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978A - 수도 부속 커버 - Google Patents

수도 부속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978A
KR20110126978A KR1020100046557A KR20100046557A KR20110126978A KR 20110126978 A KR20110126978 A KR 20110126978A KR 1020100046557 A KR1020100046557 A KR 1020100046557A KR 20100046557 A KR20100046557 A KR 20100046557A KR 20110126978 A KR20110126978 A KR 2011012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protrusion
water supp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265B1 (ko
Inventor
이근상
이용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2010004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6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부속 커버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식 및 수동식으로 급수를 시행하는 급수 장치의 수도 부속을 감싸는 경우에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분해 조립이 간편한 수도 부속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도 부속과 결합하는 수지 재질의 수도 부속 커버에 있어서, 수도 부속을 감싸며 일 측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삽입홀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커버; 및 상기 돌출부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외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외곽부를 포함하는 결합 커버;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의 대향하는 양측부에 스톱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홈과 이어지며 상기 스톱퍼 홈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두르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외곽부 내측면에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상태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삽입홀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축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부속 커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도 부속 커버{COVER FOR WATER SUPPLY COMPONENT}
본 발명은 수도 부속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자식 및 수동 방법으로 양변기에 급수를 시행하는 수도 부속들의 감싸는 수도 부속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변기에 설치되는 급수 장치는 전자동과 수동식의 공용으로 제작되어 지고 있다.
전자동과 수동 공용식의 급수 장치는 센서와 전자 밸브로 구성되어 사람이 직접 물을 내리는 레버에 손을 대지 않고도 물을 내릴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유사시에 레버를 손으로 내려 수동으로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 장치는 매우 많은 수도 부속들이 장착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 부속들은 수도 배관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 부속들은 센서, 인쇄 회로 기판, 배터리 및 전기 배선등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자 부속들은 수도 배관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위하여 플라스틱 커버로 덮혀지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 커버는 전자 부속들을 완전히 밀봉하여야 외부에서 물의 유입으로 전자 부속들이 고장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 부속들을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는 고정을 위하여 수도 부속들과도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지는데, 이 경우, 플라스틱 커버는 수도 부속의 대부분이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어 원통형 파이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원통형 파이프 형태를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는 물이 통하지 않도록 수도 부속과 기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상태에서 원통형 파이프를 충분히 감싸 조립되어야 하므로 제작의 어려움이 있다.
만약, 전자부속을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를 복잡하게 제작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자 부속들의 점검 또는 교체 과정에서 플라스틱 커버를 열고 닫는데 번거로움이 많아 설치 및 관리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제품 경쟁력이 다른 제품에 비해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식 및 수동식으로 급수를 시행하는 급수 장치의 수도 부속을 감싸는 경우에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분해 조립이 간편한 수도 부속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도 부속 커버는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도 부속과 결합하는 수지 재질의 수도 부속 커버에 있어서,
수도 부속을 감싸며 일 측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삽입홀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커버; 및 상기 돌출부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외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외곽부를 포함하는 결합 커버;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의 대향하는 양측부에 스톱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홈과 이어지며 상기 스톱퍼 홈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두르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외곽부 내측면에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상태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삽입홀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축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 커버의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움푹패인 요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결합홈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서 회전에 관한 구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는 좌측 본체부와, 상기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면서 상기 좌측 본체부와 맞닿는 우측 본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좌측 본체부에서 이어지는 좌측 돌출부와, 상기 우측 본체부에서 이어지며 상기 좌측 돌출부와 맞닿는 우측 돌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본체부와 상기 우측 본체부는 나사 결합 및 후크 결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커버를 수도 부속과 결합시키는 경우에 결합 커버의 삽입과 회전만으로도 메인 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수도 부속의 교체시나 수리 및 점검시에 메인 커버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수도 부속의 설치시간 점검 시간 및 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및, 수도 부속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도 부속 및, 수도 부속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를 다른 사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과, 상기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및, 수도 부속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도 부속 및, 수도 부속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를 다른 사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도 부속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가 덮고 있는 수도 부속을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도 부속은 레버(1), 급수 동작부(2), 출구 배관(3), 입구 배관(4) 및, 배관들을 연결하는 결합링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수도 부속에 관한 설명은 도면에만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는 메인 커버(10) 및 결합 커버(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는 전면 커버(30) 및 상부 커버(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10)는 본체부(11) 및, 돌출부(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는 통체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도 부속을 감싸며 일 측으로 삽입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는 하측으로도 홀(11-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 형성된 홀(11-2)에는 출구 배관(3)이 삽입된다. 또한, 본체부(11)는 레버(1)가 삽입되는 홀(11-3)이 더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1)는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는 좌측 본체부(11a)와,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면서 좌측 본체부(11a)와 맞닿는 우측 본체부(1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본체부(11a)와 우측 본체부(11b)는 후크 결합 또는 나사 결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는 수도 부속을 감싸며 내부에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 전기 배선(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등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11)는 외부와 수도 부속간에 밀폐를 형성하여 습기나 물의 영향으로부터 전자 부속의 오작동이나 합선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12)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홀(11-1)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2)는 좌측 본체부(11a)에서 이어지는 좌측 돌출부(12a)와, 우측 본체부(11b)에서 이어지며 좌측 돌출부(12a)와 맞닿는 우측 돌출부(12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2)는 좌측 돌출부(12a)와 우측 돌출부(12b) 각각 외주면에 스톱퍼 홈(1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스톱퍼 홈(13)들은 서로 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2)는 스톱퍼 홈(13)과 이어지며 스톱퍼 홈(13)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부(12)의 외주면을 두르는 결합홈(14)이 외주면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4)은 좌측 돌출부(12a)와 우측 돌출부(12b) 각각에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커버(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커버(20)는 덮개부(21), 외곽부(22) 및, 스톱퍼(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결합 커버(20)는 돌기(2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1)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12)의 돌출된 상부면을 덮는다. 이 경우, 덮개부(21)의 중앙에는 삽입홀(11-1)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며, 덮개부(21)에 형성되는 홀에는 입구 배관(4)이 삽입된다.
상기 외곽부(22)는 덮개부(21)의 외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돌출부(12)를 감싼다.
상기 스톱퍼(23)는 외곽부(22) 내측면에서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이 경우, 스톱퍼(23)는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2)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톱퍼(23)는 돌출부(1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스톱퍼(23)는 돌출부(12)의 스톱퍼 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상태로 돌출부(12)의 결합홈(14)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 커버(20)가 삽입홀(11-1)의 외곽부를 덮은 상태에서 돌출부(12)의 축방향으로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24)는 스톱퍼(23)의 일측 단부에서 결합 커버(20)의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홈(14)의 단부에는 삽입홀(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움푹 패인 요홈(15)이 더 형성되는데, 돌기(24)는 결합 커버(20)가 결합홈(14)에서 회전하는 경우, 요홈(15)에 삽입되어 결합 커버(20)가 돌출부(12)의 외주면에서 회전에 관한 구속을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합 커버(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커버(30)는 메인 커버(10)의 일 방에서 메인 커버(10)와 후크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또한, 전면 커버(30)는 일 측으로 레버(1)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커버(30)는 수도 부속 커버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일부면에 곡면이 형성되어 메인 커버(10)와 결함함으로써, 메인 커버(10)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커버(30)는 메인 커버(10)와 나사 결합 및 후크 결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40)는 메인 커버(10)의 상 방에서 메인 커버(10)와 후크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이러한 상부 커버(40)는 수도 부속 커버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일부면에 각이 형성되어 메인 커버(10)와 결합함으로써, 메인 커버(10)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버(40)는 메인 커버(10)와 나사 결합 및 후크 결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전면 커버(30)와 상부 커버(4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가 수도 부속과 조립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수도 부속의 급수 동작부(2)를 감싸도록 메인 커버(10)를 결합하게 된다. 이후, 전면 커버(30)와 상부 커버(40)를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수도 부속의 급수 동작부(2)에서 나오 입구 배관(4)을 결합 커버(20)의 홀에 삽입시킨 후, 결합 커버(20)의 스톱퍼(23)를 돌출부(12)의 스톱퍼 홈(13)에 삽입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결합 커버(20)의 스톱퍼(23)를 돌려 결합홈(14)에 단부에 삽입시킨다. 이때, 결합 커버(20)는 돌출부(12)의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된다.
다음, 작업자는 결합 커버(20)를 더 회전시켜 결합 커버(20)의 돌기(24)를 돌출부(12)의 요홈(15)에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결합 커버(20)는 돌출부(12)의 회전 방향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메인 커버(10)는 돌출부(12) 부분이 결합커버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부속 커버는 메인 커버(10)를 수도 부속과 결합시키는 경우에 결합 커버(20)의 삽입과 회전만으로도 메인 커버(1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수도 부속의 교체시나 수리 및 점검시에 메인 커버(10)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수도 부속의 설치시간 점검 시간 및 수리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10 ; 메인 커버 11 ; 본체부
12 ; 돌출부 13 ; 스톱퍼 홈
14 ; 결합홈 15 ; 요홈
20 ; 결합 커버 21 ; 덮개부
22 ; 외곽부 23 ; 스톱퍼
24 ; 돌기

Claims (3)

  1.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도 부속과 결합하는 수지 재질의 수도 부속 커버에 있어서,
    수도 부속을 감싸며 일 측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삽입홀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커버; 및
    상기 돌출부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외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외곽부를 포함하는 결합 커버;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의 대향하는 양측부에 스톱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홈과 이어지며 상기 스톱퍼 홈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두르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외곽부 내측면에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상태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삽입홀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축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부속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 커버의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움푹패인 요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결합홈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커버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서 회전에 관한 구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부속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는 좌측 본체부와, 상기 수도 부속의 반절을 감싸면서 상기 좌측 본체부와 맞닿는 우측 본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좌측 본체부에서 이어지는 좌측 돌출부와, 상기 우측 본체부에서 이어지며 상기 좌측 돌출부와 맞닿는 우측 돌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본체부와 상기 우측 본체부는 나사 결합 및 후크 결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부속 커버.
KR20100046557A 2010-05-18 2010-05-18 수도 부속 커버 KR10112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6557A KR101126265B1 (ko) 2010-05-18 2010-05-18 수도 부속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6557A KR101126265B1 (ko) 2010-05-18 2010-05-18 수도 부속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978A true KR20110126978A (ko) 2011-11-24
KR101126265B1 KR101126265B1 (ko) 2012-03-20

Family

ID=4539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6557A KR101126265B1 (ko) 2010-05-18 2010-05-18 수도 부속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56B1 (ko) * 2016-01-22 2016-06-03 노진학 밸브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1836U (ko) 1978-04-13 1979-10-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265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831B2 (en) Water filter assembly
US20080280480A1 (en) Tightly Sealed Electrical Hook-Up Device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KR101126265B1 (ko) 수도 부속 커버
US20090311914A1 (en) Sensing faucet
JP2010107024A (ja) 管接続具
KR100952119B1 (ko) 보일러용 개량 볼밸브
ATE482170T1 (de) Eingebaute arretiereinrichtung
JP2019210963A (ja) 管継手および分岐止水栓
ES2767370T3 (es) Grifería sanitaria
JP7122746B2 (ja) プラグカバー取付構造
JP6371541B2 (ja) 電気電子部品の防水収容構造および電気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JP6097503B2 (ja) ガスメータ
KR20110052930A (ko) 양변기용 급수관연결구
JP7162893B2 (ja) サドル付分水栓
KR102167037B1 (ko) 수전용 카트리지의 결합 구조
JP2008025606A (ja) ガス栓の保護キャップ
JP7009965B2 (ja) 貯湯式電気温水器
KR20160099279A (ko) 정수기의 피시비 모듈 체결구조
JP6290329B2 (ja) ガス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JP6885048B2 (ja) 埋め込みボックス
JP2009185518A (ja) 止水栓装置
KR200364837Y1 (ko) 가스 봉인용 잠금장치
JPH11193557A (ja) 蛇口の凍結防止装置
JP2022118452A (ja) 車両用コネクタ
KR100655608B1 (ko) 소음저감을 위한 가변흡기시스템의 가변밸브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