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529A -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529A
KR20110127529A KR1020100047074A KR20100047074A KR20110127529A KR 20110127529 A KR20110127529 A KR 20110127529A KR 1020100047074 A KR1020100047074 A KR 1020100047074A KR 20100047074 A KR20100047074 A KR 20100047074A KR 20110127529 A KR20110127529 A KR 2011012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ublic
bicycles
complex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김정경
김정환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주)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 filed Critical (주)엔코
Priority to KR102010004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7529A/ko
Publication of KR2011012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단지 내에 비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주민 전용 또는 자전거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태그(RFID)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단지 내에 배치되며 전자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출입인식용 태그인식단말기가 구비된 보관소와; 상기 보관소에 보관되는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소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공용자전거에 대한 인식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데이터로 기록되는 중앙서버와; 단지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에 적재적소에 설치되는 도로단말기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전자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인식을 위해 설치되는 공공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PRIVATE OR PUBLIC BICYCLE APPLICATION SYSTEM FOR INHABITANTS}
본 발명은 아파트를 비롯한 주거지역 단지 내 주민들의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제품인 자전거의 활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매연저감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비롯한 다수의 부대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비롯한 주거지역의 단지 내 주부들은 낮 시간대에 단지 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고 혼자 근거리에 위치한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쇼핑하거나 또는 시장을 보는 경우가 많으며, 단지 근처의 도서관 등 자녀를 동반한 근거리 외출을 하게 되고 자녀 등굣길을 안내 및 보조하는 경우의 일을 많이 하게 된다.
하지만, 거주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근거리 외출을 수행하더라도 자가용 등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주거지역인 단지 내 차량운행이 많게 되고 심지어는 차량사고 등이 않게 발생되어 이웃간에 다툼이 초래되기도 한다.
또한, 노약자들은 전복의 위험성 때문에 일반자전거의 이용이 쉽지 않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지팡이 등 보조도구를 이용하거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데 이로 인하여 외출의 제약이 많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단지 내에는 각 세대에서 사용하는 자전거의 활용을 위해 자전거 보관대가 마련되어 있으나, 관리가 잘 되지 않고 대부분의 자전거들이 방치되어 파손되거나 도난의 염려가 많게 되는데, 자전거의 파손이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집 안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거공간이 복잡해지고 자전거의 이용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야 하는 등 번거롭고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거지역 단지 내에 주민의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비치하되 관리 및 통제를 효율화할 수 있도록 하며, 친환경제품인 자전거의 활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개선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내 차량운행을 획기적으로 감소 및 탄소배출 감소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하고, 노약자들의 행동반경에 대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친환경 그린아파트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을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단지 내에 비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태그(RFID)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단지 내에 배치되며 전자태그가 장착된 공용자전거의 출입인식용 태그인식단말기가 구비된 보관소와;
상기 보관소에 보관되는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소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자전거에 대한 인식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데이터로 기록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단지 내에 비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태그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보관소, 게이트웨이 및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관소는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단지 내에 배치되고 센서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출입인식용 태그인식단말기가 구비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단지 내 또는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 적재적소에 설치 및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설치될 수 있고 지그비 또는 무선랜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태그와 정보 교환하여 중앙서버측에 위치정보 및 인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서버는 보관소에 보관되는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관소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공용자전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하고 게이트웨이와 네크워크망을 이용한 TCP/IP의 네트워크 전송방식으로 정보 교환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는 좌우측 핸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앞바퀴 2륜과 뒷바퀴 1륜으로 된 3륜 자전거의 형태로 구성하되, 앞바퀴 2륜 사이의 공간상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을 함께 형성하여 운전자의 앞쪽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이 위치되게 하는 구조로 운전자가 동승하는 어린아이와 적재되는 물품을 동시에 살피면서 운행할 수 있게 하고, 전복방지를 위하여 앞바퀴 2륜을 내측방향으로 살짝 경사지게 배치한 구성을 갖게 하며, 좌우측에 위치되는 앞바퀴 2륜에 각각 핸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동승하는 어린아이 및 적재되는 물품에 간섭없이 운전방향을 핸들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자전거에는 잠금장치를 결합하여 구비하되,
잠금장치는 주민카드의 인식에 의한 잠금 해제를 위한 주민카드인식부와, 강제적 잠금상태 해제시 경보음 발생을 위한 경보부와, 잠금 해제를 수행한 주민카드의 저장 및 해당 자전거의 보관소 출차시 해당 주민의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제품인 자전거 활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 매연저감 등 환경개선효과는 물론 건강증진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사용 및 비치에 따른 관리와 통제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단지 내 차량사고의 절감 등 부대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내 차량운행을 획기적으로 감소 및 탄소배출 감소에 일조할 수 있고, 주부나 노약자들의 행동반경에 대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친환경 그린아파트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활용되는 자전거는 좌우측 핸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앞바퀴 2륜과 뒷바퀴 1륜으로 된 3륜 자전거의 형태로 구성하되 카트와 유모차 및 자전거의 기능이 일체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앞쪽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이 위치되므로 운전자가 동승하는 어린아이와 적재되는 물품을 동시에 살피면서 운행할 수 있고 쉽게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에 위치되는 앞바퀴 2륜에 각각 핸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동승하는 어린아이 및 적재되는 물품에 간섭됨 없이 운전방향을 자유롭게 핸들링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주민들은 자전거를 이용함에 따른 마일리지나 탄소배출권 등의 혜택 부여로 건강증진 및 유류절감 이외의 부가적 이익을 얻게 되고, 단지는 차량사고나 매연 및 소음의 감소효과는 물론 친환경이미지를 얻게 되며, 시스템 구축을 위한 건설사나 연계되는 대형마트 등의 기업은 친환경 개선사업의 가시화와 더불어 매출증대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민카드 접촉과 잠금장치 및 무선인식의 보안기능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자전거 활용에 따른 보안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관리 및 통제를 효율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전거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보관소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특징들을 보다 더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태그(RFID)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110)와,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소(120)와,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통제하기 위한 중앙서버(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전거(110)는 주민이 전용 또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소(120)에 비치할 수 있으며, 자전거(110)에는 해당 단지의 정보 및 자전거 정보가 기록되고 유무선 또는 인공위성기반 위치추적이 가능한 전자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자전거(110)가 공용이 아닌 주민 전용의 것인 경우에는 해당 주민의 정보가 더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전거(110)는 언제나 주민이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여성이나 주부 또는 노약자 등이 쉽게 탈수 있어야 하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주부들을 고려하여 어린아이 1명과 함께 동승할 수 있으면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원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전거(110)는 도 3 및 도 4의 일 예시에서와 같이, 좌우측 핸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앞바퀴 2륜과 뒷바퀴 1륜으로 된 3륜 자전거의 형태로 구성하되, 앞바퀴 2륜 사이의 공간상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을 함께 형성하여 운전자의 앞쪽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이 위치되게 구조화함으로써 운전자가 동승하는 어린아이와 적재되는 물품을 동시에 살피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전복방지를 위하여 앞바퀴 2륜을 내측방향으로 살짝 경사지게 배치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좌우측에 위치되는 앞바퀴 2륜에 각각 핸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동승하는 어린아이 및 적재되는 물품에 간섭없이 운전자가 운전방향을 자유롭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자전거 초보 운전자 또는 노약자의 운전을 가능하게 함).
이때, 어린아이가 탑승하게 되는 공간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전벨트를 장착하여 더욱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자전거(110)는 가능한 카트와 유모차 및 자전거의 기능이 결합된 구성으로 하되 중저속의 3단 변속기어를 장착함으로써 운행속도가 빠르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110)에는 보관소(120) 등에 비치시 자전거를 잠금 체결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160)가 결합되게 하되, 잠금장치(160) 내에 주민카드인식부(161)를 내장시켜 주민이 주민카드를 가지고 잠금장치(160)를 해제 및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하는데, 보관소(120)에 비치시 자동으로 잠금장치의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잠금장치(160)에는 경보부(162)를 구비하여 절단이나 파손 등 강제로 록킹상태 해제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하며, 메모리부(163)를 구비하여 록킹 해제를 수행한 주민카드의 정보를 저장하게 하고 자전거(110)가 보관소(120)를 출차시 잠금장치(160)에서 중앙서버(130)로 해당 주민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보관소(120)는 단지 내에 배치되어 전용 또는 공용으로 운용되는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장소이면서 전자태그가 장착된 자전거가 출입되는 게이트에 태그인식단말기(121)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보관소(120)에는 주민카드 또는 비밀번호로 주민의 보관소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출입통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며, 보관소(120)는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예시의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중앙서버(130)는 단지 내 관리사무소에 배치되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120)의 관리 및 통제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관소(120)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110)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자전거에 대한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게 되며 이를 데이터로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지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에 운용되고 있는 자전거(110)의 인식(위치추적)을 위한 도로단말기(140)를 적재적소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단지 외부에서 운용되고 있는 해당 자전거의 위치를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중앙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전거의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자전거(110)의 인식을 위한 공공단말기(150)를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자전거(110)를 이용하는 해당 주민 또는 단지에 마일리지나 탄소배출권 등을 부여하는 등 탄소배출량 저감 동참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여 친환경장치인 자전거의 사용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로단말기(140)는 그 인식정보를 중앙서버를 비롯한 도로단말기 설치주변에 위치된 공공서버로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하며, 공공단말기(150)는 그 인식정보를 공공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게 하여 그 인식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지에 마일리지나 탄소배출권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일 예로, 주민이 자전거(110)를 가지고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태그에 의한 인식정보를 가지고 해당 단지에서 공공시설 입차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탄소배출 감소량을 측정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마일리지나 탄소배출권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단지 내에는 엘리베이터나 주차장 등지에도 태그인식단말기(101)를 설치함으로써 자전거(110)가 움직이는 어느 곳에서나 그 움직임에 따른 인식정보를 중앙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태그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210), 보관소(220), 게이트웨이(230) 및 중앙서버(2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자전거(210)는 그 제원이 일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자전거(110)의 제원 및 잠금장치(160)가 결합되는 시스템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며, 자전거에는 주민카드인식부(251)와 경보부(252) 및 메모리부(253)를 갖는 잠금장치(25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자전거(210)에 장착된 센서태그는 GPS기반 위치정보 및 해당 인식정보가 내장되는 것으로서,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랜(WLAN)의 무선통신방식으로 게이트웨이(230)측과 정보 교환 및 게이트웨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관소(220) 또한 일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며, 자전거의 출입이 체크되는 태그인식단말기(221)가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주민의 보관소 출입통제를 위한 출입통제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게이트웨이(230)는 자전거(210)에 장착된 센서태그와 중앙서버(240)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매개체로서 기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망(미 도시됨)을 통해 중앙서버(240)측에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게이트웨이(230)와 중앙서버(240)간에는 무선인터넷 등의 네크워크망을 이용한 TCP/IP의 네트워크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정보교환 및 데이터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30)는 자전거(210)에 장착된 센서태그와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랜(WLAN)의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게 되며, 센서태그와의 정보교환을 통해 자전거(210)의 위치정보 및 인식정보를 중앙서버(240) 또는 공공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웨이(230)는 단지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 적재적소에 설치할 수 있고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설치할 수 있는 등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도로단말기(140)와 공공단말기(150)의 설치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것이다.
또한, 게이트웨이(230)는 단지 내에는 엘리베이터나 주차장 등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240)는 단지 내 관리사무소에 배치되어 자전거의 관리와 통제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관소(220)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210)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자전거에 대한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게 되며 데이터로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110 : 자전거 120 : 보관소
121 : 태그인식단말기 122 : 출입통제부
130 : 중앙서버 140 : 도로단말기
150 : 공공단말기 160 : 잠금장치
161 : 주민카드인식부 162 : 경보부
163 : 메모리부 210 : 자전거
220 : 보관소 221 : 태그인식단말기
222 : 출입통제부 230 : 게이트웨이
240 : 중앙서버 250 : 잠금장치

Claims (7)

  1.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단지 내에 비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태그(RFID)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단지 내에 배치되며 전자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출입인식용 태그인식단말기가 구비된 보관소와;
    상기 보관소에 보관되는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소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자전거에 대한 인식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데이터로 기록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지 내 및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에 자전거의 인식을 위한 태그인식단말기 및 도로단말기를 설치하여 단지 내 또는 단지 외부에서 운용되고 있는 자전거의 위치추적 및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상기 전자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인식을 위한 공공단말기를 더 설치하고, 자전거의 출입이 인식되는 경우 자전거를 이용하는 해당 주민 또는 단지에 마일리지의 혜택을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에는 탄소배출권의 혜택을 부여하여 친환경 자전거의 사용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4.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를 단지 내에 비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태그가 장착된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보관소, 게이트웨이 및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관소는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단지 내에 배치되고 센서태그가 장착된 자전거의 출입인식용 태그인식단말기가 구비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단지 내 또는 주변의 일정거리 영역 내 적재적소에 설치 및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공공시설에 설치될 수 있고 지그비 또는 무선랜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태그와 정보 교환하여 중앙서버측에 위치정보 및 인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서버는 보관소에 보관되는 자전거를 중앙에서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관소를 출입하게 되는 주민과 자전거의 출입 체크시 해당 주민과 해당 자전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하고 게이트웨이와 네크워크망을 이용한 TCP/IP의 네트워크 전송방식으로 정보 교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는 좌우측 핸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앞바퀴 2륜과 뒷바퀴 1륜으로 된 3륜 자전거의 형태로 구성하되,
    앞바퀴 2륜 사이의 공간상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을 함께 형성하여 운전자의 앞쪽에 어린아이와 물품 적재공간이 위치되게 하는 구조로 운전자가 동승하는 어린아이와 적재되는 물품을 동시에 살피면서 운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에 위치되는 앞바퀴 2륜에 각각 핸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동승하는 어린아이 및 적재되는 물품에 간섭없이 운전방향을 핸들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에는 잠금장치를 결합하여 구비하되,
    잠금장치는 주민카드의 인식에 의한 잠금 해제를 위한 주민카드인식부와, 강제적 잠금상태 해제시 경보음 발생을 위한 경보부와, 잠금 해제를 수행한 주민카드의 저장 및 해당 자전거의 보관소 출차시 해당 주민의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KR1020100047074A 2010-05-19 2010-05-19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KR20110127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74A KR20110127529A (ko) 2010-05-19 2010-05-19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74A KR20110127529A (ko) 2010-05-19 2010-05-19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29A true KR20110127529A (ko) 2011-11-25

Family

ID=4539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074A KR20110127529A (ko) 2010-05-19 2010-05-19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7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934A (ko) * 2015-01-07 2016-07-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562304A (zh) * 2018-01-09 2018-09-21 成都黑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各种环境的自行车行驶距离检测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934A (ko) * 2015-01-07 2016-07-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562304A (zh) * 2018-01-09 2018-09-21 成都黑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各种环境的自行车行驶距离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6970A1 (en) Early boarding of passengers in autonomous vehicles
CN106600381A (zh) 交通工具共享出租系统及其应用
CN203192236U (zh) 一种二维码停车位预订管理装置
US20200151979A1 (en) Mobile accessory storage, security management, and tracking system
JP7012737B2 (ja) ロック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316404A (zh) 基于zigbee的共享自行车管理方法和系统
CN103796910A (zh) 轻便式可折叠电动马达三轮车
CN104853965A (zh) 用于通过服务供应商选择性地打开车辆的系统
CN107180488A (zh) 共享童车运营系统
KR20110127529A (ko) 단지 내 주민 전용 또는 공용 자전거 활용시스템
CN110073420B (zh) 用于开锁的系统和方法
CN107082095A (zh) 巡防租车机器人
CN201124874Y (zh) 一种二轮车防盗停放管理系统
CN206485480U (zh) 公共自行包
CN108009659A (zh) 一种便捷化智慧停车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048108B1 (ko) 자전거 주차장치
US20210346556A1 (en) Internal cleaning for autonomous vehicles
CN107742437A (zh) 基于物联云的社区车辆管控方法
CN204965519U (zh) 一种基于北斗定位技术的景区自行车智能终端及管理系统
CN207106696U (zh) 巡防租车机器人
EP09455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vehicle
JP2021099600A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駐車場管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619763A (zh) 一种立体智能停车场预约式存取车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2160010A (ja) 車両付き駐車場システム及び駐車装置
JP2023095107A (ja) 小型車両トレ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