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654A -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 - Google Patents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654A
KR20110127654A KR1020117018776A KR20117018776A KR20110127654A KR 20110127654 A KR20110127654 A KR 20110127654A KR 1020117018776 A KR1020117018776 A KR 1020117018776A KR 20117018776 A KR20117018776 A KR 20117018776A KR 20110127654 A KR20110127654 A KR 20110127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ratchet
hinge
longitudinal
clutch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904B1 (ko
Inventor
에르베 모렐
장-루이 들르발리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1012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2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in the actuating mechanism arranged outside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02Friction clutches disengaged by the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44)을 위한 제어 기구(66)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제어 기구는: 힌지(98)에 의해서 횡방향 축선(B)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길이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레버 아암(106, 108)을 포함하는 작동 레버(96);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클러치(44) 작동 접합부(68); 레버(96)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68)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길이방향 로드(84)를 포함하는 작동기(70); 그리고 작동 접합부(68)를 길이방향으로 오프셋하기 위해서 제어된, 클러치(44)를 위한 길이방향 간극 조정 장치(118)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 따라서, 길이방향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간극 조정 장치(118)는 레버(96)의 힌지(98)의 길이방향 위치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 장치(118)가 작동기(70)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조정 장치는 푸시 로드(84)의 운동을 힌지(98)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CONTROL MECHANISM FOR A FRICTION CLUTCH SYSTEM, COMPRISING A CLEARANCE ADJUSTMENT DEVICE}
본원 발명은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제어 기구는:
- 힌지에 의해서 횡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길이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작동 레버;
- 극단 클러치 스트레싱(stressing) 위치와 극단 휴지 위치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는 클러치 행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클러치 작동 접합부(abutment);
- 제 2 레버 아암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 제 1 레버 아암을 푸시(push)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길이방향 로드(rod)를 포함하는 작동기;
- 클러치를 위한 특히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위한 길이방향 간극 조정 장치로서, 작동 접합부를 길이방향으로 오프셋시켜 작동 접합부로부터 클러치 행정의 거리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길이방향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한다.
마찰 클러치 시스템은 양 페이스(face)에 라이닝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마찰 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찰 디스크는 조임 플레이트에 의해서 반응 플레이트에 대해서 가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임 플레이트는 클러치 위치와 디클러치(declutched)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클러치 시스템은 "정상상태 개방"이라고 지칭되는 타입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클러치 시스템은 압력 플레이트를 극단 디클러치 위치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격막(diaphragm)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클러치 시스템은 또한 "정상상태 폐쇄"라고 지칭되는 타입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클러치 시스템은 압력 플레이트를 극단 클러치 위치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격막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양자의 경우에, 압력 플레이트가 극단 휴지 위치와 극단 구속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극단 휴지 위치를 향해서 격막에 의해서 복귀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슬라이딩 작동 접합부에 의해서 격막의 탄성 복귀력에 대항하여 극단 구속 위치를 향해서 푸시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클러치 시스템은 레버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에 작용하는 예를 들어 푸시 로드와 같이 드라이브 요소를 병진 구동시키는 전기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작동기를 구비하는 제어 기구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레버는 일반적으로 "포크(fork)"라고 지칭된다.
작동기가 힘 보상 타입인 경우에, 일반적으로 그러한 작동기는 푸시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압력 플레이트의 구속된 상태에 상응하는 방향을 따라 푸시 로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부착된 경사형 램프 또는 캠에 작용하는 보상 스프링을 포함한다. 보상 스프링이 푸시 로드에 가하는 힘이 격막의 탄성 복귀력과 대략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기어박스에 의해서 공급되는 힘이 최소 값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보상 스프링 및 경사형 램프가 디자인된다.
클러치 플레이트가 극단 클러치 위치와 극단 디클러치 위치 사이에서 반드시 이동하여야 하는 클러치 행정 "d0"이 압력 플레이트의 극단 클러치 위치와 관련하여 규정된다.
한편, 클러치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는 마찰 디스크의 길이방향 두께의 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해서 압력 플레이트의 극단 클러치 위치의 오프셋에 의해서 병진 이동된다(translated). 극단 디클러치 위치가 동시에 오프셋되지 않기 때문에, 디클러칭은 작동 접합부의 그리고 그에 따른 푸시 로드의 보다 긴 변위 거리, 그리고, 결과적으로, 푸시 로드의 제어 행정의 변화를 수반한다.
힘 보상 시스템은 균형을 벗어 나고자 하며, 이는 격막에 대항하여 작동 접합부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작동기에 의해서 공급되어야 하는 제어 힘의 변화를 포함하며, 그러한 변화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소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러치와 통합되어 마모시에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고 그리고 이러한 것이 이루어졌을 때 그러한 마모가 작동 접합부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그리고 푸시 로드의 제어 행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많은 마모 조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보다 특히, 조정 장치의 목적은 극단 클러치 위치의 오프셋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거리만큼 극단 디클러치 위치를 오프셋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장치는 비교적 복잡하고 그리고 그들의 작동은 종종 실제 사용시에 부정확하고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특히 FR-A-2.901.587와 같은 마모 조정 장치(30)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클러치 시스템(32), 작동기(34) 및 힘 보상 장치(36)를 나타내기 위해서 박스를 이용하여 단순화한 도면이다. 작동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의 행정은 거리 "d0"를 커버한다.
작동기(34)의 운동은 작동기(34)와 관련하여 그리고 클러치 시스템(32)과 관련하여 고정된 힌지(42)를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된 레버(40)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로 전달된다.
마모 조정 장치(30)의 기능은 클러치 시스템(32)의 라이닝의 마모에 따라서 푸시 로드(38)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그러한 길이 조정이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작동 접합부의 행정의 오프셋 "d1"을 보상한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30)는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데, 이는 제어 행정 "d0"과 푸시 로드의 최대 연장 "d1"을 허용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자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푸시 로드(38)의 자유 단부의 제어 행정은 마모 거리 "d1"으로부터 오프셋되나, 작동 로드(38)로부터의 제어 행정의 거리 "d0"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는 작동기(34)의 운동을 작동 접합부로 전달하는 체인의 요소에 미치는 푸시 로드(38) 임팩트(impact)의 길이를 증대시키며, 상기 임팩트는 종종 증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레버(40)의 각(angular) 변위에 의해서 스위핑되는(swept) 면적은 푸시 로드(38)의 연장과 동시에 특히 오프셋되고, 이는 라이닝의 마모 정도에 관계 없이 레버의 최대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자유 공간 "d1"을 제공하는 것을 수반한다.
또한, 공지된 마모 조정 장치는 마모 간극 외에 제조 또는 장착 간극의 조정을 허용하지 못한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제어 기구를 제공하며, 그러한 제어 기구는 레버 힌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 그리고 간극 조정 장치는 길이방향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레버 힌지의 길이방향 위치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 조정 장치는 작동기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푸시 로드의 운동을 힌지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 푸시 로드는 이하의 2개의 비-중첩 행정으로 분할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 마찰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작동 접합부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제 1 제어 행정으로서, 상기 작동 접합부는 푸시 로드의 휴지 위치에 대응하는 극단 휴지 위치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되며,
· 그리고 작동기가 클러치의 상태에 작용하지 않고 트랜스미션 수단에 의해서 조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따르게 되고 그리고 푸시 로드의 휴지 위치를 넘어서 제 1 행정을 연장하는 제 2 조정 행정,
- 레버 힌지는 작동기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된 길이방향 스크류에 스크류 체결되는 횡방향 치형(toothed) 휘일에 의해서 이송되고, 제 1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의 회전은 힌지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 제 2의 반대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의 회전은 힌지가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만들며;
-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은:
· 길이방향으로 푸시 로드까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보스(boss)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길이방향 캠 트랙;
· 제 1 캠 트랙과 연관되고 그리고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에 의해서 생성되는 오프셋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힌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관련 캠 종동부(follower)의 우측까지 보스가 통과하는 동안 관련 방향으로만 치형부 휘일을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래쳇(ratchet)을 수반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캠 종동부; 를 포함하고,
-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푸시 로드까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보스(boss)를 포함하며, 제 1 캠 트랙과 평행한 제 2 길이방향 캠 트랙;
· 제 2 캠 트랙과 연관되고 그리고 제 1 캠 종동부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른 힌지의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관련 캠 종동부의 우측까지 보스가 통과하는 동안 관련 방향으로만 치형부 휘일을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래쳇을 수반하는 제 2 캠 종동부;를 포함하고,
- 각각의 캠 종동부는:
· - 래쳇이 치형부 휘일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고 그것을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되는 휴지 위치; 그리고
· - 힌지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래쳇이 관련 방향으로 스텝에 의해서 치형부 휘일의 회전을 구동하는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 푸시 로드가 휴지 위치로부터 조정 행정을 따라서 변위될 때 제 1 캠 종동부가 제 2 캠 종동부에 앞서서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캠 트랙이 형성되며;
- 트랜스미션 수단은:
· - 무한 스크류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형부 휘일의 수직 구동 샤프트로서, 상기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가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수직 구동 샤프트;
· 푸시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정 치형부를 포함하는 래쳇으로서, 상기 래쳇은 제 1 안정 각도형(angular) 위치와 제 2 각도형 위치 사이에서 푸시 로드에 대해서 록킹(rocking)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1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는 역전 치형부가 샤프트 기어와 맞물려서 그러한 샤프트 기어가 조정 행정을 따라서 제 1 활성화 방향으로 푸시 로드의 슬라이딩 중에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향해서 그것이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각도형 위치에서는 제 1 수동 방향으로 래쳇이 슬라이딩하는 동안에 역전 치형부가 기어 치형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후퇴되며,
- 상기 래쳇은 제 2 수동 방향을 따른 래쳇의 슬라이딩 동안에 기어 치형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래쳇의 제 1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 후퇴되는 제 2 전진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진 치형부는 샤프트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래쳇이 제 2 각도형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래쳇이 제 2 활성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샤프트 기어가 회전될 수 있게 만들고, 상기 래쳇은 제 2 각도형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래쳇은 조정 행정의 다른 단부의 방향으로 활성 방향을 따라 래쳇이 슬라이딩함으로써 구동 샤프트의 회전 구동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정 행정의 각 단부에서 접합부에 의해서 하나 또는 다른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 제어되며;
-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오프셋의 감소를 위한 힌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래쳇의 활성 슬라이딩 방향은 휴지 위치의 방향으로 제어 행정 상에서의 푸시 로드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조된 제어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프로세스는:
- 푸시 로드의 기준 위치와 클러치 시스템의 기준 위치 사이의 오프셋을 탐지하기 위한 사전 스텝으로서, 그러한 사전 스텝의 경로 중에 푸시 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클러치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신호가 비교를 위한 전자 처리 유닛으로 전송되며;
- 제 1 스텝 중에 탐지된 오프셋이 결정 값을 초과할 때 그리고 작동 접합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링되는 작동기 제어 페이즈(phase)로서, 그러한 페이즈 경로 중에 작동기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제어되어 탐지된 오프셋을 줄이도록 힌지를 변위시킬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마찰 클러치 시스템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간극 조정 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라서 제조된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한 작동기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극 조정 장치 및 작동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간극 조정 장치로 작동기의 운동을 전달하는 체인의 일부 및 도 3의 작동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정 장치 상의 힌지형 레버 및 작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힌지형 레버가 없이 작동기를 도시한 도 5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조된 간극 조정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8은 작동기 푸시 로드의 자유 단부의 여러 길이방향 변위 행정, 그리고 특히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를 위한 조정 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간극 조정 장치가 작동기 케이싱의 커버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도 10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간극 조정 장치의 래쳇 슬라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2는 래쳇 슬라이드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도 1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3은 래쳇 슬라이드 내에 제조된 윈도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20a는 도 11의 절단면 A-A를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정 장치의 실행 중의 여러 위치에서 래쳇 슬라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 내지 도 20b는 도 11의 절단면 B-B를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정 장치의 실행 중의 여러 위치에서 래쳇 슬라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작동기 푸시 로드의 자유 단부의 여러 길이방향 변위 행정, 그리고 특히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를 위한 조정 행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정 장치 및 작동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2개의 캠 트랙을 가지는 작동기의 캐리지 헤드의 하부 페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정 장치, 그리고 작동기 내부에 위치된 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도면의 세방향 "L.V.T"로 표시한 바와 같이 비-배타적인 후방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상부로 배향된 수직방향, 그리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배향된 횡방향이 채용될 수 것이다. 길이방향은 클러치 시스템의 회전 축선("A")에 평행하게 선택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의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후방을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엔진 샤프트(46)를 전방을 향해서 정렬된 하나 이상의 피동 샤프트(48)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마찰 클러치 시스템(44)을 도시하며, 상기 엔진 샤프트(46)의 자유 전방 단부 섹션이 도 2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엔진 샤프트(46)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리고 자동차의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피동 샤프트(48)는 엔진 샤프트(46)와 본질적으로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동 샤프트(48)는 후방 기어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클러치 시스템(44)은 피동 샤프트(48)를 엔진 샤프트(46)와 일시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에서, 클러치 시스템(44)은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원형 방사상 반응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반응 플레이트(50)는 볼 베어링에 의해서 피동 샤프트(48)의 후방 단부 섹션에 의해서 지지된다. 반응 플레이트(50)는 보다 특히 피동 샤프트(48)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된다. 또한, 반응 플레이트(50)는 엔진 샤프트(4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또한, 커플링 수단은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반응 플레이트(5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장착되는 전방 환형 압력 플레이트(52)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것은 반응 플레이트(50)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압력 플레이트(52)는 보다 특히 반응 플레이트(50)의 전방 페이스에 길이방향으로 반대로 정렬된다.
동축적인 마찰 디스크(54)가 반응 플레이트(50)와 압력 플레이트(52)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배치된다. 마찰 디스크(54)는 2개의 페이스 상에서 환형 마찰 라이닝을 포함한다. 마찰 디스크(54)는 피동 샤프트(48)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부착되고, 그리고 피동 샤프트(48)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압력 플레이트(52)는 마찰 디스크(54)가 압력 플레이트(52)에 의해서 반응 플레이트(50)의 전방 페이스에 대해서 가압되어 피동 샤프트(48)를 엔진 샤프트(46)와 일시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극단 후방 클러치 위치, 그리고 마찰 디스크(54)가 반응 플레이트(50) 및 압력 플레이트(52) 모두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리 이동하는 극단 전향 클러치 위치 사이에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압력 플레이트(52)는 또한 마찰 디스크(54)가 슬립(slippage)으로 가압됨으로써 압력 플레이트(52) 및 반응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중간 바이팅 위치를 점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엔진 샤프트(46) 토크의 일부분이 피동 샤프트(48)로 전달되기 시작한다. 압력 플레이트(52)가 중간 바이팅 위치와 극단 전향 클러치 위치 사이의 소정 길이방향 위치를 점유할 때, 토크가 피동 샤프트(48)로 전달되지 않는다.
공지된 방식으로, 클러치 시스템(44)은 또한 압력 플레이트(52)를 작동시키기 위한 후방 동축 환형 격막(56)을 포함한다. 격막(56)은 방사상 외측 링(58)을 포함하고, 그로부터 탄성 반경(60)이 자유 내측 단부(62)까지 회전 축선("A")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여기에서, 모든 반경(60)이 동일하다.
격막(56)의 링(58)이 반응 플레이트(50)에 대해서 고정된 후방 커버(64)의 전방 페이스 상에 고정된다. 격막(56)의 각 반경의 중간 부분이 압력 플레이트(52)의 환형 부분 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격막(56)의 반경(60)은 탄성적으로 가요성을 가진다. 격막(56)은 예를 들어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스틸로 제조된다.
클러치 시스템(44)은 극단 클러치 위치와 극단 디클러치 위치 사이에서 압력 플레이트(52)를 제어하기 위한 기구(66)를 포함한다.
제어 기구(66)는 압력 플레이트(52)가 극단 후방 클러치 위치 및 극단 전향 휴지 위치를 취하도록 격막(56)의 반경(60)의 자유 내측 단부(62)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스트레스를 가하는 극단 후방 스트레싱 위치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는 클러치 행정 상에서 격막(56)과 관련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피동 샤프트(48) 주위로 장착되는 환형 클러치 작동 접합부(68)를 포함하며, 상기 극단 전향 휴지 위치를 향해서 작동 접합부(68)가 격막(56)의 반경(6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복귀되고 그리고 상기 극단 전향 휴지 위치는 여기에서 압력 플레이트(52)의 극단 디클러치 위치에 상응한다.
그에 따라, 격막(56)의 반경(60)은 격막(56)의 반경(60)의 자유 단부(62)가 작동 접합부(68)에 의해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압력 플레이트(52)를 극단 클러치 위치를 향해서 밀어내는 레버로서 작용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따라서, 압력 플레이트가 반응 플레이트 뒤로 정렬되고, 그리고 격막이 압력 플레이트를 밀어내는 대신에 반응 플레이트를 향해서 "당길" 수 있도록 정렬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접합부(68)의 극단 전향 휴지 위치는 압력 플레이트(52)의 극단 디클러치 위치에 상응한다. 그러한 클러치 시스템(44)은 "정상상태 개방"으로 지칭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따라서, 작동 접합부의 극단 전향 휴지 위치는 압력 플레이트의 극단 클러치 위치에 상응한다. 클러치 시스템은 "정상상태 폐쇄"로 지칭된다.
도 3 및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기구(66)는 또한 작동 접합부(68)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작동기(70)를 포함한다.
작동기(70)는 길이방향 측방향 페이스가 탄성 기어 박스(74)에 고정되고 그리고 다른 길이방향 측방향 페이스가 편평한 커버(76)에 의해서 폐쇄되는 케이싱(7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72)은 예를 들어 기어 박스의 벽에서 반응 플레이트(50)에 대해 고정된 지지부 상에서 작동 접합부(68)에 걸쳐 수직으로 고정된다.
기어 박스(74)는 케이싱(72) 내부의 횡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엔진 기어(78)와 관련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72)은 그 케이싱(72)의 관련된 횡단 길이방향 벽들 상에서 롤링하도록 구성된 안내 롤러(82)에 의해서 케이싱(7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는 바아 형태의 캐리지(80)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는 푸시 로드(84)가 캐리지(80)에 고정된다. 푸시 로드(84)는 캐리지(80) 상의 후방 고정 슬리브(86)로부터 레버(96)의 상단부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볼 조인트를 형성하는 반구형 자유 전방 단부(88)까지 캐리지(80)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자유 단부(88)는 통로 오리피스(90)를 통한 푸시 로드(84)의 통과에 의해서 케이싱(72) 외부에 정렬된다.
푸시 로드(84)의 자유 전방 단부(88)가 후방 휴지 위치와 극단 전향 스트레싱 위치 사이에서 제어 행정을 따라서 케이싱(72) 외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엔진 기어(78)와 맞물리기 위해서 랙(rack)을 형성하는 노치(92)가 캐리지(80)의 후방 스템(94)의 하부 페이스 내에 제조된다. 그에 따라, 엔진 기어(78)의 회전은 캐리지(80) 및 푸시 로드(84)에 의해서 형성된 일체형 조립체의 양 방향을 따른 길이방향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푸시 로드(84)가 보다 특히 작동 접합부(68) 위쪽에서 수직으로 정렬된다.
전기 기어 박스(74)의 엔진 기어(78)의 회전은 전자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제어된다.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작동 레버(96)가 피봇 또는 볼 조인트와 같은 힌지(98)에 의해서 횡방향 축선("B")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힌지는 작동기(70)의 케이싱(72)과 관련하여 고정된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8)는 고정된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리고 레버(96)의 공동(도시하지 않음)과 협력하는 볼 조인트(98)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가 레버(96)의 제 1 지지 지점(102)을 스트레싱(stresses)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레버(96)의 제 2 지지 지점(104)이 푸시 로드(84)의 스트레싱에 응답하여 후방 스트레싱 위치를 향해서 작동 접합부(68)를 스트레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레버(96)가 정렬된다.
제 1 지지 지점(102)은 레버(96)의 자유 상단부에 정렬되는 반면, 제 2 지지 지점(104)은 레버(96)의 2갈래형의 자유 하단부에 정렬된다.
레버(96)의 힌지(98)는 작동 접합부(68)와 푸시 로드(84) 사이에 수직으로 정렬된다. 그에 따라, 이것은 푸시 로드(84)에 의해서 레버(96)에 인가되는 힘이 방향 변화로 작동 접합부(68)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 1 지지 지점(102)과 제 2 지지 지점(104) 사이에 힌지가 정렬되는 "제 1 타입의" 또는 "록킹(rocking)"으로 지칭되는 레버이다.
그에 따라,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의 극단 전향 스트레싱 위치가 작동 접합부(68)의 극단 후방 스트레싱 위치에 상응하는 반면, 푸시 로드(84)의 전방 단부(88)의 후방 휴지 위치는 작동 접합부(68)의 극단 전향 휴지 위치에 대응한다.
그에 따라, 레버(96)는 힌지(98)로부터 제 2 지지 지점(104)으로 바닥을 향해서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 2 레버 아암(108) 및 제 1 지지 지점(102)까지 힌지(98)로부터 전체적으로 수직 상부를 향해서 연장하는 제 1 레버 아암(106)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따라서, 레버 힌지는 2개의 인가 지점들 사이에 정렬되지 않는다. 이어서, 양 레버 아암이 힌지로부터 동일한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푸시 로드에 의해서 레버로 인가되는 힘은 작동 접합부의 방향 변화 없이 전달된다.
힌지(98)는 각 레버 아암(106, 108)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레버(96)에 대해서 수직으로 고정된다. 힌지(98)는 또한 작동기 케이싱(72)과 관련하여 수직으로 고정된다.
그에 따라, 클러치 시스템(44)의 이용 동안에,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가 제 1 레버 아암(106)을 푸싱함으로써 전향 스트레싱 위치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기(70)가 제어된다. 이러한 스트레싱은 도 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 축선("B")을 중심으로 레버(96)가 피봇하게 만든다. 이어서, 레버(96)는 이러한 운동을 격막(56)의 탄성 복귀력에 대항하여 후방 스트레싱 위치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푸싱되는 작동 접합부(68)로 전달하며, 그에 따라 그것은 마찰 디스크(54)의 중간 배치 상태에서 압력 플레이트(52)를 반응 플레이트(50)에 대해서 가압하기 위해서 격막(56)의 반경(60)을 스트레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푸시 로드(84)는 제 2 레버 아암(108)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68)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 제 1 레버 아암(106)을 푸싱한다.
반대로,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가 후방 휴지 위치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제어될 때, 격막(56)의 반경(60)이 작동 접합부(68)를 휴지 위치를 향해서 복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탄성력을 발휘한다. 그렇게 하는 동안에, 작동 접합부(68)는 제 2 레버 아암(108)을 푸싱하고, 그에 따라 레버(9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레버 아암(106)을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에 대해서 가압한다.
작동기(70)는 또한 격막(56)의 반경(60)에 의해서 푸시 로드(84) 상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이 레버(96)에 의해서 균형을 이루도록 의도된 보상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상 수단은 특히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상 수단은 푸시 로드(84)를 격막(56)의 탄성 복귀력에 대항하여 스트레싱하기 위해서 푸시 로드(84)에 연결된 경사형 램프(122)로 작용하는 보상 스프링(110)을 포함한다. 보상 스프링(110)에 의해서 푸시 로드(84)로 가해지는 힘이 2개의 극단 위치들 사이의 작동 접합부(68)의 모든 위치에서 격막(56)의 탄성 복귀력과 대략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상 스프링(110) 및 경사형 램프(112)가 디자인된다. 그에 따라, 클러치 시스템(44)의 작동을 위해서 기어 박스(74)에 의해서 공급되는 힘이 최소 값으로 감소된다.
보상 수단의 경사형 램프(112)는 캐리지(80)의 전방 단부 헤드(114)의 하부 페이스에 의해서 형성된다. 하단부가 케이싱(72)의 하부 벽 상에서 지지되는 한편 상단부가 케이싱(72) 내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캠 종동부(116)에 의해서 캐리지(80)의 상부 경사형 램프(112)를 향해서 수직으로 스트레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상 스프링(110)은 케이싱(72) 내부에서 수직으로 구속되고 그리고 캐리지(80)의 전방 헤드(114) 아래쪽에서 정렬된다.
클러치 시스템(44)은 또한 특히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클러치의 길이방향 간극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118)를 포함하며, 그러한 장치는 작동 접합부(68)의 클러치 행정의 거리 "d0"가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와 무관하게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클러치 행정 "d0"는 작동 접합부(68)의 극단 후방 스트레싱 위치에 대응하는 압력 플레이트(52)의 극단 클러치 위치와 관련하여 규정된다. 이러한 극단 클러치 위치는 라이닝 마모의 함수로서 후방을 향해서 마모 거리 "d1" 만큼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라서, 레버(96)의 힌지(98)는 그것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길이방향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간극 조정 장치(118)가 레버(96)의 힌지(98)의 길이방향 위치에 작용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원리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의 제어 행정의 오프셋이 없이 작동 접합부(68)의 클러치 행정의 오프셋 "d1"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푸시 로드(84)의 길이가 고정되고 그리고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의 위치가 캐리지(80)와 관련하여 고정된다.
힌지(98)의 길이방향 위치에 작용하는 동안, 레버(96)는 길이방향 간극의 제 2 하부 지지 지점(104)을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힌지(98)의 슬라이딩의 충격(impulse) 하에서 제 1 상부 지지 지점(102)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제 3 타입"으로 지칭되는 레버와 같이 행동한다. 이러한 조정은 푸시 로드(84)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레버(96)의 제 1 상부 지지 지점(102)이 조정 작업 동안에 고정된다.
이러한 운동 중에, 레버(96)의 하부 지지 지점(104)의 변위가 힌지(98)의 변위와 관련하여 역다중화(demultiple)된다.
그러한 간극 조정 장치(118)는 매우 바람직한데, 이는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이다. 사실상, 라이닝의 마모를 함수로 하는 오프셋이 없이,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가 동일한 제어 행정을 따라서 항상 변위되고, 그리고 레버(96)의 상단부(102)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스위핑되는 공간은 항상 동일하게 라이닝의 마모 상태와 무관하다.
또한, 레버(96)의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서, 힌지(98)를 위해서 제공되는 최대 오프셋 거리 "da"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최대 마모를 함수로 하여 레버(96)의 하단부(104)의 클러치 행정을 위해서 제공되는 최대 오프셋 거리 "d1"에 비해서 매우 짧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간극 조정 장치(118)는 작동기(70)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를 위해서, 조정 장치(118)는 힌지(98)로 푸시 로드(84)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러치 시스템(44)이 압력 플레이트(52)의 극단 휴지 위치에 대응하는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조정 장치(118)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기(70)가 제조된다. 이를 위해서, 도 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 및 그에 따른 캐리지(80)가 이하의 2개의 비-중첩 행정들로 분할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휴지 위치와 클러치 시스템(44)을 제어하기 위해서 작동 접합부(68)에 작용할 수 있게 만드는 극단 전향 스트레싱 위치(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제 1 제어 행정 "C1";
- 그리고 후방 휴지 위치와 푸시 로드(84)의 극단 후방 위치 사이에서 후방부를 향해서 제 1 제어 행정을 연장시키는 제 2 조정 행정 "C2"로서, 그러한 것을 따라서 작동기(70)가 클러치 시스템(44)의 상태에 작용하지 않고 트랜스미션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 장치(118)를 제어한다.
제 2 조정 행정 "C2"을 따라서,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가 케이싱(72)의 외부에 있다.
그에 따라, 푸시 로드(84)가 또한 후방 휴지 위치에 미치지 못하게 후방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기(70)가 디자인된다.
푸시 로드(84)가 제 2 조정 행정 "C2"을 따라서 이동할 때, 레버(96)가 도 3에 따른 반시계방향으로 록킹되어, 작동 접합부(68)가 격막(56)의 반경(60)의 탄성력의 영향하에서 극단 휴지 위치를 지나서 전방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허용한다. 작동 접합부(68)의 이러한 슬라이딩은 클러치 시스템(44)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푸시 로드(84)가 제 2 조정 행정 "C2"을 따라서 이동할 때, 푸시 로드(84)의 자유 단부(88)는 레버(96)가 이동불가능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레버(96)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6 그리고 도 8 내지 도 20은 운동 트랜스미션 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96)의 힌지 볼 조인트(98)가 치형부(toothed) 휘일(120)의 중심으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한다. 치형부 휘일(120)은 전방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중앙 트랩핑(trapping)을 포함한다.
치형부 휘일(120)은 작동기(70)의 케이싱(72)에 대해서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100)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스크류(122) 상에 스크류 체결된다. 여기에서, 수직 횡방향 지지부(100)는 작동기(70)의 케이싱(72)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에 따라, 제 1 스크류 체결 방향으로 치형부 휘일(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치형부 휘일(120) 및 그에 따른 힌지(98)의 전진 방향을 따른 변위가 가능해질 수 있고, 그리고 반대되는 스크류 풀림(unscrewing)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은 치형부 휘일(120) 및 그에 따른 힌지(98)의 반대 방향을 따른 길이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따라서, 스크류가 힌지 볼 조인트를 지지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류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그리고 치형부 휘일에 대해서 회전이 차단된다. 이어서, 치형부 휘일은 지지부 상에서 회전 장착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치형부 휘일(120)은 수직 구동 샤프트(126)의 하단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무한 스크류(12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도록 의도된다.
구동 샤프트(126)는 케이싱(72)에 의해서 지지되는 베어링(128) 내에서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126)의 하부 베어링(128)은 특히 힌지(98)의 지지부(100)를 수반한다.
구동 샤프트(126)의 상단부는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스텝 만큼 회전 구동될 수 있게 허용하는 구동 기어(130)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수단은 또한 구동 샤프트(126)의 스텝식(step-by-step) 회전 구동을 허용하는 캐리지(80)에 의해서 제어되는 래쳇 장치를 포함한다.
래쳇 장치는 구동 샤프트(126)의 상부 구동 기어(130)에 대해서 접선식으로 정렬된 레일(134)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슬라이드(132)를 특히 포함한다.
레일(134)은 구동 기어(130)와 만나는 하나 이상의 컷-아웃(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레일(134)은 구동 샤프트(126)의 상부 베어링(128)과 일체형 부분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케이싱(72)의 측방향 커버(76)의 외측 페이스에 대해서 고정된다.
케이싱(72)의 측방향 커버(76)는 수직방향으로 스텝핑되고 그리고 레일(134)과 만나는 3개의 컷-아웃 길이방향 슬롯(136A, 136B, 136C)을 구비한다. 각 슬롯은 하부(136A), 중간(136B), 및 상부(136C) 트랙을 각각 형성한다.
상부 트랙(136C)은 전방 단부(138)로부터 후방 단부 활성화 쇼울더(140)까지 연장한다. 하부 트랙(136A)은 후방 단부(142)로부터 전방 단부 활성화 쇼울더(144)까지 연장한다. 중간 트랙(136B)은 상부 트랙(136C)의 전방 단부(138)로부터 하부 트랙(136A)의 후방 단부(142)까지 연장한다.
또한, 두 하부(136A) 및 상부(136C) 트랙은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그에 따라, 후방 활성화 쇼울더(140)가 전방 활성화 쇼울더(144) 뒤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슬롯(136A, 136B, 136C)이 수직으로 인접하여 단일 개구부를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32)가 구동 기어(130)의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개방된 "U" 형상으로 프로파일링된 길이방향 바아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132)는 코어(146)의 2개의 하단부 및 상단부 엣지로부터 구동 샤프트(126)의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날개부(148)에 의해서 프랭크 가공되는(flanked) 수직 길이방향 코어(146)를 포함한다.
슬라이드(132)는 또한 커버(76)의 중간 트랙(136B)을 통과하고 케이싱(72) 내부로 돌출하는 코어(146)의 페이스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러그(150)를 포함한다.
러그(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80)의 헤드(114)의 2개의 횡방향 아암(152) 사이에서 길이방향 간극이 없도록 수용되며, 그에 따라 캐리지(80)에 커플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캐리지(80)의 양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은 레일(134)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132)를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132)는 러그(150)가 중간 트랙(136B)의 전방 단부(138) 엣지에 대해서 접하는 극단 전향 위치와, 러그(150)가 중간 트랙(136B)의 후방 단부(142) 엣지에 대해서 접하는 극단 후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전방 단부 위치는 푸시 로드(84)의 제어 행정 "C1"의 전방 단부 스트레싱 위치에 대응하는 한편, 후방 단부 위치는 푸시 로드(84)의 조정 행정 "C2"의 극단 후방 위치에 대응한다.
슬라이드(132)는 수직 저어널에 의해서 슬라이드(132)의 2개의 날개부(148) 사이에서 수직 록킹 축선 "C"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래쳇(154)을 지지한다. 래쳇(154)은 상기 록킹 축선 "C"을 중심으로 양자 사이에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록킹 축선 "C"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역전 치형부(156)와 전진 치형부(158)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래쳇(154)이 이하의 양자의 사이에서 록킹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형(angular) 역전 위치로서, 역전 치형부(156)가 횡방향으로 배향되어, 구동 기어(130)가 우측으로 통과하는 동안에, 역전 치형부(156)가 구동 기어(130)와 맞물리는 한편 다른 치형부(158)가 구동 기어(130)와 맞물리지 않도록 제거되는, 각도형 역전 위치;
- 그리고,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형 전진 위치로서, 전진 치형부(158)가 횡방향으로 배향되어, 구동 기어(130)가 우측으로 통과하는 동안에, 전진 치형부(156)가 구동 기어(130)와 맞물리는 한편 다른 치형부(156)가 구동 기어(130)와 맞물리지 않도록 제거되는, 각도형 전진 위치.
또한, 래쳇(154)은 각각 각도형 역전 위치 내에서 그리고 각도형 전진 위치 내에서 래쳇(154)의 록킹을 제한하기 위해서 록킹 축선 "C"에 대해서 역전 치형부(156) 및 전진 치형부(158)와 반대로 각각 정렬되는 각도형 역전 접합 핑거(160) 및 각도형 전진 접합 핑거(162)를 포함한다.
접합 핑거(160, 162)가 서로에 대해서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 핑거(160, 162)가 슬라이드(132)의 커버(76)의 컷 아웃인 관련 윈도우(164, 166) 내에 수용된다. 각 윈도우(164, 166)는 수직 엣지(168, 170)를 포함하고, 관련 극단 각도형 위치들 중 하나에서 상기 수직 엣지에 대해서 관련 접합 핑거(160, 162)가 접촉하여 래쳇(154)의 록킹을 중단시키며, 그리고 각 윈도우(164, 166)가 충분히 길어서 관련 접합 핑거(160, 162)의 다른 회전 방향을 따른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역전 접합 핑거(160)가 후방 단부 엣지(170)를 포함하는 상부 윈도우(164) 내에 수용된다. 후방 단부 엣지(170)는 극단 각도형 역전 위치에서 래쳇(154)의 반시계방향(도 10 기준) 록킹을 정지시킨다.
전진 접합 핑거(162)는 전방 단부 엣지(168)를 포함하는 하부 윈도우(166) 내에 수용되며, 그러한 전방 단부 엣지는 극단 각도형 전진 위치에서 래쳇(154)의 시계방향 록킹을 정지시킨다.
도 14 내지 도 20에서, 후미에 "a"를 부여한 일련의 도면들은 빗금으로 도시된 역전 접합 핑거(160)의 위치를 도시하며, 후미에 "b"를 부여한 일련의 도면들은 전진 접합 핑거(162)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32)는 또한 2개의 극단 각도형 위치에서 래쳇(154)의 안정한 피봇팅을 강제하기 위한 탄성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탄성 수단은 슬라이드(132)의 2개의 날개부(148)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가용성을 가지는 수직 블레이드(172)에 의해서 형성된다. 블레이드(172)의 말단부(174)는 2개의 저어널에 의해서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한편, 다른 근접 단부(176)는 래쳇(154)의 리세스(178) 내에 결합된다. 스프링 블레이드(172)의 피봇 축선 그리고 래쳇(154)의 록킹 축선 "C"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그에 따라, 래쳇(154)은 전기 록커 스위치와 같은 2개의 안정 극단 각도형 위치들 사이에서 록킹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쳇(154)의 각각의 각도형 접합 핑거(160, 162)의 길이는, 접합 핑거(160, 162)들 중 하나가 관련 윈도우(164, 166)의 엣지(168, 170)에 대해서 접할 때, 상기 접합 핑거(160, 162)가 슬라이드(132)의 윈도우(164, 166)를 통해서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규정된다.
그에 따라, 래쳇(154)이 각도형 역전 위치에 있을 때, 각도형 역전 접합 핑거(160)가 케이싱(72)의 관련 상부 트랙(136C)에 결합되는 한편 다른 전진 접합 핑거(162)는 하부 트랙(136A)으로부터 해제된다.
왕복적으로, 래쳇(154)이 각도형 전진 위치에 있을 때, 각도형 전진 접합 핑거(162)가 케이싱(72)의 관련된 하부 트랙(136A)에 결합되는 한편, 다른 역전 접합 핑거(160)가 상부 트랙(136C)으로부터 해제된다.
래쳇(154)이 활성화로 지칭되는 극단 각도형 위치들 중 하나 내에서 록킹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드(132)의 슬라이딩 동안에, 각각의 각도형 접합 핑거(160, 162)가 트랙(136A, 136C)의 관련 활성화 쇼울더(140, 144)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래쳇(154)이 활성 각도형 역전 위치를 향해서 전방 활성화 쇼울더(144)에 대한 접합에 의해서 제어될 때,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쳇(154)은 구동 기어(130)의 전방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슬라이드(132)가 해당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역전 경로 "R1"를 따라서 후방부를 향해 배향된 제 1 활성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역전 접합 핑거(160)에 의해서 역전 치형부(15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구동 샤프트(126)를 회전 구동하여, 힌지(98)의 위치가 후방부를 향해서 하나의 스텝만큼 역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 경로 "R1"는 시작 지점 "RD1" 을 포함하고, 그것은 시작 지점으로부터 구동 기어(130)의 뒤쪽에 정렬되는 도착 지점까지 후방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여기에서 시작 지점 "RD1"은 조정 행정 "C2"의 전방 단부에 정렬된다.
래쳇(154)이 활성 각도형 진행 위치를 향한 후방 활성화 쇼울더(140)에 대한 접합에 의해서 제어될 때,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쳇(154)이 구동 기어(130)를 지나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슬라이드(132)가 이러한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진행 경로 "R2"를 따라서 전방부를 향해 배향된 제 2 활성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진행 치형부(158)가 진행 접합 핑거(162)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그것이 구동 샤프트(126)를 회전 구동하며, 그에 따라 그것은 힌지(98)의 위치가 후방부를 향해서 하나의 스텝 만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 경로 "R2"는 시작 지점 "RD2" 을 포함하고, 그것은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구동 기어(130)의 앞쪽에 정렬되는 도착 지점까지 전방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여기에서 시작 지점 "RD2"은 조정 행정 "C2"의 후방 단부에 정렬된다.
래쳇(154)이 구동 기어(130)의 뒤쪽에 정렬됨으로써 각도형 역적 위치를 점유할 때 또는 구동 기어(130)의 전방에 정렬됨으로써 각도형 진행 위치를 점유할 때, "수동형(passive)"이라고 지칭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사실상, 활성 방향에 반대되는 "수동형"으로 지칭되는 방향을 따른, 역전 "R1" 또는 진행 "R2" 경로에 대한 슬라이드(132)의 슬라이딩은 활성 치형부(156, 158)와 구동 기어(130) 사이의 단순한 접촉에 의한 구동 샤프트(126)의 회전이 없이 제 2 각도형 위치에서 래쳇(154)의 록킹을 구동하며, 이는 이러한 방향에서 래쳇(154)의 회전이 접합 핑거(160, 162)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푸시 로드(8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신호 및 클러치 시스템(44)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신호가 비교를 위해서 전자 처리 유닛으로 전송되는 경로를 가지는 클러치 시스템(44)의 기준 위치와 푸시 로드(84)의 클러치 행정의 기준 위치 사이의 오프셋을 탐지하기 위한 이전 스텝 "E0" 가 존재한다.
간극 조정 장치(118)는 전자 제어 유닛이 이하의 사이에서 오프셋을 탐지할 때 특히 실행되며:
- 푸시 로드(84)의 위치의 함수로서 마찰 디스크(54)와 관련하여 압력 플레이트(52)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점유되어야 하는 위치;
-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52)의 후방 위치.
예를 들어, 클러치 시스템(44)의 바이팅 위치에 대해서 탐지가 실시된다. 이러한 바이팅 위치는 사실상 압력 플레이트(52)의 극단 클러치 위치와 동일한 마모 거리 "d1"로부터 사실상 오프셋된다.
바이팅 위치는 엔진 샤프트(46)와 피동 샤프트(48) 각각에 정렬된 센서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탐지될 수 있으며, 이는 피동 샤프트(48)로 전달되는 토르크를 탐지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클러치 시스템(44)의 압력 플레이트(52)의 후방 극단 클러치 위치와 이론적인 극단 클러치 위치 사이의 오프셋 "d1"의 존재를 경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러한 오프셋이 소정 한계값을 초과할 때, 예를 들어 조정 장치(118)의 스텝 "P"에 대응하여, 조정 장치(118)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어서, 이전 스텝 "E0" 중에 탐지된 오프셋 "d1"이 소정 값을 초과할 때 그리고 작동 접합부(68)가 극한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기(70) 제어 페이즈가 트리거링되며, 그 경로 중에 작동기(70)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제어되고 그에 따라 탐지된 오프셋 "d1"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힌지(98)를 변위시킬 수 있다.
조정 장치(118)의 제 1 실행 페이즈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규정된 수의 스텝 "P"에 의해서 힌지(98)를 역전시키기 위해서 장치(118)를 제어한다.
작동 접합부(68)의 클러치 시스템(44)이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링되는 제 1 역전 스텝 "E11" 동안에, 작동기(70)가 제어되어 캐리지(80) 및 그에 따른 슬라이드(132)가 조정 행정 "C2"에 대해서 역전될 수 있게 만든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래쳇(154)이 바람직하게 각도형 역전 위치를 점유하는데, 이는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힌지(98)를 역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량이 사용되는 동안에 사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마모의 보상은 신속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반면에 진행은 새로운 마찰 디스크에 의해서 마찰 디스크(54)의 교체 동안에만 다시 말해서 차량이 유지보수되는 동안에만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역전 조정 만큼 신속하게 진행 조정을 만들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래쳇(154)은 활성 역전 위치에 있게 된다.
도 15a, 15b 그리고 도 16a, 1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8)가 스텝 "P"에 의해서 역전되게 하는 스텝 "P"에 의한 구동 샤프트(126)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어(130)와 래쳇(154)의 역전 치형부(156)가 맞물리는 제 1 역전 경로 "R1"를 따라서 슬라이드(132)가 이동한다.
이어서, 래쳇(154)이 수동 역전 위치에 있게 된다.
이어서, 제 2 역전 개시 스텝 "E12" 동안에, 슬라이드(132)가 전방부를 향해서 슬라이딩하고, 그리고 래쳇(154)의 역전 치형부(156)가 구동 기어(130)의 치형부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17a,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형 역전 접합 핑거(160)는 제 2 각도형 위치를 향한 래쳇(154)의 록킹을 방지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구동 기어(130)를 회전 구동함이 없이 역전 치형부(156)가 제거된다.
이어서, 슬라이드(132)가 중립 경로에 있게 되며, 그러한 중립 위치에서는 구동 샤프트(126)에 작용하지 않는데, 구동 기어(130)의 우측으로 통과할 때 록킹하는 수동 각도형 위치를 래쳇(154)이 여전히 점유하기 때문이다.
만약,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추가적인 스텝 "P"에 의해서 힌지(98)를 역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진행 접합 핑거(162)가 전방 활성화 쇼울더(144)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슬라이드(132)가 전방부를 향해서 변위된다. 진행 접합 핑거(162)와 전방 활성화 쇼울더(144) 사이의 접촉은 도 14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성화 역전 위치에서 래쳇(154)이 록킹하게 만든다. 슬라이드(132)의 이러한 길이방향 위치는 역전 경로 "R1"의 시작 지점 "RD1"에 대응한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역전 스텝 "E11"가 반복된다. 구동 샤프트(126)가 선회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 추가적인 스텝 "P"에 의해서 힌지(98)가 역전되게 만들기 위해서, 슬라이드(132)가 슬라이딩에 의해서 후방부를 향해서 제어된다.
압력 플레이트(52)의 후방 극단 클러치 위치가 이론적인 극단 클러치 위치에 상승하게 만드는데 필요한 횟수 만큼, 이들 2개의 역전 "E11" 및 역전 개시 "E12" 스텝들이 반복된다.
조정이 마감되었을 때, 제 3 복귀 스텝 "E13"가 트리거링되고, 그 경로 중에 캐리지(80)가 제어 행정 "C1"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휴지 위치를 향해서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 동안에, 진행 접합 핑거(162)와 전방 활성화 쇼울더(144) 사이의 접촉은, 도 41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쳇(154)이 활성화 각도형 역전 위치에서 록킹하게 만들며, 여기에서 슬라이드(132)가 클러치 행정 "C1"을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 그것이 유지될 것이다.
슬라이드(132)가 클러치 행정을 따라서 이동할 때, 역전 접합 핑거(160)가 케이싱(72)의 상부 트랙(136C)에 결합된다.
또한, 예를 들어, 마모된 마찰 디스크가 새로운 마찰 디스크로 교체되어 보다 두꺼운 브레이크 라이닝을 제공하였을 때, 스텝 "P"의 결정된 수에 의해서 힌지(98)를 진행시킴으로써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전자 제어 유닛이 제 2 진행 조정 페이즈를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역전 프로세스에서 이미 설명된 스텝 "E11"과 동일한 제 1 역전 스텝 "E21"이 트리거링된다. 이어서, 힌지(98)가 하나의 스텝에 의해서 역전되고 그리고 래쳇(154)이 중립 경로 상의 수동 역전 위치에 있게 된다.
힌지(98)가 하나의 스텝에 의해서 전진하고 그에 따라 초기 조정-전 위치로 복귀하게 만들기 위해서, 제 2 전진 개시 스텝 "E22"이 트리거링된다. 이러한 제 2 스텝 "E22"의 경로에서, 역전 접합 핑거(160)가 후방 활성화 쇼울더(140)와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132)가 역전된다. 이러한 것이 도 17a, 17b를 뺀 도 16a, 16b 그리고 18a, 18b에서 연속적인 진행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래쳇(154)은 활성화 각도형 전진 위치에서 록킹된다. 이러한 슬라이드(132)의 길이방향 위치는 전진 경로 "R2"의 시작 지점 "RD2"에 대응한다.
이어서, 제 3 전진 스텝 "E23"이 트리거링되고 이러한 경로에서 슬라이드(132)는 도 19a, 19b 이어서 도 20a,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P"에 의해서 전진 치형부(158)가 구동 기어(130)와 맞물리고 그에 따라 구동 샤프트(126)가 피봇하게 만들고 그리고 힌지(98)가 전진하게 만들 때까지 전진한다.
이어서, 래쳇(154)이 스스로 중립 경로를 다시 차지하게 된다.
압력 플레이트(52)의 이론적 위치와 실제 위치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적절한 수의 스텝 "P"에 의해서 힌지(98)가 진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진 개시 "E22" 및 전진 "E23" 스텝들이 후속하여 반복된다.
전진 조정 프로세스의 단부에서, 역전 조정 프로세스의 마지막 스텝 "E13"과 동일한 마지막 복귀 스텝 "E24" 동안에 휴지 위치를 향해서 슬라이드(132)가 제어된다. 이어서, 래쳇(154)이 도 14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각도형 역전 위치가 된다.
그에 따라, 그러한 장치(118)는 라이닝의 마모를 조정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클러치의 장착 및 제조 간극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사실상, 조정 장치(118)의 교정은 자동차에 장착하기에 앞서서 결정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84)의 제어 행정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도 21 내지 도 24는 푸시 로드(84)의 운동을 힌지(98)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84)는 제어 행정 "C1" 및 조정 행정 "C2"을 따라서 변위될 수 있다.
레버(96)의 힌지(98)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에 따라,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에 의해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힌지(98)가 구동된다.
그러나, 치형부 휘일(120)은 무한 스크류와 연관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조정 장치(118)는 보상 슬로프(112)의 전방에서 캐리지(80)의 헤드(114)의 하부 페이스에 의해서 지지되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캠 경로(180, 182)를 포함한다.
도 2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역전 캠 트랙(180)은 진행 캠 트랙(182)의 후방 단부와 관련하여 전방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보스(184)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진행 캠 트랙(182)은 진행 캠 트랙(182)의 후방 단부에 정렬된 보스(186)를 포함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장치(118)는 또한 2개의 캠 트랙(180, 182) 사이를 통과하는 수직 길이방향 평면과 관련하여 대칭적으로 동일한 2개의 캠 종동부(188, 190)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단일 캠 종동부(180)를 이하에서 설명하며, 그에 관한 설명은 유추할 때(by analogy) 다른 캠 종동부(182)에 적용할 수 있다.
캠 종동부(188)는 캠 트랙(180)을 따르기 위해서 하단부에서 래쳇(192)을 그리고 상단부에서 헤드(194)를 지지하는 수직 바아로 형성된다.
래쳇(192)은 래쳇(192)이 바닥을 향해서 수직으로 기대어질 수 있고 그리고 탄성적으로 복귀되는 각도형 래쳇팅 위치와 래쳇(192)이 치형부 휘일(120)로부터 횡방향으로 멀리 이동된 멀리-이동된 각도형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여기에서, 래쳇(192)은 캠 종동부(188)와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조된다. 래쳇(192)은 탄성적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하단부 섹션에 의해서 특히 형성된다.
탄성적 복귀가 향하는 치형부 휘일(120)로부터의 거리에서 그리고 위쪽에 래쳇(192)이 정렬되는 상부 위치, 그리고 래쳇(192)의 하단부가 치형부 휘일(120) 내에 래쳇되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작동기(70)와 관련하여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캠 종동부(188)가 장착된다.
캠 종동부(188)의 수직 슬라이딩이 카트릿지(80)의 길이방향 슬라이딩 중에 관련 캠 트랙(180)의 보스(184)의 통과에 의해서 제어된다. 캠 트랙(180, 182) 및 보스(184, 186)는 푸시 로드(84)가 조정 행정 "C2" 상에서 제어될 때 캠 종동부(188)가 캠 트랙(180, 182)을 따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그에 따라, 하부 위치를 향한 캠 종동부(188, 190)의 수직 슬라이딩 동안에, 각도형 래쳇팅 위치에서 래쳇(192)은 치형부 휘일(120)의 상부의 소정 측부 상에서 치형부 휘일(120)과 맞물린다. 캠 종동부(188)의 하부를 향해서 계속적으로 슬라이딩될 때, 래쳇(192)은 치형부 휘일(120)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이는 힌지(98)의 관련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유발한다.
캠 종동부(188, 190)가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 래쳇(192)이 치형부 휘일(120)의 치형부에 의해서 멀리-이동된 각도형 위치를 향해서 멀리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부 위치를 향한 캠 종동부(188)의 탄성 복귀 중에, 래쳇(192)이 치형부 휘일(120)을 회전 구동시키지 않도록 멀리 이동된다.
각 캠 종동부(188, 190)가 단일 관련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 구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캠 종동부(188, 190)가 치형부 휘일(120)의 상부의 양 측부 상에 정렬된다.
이러한 조정 장치(118)의 경우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84)의 2개의 역전 "R1" 및 진행 "R2" 경로가 충접되지 않는데, 이는 2개의 보스(184, 186)의 길이방향 오프셋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푸시 로드(84)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관련 캠 종동부(188)에 가장 근접한 보스(184)를 포함하는 캠 트랙(180)이 역전 캠 종동부(188)와 연관되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힌지(98)의 신속한 역전을 허용한다. 그에 따라, 푸시 로드(84)가 조정 행정 "C2"을 따라서 휴지 위치로부터 변위될 때 제 2 진행 캠 종동부(190) 이전에 제 1 역전 캠 종동부(188)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캠 트랙(180, 182)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정 장치(118)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진행 또는 역전 프로세스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라서 제조된 레버(96)의 힌지(98)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조정하기 위한 장치(118)는 바람직하게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조정 장치(118)가 작동기(70)에 의해서 제어된다는 사실은 크기 및 제조 비용을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조정 장치(118)는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간극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또는 제조 간극을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1)

  1.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로서,
    - 힌지(98)에 의해서 횡방향 축선(B)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길이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레버 아암(106, 108)을 포함하는 작동 레버(96)와;
    - 극단 클러치 스트레싱 위치와 극단 휴지 위치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는 클러치 행정(d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클러치(44) 작동 접합부(68)와;
    - 제 2 레버 아암(108)에 의해서 작동 접합부(68)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제 1 레버 아암(106)을 길이방향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길이방향 로드(84)를 포함하는 작동기(70)와;
    - 클러치(44)를 위한 특히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위한 길이방향 간극 조정 장치(118)로서, 작동 접합부(68)를 길이방향으로 오프셋시켜 작동 접합부(68)의 클러치 행정의 거리(d0)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길이방향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96)의 힌지(98)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간극 조정 장치(118)는 길이방향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레버(96)의 힌지의 길이방향 위치에 작용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44)을 위한 제어 기구(66)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118)가 작동기(70)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조정 장치(118)는 상기 푸시 로드(84)의 운동을 힌지(98)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84)가 2개의 비-중첩 행정으로 분할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비-중첩 행정은:
    - 마찰 클러치(44)를 제어하기 위해서 작동 접합부(68)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제 1 제어 행정(C1)으로서, 상기 작동 접합부(68)는 푸시 로드(84)의 휴지 위치에 대응하는 극단 휴지 위치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되는 제 1 제어 행정,
    - 그리고 상기 작동기(70)가 클러치(44)의 상태(state)에 작용하지 않고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 장치(118)를 제어하기 위해서 따르게 되고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84)의 휴지 위치를 넘어서 상기 제 1 행정(C1)을 연장하는 제 2 조정 행정(C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96)의 힌지(98)는 작동기(70)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된 길이방향 스크류(122)에 스크류 체결되는 횡방향 치형부 휘일(120)에 의해서 이송되고, 제 1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은 상기 힌지(98)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 제 2의 반대 방향을 따른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은 힌지(98)가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이:
    - 길이방향으로 푸시 로드(84)까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보스(18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길이방향 캠 트랙(180)과;
    - 제 1 캠 트랙(180)과 연관되고 그리고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에 의해서 생성되는 오프셋(d1)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힌지(98)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관련 캠 종동부(180)의 우측까지 보스(184)가 통과하는 동안 관련 방향으로만 치형부 휘일(120)을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래쳇(192)을 수반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캠 종동부(1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이:
    - 길이방향으로 푸시 로드(84)까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보스(186)를 포함하며, 제 1 캠 트랙(180)과 평행한 제 2 길이방향 캠 트랙(182)과;
    - 제 2 캠 트랙(182)과 연관되고 그리고 제 1 캠 종동부(188)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른 힌지(98)의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관련 캠 종동부(190)의 우측까지 보스(186)가 통과하는 동안 관련 방향으로만 치형부 휘일(120)을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래쳇(192)을 수반하는 제 2 캠 종동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캠 종동부(188, 190)가:
    - 상기 래쳇(192)이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고 그것을 향해서 탄성적으로 복귀되는 휴지 위치; 그리고
    - 상기 힌지(98)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래쳇(192)이 관련 방향으로 스텝에 의해서 치형부 휘일(120)의 회전을 구동하는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푸시 로드(84)가 휴지 위치로부터 조정 행정(C2)을 따라서 변위될 때 제 1 캠 종동부(188)가 제 2 캠 종동부(190)에 앞서서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캠 트랙(180, 18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이:
    - 무한 스크류(124)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형부 휘일(120)의 수직 구동 샤프트(126)로서, 상기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가 구동 기어(130)를 구비하는, 수직 구동 샤프트와;
    - 푸시 로드(84)와 일체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정 치형부(156)를 포함하는 래쳇(154)을 포함하며,
    상기 래쳇(154)은 제 1 안정 각도형 위치와 제 2 각도형 위치 사이에서 푸시 로드(84)에 대해서 록킹(rocking)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1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는 역전 치형부가 샤프트(126)의 기어(130)와 맞물릴 수 있어 상기 샤프트 기어가 조정 행정(C2)을 따라서 제 1 활성화 방향으로 푸시 로드(84)의 슬라이딩 중에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향해서 그것이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각도형 위치에서는 제 1 수동 방향으로 래쳇이 슬라이딩하는 동안에 역전 치형부(156)가 기어 치형부(130)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쳇(154)은 제 2 수동 방향을 따른 래쳇(154)의 슬라이딩 동안에 기어 치형부(130)와의 접촉에 의해서 래쳇(154)의 제 1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 후퇴되는 제 2 전진 치형부(158)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진 치형부(158)는 샤프트(126)의 기어(130)와 맞물려서 상기 래쳇(154)이 제 2 각도형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래쳇(154)이 제 2 활성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샤프트 기어가 회전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 상기 래쳇(154)은 제 2 각도형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며, 그리고 상기 래쳇(154)은 조정 행정(C2)의 다른 단부의 방향으로 활성 방향을 따라 래쳇(154)이 슬라이딩함으로써 구동 샤프트(126)의 회전 구동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정 행정(C2)의 각 단부에서 접합부에 의해서 하나 또는 다른 안정 각도형 위치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오프셋(d1)의 감소를 위한 힌지(98)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래쳇(154)의 활성 슬라이딩 방향은 휴지 위치의 방향으로 제어 행정(C1) 상에서의 푸시 로드(84)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마찰 클러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 푸시 로드(84)의 기준 위치와 클러치 시스템(44)의 기준 위치 사이의 오프셋을 탐지하기 위한 사전 스텝(E0)으로서, 그러한 사전 스텝의 경로 중에 푸시 로드(8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클러치 시스템(44)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신호가 비교를 위한 전자 처리 유닛으로 전송되는, 사전 스텝과;
    - 제 1 스텝 중에 탐지된 오프셋(d1)이 결정 값(P)을 초과할 때 그리고 작동 접합부(68)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링되는 작동기 제어 페이즈(70)로서, 그러한 페이즈 경로 중에 작동기(70)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제어되어 탐지된 오프셋(d1)을 줄이도록 힌지(98)를 변위시킬 수 있는, 작동기 제어 페이즈(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
KR1020117018776A 2009-02-12 2010-02-03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 KR101693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0902A FR2942012B1 (fr) 2009-02-12 2009-02-12 Mecanisme de commande pour un systeme d'embrayage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FR0950902 2009-02-12
PCT/FR2010/050170 WO2010092278A1 (fr) 2009-02-12 2010-02-03 Mecanisme de commande pour un systeme d'embrayage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654A true KR20110127654A (ko) 2011-11-25
KR101693904B1 KR101693904B1 (ko) 2017-01-06

Family

ID=4101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76A KR101693904B1 (ko) 2009-02-12 2010-02-03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6564B1 (ko)
KR (1) KR101693904B1 (ko)
CN (1) CN102317639B (ko)
FR (1) FR2942012B1 (ko)
WO (1) WO20100922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1457B2 (en) 2013-07-23 2015-09-01 Hyundai Motor Company Wear compensator of clutch actuator
WO2022225362A1 (ko) * 2021-04-23 2022-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 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2103B4 (de) * 2011-05-20 2014-08-07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Aktuatoranordnung für eine Kupplungsanordnung
CN104024673B (zh) * 2011-07-07 2016-08-1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杠杆系统
CN103573855B (zh) * 2013-11-19 2016-09-1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机电式自动变速器离合器的执行机构
DE102015212531A1 (de) * 2015-07-03 2017-01-05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heit,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etätigungseinhe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738A1 (fr) * 1989-09-29 1991-04-03 Valeo Timonerie de transmission de forces pour vehicules automobiles
KR19990067662A (ko) * 1996-09-17 1999-08-25 도레뮈스 올리비에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WO2010150387A1 (ja) * 2009-06-25 2010-12-29 株式会社Tbk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間隙調整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400A (en) * 1984-02-13 1987-06-09 Valeo Wear take-up assembly for the actuating arrangement of a coupling device such as a clutch
FR2559562B1 (fr) * 1984-02-13 1986-07-18 Valeo Rattrapeur d'usure pour la commande d'un dispositif d'accouplement tel qu'embrayage
FR2723994A1 (fr) * 1994-08-30 1996-03-01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US6325193B1 (en) * 2000-04-19 2001-12-04 Eaton Corporation Friction clutch with an adjustment limiting device
ATE423918T1 (de) * 2005-03-17 2009-03-1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usrück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eines kraftfahrzeuges
FR2901587B1 (fr) 2006-05-29 2009-01-16 Valeo Embrayages Actionneur a rattrapage de course, en particulier pour 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738A1 (fr) * 1989-09-29 1991-04-03 Valeo Timonerie de transmission de forces pour vehicules automobiles
KR19990067662A (ko) * 1996-09-17 1999-08-25 도레뮈스 올리비에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WO2010150387A1 (ja) * 2009-06-25 2010-12-29 株式会社Tbk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間隙調整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1457B2 (en) 2013-07-23 2015-09-01 Hyundai Motor Company Wear compensator of clutch actuator
WO2022225362A1 (ko) * 2021-04-23 2022-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2278A1 (fr) 2010-08-19
CN102317639A (zh) 2012-01-11
EP2396564B1 (fr) 2013-06-05
FR2942012B1 (fr) 2012-10-26
FR2942012A1 (fr) 2010-08-13
EP2396564A1 (fr) 2011-12-21
CN102317639B (zh) 2014-07-23
KR101693904B1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7654A (ko) 간극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 시스템용 제어 기구
CN108699926B (zh) 致动装置
CA2307644C (en) Switch box for railway, tramway points, or similar, particularly of the so called english type
JP5887199B2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1417665B1 (ko)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마모보상장치
WO2006120115A1 (en) End-of-travel device for actuating systems of roller blinds or sun shades
US942206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n engine and for controlling a thrust reverser device
KR20180069941A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MX2007000623A (es) Accionador con compensacion de esfuerzo, en particular para un embrague de vehiculo automotriz.
US7201079B2 (en) Rotary actuator for an adjuster of a vehicle seat
JP2006322490A (ja)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200479639Y1 (ko) 자동 변속기용 변속레버 장치
CN211969570U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US8585545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actuated clutch for determining the closing position
EP1403545B1 (en) Clutch actuator
KR102623945B1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장치
JP4675739B2 (ja) 移動体の駆動装置
EP2574828A1 (en) Shifter assembly for providing mechanical and electronic actuation to a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hifter assembly
CN219673262U (zh) 用于选定换挡槽和切换挡级的设备和变速器
CN112874623A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US10372152B2 (en) Device with asymmetric feedback
KR101861017B1 (ko) 클러치용 액추에이터의 마모보상장치
CN112984000A (zh) 离合器致动器和用于控制离合器致动器的方法
EP2133600B1 (en) Operating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apparatus
SU1169858A1 (ru) Механизм управлени тормоз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