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685A -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685A
KR20110125685A KR1020100045172A KR20100045172A KR20110125685A KR 20110125685 A KR20110125685 A KR 20110125685A KR 1020100045172 A KR1020100045172 A KR 1020100045172A KR 20100045172 A KR20100045172 A KR 20100045172A KR 20110125685 A KR20110125685 A KR 2011012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rror
angle
transmission space
dist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716B1 (ko
Inventor
안희태
Original Assignee
안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태 filed Critical 안희태
Priority to KR102010004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0Unique sensor ident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광삼각법의 거리 센서는 투광과 수광의 각도가 클수록 거리 측정 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정도를 높여야 하는 경우 광 전송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광삼각법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중에 거울을 이용하여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센서에 있어서: 거울을 분리하여 투광용과 수광용으로 2개의 거울을 사용하여 광 전송 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용 센서이다.

Description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Beam Path Area Reduced Method in Distance Sensor}
거리 측정 센서는 3차원 스캐너의 주요 부품이다.
레이저 거리센서와 거울을 이용하여 미소공간의 3차원 형상을 스캔하는 방법이 있다.
미소 공간에서 스캔하는 사례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10-2009-0124780 발명의 명칭 구강용 스캐너'라는 종래의 발명(201)이 있다. 도 1은 상기 발명(201)의 일예이다. 상기 발명(201)의 구강용 스캐너는, 출력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광을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광학계,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 광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광학계 구동부, 광출력부를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키거나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출력 광의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 출력 광이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되고 광학계에 의하여 반사된 입사 광을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 및 전기 신호의 정보, 출사 위치의 정보 및 반사 각도의 정보를 3차원 데이터 생성부로 전송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발명(201)은 투광과 수광의 각도가 클수록 거리 측정 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정도를 높여야 하는 경우 광 전송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거울을 분리하여 투광용과 수광용으로 2개의 거울을 사용하여 광 전송 공간을 절약한다.
좁은 공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광전송 공간이 작아야 좋다.
도 1은 종래의 발명(201)을 설명하는 일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일예
수광 경로를 투광 경로와 일정 각도를 유지해야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투광용 거울과 수광용 거울을 분리하여 측정 대상물에 대해서는 투광과 수광의 필요한 각도을 유지하면서 수광 거울 이후 경로를 투광 경로와 근접시키도록 수광용 거울의 각도를 투광용 거울의 각도와 달리하여 광 전송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광 전송 공간을 절약한다.
도 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광기(301)에서 출발한 광은 투광 거울(303)을 지나 측정 대상(305)에 반사되어 수광 거울(304)을 지나 수광기(302)에 도착한다.
종래에는 투광 거울(303)과 수광 거울(304)이 같은 평면에 있으므로 수광기(302)의 위치는 투광기(301)와 많은 거리를 유지해야 했다. 따라서 센서가 점유하는 공간이 크다.
본 발명에서는 투광 거울(303)과 수광 거울(304)을 분리하고 수광 거울(303)의 각도를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광 전송 공간이 절약된다.
치아를 3차원 스캔하는 용도의 구강용 스캐너에 적용하면 종래의 발명(201)보다 적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환자에게 편한 진료를 제공할 수있다.
301: 투광기
302: 수광기
303: 투광 거울
304: 수광 거울
305; 측정 대상

Claims (1)

  1. 광삼각법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중에 거울을 이용하여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센서에 있어서:
    거울을 분리하여 투광용과 수광용으로 2개의 거울을 사용하여 광 전송 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용 센서.
KR1020100045172A 2010-05-14 2010-05-14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KR10168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72A KR101682716B1 (ko) 2010-05-14 2010-05-14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72A KR101682716B1 (ko) 2010-05-14 2010-05-14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85A true KR20110125685A (ko) 2011-11-22
KR101682716B1 KR101682716B1 (ko) 2016-12-05

Family

ID=4539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72A KR101682716B1 (ko) 2010-05-14 2010-05-14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7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607A (ja) * 1995-10-11 1997-04-22 Opt Techno:Kk 移動距離測定装置
JPH09218020A (ja) * 1996-02-13 1997-08-19 Hamamatsu Syst Kaihatsu Kyodo Kumiai 三次元形状測定装置
KR20090124780A (ko) 2008-05-30 2009-12-0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로워 틸트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607A (ja) * 1995-10-11 1997-04-22 Opt Techno:Kk 移動距離測定装置
JPH09218020A (ja) * 1996-02-13 1997-08-19 Hamamatsu Syst Kaihatsu Kyodo Kumiai 三次元形状測定装置
KR20090124780A (ko) 2008-05-30 2009-12-0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로워 틸트 조향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도 1은 상기 발명(201)의 일예이다.
상기 발명(201)의 구강용 스캐너는, 출력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광을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광학계,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 광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광학계 구동부, 광출력부를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키거나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출력 광의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 출력 광이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되고 광학계에 의하여 반사된 입사 광을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 및 전기 신호의 정보, 출사 위치의 정보 및 반사 각도의 정보를 3차원 데이터 생성부로 전송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716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27588A1 (en) Multi-wavelength pulse steering in lidar systems
US11988773B2 (en) 2-dimensional steering system for lidar systems
WO2016175395A3 (ko) 미러 회전 방식의 다채널 라이더 스캐너 광학계
EP2706377B1 (en)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6427984B2 (ja) 測距装置、車両、測距装置の校正方法
KR101043976B1 (ko) 구강용 스캐너
JP2014514561A5 (ko)
US20150138325A1 (en) Camera integrated with light source
US10012831B2 (en) Optical monitoring of scan parameters
EP2789968A1 (en) Shape-measuring device
JP2012093245A (ja) レーザ測量機
KR20160131653A (ko) 모델 스캔 겸용 구강 스캔 장치
WO2021128526A1 (zh) 一种光路系统及激光雷达
JP5663251B2 (ja) ビーム光投受光装置
KR101691156B1 (ko) 조명 광학계와 결상 광학계가 통합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KR20190017451A (ko) 라이다 센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10029453A (ko) 차량용 라이다 장치
KR20110068954A (ko) 구강용 스캐너
CN103486980A (zh) 基于数字微镜器件的跨尺度测量方法
JP2021170033A (ja) 走査装置
CN113984001A (zh) 测量装置
KR20110125685A (ko) 거리 측정 센서에서 광 전송 공간을 줄이는 방법
KR101524605B1 (ko) 구강내 치아에 대한 3차원 측정 장치
KR102085705B1 (ko) 3차원 카메라
JP2019053072A (ja) 測距装置、車両、測距装置の校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