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51A -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51A
KR20170002351A KR1020160179203A KR20160179203A KR20170002351A KR 20170002351 A KR20170002351 A KR 20170002351A KR 1020160179203 A KR1020160179203 A KR 1020160179203A KR 20160179203 A KR20160179203 A KR 20160179203A KR 20170002351 A KR20170002351 A KR 2017000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aundr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권
한종희
김평환
홍민환
최운제
하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351A/ko
Publication of KR2017000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202/00
    • D06F2204/065
    • D06F2210/00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세탁물의 상태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와, 통신부로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이 제어되도록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상태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란 세탁물이 투입되는 방식에 따라 상방으로부터 세탁물이 투입되는 탑로딩(Top loading) 방식과 전방으로부터 세탁물이 투입되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방식으로 구분되며, 상기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이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 단계가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세탁물이 처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와 함께 투입되는 세제와의 화학작용, 드럼의 회전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및 수류에 의한 물리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열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의류에 스팀을 가하여 주름을 제거하고 살균, 탈취하는 리프레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수행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리프레시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등도 쉽게 볼 수 있다.
어느 형태의 세탁물 처리기기가 되었든,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이루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운전 프로그램이 기 설정되게 마련인데, 상기 운전 프로그램은 제품 생산 단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 추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더 이상 필요가 없는 운전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새로운 운전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적의 세탁성능을 위해서는 세탁물의 오염 정도 또는 재질의 종류 등의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세탁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세탁물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설령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에 따라 최적의 세탁방식을 결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세탁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의 화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말기 장착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탁물의 상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방식으로 세탁물이 처리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게 파악된 세탁물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세탁물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세탁방식이 결정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넷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말기 장착부에 이동단말기가 장착된 경우, 사용자가 이동단말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제어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여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말기 장착부에 이동단말기가 장착된 경우,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화상이미지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확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범주에 속하는 건조기, 리프레셔, 세탁 겸용 건조기, 리프레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확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2)와,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124)과,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세탁기 작동을 위한 각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세탁기 작동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120)이 형성된다. 도어(112)는 캐비닛(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 출입홀(120)을 여닫는다. 캐비닛(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세탁용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에는 세탁수가 담기고, 드럼(124)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미도시)을 통해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되어 포를 적신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해 회전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의 회전시 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5)가 배치된다. 구동부(113)의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124)은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소정의 속도 범위 내에서 드럼(124)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리프터(125)에 의해 들어올려진 포는 일정 높이에 도달한 후 떨어지게 되는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런한 낙차를 이용한 충격에 의해 포가 세탁된다. 다르게는, 포를 탈수시키기 위해서 드럼(125)이 고속회전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포가 드럼(124)의 내벽에 달라붙은 상태로 드럼(124)이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120)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발생된 진동을 완충시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124) 내로 분사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탁용 첨가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31)와, 급수 밸브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3)로 흐르는 급수 유로(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터브(122) 내로 안내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135)과, 배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136)와 펌프(136)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세탁기(W)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유로(138)과, 순환노즐(127)과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노즐(127)로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13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펌프(136)는 순환 유로(137)와 배수 유로(137)와 함께 연결되어 공용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순환 유로(137) 상의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배수 유로(137) 상의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컨트롤 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42)와, 세탁기(W)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14)에는 이동 단말기(M)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말기 장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M)란 유무선 전화망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이다.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등이 가능하다. 통상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자를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되고, 개발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통신망에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M)는 스마트폰 중 카메라 등의 화상 인식 기능을 갖추고, 화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예로 설명한다.
세탁 코스는 포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및 조용조용 코스 등이 있다. 세탁기의 동작은 크게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또는 건조 등이 행하여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세탁물의 상태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M)와 통신하며,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160)와, 통신부(160)로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세탁기(W)의 각종 구성이 제어되도록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세탁기(W)는 메모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150)는 구동부(113)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급수제어 프로그램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가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인 경우에는 드럼(124) 내로 열풍 또는 냉풍을 가하기 위한 히터와 송풍팬 등으로 구성된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건조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에는 건조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인 것도 가능한 바, 도 4에는 히터(139)와 송풍팬(129)의 구성도 함께 도시하였다.
특히, 상기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은, 구동부(113)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실동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동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동률 이란 실동율이란 구동부(113)의 구동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IPM 드라이버 등에 의해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전체 시간 분에 실제로 구동부가 구동한 시간의 비로 정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신호는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는 온타임(ON time) 구간과 모터(3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오프타임(OFF time)구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동율은 아래의 수학실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TON은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는 구간의 신호 길이이고, TOFF는 구동부(113)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의 신호 길이이다.
특히, 실동율은 구동부(113)의 온도제어 및 에너지 소비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개발자에 의해 성능이 개선된 구동부 제어 프로그램이 서버(SVC)에 업로드되면,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구동부(113)의 온도를 보다 적절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이동 단말기(M)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162)와 이동 단말기(M)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64)를 포함한다. 송신부(16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버전(version)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부(164)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 또는 새로운 운전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부(150)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키고, 통신부(16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신규한 운전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메모리부(150)에 이를 추가로 저장시킨다. 물론,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새루운 운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M)로부터 통신부(160)로 입력된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M)를 이용하여 통신망과 연결된 원격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이다. 상기 서버에는 세탁기(W)의 운전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등은 오픈(open)된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개발자들이 개발하여 업로드한 것들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일정 방식으로 인증과정 또는 과금 과정을 거쳐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S)은 세탁물의 상태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M)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M)를 통해 세탁물의 상태가 화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세탁물 처리기기가 운전되도록 운전 제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M)로 전송하는 서버(SVC)와, 이동 단말기(M)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M)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기(W)를 포함한다. 이하, 세탁기(W)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세탁기(W)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처리하기 전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의 화상 인식 기능을 사용하여 세탁물의 화상 이미지를 얻는다. 상기 화상 이미지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SVC)로 전송되고, 서버(SVC)에서 상기 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세탁물의 상태 정보를 얻는다. 이때, 서버(SVC)에서는 소정의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M)로부터 전송된 화상 이미지와 서버(SVC)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에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구분된 샘플 이미지와 비교 분석하거나, 세탁물의 상태 특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세탁물의 상태를 분석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분석 작업은 서버(SVC)에 구비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 연산 작업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SVC) 관리 인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든 이동 단말기(M)로부터 전송된 화상 이미지의 분석 작업이 끝나면, 세탁물의 오염상태, 재질 특성 등의 상태 정보가 추출되고,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세탁기(W)가 적절하게 운전 제어되도록, 서버(SVC)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운전 제어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는, 세탁물의 상태정보에 따라 세탁기(W)가 적절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세탁기(W)의 메모리부(150)에 추가할 신규 운전 프로그램이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에 세탁물을 최적의 상태로 처리할 수 있는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세탁기(W)에는 코튼(cotton) 재질의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코튼 코스가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이 경우 서버(SVC)에서 이동 단말기(M)로부터 전송된 화상이미지가 코튼인 것으로 분석된다면, 서버(SVC)는 이동 단말기(M)로 코튼 코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소정의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M)는 다시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세탁기(W)로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토대로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코튼 코스 수행을 위한 운전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M)에는 세탁기(W)로부터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들의 리스트가 전송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SVC)에서는 세탁물의 상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운전 프로그램(예를 들어 코튼 코스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운전 제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M)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M)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세탁기(W)로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에 대응하는 운전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 중에 포함된 운전 프로그램, 즉, 기존에 메모리부(150)에 존재하지 않던 신규 운전 프로그램이 메모리부(150)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가 세탁기(W)의 단말기 장착부(140)에 장착된 후, 세탁기(W)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통신요청이 이루어진다(S110). 상기 통신요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M)에서 수락 또는 거절 등의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고(S115),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통신이 수락된 경우에 통신수락 신호가 세탁기(W)로 전송(S120)됨으로써 세탁기(W)와 이동 단말기(M)가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에 도달한다.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50)를 검색하여(S125),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M)로 전송되도록 하고(S13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동 단말기(M)는 통신망과 접속(S135)하고(S135), 이때 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기(M)로부터 서버(SVC)로 통신요청을 하게 되고(S140), 서버(SVC)는 상기 통신요청에 대응하여 통신을 거절 또는 수락하고(S145),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 통신을 수락(S150)함으로써 서버(SVC)와 이동 단말기(M)가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이동 단말기(M)에 저장된 세탁물의 화상정보를 서버(SVC)로 전송하기 위한 적절한 동작이 수행되고(S155), 상기 화상정보가 서버(SVC)로 전송된다(S160).
서버(SVC)는 전송된 화상 정보를 분석하여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추출하고(S165), 추출된 상태정보에 따라 최적의 세탁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운전 프로 그램을 설정하고(S170) 이에 대응하는 운전 제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M)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SVC)에는 이동 단말기(M)로부터 세탁기(W)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들의 리스트가 전송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SVC)는 분석된 세탁물의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수행되어야 할 적절한 운전 프로그램이 상기 리스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에 신규 운전 프로그램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해당 운전 프로그램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서버(SVC)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전송되는 운전 제어 데이터에는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SVC)로부터 이동 단말기(M)로 전송되는 운전 제어 데이터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M)는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 중 적절한 운전 프로그램의 선택, 업데이트 또는 신규 운전 프로그램의 추가 등을 결정하여(S180), 이에 대응하는 운전 제어 데이터(S185)를 세탁기(W)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전송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세탁기(W)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업데이트, 신규 운전 프로그램의 추가 등을 수행하여 메모리부(150)를 갱신하고, 갱신된 결과에 따라 세탁기(W)가 작동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통신부(160)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S210),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전프로그램들의 리스트가 통신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M)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20). 이후, 이동 단말기(M)로부터 운전 제어 데이터가 통신부(160)로 입력되면(S230), 제어부(170)은 메모리부(150)를 갱신하고, 갱신된 결과에 따라 세탁기(W)가 운전되도록 한다(S24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와 세탁기(W)가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진입되면(P210), 이동 단말기(M)는 세탁물의 화상 이미지를 서버(SVC)로 전송하고(P220), 서버(SVC)로부터 상기 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어진 세탁물의 상태정보에 따라 소정의 운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P230), 이를 다시 세탁기(W)로 전송한다(P2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세탁물의 화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말기 장착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드로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운전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운전 프로그램 중에 해당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자동으로 신규 운전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을 처리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데이터는, 상기 급수부 및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급배수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데이터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패턴을 제어하는 구동부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실동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동패턴을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해 회전하는 드럼; 및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가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데이터는,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는 건조부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세탁물의 화상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세탁물 처리기기가 운전되도록 소정의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세탁물의 화상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79203A 2016-12-26 2016-12-26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002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03A KR20170002351A (ko) 2016-12-26 2016-12-26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03A KR20170002351A (ko) 2016-12-26 2016-12-26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584A Division KR20110128004A (ko) 2010-05-17 2010-05-20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51A true KR20170002351A (ko) 2017-01-06

Family

ID=5783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203A KR20170002351A (ko) 2016-12-26 2016-12-26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004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2469629B1 (ko) 의류처리장치
US9453299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10128005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US9290878B2 (en) Washing method
EP3572574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providing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vision
KR102019132B1 (ko)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2010011822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978423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000450B1 (ko)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102065424B1 (ko)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10259415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4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EP3800288B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having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02351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000387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US11692299B2 (en) Dryer appliance and methods for improved operation
CN110050095B (zh) 洗衣机的控制方法
KR102369592B1 (ko) 비젼 기반으로 부하를 인식하고 자동코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세탁기
US20230134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washing operation based on feedback from a drying operation
KR2021010439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04393A (ko) 의류처리장치
CN102206912A (zh) 洗涤物处理装置及洗涤物处理系统
JP2024021938A (ja) 衣類処理装置、衣類処理装置システム、衣類処理方法
KR20090087362A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