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003A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003A
KR20110128003A KR1020100047583A KR20100047583A KR20110128003A KR 20110128003 A KR20110128003 A KR 20110128003A KR 1020100047583 A KR1020100047583 A KR 1020100047583A KR 20100047583 A KR20100047583 A KR 20100047583A KR 20110128003 A KR20110128003 A KR 2011012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riving
unit
program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486B1 (ko
Inventor
박창권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486B1/ko
Priority to US13/698,460 priority patent/US9453299B2/en
Priority to CN201180027168.6A priority patent/CN102918196B/zh
Priority to PCT/KR2011/003653 priority patent/WO2011145873A2/ko
Priority to EP11783755.9A priority patent/EP2573247B1/en
Priority to BR112012029457A priority patent/BR112012029457A2/pt
Priority to RU2012154279/12A priority patent/RU2544824C2/ru
Publication of KR2011012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신부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ing system}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 승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가 운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란 세탁물이 투입되는 방식에 따라 상방으로부터 세탁물이 투입되는 탑로딩(Top loading) 방식과 전방으로부터 세탁물이 투입되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방식으로 구분되며, 상기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이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 단계가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세탁물이 처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와 함께 투입되는 세제와의 화학작용, 드럼의 회전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및 수류에 의한 물리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열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의류에 스팀을 가하여 주름을 제거하고 살균, 탈취하는 리프레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수행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리프레시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등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상업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정한 요금을 내고 이를 이용하게 되는데,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기능만으로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활용성이 한정되고, 요금 처리를 위한 카드 결제 시스템이나 현금 결제 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 실행 명령 또는 운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이 제어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별도의 결제수단을 갖출 필요가 없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그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임의로 코스 구성을 변경하여 세탁물의 처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셋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이용대금을 결제하기 위한 별도의 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서버로부터 세탁물 처리기기의 다양한 운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처리함으로써, 세탁물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확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범주에 속하는 건조기, 리프레셔, 세탁 겸용 건조기, 리프레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확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2)와,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124)과,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세탁기 작동을 위한 각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세탁기 작동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120)이 형성된다. 도어(112)는 캐비닛(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 출입홀(120)을 여 닫는다. 캐비닛(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세탁용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에는 세탁수가 담기고, 드럼(124)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미도시)을 통해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되어 포를 적신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해 회전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의 회전시 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5)가 배치된다. 구동부(113)의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124)은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소정의 속도 범위 내에서 드럼(124)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리프터(125)에 의해 들어올려진 포는 일정 높이에 도달한 후 떨어지게 되는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런한 낙차를 이용한 충격에 의해 포가 세탁된다. 다르게는, 포의 탈수를 위해서 드럼(125)이 고속회전하는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포가 드럼(124)의 내벽에 달라붙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게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120)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발생된 진동을 완충시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124) 내로 분사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탁용 첨가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31)와, 급수 밸브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3)로 흐르는 급수 유로(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터브(122) 내로 안내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135)과, 배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136)와 펌프(136)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세탁기(W)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유로(138)과, 순환노즐(127)과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노즐(127)로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13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펌프(136)는 순환 유로(137)와 배수 유로(137)와 함께 연결되어 공용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순환 유로(137) 상의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배수 유로(137) 상의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컨트롤 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42)와, 세탁기(W)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14)에는 이동 단말기(M)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말기 장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M)란 유무선 전화망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이다.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팩스 송수신 등이 가능하다. 통상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자를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되고, 개발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통신망에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M)는 스마트폰을 예로 설명한다.
세탁 코스는 포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및 조용조용 코스 등이 있다. 세탁기의 동작은 크게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또는 건조 등이 행하여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세탁기(W)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운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50)와, 이동 단말기(M)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160)와, 이동 단말기(M)로부터 통신부(150)에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50)는 구동부(113)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급수제어 프로그램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가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인 경우에는 드럼(124) 내로 열풍 또는 냉풍을 가하기 위한 히터와 송풍팬 등으로 구성된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건조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에는 건조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인 것도 가능한 바, 도 4에는 히터(139)와 송풍팬(129)의 구성도 함께 도시하였다.
특히, 상기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은, 구동부(113)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실동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동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동률 이란 실동율이란 구동부(113)의 구동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IPM 드라이버 등에 의해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전체 시간 분에 실제로 구동부가 구동한 시간의 비로 정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신호는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는 온타임(ON time) 구간과 모터(3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오프타임(OFF time)구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동율은 아래의 수학실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TON은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는 구간의 신호 길이이고, TOFF는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의 신호 길이이다.
특히, 실동율은 구동부(113)의 온도제어 및 에너지 소비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개발자에 의해 성능이 개선된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이 서버(SVC)에 업로드되면,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구동부(113)의 온도를 보다 적절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이동 단말기(M)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162)와 이동 단말기(M)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64)를 포함한다. 송신부(16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버전(version)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부(164)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 또는 새로운 운전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부(150)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키고, 통신부(15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신규한 운전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메모리부(160)에 이를 추가로 저장시킨다. 물론,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새루운 운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M)로부터 통신부(150)로 입력된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M)를 이용하여 통신망과 연결된 원격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이다. 상기 서버에는 세탁기(W)의 운전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등은 오픈(open)된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개발자들이 개발하여 업로드한 것들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일정 방식으로 인증과정 또는 과금 과정을 거쳐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4)에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 가능한 운전코스의 종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의 변경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부(144)의 표시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50)에 베이비케어(baby course)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표시부(144)에는 베이비케어 코스가 표시되나, 이후 이동 단말기(M)로부터 차일드케어(child care) 프로그램이 전송되어 메모리부(150)에서 베이비케어 프로그램이 삭제되고 차일드케어 프로그램으로 대체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부(144)를 통해 차일드 케어 코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예로든 베이비 케어 프로그램은 영아(baby)용 의류 특성에 적화된 설정된 운전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차일드 케어 프로그램은 유아(child)용 의류 특성에 적화된 운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S)은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세탁기(W)의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M)와 연결되는 서버(SVC)와, 이동 단말기(M)와 통신하며, 상기 세탁기(W)의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세탁기(W)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이하, 세탁기(W)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세탁기(W)와 이동 단말기(M)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면,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이하, 프로그램 리스트)가 통신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M)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M)의 화면에는 프로그램 리스트가 출력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세탁기(W)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M)를 통신망에 접속시켜 서버(SVC)와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고, 서버(SVC)로부터 운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의 화면을 통해 서버(SVC)에 업로드된 각종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적절히 조작하여 다운로드된 데이터(업데이트 데이터 또는 신규 운전 프로그램)를 세탁기(W)로 전송시키고, 전송된 데이터는 통신부(150)로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M)를 세탁기(W)의 단말기 장착부(140)에 장착한 후, 이동 단말기(M)가 통신망에 접속된다(S110).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통신요청이 이루어지고(S115), 서버(SVC)는 상기 통신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통신수락 여부를 결정하고(S120), 통신을 수락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신수락을 함으로써(S125), 서버(SVC)와 이동 단말기(M)가 상호 통신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서버(SVC)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운전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원하는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S130). 이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허용 요청이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이루어지고, 서버(SVC)는 이에 응답하여 다운로드를 수락하고(S140), 해당 운전프로그램에 대한 요금을 과금한다(S145), 과금된 요금은 사용자에게 직접 청구되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M)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사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
이후, 서버(SVC)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운전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고(S150), 이동 단말기(M)는 세탁기(W)의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운전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하며(S155), 통신부(160)로 통해 상기 운전 프로그램의 전송이 이루어진다(S160).
세탁기(W)는 통신부(16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운전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S165), 제어부(170)는 상기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기(W)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통신부(150)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S210), 세탁기(W)는 이동 단말기(M)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통신대기 상태가 된다.
이후,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세탁기(W)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S220), 전송된 운전 프로그램이 메모리부(150)에 저장됨으로써 메모리부(150)가 갱신되고(S230), 제어부(170)는 상기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기(W)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서버(SVC) 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P210),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서버(SVC)에 저장된 세탁기(W) 운전 프로그램들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이 이루어지고(P220), 서버(SVC)로부터 다운로드 수락이 이루어지면(P230), 서버(SVC)로부터 운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운전 프로그램을 다시 세탁기(W)로 전송한다(P24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주요 차이점 중 한가지는, 세탁기(W)의 메모리부(150)에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이 기 설정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상기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서버(SVC)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실행 승인이 있는 경우에 세탁기(W)의 운전이 이루어 진다는 점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M)를 세탁기(W)의 단말기 장착부(140)에 장착한 후, 이동 단말기(M)가 통신망에 접속된다(S310).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통신요청이 이루어지고(S315), 서버(SVC)는 상기 통신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통신수락 여부를 결정하고(S320), 통신을 수락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신수락을 함으로써(S325), 서버(SVC)와 이동 단말기(M)가 상호 통신 상태가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M)가 단말기 장착부(1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이동 단말기(M)와 세탁기(W) 사이에도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통해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실행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고(S330),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승인 요청이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이루어진다(S335).
서버(SVC)는 상기 승인요청에 응답하여,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결정하고(S340), 승인을 허락한 경우에는 사용요금을 과금한다(S345). 과금된 요금은 사용자에게 직접 청구되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M)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사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
이후, 서버(SVC)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허락이 이루어지고(S350), 세탁기(W)의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실행 허락 명령이 입력되면(S360),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에서 실행이 허락된 해당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37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통신부(150)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S410), 세탁기(W)는 이동 단말기(M)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통신대기 상태가 된다.
이후,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세탁기(W)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한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 허락이 있는 경우(S420), 제어부(170)는 상기 실행이 허락된 운전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50)로부터 호출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43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서버(SVC) 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P410),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통해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세탁기(W) 운전 프로그램들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허락 요청이 이루어지고(P420), 서버(SVC)로부터 실행 허락이 이루어지면(P430), 실행이 허락된 해당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세탁기(W)로 인가한다(P4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을 전송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 전송된 상기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 전송된 상기 운전 프로그램을 저장시키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운전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운전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부에는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 제어 명령은 상기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제어 명령에 따라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단말기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이동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 받아, 그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운전 프로그램의 수행 명령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20100047583A 2010-05-17 2010-05-20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170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583A KR101709486B1 (ko) 2010-05-20 2010-05-20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US13/698,460 US9453299B2 (en) 2010-05-17 2011-05-17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201180027168.6A CN102918196B (zh) 2010-05-17 2011-05-17 家电设备、家电设备系统及其动作方法
PCT/KR2011/003653 WO2011145873A2 (ko) 2010-05-17 2011-05-17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11783755.9A EP2573247B1 (en) 2010-05-17 2011-05-17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BR112012029457A BR112012029457A2 (pt) 2010-05-17 2011-05-17 aparelho eletrodoméstico, sistema de aparelho eletrodoméstico e método para operar o mesmo
RU2012154279/12A RU2544824C2 (ru) 2010-05-17 2011-05-17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их в действи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583A KR101709486B1 (ko) 2010-05-20 2010-05-20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03A true KR20110128003A (ko) 2011-11-28
KR101709486B1 KR101709486B1 (ko) 2017-02-23

Family

ID=4539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583A KR101709486B1 (ko) 2010-05-17 2010-05-20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144A (zh) * 2012-12-13 2013-04-03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机安全互锁保护系统及方法
DE102012223243A1 (de) * 2012-12-14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räteanordn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Reinigungsanweisung eines Hausgerätes mit einem, mit dem Hausgerät in Verbindung stehenden, mobilen End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18A (ja) * 2003-07-30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18A (ja) * 2003-07-30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144A (zh) * 2012-12-13 2013-04-03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机安全互锁保护系统及方法
DE102012223243A1 (de) * 2012-12-14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räteanordn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Reinigungsanweisung eines Hausgerätes mit einem, mit dem Hausgerät in Verbindung stehenden, mobilen End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486B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004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20110128005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US9453299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1876133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59415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23681A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26437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0373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366164A (zh) 衣物处理设备及包含该衣物处理设备的在线系统的控制方法
EP402380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94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20170000387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002351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N102206912A (zh) 洗涤物处理装置及洗涤物处理系统
JP2023033994A (ja) 洗濯機及び洗濯方法
JP2024021938A (ja) 衣類処理装置、衣類処理装置システム、衣類処理方法
KR20210104394A (ko) 의류처리장치
CN113737455A (zh) 洗衣机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CN102918196B (zh) 家电设备、家电设备系统及其动作方法
JP2014042641A (ja) 洗濯乾燥機
KR20130079925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9009613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