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299A -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299A
KR20110125299A KR1020100044739A KR20100044739A KR20110125299A KR 20110125299 A KR20110125299 A KR 20110125299A KR 1020100044739 A KR1020100044739 A KR 1020100044739A KR 20100044739 A KR20100044739 A KR 20100044739A KR 20110125299 A KR20110125299 A KR 2011012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tor
rod
thig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873B1 (ko
Inventor
전계일
박장규
김택규
김택선
Original Assignee
제이엔티(주)
박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티(주), 박장규 filed Critical 제이엔티(주)
Priority to KR102010004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73B1/ko
Priority to PCT/KR2011/003200 priority patent/WO2011142546A2/ko
Publication of KR2011012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8Leg for the upp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를 위에서 아래로 압박한 상태에서 좌우로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모터의 원운동을 크랭크와 로드를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인체의 체형과 상태에 따라 작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의 근육이 밀집된 허벅지 및 종아리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이완시켜서 근육의 피로를 조기에 회복시키고, 근육통 및 마비 증세를 완화시켜 주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압대(400)를 하방으로 돌출되게 조성하고, 상기 지압대(400)를 로드(230)와 연동하여 횡으로 왔다갔다 하게 하여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를 압박 및 진동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240)를 로드(230)에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하여 좌우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볼트조임하여 고정되게 하고, 지압대(400)를 상기 고정구(240)에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볼트조임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마사지를 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터(110)의 회전축에 고정된 크랭크(210)와, 상기 크랭크에 연결된 커넥팅로드(220)와, 상기 커넥팅로드(220)에 연결된 연결편(225)과, 상기 연결편(225)에 연결된 로드(230)로 구성되어 원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주고, 상기 로드(230)에는 지압대(400)가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를 이루며, 사용이 편리하고, 나아가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Muscle pain relief massage equipment for thighs and calves}
본 발명은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를 위에서 아래로 압박한 상태에서 좌우로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모터의 원운동을 크랭크와 로드를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인체의 체형과 상태에 따라 작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의 근육이 밀집된 허벅지 및 종아리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이완시켜서 근육의 피로를 조기에 회복시키고, 근육통 및 마비 증세를 완화시켜 주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마기는 타격, 주무름, 마사지 운동 등을 한다. 안마기는 신체부위에 맞추어 이러한 운동을 적절히 부가하여야 하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된다. 예를 들면,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위치하여 척추와 등 부위를 마사지하기 위한 등 안마장치와, 시트 앞 부분에 위치하여 다리의 종아리 부분과 발바닥을 주무르기 위한 발 안마장치, 전신 안락 의자 형태의 안마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안마기들은 주로 모터의 부하축 편심에 의한 원운동, 솔레노이드 작동기, 모터의 캠 구동 등을 통한 신체부위에 진동, 타격, 압박을 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한 느낌을 가지도록 하면서 경직된 근육을 풀어준다.
최근에는,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마사지기에 피로회복, 미용효과 등 나아가서는 살빼기 효과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한 마사지기가 출시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안마기들은 종아리나 허벅지를 낀 상태에서 아래에서 위로 압박 및 진동을 주거나, 양 옆에서 압박 및 진동을 주는 형태, 또는 발과 종아리 전체를 감싼 상태에서 압박 및 진동을 주는 형태만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를 위에서 아래로 압박 및 진동을 주는 형태의 안마기는 없었다.
또한, 종래의 마사지기는 사용자를 마사지하여주는 부분이 고정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없었다.
아울러, 마사지기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어렵고, 제조단가가 비싸서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수술 후의 후유증 등으로 인한 하체 근육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조기 치료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 위에서 아래로 압박 및 진동을 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작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편리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와,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과 속도를 제어하는 조작부(120)와, 상기 모터(110)가 내장되며, 상기 조작부(120)가 외측에 조성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100); 상기 모터(11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운동변환부(200); 상기 제1프레임(100) 상단에서 횡으로 고정되며, 상기 운동변환부(200)가 횡방향으로 왔다갔다 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주는 제2프레임(300); 및 상기 운동변환부(200)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어서, 상기 운동변환부(200)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왔다갔다 하는 지압대(40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상기 모터(110)에 축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210); 상기 제2프레임(300)의 양단에 끼워져서 끼워진 부위에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되는 로드(230); 일단이 상기 크랭크(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23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2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부 측면에 상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상기 커넥팅로드(210)와 로드(2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편(225)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편(225)은, 일단을 상기 커넥팅로드(210)에 수직방향으로 핀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로드(230)에 수평방향으로 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방향의 관통구와 수직방향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각각의 관통구에는 상기 관통구의 내부로 돌출되게 나사체결되는 손잡이나사(245)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방향의 관통구를 상기 운동변환부(200)에 끼움결합하여 위치를 조절한 후에 상기 손잡이나사(245)로 상기 운동변환부(200)를 조임하여 고정되는 고정구(240)를 구비하고, 상기 지압대(400)는, 하부가 개구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하부의 내측면을 단턱지게 하며, 상기 고정구(240)의 상기 수직방향의 관통구에 상부를 끼워 높이를 조절한 후에 손잡이나사(245)로 조임하여 고정되는 고정바(410); 상기 고정바(410)의 내부 중공에 내삽되는 스프링(420); 상부를 상기 고정바(410)의 내부 중공에 내삽시키되 상단을 상기 고정바(410)의 하부 개구부의 단턱에 걸리게 하여 상기 고정바(4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420)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대(430); 상기 고정대(43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구(440); 상기 결합구(440)에 고정되는 반구형상의 누름판(450); 및 상기 누름판(450)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450)의 하부에 고정되는 누름판부재(46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조작부(120)는, 자동속도제어스위치(122)와 수동속도제어스위치(124)로 나뉘며, 상기 자동속도제어스위치(122)를 자동으로 선택하였을 때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수동으로 선택하였을 때는 상기 수동속도제어스위치(124)에 의해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압대(400)를 하방으로 돌출되게 조성하고, 상기 지압대(400)를 로드(230)와 연동하여 횡으로 왔다갔다 하게 하여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벅지를 압박 및 진동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240)를 로드(230)에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하여 좌우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볼트조임하여 고정되게 하고, 지압대(400)를 상기 고정구(240)에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볼트조임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마사지를 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터(110)의 회전축에 고정된 크랭크(210)와, 상기 크랭크에 연결된 커넥팅로드(220)와, 상기 커넥팅로드(220)에 연결된 연결편(225)과, 상기 연결편(225)에 연결된 로드(230)로 구성되어 원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주고, 상기 로드(230)에는 지압대(400)가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를 이루며, 사용이 편리하고, 나아가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배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평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운동변환부(3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제2프레임(300)이 윗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모터(110)가 회전함에 따라 운동변환부(300)가 횡 방향으로 왔다갔다 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및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운동변환부(300)가 횡 방향으로 왔다갔다 하는 동시에 지압대(400)가 떨리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및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조작부(120)를 나타낸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배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평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운동변환부(300)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는,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모터(110)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외측에 조성되는 조작부(120)와, 상기 모터(11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운동변환부(200)와, 상기 운동변환부(200)에 연결되는 지압대(400)와,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절첩 연결되는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2프레임(30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3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크랭크(210)와, 커넥팅로드(220)와, 연결편(225)과, 로드(23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압대(400)는 고정바(410)와, 스프링(420)과, 고정대(430)와, 결합구(440)와, 누름판(450)과, 누름판부재(46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바(410)는 고정구(240)로 고정되어서, 수평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속이 빈 장방형의 사각 틀로 단단한 금속재질로 조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을 지면을 지지한 채 수직으로 세워 사각 틀을 형성하고, 하부를 얇은 금속판으로 막은 형상이다. 상기 제1프레임(100) 사각 틀의 중단에는 얇은 금속판으로 막은 형상의 받침판(130)이 조성된다. 상기 받침판(130)에는 전술한 모터(110)의 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0)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동력변환부(300)가 왔다갔다하는 방향의 면을 제외하고는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110)와 상기 조작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주고, 제어를 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 및 제어부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모터(110)는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축이 회전하는 일반적인 모터로써, 동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후술할 제1프레임(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에는 후술할 크랭크(21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조작부(120)는 후술할 제1프레임(100)의 외측에 조성되며,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위치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00)의 전면부에 위치한다.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모터(110)의 회전 속도조절, 작동시간 설정, 및 전원 스위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크랭크(210)와, 커넥팅로드(220)와, 연결편(225) 및 로드(230)로 구성되는데, 상기 모터(11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준다. 이때,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도록 구성된다면, 캠트랙, 캠로드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크랭크(210)는 전술한 모터(110)의 회전축에 끼워져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형의 금속판이다. 이때, 상기 크랭크(210)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에 억지 끼움 결합하거나, 핀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크랭크(210)의 상부에는 후술할 커넥팅로드(220)를 결합하기 위한 홈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에 위치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즉, 홈이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 쪽에 가까우면 회전반경이 좁아지고, 회전축에서 멀어지면 회전반경이 커진다.
상기 커넥팅로드(220)는 일단이 전술한 상기 크랭크(210)와 수직으로 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할 연결편(225)과 수직으로 핀 결합되는 형상이다. 상기 커넥팅로드(220)는 후술할 연결편(225)의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팅로드(220)의 일단은 상기 크랭크(210)에 고정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210)의 상면에는 홈이 관통하도록 파여져 있고, 상기 커넥팅로드(220)에도 상기 크랭크(210)의 홈에 맞는 홈이 파여져 있다.
상기 크랭크(210)와 상기 커넥팅로드(220)의 홈을 맞춘 상태에서 핀을 끼워 넣고, 상기 크랭크(210)의 하부에서 핀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랭크(210)의 회전축을 수직 방향으로 하여서, 상기 크랭크(210)가 수평면상에서 회전하게 하였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로드(220)도 상기 크랭크(2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면상에서 회동하게 하였다.
상기 연결편(225)은 일단이 전술한 커넥팅로드(220)가 수직으로 핀 결합되고, 타탄은 후술할 로드(230)와 횡으로 핀 결합되는 형상이다.
상기 연결편(225)은 상기 커넥팅로드(220)와 후술할 로드(230)의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하고, 더불어, 후술하는 로드(23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로드(230)는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연결편(225)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로드(230)는 일단이 상기 연결편(225)에 윗 방향으로 절첩 될 수 있도록 횡으로 핀 결합 됨과 동시에 일단 및 타단은 후술할 제2프레임(300)의 양단에 조성된 가이드(3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로드(230)의 일단 및 타단은 약간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결합이 된다. 상기 로드(230)의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제2프레임(300)의 가이드(310)는 원활하게 상기 로드(230)가 왔다갔다 할 수 있도록 윤활유나 오일을 도포해주는 것이 좋다.
전술한 모터(110), 크랭크(210), 커넥팅로드(220)와, 연결편(225) 및 로드(2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10)가 회전되면, 회전력은 회전축에 고정된 크랭크(210)에 전달되고, 상기 모터(110)와 상기 크랭크(21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운동을 한다. 한편, 상기 크랭크(210)와 연결된 커넥팅로드(220)도 원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커넥팅로드(220)는 연결편(22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준다.
이때, 상기 연결편(225)의 일단은 로드(230)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커넥팅로드(220)와 수직으로 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편(225)이 핀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커넥팅로드(220)가 좌우로 회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연결편(225)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로드(230)의 일단은 연결편(225)과 연결이 되어 있지만,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300)의 가이드(310)에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드(230)는 회전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동경로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로드(220)가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프레임(300)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는, 로드(230)가 횡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프레임(100)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는, 로드(230)가 횡으로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300)의 가이드(310)와 상기 로드(230)의 타단에는 윤활유나 오일이 도포 되어 있어서 마찰이 적은 상태로 상기 로드(230)가 상기 가이드(310)에 안내되어 전, 후진하게 된다.
결국, 모터(110)가 회전하면, 전술한 작용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상기 로드(230)는 모터(110)가 회전하는 한 연속적으로 횡으로 왔다갔다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프레임(3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을 횡으로 배치하여 사각 틀을 형성하고, 일단은 개방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과, 타단은 얇은 금속판으로 막은 형상이다. 이때,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과, 타단에는 상기 로드(230)가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3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310)는 원활하게 상기 로드(230)의 이동경로를 제한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가 돌출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로드(230)는 상기 제2프레임(30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단에서 횡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제2프레임(300)의 개방된 부분 상단 모서리 일측과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단 모서리 일측이 맞닿은 상태에서 경첩이나 힌지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로써, 상기 제2프레임(300)은 윗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300)의 하단 부분은 수평을 맞춰주기 위하여 사각틀이 돌출되어 있다. 이때,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이 결합되었을 때, 수평을 이룰 수 있는 길이이다.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300)의 하단 부분과 상기 제1프레임(100)은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30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드(230)의 직경보다 크되, 상기 로드(230)의 양단이 헐겁게 끼워지도록 홈이 관통 형성된 것이며, 상기 로드(230)가 횡으로 왔다 갔다 할 때 상기 로드(23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구(240)는 두 개의 관통구가 관통되어 있는 형상으로 하나의 관통구는 횡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관통구는 종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고정구(240)의 횡방향의 관통구는 상기 로드(230) 끼워지고, 종방향의 관통구에는 후술할 지압대(400)가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240)의 관통구에는 각각의 나사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40)는 상기 로드(23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구멍에 손잡이나사(245)를 끼운후 조임으로써 상기 로드(2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나사(245)를 풀어, 상기 로드(2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횡으로 전, 후진 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종방향의 관통구도 전술한 횡 방향의 관통구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나사(245)를 이용하여 후술할 지압대(400)의 상, 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압대(400)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허벅지나, 종아리에 맞추어서 마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압대(400)는 고정바(410)와, 스프링(420)과, 고정대(430)와, 결합구(440)와, 누름판(450) 및 누름판부재(460)로 구성되는데, 상부가 상기 고정구(240)에 끼움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압대(400)는 상기 로드(230)에 고정구(24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로드(230)가 횡으로 왔다갔다 이동할 때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고정바(410)는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상부는 막혀있으며, 하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410)는 전술한 상기 고정구(420)에 종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손잡이나사(245)로 나사조임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나사(245)를 푼 후 상기 고정바(4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20)은 상기 고정바(410)의 하부에 내장된다. 상기 스프링(420)의 상단은 상기 고정바(410) 하부 중공형상이 시작하는 지점과 맞닿게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바(410) 하부 중공형상이 끝나는 지점과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20)은 후술할 고정대(430)를 감싸며, 상기 고정대(430)가 상하, 좌우로 왔다갔다 하는 진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준다.
상기 고정대(430)는 막대 형상으로 상단은 상기 스프링(4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막대의 두께보다 굵은 원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돌기에는 후술할 결합구(440)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구(440)는 상부는 상기 고정대(430)의 하단의 원형돌기를 감싸는 형상의 원형홈이 파여져 있고, 하부는 후술할 누름판(450)과 동일한 곡면형상이다. 이때, 원형홈은 상기 고정대(430) 하단의 원형돌기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440)는 상기 고정대(430)의 하단에 억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좌우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판(450)은 반구형상의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으로 상부가 상기 결합구(4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440)와 상기 누름판(450)의 결합은 나사와 볼트를 이용하거나,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누름판부재(460)은 상기 누름판(450)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누름판(450)의 하부와 상기 누름판부재(460)의 상부가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누름판부재(460)는 연한 재질로써, 사용자의 허벅지나 종아리를 부드럽게 감싸주는 쿠션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재질은 스펀지나, 발포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에는 의자(500)가 구비된다. 상기 의자(500)는 일반저인 좌식 등받이 의자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를 사용할 때 앉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의자(500)는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전방에 위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에는 장방형의 하판(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판(6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하부와, 상기 의자(5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전 넓이에 걸쳐 조성된다.
상기 하판(600)은 부드러운 쿠션 재질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를 사용할 때 맨바닥에 종아리나 허벅지가 닿지 않도록 하여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로드(230)의 형태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로드(230)는 각이 진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로드(230)의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횡으로 왕복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그에 따라 제2프레임(300)의 가이드(310)도 로드(230)에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사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제2프레임(300)이 윗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모터(110)가 회전함에 따라 운동 변환부(300)가 횡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및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운동변환부(300)가 횡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동시에 지압대(400)가 진동하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및 확대도이다.
상기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제2프레임(300)을 윗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의 연결부위는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드(230)는 상기 연결편(225)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프레임(300)을 윗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로드(230)와 상기 연결편(225)의 연결부위가 회전과 동시에 상기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의 연결부위도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300)의 가이드(310)는 윤활유나 오일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드(230)에 구석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의자(5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300)의 하부에 자신의 허벅지나, 종아리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프레임(300)을 아래 방향으로 내린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압대(400)의 고정바(410)를 자신에 신체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는 한편, 상기 지압대(400)의 간격을 조절하며, 누름판(450) 및 누름판부재(460)를 위에서 아래로 자신의 허벅지나, 종아리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판(450) 및 누름판부재(460)는 반구형상이므로 쉽게 허벅지나, 종아리의 상부에 밀착된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에 조작부(120)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동작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모터(110)이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210)와, 커넥팅로드(220)와, 연결편(225) 및 로드(230)가 직선왕복 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기 지압대(400)도 상기 로드(230)를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압대(400)가 왔다 갔다 직선왕복 운동을 할 때, 고정봉(41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420) 및 고정대(430)가 흔들리게 되고, 상기 고정대(430)의 하단에 결합된 결합구(440)에도 진동이 전해진다.
또한, 상기 결합구(440)와 결합된 누름판(450) 및 누름 판부재(460)에도 진동이 전해지면서, 사용자의 허벅지나 종아리를 이완 시켜주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의 조작부(12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120)는 전술할 바와 같이 모터(도1의 110참조)의 회전 속도조절, 작동시간 설정, 및 전원 스위치 기능을 가지며, 상기 회전 속도조절 기능은 자동속도제어스위치(122)와 수동속도제어 스위치(124)에 의해 동작 된다.
상기 자동속도제어 스위치(122)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동모드로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제공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수동모드로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수동속도제어 스위치(124)에 선택된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상기 수동속도제어스위치(124)는 저속, 중속, 고속으로 범위가 나뉘어져 있으며, 범위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수동 모드에서 세팅된 최적 운용 모드는 교시 모드 형태로 저장되어 상황에 따라 편리한 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모터의 회전속도 제어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되며,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기술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제1프레임
110 : 모터 120 : 조작부 130 : 받침판
200 : 운동변환부
210 : 크랭크 220 : 커넥팅로드 225 : 연결편
230 : 로드 240 : 고정구
300 : 제2프레임
310 : 가이드
400 : 지압대
410 : 고정바 420 : 스프링 430 : 고정대 440 : 결합구
450 : 누름판 460 : 누름판부재
500 : 의자

Claims (5)

  1.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와,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과 속도를 제어하는 조작부(120)가 장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100);
    상기 모터(11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운동변환부(200);
    상기 제1프레임(100) 상단에서 횡으로 고정되며, 상기 운동변환부(200)가 횡방향으로 왔다갔다 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주는 제2프레임(300); 및
    상기 운동변환부(200)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어서, 상기 운동변환부(200)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하는 지압대(40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상기 모터(110)에 축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210);
    상기 제2프레임(300)의 양단에 끼워져서 끼워진 부위에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되는 로드(230);
    일단이 상기 크랭크(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23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21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부 측면에 상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운동변환부(200)는,
    상기 크랭크(210)의 회전축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넥팅로드(210)가 수평상에서 회동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로드(210)와 로드(2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편(225)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편(225)은, 일단을 상기 커넥팅로드(210)에 수직방향으로 핀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로드(230)에 수평방향으로 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관통구와 수직방향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각각의 관통구에는 상기 관통구의 내부로 돌출되게 나사체결되는 손잡이나사(245)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방향의 관통구를 상기 운동변환부(200)에 끼움결합하여 위치를 조절한 후에 상기 손잡이나사(245)로 상기 운동변환부(200)를 조임하여 고정되는 고정구(240)를 구비하고,
    상기 지압대(400)는,
    하부가 개구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하부의 내측면을 단턱지게 하며, 상기 고정구(240)의 상기 수직방향의 관통구에 상부를 끼워 높이를 조절한 후에 손잡이나사(245)로 조임하여 고정되는 고정바(410);
    상기 고정바(410)의 내부 중공에 내삽되는 스프링(420);
    상부를 상기 고정바(410)의 내부 중공에 내삽시키되 상단을 상기 고정바(410)의 하부 개구부의 단턱에 걸리게 하여 상기 고정바(4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420)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대(430);
    상기 고정대(43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구(440);
    상기 결합구(440)에 고정되는 반구형상의 누름판(450); 및
    상기 누름판(450)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450)의 하부에 고정되는 누름판부재(46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20)는,
    자동속도제어스위치(122)와 수동속도제어스위치(124)로 나뉘며,
    상기 자동속도제어스위치(122)를 자동으로 선택하였을 때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수동으로 선택하였을 때는 상기 수동속도제어스위치(124)에 의해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이완 마사지 장치.
KR1020100044739A 2010-05-13 2010-05-13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KR10113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39A KR101135873B1 (ko) 2010-05-13 2010-05-13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PCT/KR2011/003200 WO2011142546A2 (ko) 2010-05-13 2011-04-29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39A KR101135873B1 (ko) 2010-05-13 2010-05-13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99A true KR20110125299A (ko) 2011-11-21
KR101135873B1 KR101135873B1 (ko) 2012-04-13

Family

ID=4491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39A KR101135873B1 (ko) 2010-05-13 2010-05-13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5873B1 (ko)
WO (1) WO201114254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14B1 (ko) * 2012-06-26 2014-02-06 조진현 자동 압박 장치
CN112022663A (zh) * 2020-09-25 2020-12-04 赣南医学院 一种腿部肌肉运动恢复用放松辅助装置
KR20210154434A (ko) 2020-06-12 2021-12-2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아리근육 신장 진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090A (ko) * 2020-03-09 2021-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CN111821165A (zh) * 2020-07-14 2020-10-27 李云莹 一种神经内科下肢按摩装置
CN112656644B (zh) * 2020-12-21 2022-06-2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脑卒中患者康复训练装置
CN112790969A (zh) * 2021-02-22 2021-05-14 哈尔滨体育学院 一种智能化中医康复治疗机器人装置
CN114159288B (zh) * 2021-11-19 2023-07-04 顾洪 一种体育训练用肌肉放松装置
CN114767357B (zh) * 2022-03-31 2023-07-25 长江大学 一种用于医学类骨科的辅助牵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497A (ja) * 1994-12-21 1996-07-09 Brother Ind Ltd マッサージ機
JPH10328259A (ja) 1997-05-29 1998-12-15 Mitsutaka Anpo 足揉み器
JP2001258975A (ja) 2000-03-22 2001-09-25 Wako Seisakusho:Kk 足のマッサージ器
US20030050579A1 (en) * 2001-09-10 2003-03-13 Paul Hsieh Bi-directional oscillation leg massager
KR20060022507A (ko) * 2004-09-07 2006-03-10 상 용 이 체력단련기
KR100779557B1 (ko) 2006-06-21 2007-11-29 정형재 종아리용 안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14B1 (ko) * 2012-06-26 2014-02-06 조진현 자동 압박 장치
KR20210154434A (ko) 2020-06-12 2021-12-2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아리근육 신장 진동기구
CN112022663A (zh) * 2020-09-25 2020-12-04 赣南医学院 一种腿部肌肉运动恢复用放松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2546A3 (ko) 2012-04-19
WO2011142546A2 (ko) 2011-11-17
KR101135873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873B1 (ko)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KR101440088B1 (ko) 어깨걸이 안마기
JP3088298U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2165681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JP3088296U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267052B1 (ko) 의자형 안마기
KR200451663Y1 (ko) 다리마사지장치
US6695796B1 (en) Chiropractic massage device
JP7050924B2 (ja) 局所按摩装置並びに局所按摩装置を備える椅子及びマット
KR101675454B1 (ko) 무축 시료자를 가진 마사지 유닛 및 의자형 마사지 장치
CN201295359Y (zh) 多功能摇摆按摩拉伸机
US20210361523A1 (en) Massage chair having improved stretching functionality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KR102014439B1 (ko) 스트레칭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KR200377430Y1 (ko) 건강 증진용 의자
KR20160086564A (ko) 발치기 운동기구
KR102639123B1 (ko)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CN210698175U (zh) 一种腰腿疼痛用推拿操作装置
KR200256720Y1 (ko) 다리 운동구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KR200257853Y1 (ko) 다리 마사지장치
KR20190040588A (ko) 후두부 지압기
JP7339659B2 (ja) 肩頸部位の緩癒装置
KR101173379B1 (ko) 전신 마사지기구
KR102639122B1 (ko) 상체 안마용 교정기
CN209734502U (zh) 一种运动后缓解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