 (ko
Inventor
최기정
김기봉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혈당 시험지의 코드 번호와 상관없이 혈당 시험지(즉, 스트립)를 삽입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이 측정기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One coding blood glucose tester and Blood gluco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혈당 시험지의 코드 번호와 상관없이 혈당 시험지(즉, 스트립)를 삽입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이 측정기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본의 Arkray사의 X-Senser, 인포피아사의 미래 3.3, 아이센스사의 CareSense N등의 제품이 시장에 나와있다. 이들 제품은 혈당 측정기에 삽입된 측정용 혈당 시험지의 코드를 자동 또는 매뉴얼 코딩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매뉴얼 코딩 방식이나 혈당 시험지 코드 자동 인식 방식은 IR 방식 등의 센서 인식 방식으로서 혈당 측정이 되지 않는 오류가 자주 발생하여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즉 매뉴얼 코딩 방식의 경우, 혈당측정 시 매번 코드번호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혈당 시험지 코드 자동 인식 방식은 다수의 혈당측정시 에러가 발생한다.
오류가 발생되는 예를 보면 혈액이 삽입되어 측정된 혈당 시험지로 인식하여 혈당이 카운트되어 측정되지 않거나, 또는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여 혈당 시험지가 삽입되어도 측정 준비가 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혈당측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혈당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 등에 전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매하여 연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전송 케이블은 RS 232C 방식, 9핀 커넥터 방식으로 최근 출시되고 있는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의 USB 방식에 연결하려면 별도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이중으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 이외에도 케이블 구입가격이 고가이므로 혈당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매뉴얼 방식으로 코드를 설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혈당 시험지(스트립)를 인식시켜 곧바로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혈당 시험지(스트립)를 인식시켜 다수의 혈당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매하지 않아도 혈당 관리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에 측정된 혈당 정보를 전송하는 혈당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혈액 시험지의 코드와 상관없이 혈당을 측정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를 제공한다.
이 원코딩 혈당 측정기는, 혈액 시험지를 삽입하는 시험지 커넥터; 상기 시험지 커넥터와 연결되어 삽입된 혈액 시험지에 혈액이 도입됨에 따라 전류를 흘려 상기 혈액의 혈당을 감지하여 상기 혈당에 해당하는 측정 전압을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측정 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부; 상기 측정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혈액의 혈당량을 계산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량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혈액 시험지의 코드 번호를 구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당 측정기는, 상기 혈당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당 정보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량이 일정값 이상이면 "Hi"로, 일정값 이하이면 "Lo"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당 측정기는, 상기 혈액의 혈당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폰잭 또는 미니 USB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당 측정기는, 메뉴 또는 선택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지 커넥터는, 삽입된 혈액 시험지와 접촉하기 위해 +전극, -전극, 워킹 전극, 카운터 전극, 및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는 혈당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혈당 관리 시스템은, 상기 혈당 측정기; 상기 혈당 측정기의 통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혈당 측정기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입력된 상기 혈당 정보를 시간별, 주기별, 구간별로 분석하고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혈당 정보를 관리 프로그램 화면에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 장치는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혈당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 부팅시 또는 주기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운로드 서버와 통신하여 업데이트 항목이 있는지 검사하는 다운로드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당 시험지 커넥터를 두어 혈당 시험지가 이 혈당 시험지 커넥터에 삽입됨에 따라 혈당 시험지의 정상 또는 에러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혈당을 혈당 시험지의 코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자동으로 혈당 시험지(스트립)를 인식시키는 경우에도 기준 전압부와 이 기준 전압부의 전압을 비교하는 측정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다수의 혈당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혈당 측정기의 일측에 통신 단자를 구비시킴으로써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매하지 않아도 혈당 관리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에 측정된 혈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혈당 측정기에서 구성 부품이 마운팅된 PCB 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혈당량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혈당의 개념 및 혈당 측정 원리를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혈당이란 혈액속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의 양으로, 정상 범위는 70~110mg/dL 정도이며, 뇌세포는 포도당을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는데, 혈당이 50mg/dL 이하로 떨어지면 중추 신경증세가 나타나고, 다시 30mg/dL 이하가 되면 의식이 상실되며, 경련을 일으킨다.
혈당은 간에서의 포도당 공급량과 말초조직에서의 포도당 이용량과의 균형으로 조절되고 있는데, 이들 간의 작용을 중심으로 하여 각종 호르몬의 상호 작용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런 포도당의 공급과 사용량의 균형이 무너지면 당질 대사에 문제가 생겨 당뇨병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혈당 측정의 경우, 체내의 포도당은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간접적인 방법으로 측정된다. 전형이나 혈장 속의 포도당이 반응되어 어떤 물질이 만들어지고, 이 물질이 측정 가능하며, 포도당 존재 하에 효소가 특정적으로 반응하여 만든 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생성물질은 전기화학적 방법이나 광도측정법으로 감지된다. 첫 번째 방식은 측정 가능한 물질을 전극표면에 전자로 변화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측정하며, 두 번째 방식은 그 생성물질이 염색원(색깔을 나타내는 물질)과 반응한 색깔의 정도를 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첫 번째 방식인 전류를 흐르게 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0)와 후면 커버(30), 이 프론트 커버(10)와 후면 커버(30)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회로 기판(2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커버(10)는 주물로 성형되며, 프론트 커버(10) 상에는 표시부창(11), 혈당 시험지 커넥터 홀(12), 버튼홀(13,14)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론트 커버(10)에 회로 기판(20)이 조립되며, 이 회로 기판(20)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즉, 도 2는 도 1의 혈당 측정기에서 구성 부품이 마운팅된 PCB 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20) 상에는 표시부(360),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 조작 버튼(311, 312), 전원부(330), 통신 연결 단자(371) 등이 마운팅된다. 따라서, 이들 표시부(360),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 조작 버튼(311, 312), 전원부(330), 통신 연결 단자(371) 등은 각각 표시부창(11),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 버튼홀(13,14) 등에 정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이 회로 기판(20)은 후면 커버(30) 내에 안착 체결되며, 이를 위해 후면 커버(30)에는 이 회로 기판(20)이 일정한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돌출부분(31)과 홈(32)의 형상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의 회로 블럭도는 조작 버튼(도 2의 311 및 312)이 구비되는 조작부(310), 혈당 시험지를 삽입하는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가 연결되어 혈당 시험지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21), 혈당 시험지가 삽입되면 혈당 시험지에 있는 혈당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340), 이 측정된 혈당의 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부(350), 측정된 혈당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60), 측정된 혈당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3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며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감지부(321)로부터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에 연결된 혈당 시험지를 감지한 정보를 전송받아 측정부(340)에 보냄으로써 측정부(340)가 혈당 시험지 상에 있는 혈당 정보를 생성하게 한다.
또한, 생성된 혈당 정보를 표시부(36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통신부(37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보통 제어부(30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가 구비되어,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조작부(310)는 사용자가 혈당 측정기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 버튼(도 2의 311), 메뉴 버튼(311)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메뉴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도 2의 312)을 구비한다.
감지부(330)는 혈당 시험지(스트립)가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에 삽입됨에 따라 혈당 측정기에 전원이 온되고 혈당 시험지에 의해 발생한 전류를 측정하여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혈당 시험지(스트립)는 시중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워킹 전극(E1: 측정을 담당하는 부분), 제 3 전극(E2: 측정에 도움을 주는 부분) 및 카운터 전극(C: E1, E2의 전류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접지)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시험지에는 특정 코드가 부여되지 않는다. 물론, 종래의 혈당 시험지에는 혈당 시험지마다 특정 코드가 있게 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코드가 없이도 혈당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전극은 흑 전극의 형태로서 기판의 하단부에 미세통로가 존재하며, 이 미세통로에는 생화학 물질 및 시료 투입구(미도시)가 있다. 이러한 혈당 시험지(스트립)에 대하여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시험지 커넥터(32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4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전원부(330)는 혈당 측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당 측정기의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버튼형 리튬 배터리(예를 들면 CR203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외에도 건전지, 또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부(38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혈당 정보 또는 새로 측정된 혈당 정보 등을 저장한다. 물론, 제어부(30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측정부(340)는 OP-AMP 회로로 구성되어 감지부(321)에서 감지한 혈당 정보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혈당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준 전류값 이상의 전류값만을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이 전류값을 전송받아 혈당 수치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부(36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통신부(370)를 통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기준 전압부(350)는 혈당 측정기의 정확도를 위해 기준 전압값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보통 기준 전압을 약 400mV로 설정한다.
표시부(360)는 혈당 정보 또는 혈당 측정기의 설정 또는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혈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예가 도 6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부(360)는 LCD, OLED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70)는 통신 연결 단자(371)를 통하여 외부에 측정된 혈당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통신 연결 단자(371)는 phone jack, mini USB 등의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통신부(370)가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IrDA, 블루투쓰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2의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혈당 시험지 커넥터(320)의 앞단은 혈당 시험지(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며, +전극(322), -전극(323), 워킹 전극(324), 카운터 전극(325), 제 3 전극(326)이 구성된다. 이중 +전극(322)과 -전극(323)은 혈당 측정기를 스위칭시켜 전원을 켜기 위한 구성이며, 워킹 전극(324), 카운터 전극(325) 및 제 3 전극(326)은 앞서 기술한 혈당 시험지의 E1, C 및 E2와 접촉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 있게 된다(단계 S500). 즉 부연하면 혈당 측정기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절전 모드인 슬립 모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측정 또는 저장 동작이 있게 되면 혈당 측정기의 전원이 켜지게 된다(단계 S510).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시험지 커넥터(320)에 혈당 시험지(미도시)를 삽입하거나, 조작부(310)에 구성된 메뉴 버튼을 누르면 혈당 측정기의 전원이 온(ON)된다. 이때, 전원이 켜지면 표시부(도 3의 360) 화면상에 바로 전에 측정한 혈당 측정 데이터 수치가 표시된다.
물론 혈당 시험지가 삽입되는 경우, 혈당 측정기는 혈당 시험지가 사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520). 즉, 표시부(도 3의 360)상에 YES/NO가 표시되는데, "YES"의 경우는 혈당 시험지가 사용가능함을 의미하고, "NO"의 경우는 에러 표시로서 혈당 시험지가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단계 S521). 물론, 여기서는 "YES", "NO"로 표시하였으나, "YES", "NO"를 특정 모양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YES"의 경우 혈액 모양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에러 표시는 다음과 같은 상황시 적용된다.
i) 혈액 시험지의 재사용
ii ) 채혈기로 채혈한 혈액을 도입하라는 지시가 표시부(360)에 디스플레이되기전에 혈액을 혈당 시험지에 도입시킨 경우
iii) 온도 범위(예를 들면 10 - 40℃)를 벗어나는 경우
판단 결과, 혈액 시험지가 사용가능하면, 채혈기로 채혈한 혈액을 혈당 시험지에 도입한다(단계 S525). 즉, 혈당 측정은 사용할 혈액 시험지를 시험지 커넥터(320)에 삽입하여 살며시 끝까지 밀어 접촉시키면 표시부(360)의 화면상에 혈액모양의 아이콘이 뜨는데 이것은 측정이 가능하다는 뜻을 의미한다. 이때, 채혈기를 사용하여 손가락 등의 피부를 통해 약간의 혈액이 나오도록 한다(혈액의 양은 0.5㎕이상이면 충분함).
채혈된 혈액은 혈액 시험지의 화살모양의 끝부분에 측면으로 닿도록 하고, 혈액확인 창으로 측정 가능한 혈액이 충분하게 시험지 커넥터(320)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혈액이 시약 확인 구역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한다.
부연하면, 혈액 시험지를 시험지 커넥터(320)에 삽입 후 손가락 끝에서 채혈한 혈액을 혈액 시험지 안에 도입한 혈액 샘플에 2.5V의 전압이 가해지면, 발생한 전류를 통해 포도당(이하당) 농도가 계산된다. 혈액 샘플이 혈액 시험지 내의 효소 성분들과 반응하여 일정 전류가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물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에러가 발생하는 3가지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혈액 양이 부족하면 표시부(360)상에 에러가 디스플레이된다.
혈액이 혈액 시험지에 완전히 삽입되면 깜박이는 혈액 방울 표시가 화면에서 사라지고, 테스트의 진행을 나타내는 깜박이는 시계 아이콘이 나타난다. 측정 진행 중에는 혈액 시험지를 움직이거나 만지지 않아야 한다.
혈액 시험지에 혈액이 도입되면 5초가 카운트되며 5초 후에 화면상에 측정된 현재의 혈당 수치가 표시된다(단계 S527). 측정된 수치가 1.1mmol/l(20mg/dl) 보다 낮을 경우에는“Lo"로 표시되며, 33.3mmol/l(600mg/dl)보다 높을 경우에는 "Hi" 라고 표시된다. 물론, 이와 달리 혈당 수치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는 2분 동안, 혈당 측정기를 끄거나 혈당 시험지를 제거할 때까지 표시부(360) 상에 표시된다. 물론, 혈당 측정이 종료하면 사용자는 사용한 혈당 시험지를 시험지 커넥터(320)로부터 제거한다(단계 S528). 이 경우, 혈당 측정기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단계 S550).
단계 S510에서 사용자가 저장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부(도 3의 310)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혈당 수치의 평균값이 표시부(360)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530).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6에 도시된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혈당량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날짜, 시간 정보(610)와 평균 혈당 수치(600)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5를 계속 설명하면, 단계 S530에서 사용자는 날짜, 시간 등을 새롭게 셋업하거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S540). 만일 사용자가 메뉴 버튼(도 2의 311)을 선택하면, 셋업 메뉴가 표시된다(단계 S541). 셋업 메뉴에서는 측정된 혈당의 평균값을 월, 일, 시간 등의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7, 14, 30일 단위로 혈당 측정 결과를 평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 버튼(도 2의 312)을 선택하면, 혈당 정보를 저장하면서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 S542).
단계 S541 및 단계 5421가 종료되면 혈당 측정기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단계 S5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약 250개의 저장된 측정 데이타를 표시하는 기능을 있고, 원하는 날짜의 혈당 측정 데이터를 알아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700)는 통신부(370)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710)와 연결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기(700)의 통신 연결 단자(371)는 폰잭(phone-jack), 미니 USB일 수 있다. 즉, 혈당 측정기(700) 쪽은 잭 또는 미니 USB 단자일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710)은 일반 USB단자가 된다. 따라서, 혈당 측정기(700)와 개인용 컴퓨터(710)간 연결 케이블은 폰잭 케이블이거나 미니 USB 케이블일 수 있다. 폰잭 케이블은 한쪽이 잭이고 다른 쪽은 일반 USB가 되며, 미니 USB 케이블은 한쪽이 미니 USB이고 다른 쪽은 일반 USB가 된다.
이를 개인용 컴퓨터(710)에는 혈당 측정기(7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711), 이 혈당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 및 처리하는 분석 및 처리 모듈(712), 분석된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715), 이 분석된 혈당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713), 혈당 관리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설정 및 관리 모듈(717), 및 특정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관리 모듈(714) 등이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모듈(711)은 혈당 측정기(700)에 연결된 USB 포트로부터 측정된 혈당 정보를 입력받으며, 외부의 엑셀이나 텍스트 파일에 저장된 혈당 정보를 내 관리 프로그램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분석 및 처리 모듈(712)은 입력된 혈당 정보를 시간별, 주기별, 구간별로 분석하고 혈당 정보를 저장장치(715)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 장치(715)는 혈당 정보의 저장소로 가족용 소규모일 경우는 파일 시스템(715-1)을 이용하고, 병원 등 대규모일 경우 DB 시스템(715-2)이 된다. 또한, 이 저장 장치(715)에는 당뇨수첩, 진단 메시지, 치료요법 등 당뇨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며, 혈당 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출력 모듈(713)은 혈당 정보를 관리 프로그램 화면에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면 출력을 위해 혈당 트렌드를 그리드나 챠트(740)로 제작하거나 엑셀, 텍스트 등의 파일로 이동 디스크(741)에 저장한다. 또한, 혈당 정보를 첨부한 이메일로 전송한다.
다운로드 관리 모듈(743)은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 부팅 시나 주기적으로 인터넷망(720)을 통하여 다운로드 서버(730)와 통신하여 업데이트 항목이 있는지 검사한다. 업데이트 항목이 있으면 자동으로 업데이트 파일을 내려받고 자동 설치한다. 업데이트 항목에는 혈당 관리 프로그램의 버전 업데이트, 기능 업데이트 등이 있다.
설정 및 관리 모듈(717)은 사용자 설정 및 통신 포트를 설정하며, 혈당의 목표치 설정 등 개인화를 설정한다.
10: 프론트 커버 20: 회로 기판
30: 후면 커버
311: 메뉴 버튼 312: 선택 버튼
320: 시험지 커넥터 321: 삽입홀
330: 전원부 360: 표시부
700: 혈당 측정기 710: 개인용 컴퓨터
720: 인터넷 망 730: 서버

Claims (10)

  1. 혈액 시험지를 삽입하는 시험지 커넥터;
    상기 시험지 커넥터와 연결되어 삽입된 혈액 시험지에 혈액이 도입됨에 따라 전류를 흘려 상기 혈액의 혈당을 감지하여 상기 혈당에 해당하는 측정 전압을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측정 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부;
    상기 측정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혈액의 혈당량을 계산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량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혈액 시험지의 코드 번호를 구별하지 않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당 정보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량이 일정값 이상이면 "Hi"로, 일정값 이하이면 "Lo"로 표시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의 혈당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폰잭 또는 미니 USB 단자를 더 포함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메뉴 또는 선택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커넥터는, 삽입된 혈액 시험지와 접촉하기 위해 +전극, -전극, 워킹 전극, 카운터 전극, 및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원코딩 혈당 측정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원코딩 혈당 측정기;
    상기 혈당 측정기의 통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혈당 측정기로부터 상기 혈액의 혈당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입력된 상기 혈당 정보를 시간별, 주기별, 구간별로 분석하고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혈당 정보를 관리 프로그램 화면에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혈당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혈당 관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 부팅 또는 주기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운로드 서버와 통신하여 업데이트 항목이 있는지 검사하는 다운로드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혈당 관리 시스템.
KR1020100048063A 2010-05-24 2010-05-24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KR10114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063A KR101145687B1 (ko) 2010-05-24 2010-05-24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063A KR101145687B1 (ko) 2010-05-24 2010-05-24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548A true KR20110128548A (ko) 2011-11-30
KR101145687B1 KR101145687B1 (ko) 2012-05-24

Family

ID=4539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063A KR101145687B1 (ko) 2010-05-24 2010-05-24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76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157229A (zh) * 2018-06-29 2019-01-08 南京医科大学 一种连续动脉血糖监测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651979B1 (ko) * 2023-01-19 2024-03-27 주식회사 뷰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290B1 (ko) * 2004-04-20 2006-06-19 주식회사 헬스피아 혈당관리용 통신 단말기 및 혈당 관리 시스템
KR100762929B1 (ko) * 2005-05-18 2007-10-04 주식회사 아이센스 다중접속 3분할 혈당측정기
US7794658B2 (en) * 2007-07-25 2010-09-14 Lifescan, Inc. Open circuit dela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te measur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76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157229A (zh) * 2018-06-29 2019-01-08 南京医科大学 一种连续动脉血糖监测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157229B (zh) * 2018-06-29 2024-03-29 南京医科大学 一种连续动脉血糖监测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651979B1 (ko) * 2023-01-19 2024-03-27 주식회사 뷰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687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9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alyte test data
EP2539839B1 (en)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with high and low blood glucose trends notification
US20100331654A1 (en) Systems for diabetes management and methods
RU2660316C2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тест-полоск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EP1965691B1 (en) Portable analytical device
CA2790912A1 (en)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with safety warnings for insulin dosing
TWI591333B (zh) 用於測定對血容比不敏感的葡萄糖濃度的系統及方法
CA2828100A1 (en) Capacitance detection in electrochemical assay with improved response
KR20140130037A (ko) 분석물 측정기의 디지털 샘플 감지
CN102472718A (zh) 分析装置和分析方法
JP2014219396A (ja) 検体計測器のテストストリップの検出
KR101145687B1 (ko) 원코딩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US9442089B2 (en) Analyte meter test strip detection
CN110609076B (zh) 一种基于i2c通信的多项血指标检测方法
US20150050678A1 (en) Modular analytical test meter
KR20140147730A (ko) 배향 독립형 측정기
CN2694271Y (zh) 便携式多功能全血生化检测仪
TWI603083B (zh) 用以測量樣品中之分析物及計算血容比鈍感血糖濃度之系統及方法
CN202092988U (zh) 全自动语音血糖仪
CN211348036U (zh) 一种基于i2c通信的血指标检测系统
CN201788165U (zh) 便携式智能血糖仪
JP2018503075A (ja) 電気化学検体測定用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30096652A (ko) 휴대폰을 이용한 혈당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