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075A -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075A
KR20110127075A KR1020110045706A KR20110045706A KR20110127075A KR 20110127075 A KR20110127075 A KR 20110127075A KR 1020110045706 A KR1020110045706 A KR 1020110045706A KR 20110045706 A KR20110045706 A KR 20110045706A KR 20110127075 A KR20110127075 A KR 2011012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holding
concrete
positioning eleme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호이도르퍼
울리히 비른바움
데니스 노포크샤노프
풋치 게오르크 구얀
홀거 바쉐
Original Assignee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2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E04G21/185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for anchoring elements or elements to be incorporated in th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04B9/205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by means of a resilient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콘크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50) 에 포지셔닝 요소 (46, 48) 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어댑터 (10) 는 수용부 (14)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36, 38, 40) 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안으로 홀딩 레일 (50) 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를 이용해 포지셔닝 요소 (46) 는 어댑터 (10) 에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ADAPTER AND HOLDING SYSTEM WITH A ADAPT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안에 매립 (embed) 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holding rail) 에 포지셔닝 요소 (positioning element) 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어댑터, 어댑터 및 포지셔닝 요소를 가진 홀딩 시스템, 및 콘크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부분들, 예컨대 건물 정면 요소들 또는 천장 상부 구조를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해 홀딩 레일이 사용되며, 상기 홀딩 레일은 부분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안으로 투입되어 있다. 상기 홀딩 레일은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에 콘크리트를 치는 과정 전에,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의 형틀에 또는 상기 형틀 안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홀딩 레일은 액상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상기 홀딩 레일, 또는 상기 홀딩 레일에서 뒤쪽에 제공되어 있는 앵커 요소들 (anchor elements) 과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간에는 형상 끼워맞춤식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에 의해 상기 홀딩 레일과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사이의 좋은 부하전달이 가능하다. 콘크리트를 치는 동안 상기 홀딩 레일은 원하는 위치에 안전하게 유지되어 있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추후에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폐쇄형 형틀에 있어서, 예컨대 벽 형틀에 있어서, 상기 홀딩 레일은 상기 형틀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레일의 위치 변경은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 동안 저지된다. 예컨대 층 천장을 위한 개방형 형틀에서는 이러한 부착이 가능하지 않다. 상기 홀딩 레일은 구조적 및 정적 (static) 이유들로 인해 앵커 요소들을 통해 보강물 (reinforcement) 상에 지지될 수도 없다. 상기 홀딩 레일을 포지셔닝할 수 있는 가능성은 WO 2008/007054 A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딩 장치 (holding device) 에 있다. 상기 홀딩 장치는 상기 레일의 그루브 (groove) 에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레일을 형틀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홀딩암 (holding arm) 을 이용해 상기 형틀 안에 또는 액상 콘크리트 안에 유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홀딩 장치는 - 특히 전체 층 천장에 분배되어 배치된 다수의 홀딩 장치들을 사용하는 경우 - 연속적인 콘크리트 치기 과정을 방해한다. 이 이외에, 이러한 홀딩암의 도달 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며, 따라서 큰 표면을 가진 층 천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상기 레일은 덮혀질 수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치기 과정 동안 콘크리트가 상기 레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배제할 수 없고, 이는 콘크리트 치기 후 상기 레일의 세척에 비용이 많이 들게끔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치기 과정 전에, 또한 그 동안에 홀딩 레일의 빠른, 개별적인, 그리고 신뢰성 있는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는, 홀딩 레일을 위한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에 포지셔닝 요소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어댑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수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안으로 상기 홀딩 레일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를 이용해 포지셔닝 요소가 어댑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홀딩 레일은, 그것에 여러 가지 포지셔닝 요소들이 고정될 수 있는 어댑터를 통해 사전 결정되어 있는 위치에 유지되며, 그리고 이것과 함께 콘크리트 안으로 투입된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다수의 포지셔닝 요소들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포지셔닝 요소들의 빠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와 관련하여 어댑터의, 그리고 이로써 상기 홀딩 레일의 위치의 빠른, 그리고 개별적인 적응이 가능하다. 즉, 상기 홀딩 레일의 포지셔닝은 레일의 앵커 요소들과는 완전히 상관 없이 상기 포지셔닝 요소들의 선택 또는 적응을 통해서만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홀딩 레일에의 그 밖의 적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여러 가지 통상적인 레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레일과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레일은 콘크리트의 침투를 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치기 과정 동안 덮혀질 수 있고 또는 폼 (foam), 또는 스티로폼 (stryrofoam)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베이스 및 2 개의 레그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U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 레일은 형상 끼워맞춤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레일에는 추가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이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에는 및/또는 상기 하나 또는 두 레그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인 적어도 2 개의 방향에서 포지셔닝 요소를 위한 연결부를 가지며, 이로 인해 서로 수직인 2 개의 방향에서, 예컨대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홀딩 레일을 상기 수용부 안에서 안전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레그에는 고정 요소 (fastening element) 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에는 픽싱 요소 (fixing element) 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픽싱 요소는 수용부를 닫으며, 이로 인해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홀딩 레일을 둘레 방향으로 완전히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홀딩 레일은 콘크리트 치기 과정 전에, 또한 그 동안에 안전하게 상기 수용부 안에 유지되어 있다.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홀딩 레일은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안에 단단히 투입되어 있다. 상기 픽싱 요소는 콘크리트를 친 후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딩 레일은 제한 없이 전체 길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들은 예컨대 아일릿 (eyelet) 들일 수 있고, 상기 픽싱 요소는 케이블 타이 (cable tie) 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타이는 상기 두 아일릿을 통해 뻗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추가적인 공구들 없이 상기 수용부의 간단한 폐쇄가 가능하다. 이 이외에, 콘크리트를 친 후 상기 케이블 타이의 간단한 제거가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고정 요소들은 훅 (hook) 들일 수도 있고, 상기 픽싱 요소는 커버 (cover) 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훅들에 걸려 있다.
상기 커버는 힌지 (hinge) 를 갖고 상기 레그들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는 이탈되지 않게 상기 어댑터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를 안전하게 상기 어댑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는 특히 그루브, 레일, 바요넷 락 (bayonet lock) 또는 나사산 (thread) 형태의 언더컷 (undercut)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부 형태들에서 공통적인 것은, 그것들이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이동, 나사 풀기 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간단하면서도 빠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이외에,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상기 언더컷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장력 및 압력에 저항적으로 상기 어댑터에 유지되어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유형에 따른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연결부에 고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요소를 가진 홀딩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사전에 제작된 여러 가지 다수의 포지셔닝 요소들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홀딩 레일의 원하는 위치에의 특정한 적응이 가능하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예컨대 막대 (rod) 이며, 상기 막대는 스페이서 (spacer) 로서 쓰일 수 있다. 상기 막대는 형틀의 내면에 또는 보강물의 부분에 지지될 수도 있다. 빠른, 개별적인 적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여러 가지 막대 길이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상기 막대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길이 적응은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교환 없이 가능하다.
상기 길이 조절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또는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그 밖의 부품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막대는 조정 가능하게 상기 어댑터에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막대 길이를 갖고 여러 가지 포지셔닝이 가능하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가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해 상기 어댑터가 지지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는 보다 넓은 지지면을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예컨대 상기 보강물의 부분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플라스틱은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부식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따라서 콘크리트의 추후의 손상이 있을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스틱은 공사 현장에서 일반적인 공구들을 갖고 가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상기 포지셔닝 요소의 길이의 간단한 적응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포지셔닝 요소가 부분적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시멘트로 결합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지셔닝 요소가 형틀 부분에 지지되는 경우, 예컨대 노출 콘크리트 (exposed concrete) 에 있어서 눈에 띄는 잘못된 배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이외에, 이렇게 하여 상기 포지셔닝 요소는 주위 콘크리트 (surrounding concrete) 와 동일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이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및 상기 청구 내용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 레일은 상기 어댑터 안에 단단히 수용되어 있고, 그리고 다수의 가용 가능한 (available) 포지셔닝 요소들 중 선택된 포지셔닝 요소가 상기 어댑터에 부착되어 있다.
그 밖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에 나타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투시도;
도 2 는 홀딩 레일, 및 도 1 로부터의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도 3 은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을 위한 형틀 안에서의 도 2 로부터의 홀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포지셔닝 요소의 부품의 상세한 도면;
도 5 는 포지셔닝 요소의 제 2 부품의 상세한 도면;
도 6 은 도 1 로부터의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의 제 2 실시형태;
도 7 은 어댑터의 제 2 실시형태를 가진 형틀 안에서의 홀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8 은 어댑터의 제 3 실시형태;
도 9 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포지셔닝 요소의 실시형태;
도 10 은 홀딩 레일, 도 1 로부터의 어댑터, 및 도 9 로부터의 포지셔닝 요소를 가진 홀딩 시스템이다.
도 1 에는 어댑터 (10) 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수용 공간 (12)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 공간 안에는 홀딩 레일 (50) 이 수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홀딩 레일을 콘크리트를 쳐야 하는 건축물 부분 안에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2 및 도 3 참조). 홀딩 레일 (50) 은 윗면에 배치된 그루브 (52) 를 가진 본질적으로 C 모양의 또는 U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 안에는 건축물 부분의 고정 수단이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홀딩 레일 (50) 의 마주하고 있는 아랫면에는 막대 모양의 앵커 요소 (54) 들이 고정되어 있다. 홀딩 레일 (50) 은, 도 3 에서 볼 수 있듯이,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예컨대 층 천장을 위한 콘크리트 형틀 (80)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콘크리트를 칠 때 상기 콘크리트 안으로 투입될 수 있다. 콘크리트 형틀 (80) 은 위쪽으로 열려 있으며, 측면 형틀 (82) 및 하부 형틀 (84) 을 구비한다. 형틀 (80) 안에는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을 위한 보강물 (86) 이 배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에 콘크리트를 칠 때, 홀딩 레일 (50) 은, 건축물 부분, 예컨대 천장 상부 구조물을 상기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의 바깥면에서의 그루브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안으로 투입된다. 앵커 요소 (54) 들을 통해, 홀딩 레일 (50) 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형상 끼워맞춤으로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안에 유지되어 있다.
어댑터 (10) 는 수용부 (14) 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베이스 (16) 및 마주하고 있는 2 개의 레그 (18, 20) 를 갖고 U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레그 (18, 20) 들의 자유 단부 (24, 26) 들에는 커버 (22) 가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수용 공간 (12) 을 둘레 방향으로 닫을 수 있다. 커버 (22) 는 필름 힌지 (34) 를 통해 제 2 레그 (20) 의 자유 단부 (26) 와 연결되어 있으며, 디텐트 요소 (detent element, 28) 를 갖고, 제 1 레그 (18) 의 자유 단부 (24) 에 디텐트 훅으로서 형성된 고정 요소 (32) 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 공간 (12)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어댑터 (10) 의 바깥면에서, 베이스 (16) 에는, 또한 레그 (18, 20) 들에는 각각 포지셔닝 요소를 위한 연결부 (36, 38, 40) 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부 (36, 38, 40) 들은 각각 제비 꼬리 모양의 횡단면, 및 언더컷된 연결면 (41) 들을 가진 레일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 (12) 을 향해 있는 레그 (18, 20) 들의 내면에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 수용 공간 (12) 쪽으로 향해 있는 스프링 요소 (42, 44) 가 제공되어 있다. 이것들은 홀딩 레일 (50) 의 삽입시 두꺼운 부분 (53) 들 뒤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두꺼운 부분들은 홀딩 레일 (50) 의 바깥면에 제공되어 있다) 홀딩 레일 (50) 을 수용부 (14) 안에 단단히 조일 수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36, 38, 40) 들의 각각에는 포지셔닝 요소 (46) 가 고정될 수 있다. 어댑터 (10) 는 상응하는 포지셔닝 요소 (46) 를 갖고 예컨대 형틀에 또는 보강물의 부분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댑터 (10) 는 그 안에 유지되어 있는 홀딩 레일 (50) 과 함께, 콘크리트를 채워 넣기 전에, 또한 그 동안에 안전하게, 확정되어 있는 위치에 유지된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 베이스 (16) 에는, 또한 레그 (18, 20) 들에는 연결부 (36, 38, 40) 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 (10) 는 상응하는 포지셔닝 요소 (46) 를 통해 수평 뿐만 아니라 수직 위치에서 정렬되어 유지될 수 있다. 수평 방향에서 포지셔닝 요소 (46) 들은 측면 형틀 (82) 에 지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직 방향에서는 보강물 (86) 에 또는 하부 형틀 (84) 에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포지셔닝 요소 (46) 는 베이스 플레이트 (48) 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는 슬리브 (sleeve, 56) 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48) 의 마주하고 있는 표면에는,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언더컷된 2 개의 레일 (55) 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들과 함께 포지셔닝 요소 (46) 는 어댑터 (10) 의 언더컷된 연결면 (41) 들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 (55) 들의 세로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48) 의 가장자리에는 2 개의 디텐트 요소 (57) 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디텐트 요소들은 연결부 (38) 의 가장자리에서 맞물리고, 그리고 포지셔닝 요소 (46) 를 세로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슬리브 (56) 안으로 막대 (60) 가 삽입될 수 있다. 막대 (60) 의 길이는, 막대 (60) 가 형틀 (80) 에 또는 보강물 (86) 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 막대 (60) 들은 예컨대 속이 비어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리세스 (recess, 61) 들을 구비하고 (또한 도 3 참조), 잘못된 배치를 포지셔닝 요소 (46) 들에 의해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들을 통해 콘크리트는 막대 (60) 들의 내부 속으로 흐를 수 있다.
막대 (60) 들은 사전 제작되어 있는 여러 가지 길이로 납품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있어 꼭 맞는 길이를 가진 막대 (60) 가 선택될 수 있다. 하지만, 막대 (60) 가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로 맞춰지거나, 또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홀딩 레일 (50) 에 대해 반대 방향을 향한 막대 (60) 의 단부에는, 포지셔닝 요소 (46) 의 그 밖의 부품들, 예컨대 지지 요소 (62) 또는 받침대 (64) 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부품들은 각각 포지셔닝 요소 (46) 의 지지면을 확대시킨다.
도 4 에는 예컨대 별 모양의 지지 요소 (62) 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요소는 포지셔닝 요소 (46) 를 둥근 부품, 예컨대 상기 보강물의 부분 상에 지지시키기에 적합하다.
도 5 에는 받침대 (64) 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해 형틀 상에서의 지지면이 확대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이 받침대 (64) 는, 상기 받침대가 어댑터 (10) 의 연결부 (36, 38, 40) 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받침대 (64) 는 홀딩 레일 (50) 을 예컨대 상기 보강물 위에 지지시키기 위해 (도 6) 어댑터 (10) 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받침대 (64) 는 막대 (60) 및 그 밖의 받침대 (64) 또는 플랜지 (56) 를 통해 제 2 어댑터 (10) 를 제 1 어댑터 (10) 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콘크리트 치기 과정 동안, 어댑터 (10) 는 콘트리가 충분히 경화될 때까지 홀딩 레일 (50) 을 위치에 유지시킨다. 어댑터 (10) 및 포지셔닝 요소 (46, 48) 들은 경화된 콘크리크 안에 남아 있으며, 하지만 부하 전달 기능을 떠맡지 않는다. 상기 홀딩 레일과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 사이의 부하 전달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부분과 앵커 요소 (54) 들 또는 홀딩 레일 (50) 간의 형상 끼워맞춤을 통해서만 수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홀딩 레일 (50) 의 그루브 (52) 를 전체 길이에 걸쳐 사용할 수 있기 위해 커버 (22) 는 경화 후 제거될 수 있다. 어댑터 (10) 는 홀딩 레일 (50) 또는 그루브 (52) 와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그루브 (52) 가 오염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그루브 (52) 는 콘크리트 치기 과정 동안 덮혀질 수 있다. 그루브 (52) 는 예컨대 발포 (foamed) 재료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재료는 콘크리트 치기 후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어댑터 (10) 또는 포지셔닝 요소 (46) 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이것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어댑터 (10) 및 포지셔닝 요소 (46) 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시멘트로 결합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레일 모양의 연결부 (36, 38, 40) 들 대신 다른 연결 유형들도 가능하다. 특히, 연결부 (36, 38, 40) 는 예컨대 바요넷 락 또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연결부 (36, 38) 들은 예컨대 각각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둘러싸는 언더컷된 연결면 (41) 을 구비한다. 포지셔닝 요소 (46), 또는 상기 포지셔닝 요소 (46) 의 베이스 플레이트 (48) 는 별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텐트 요소 (65) 들을 구비하며, 상기 디텐트 요소들은 연결면 (41) 에서 맞물릴 수 있다.
접이식 커버 (22) 를 가진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 대신 두 레그 (18, 20) 에 디텐트 훅이 제공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디텐트 훅에 커버 (22) 가 맞물릴 수 있다. 수용부 (14) 를 닫기 위해, 상기 커버 대신 다른 적합한 픽싱 요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커버 (22) 대신 예컨대 케이블 타이 (75) 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타이는 각각 자유 단부 (24, 26) 들에 제공되어 있는 아일릿 (66, 68) 에 고정되어 있다 (도 8).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포지셔닝 요소 (46) 의 그 밖의 실시형태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막대 (60) 는 위쪽으로 탄력 있는 레그 (72) 및 아래쪽으로 탄력 있는 레그 (74) 를 갖고 스프링 박판 (70) 안에 지지되어 있다. 막대 (60) 를 설치하기 위해 레그 (72, 74) 들은 압축되며, 그리고 막대 (60) 는 리세스 (76, 78) 들 안으로 밀어넣어진다. 그 후, 레그 (72, 74) 들은 해방되며, 따라서 이것들은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서로 나누어져 탄력이 있고, 이로 인해 막대 (60) 는 리세스 (76, 78) 들 안에 걸리고, 그리고 안전하게 유지된다. 포지셔닝 요소 (46) 의 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해 레그 (72, 74) 들은 압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막대 (60) 가 해방된다. 하지만 임의의 다른 클램핑 가능성 또는 길이 조절 가능성도 가능하다.

Claims (16)

  1. 콘트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50) 에 포지셔닝 요소 (46, 48) 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어댑터 (10) 로서, 상기 어댑터 (10) 는 수용부 (14)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36, 38, 40) 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안으로 홀딩 레일 (50) 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를 이용해 포지셔닝 요소 (46) 가 어댑터 (10) 에 부착될 수 있는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부 (14) 는 베이스 (16) 및 2 개의 레그 (18, 20) 를 갖고 U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홀딩 레일 (50) 은 형상 끼워맞춤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 (16) 에는 및/또는 하나 또는 두 레그 (18, 20) 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36, 38, 40) 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그 (18, 20) 에는 고정 요소 (32) 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에는 픽싱 요소 (fixing element) 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 (32) 들은 아일릿 (66, 68) 들이며, 상기 픽싱 요소는 케이블 타이 (75) 이고, 상기 케이블 타이는 상기 두 아일릿을 통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 (32) 들은 훅들이며, 상기 픽싱 요소는 커버 (22) 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훅들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커버 (22) 는 힌지 (34) 를 갖고 레그 (18, 20) 들 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 (36, 38, 40) 는 특히 그루브, 레일, 바요넷 락, 또는 나사산 형태의 언더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 (10), 및 상기 어댑터 (10) 의 연결부 (36, 38, 40) 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요소 (46) 를 가진, 콘트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50) 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홀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요소 (46) 는 막대 (60) 를 구비하며, 상기 막대는 스페이서로서 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요소 (46) 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막대 (60) 는 조정 가능하게 어댑터 (10) 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요소 (46) 는 받침대 (6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 (10) 및/또는 포지셔닝 요소 (46)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 (10) 및/또는 포지셔닝 요소 (46)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시멘트로 결합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시스템.
  16. 콘크리트 안에 매립되어야 하는 홀딩 레일 (50)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 (10) 를 가진 홀딩 시스템으로서, 홀딩 레일 (50) 은 어댑터 (10) 안에 단단히 수용되어 있으며, 그리고 다수의 가용 가능한 포지셔닝 요소들 중 선택된 포지셔닝 요소 (46) 가 어댑터 (10) 에 부착되어 있는 홀딩 시스템.














KR1020110045706A 2010-05-18 2011-05-16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KR20110127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9045A DE102010029045A1 (de) 2010-05-18 2010-05-18 Adapter und Haltesystem mit einem Adapter
DE102010029045.9 2010-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75A true KR20110127075A (ko) 2011-11-24

Family

ID=4435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06A KR20110127075A (ko) 2010-05-18 2011-05-16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314764A1 (ko)
EP (1) EP2388408A1 (ko)
JP (1) JP2011241676A (ko)
KR (1) KR20110127075A (ko)
CN (1) CN102277976A (ko)
AU (1) AU2011202224A1 (ko)
CA (1) CA2739133A1 (ko)
DE (1) DE102010029045A1 (ko)
RU (1) RU2011119762A (ko)
TW (1) TW201207208A (ko)
ZA (1) ZA201103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6957A1 (de) * 2012-09-21 2014-05-15 Hilti Aktiengesellschaft Ankerschienenanordnung
KR101302458B1 (ko) * 2012-10-11 2013-09-02 이재호 서브 앵커를 갖는 선시공 앵커 채널
US10053863B2 (en) * 2015-06-05 2018-08-21 Eric Fenske Multi-purpose anchor devices
CN109024910B (zh) * 2017-06-12 2023-10-27 上海睿中实业股份公司 一种可更换式预埋槽道
EP3438362A1 (de) 2017-08-01 2019-02-06 HILTI Aktiengesellschaft Baukörper mit randbewehrung an profilschiene
EP3438361A1 (de) 2017-08-01 2019-02-06 HILTI Aktiengesellschaft Profilschiene mit versteifungselement
CN108943373B (zh) * 2018-08-03 2020-10-20 上海住信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预制构件生产的活动工装
DE102020117639A1 (de) * 2020-07-03 2022-01-05 Wilhelm Modersohn Gmbh & Co Kg Ankerschien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sskörpers
US11466451B2 (en) * 2021-02-11 2022-10-11 Copper Harbor Investments, LLC Panel attachmen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35920U (de) * 1974-01-10 Schuckmann W Kg Verankerung von Profiischienenstücken im Beton
DE29720149U1 (de) * 1997-11-14 1999-05-12 Betomax Kunststoff Metall Klemmelement zum Andrücken von Verbindungsstücken an die Schalung für ein Betonbauteil
US6817156B2 (en) * 2002-09-03 2004-11-16 Chiu Pang Mok Device for positioning cast-in U-channels in concrete structure
DE502005000136D1 (de) * 2005-01-14 2006-11-16 Halfen Gmbh & Co Kg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 Montageschiene und Schienenanordnung
GB2439953A (en) 2006-07-08 2008-01-16 Alan Whitby Clamping apparatus for locating building floor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19762A (ru) 2012-11-27
CA2739133A1 (en) 2011-11-18
ZA201103643B (en) 2012-01-25
EP2388408A1 (de) 2011-11-23
JP2011241676A (ja) 2011-12-01
DE102010029045A1 (de) 2011-11-24
US20110314764A1 (en) 2011-12-29
CN102277976A (zh) 2011-12-14
TW201207208A (en) 2012-02-16
AU2011202224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7075A (ko)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가진 홀딩 시스템
ES2624437T3 (es) Sistema de anclaje fijable de un encofrado de pared y procedimiento
US9638353B2 (en) Clip for supporting a prestressed cable along a dovetail slot in a cement casting
US9637925B2 (en) Strand chair for supporting prestressing cable
US9834922B2 (en) Embedded dowel inserts
US20110302880A1 (en) Rebar Sleeve Unit
CA2929009A1 (en) Joist hanger/bracket
KR20100113901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647366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ボイド押え部材及びボイド定着装置
DK2385189T3 (da) Forskallingselement
US20090071093A1 (en) Anchor bolt, Hold down, Rebar, Threaded Rod Retainer and Snapper Device
AU2011331921B2 (en) An alignment device
JP2019090213A (ja) あと施工定着鉄筋の上向き施工方法、および定着構造
KR101016808B1 (ko) 선매립 앵커부착기
US108588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sion of a suspended ceiling and a suspended ceiling
KR200481665Y1 (ko)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NO344821B1 (en) Chair and method for fixing elongate profiles to a supporting surface, for example a tunnel wall or roof surface.
DK2865821T3 (en) Method of anchoring an element of transverse force on a building part
JPH0699422A (ja) 複合部材の製造方法
KR10225443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강화한 앵커볼트 돌출형 소방내진 흔들림방지 버팀대 콘크리트 고정장치
CN210369861U (zh) 连墙预埋件及脚手架连墙装置
KR200487493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81666Y1 (ko) 관통슬리브
KR20110058618A (ko) 결합방식 철근 정착구조
CA2816154A1 (en) Suspended accurate placement system hanger for re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