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013A - 잉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잉크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013A
KR20110125013A KR1020100044528A KR20100044528A KR20110125013A KR 20110125013 A KR20110125013 A KR 20110125013A KR 1020100044528 A KR1020100044528 A KR 1020100044528A KR 20100044528 A KR20100044528 A KR 20100044528A KR 20110125013 A KR20110125013 A KR 2011012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coupled
ink supply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이엔티
Priority to KR102010004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013A/ko
Publication of KR2011012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3Ink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컬러필터등이 놓이는 테이블은 움직이지 않고 잉크공급장치만을 움직여 컬러필터의 소정 영역에 정확하게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는 노즐부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필터등이 놓이는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고 잉크공급장치만을 움직여 셋팅하므로, 컬러필터의 소정 영역에 정확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노즐과 지면이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공급장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정확한 위치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잉크공급장치 { INK SUPPLY APPARATUS }
본 발명은 잉크공급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 컬러필터에 잉크를 주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컬러필터등이 놓이는 테이블은 움직이지 않고 잉크공급장치만을 움직여 컬러필터의 소정 영역에 정확하게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장치에 관한것이다.
잉크공급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공정 중 컬러필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컬러필터는 빨강, 녹색, 파랑의 각 필터층, 흑색의 매트릭스층이라는 복수의 착색층으로 구성되며, 잉크공급장치는 컬러필터에 잉크를 공급하여 복수의 착색층을 형성하는데 사용한다. 컬러필터상에 잉크가 공급되는 부분은 매우 미세한 영역이므로 정확한 위치에 정량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잉크공급장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 문제이다.
종래 사용되는 잉크공급장치는 테이블 위에 컬러기판이 놓이게 되면, 테이블이 전후, 좌우로 구동하고 잉크공급장치를 상하로 구동하여 잉크공급장치를 컬러필터상의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셋팅하고, 셋팅완료 후 잉크공급장치에서 잉크를 공급하여 컬러필터상에 착생층을 형성한다.
종래 잉크공급장치를 컬러필터상의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셋팅하기 위하여, 잉크공급장치와 테이블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므로 셋팅시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하, 좌우, 전후의 구동만으로 조절만으로 셋팅하므로 잉크공급장치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컬러필터등이 놓이는 테이블은 움직이지 않고 잉크공급장치만을 움직여 컬러필터의 소정 영역에 정확하게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잉크공급장치에 결합되는 노즐과 지면이 이루는 각을 조절하기 위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잉크공급장치에 결합되는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잉크공급장치는 노즐부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구동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노즐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노즐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부는 노즐부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1구동수단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1고정부에 삽입된 제1구동축의 구동상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노즐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수단과; 상기 제2구동수단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2고정부에 삽입된 제2구동축의 구동상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2구동부와 제3구동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3구동부는 노즐부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구동수단과; 상기 제3구동수단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구동축과; 상기 제3구동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고정부와; 상기 제3고정부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3고정부에 삽입된 제3구동축의 구동상태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노즐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노드와; 상기 노드와 결합되어 노드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과; 일단은 상기 조절수단과 구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에 결합되어, 조절수단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의 일면은 원호 형태로 구성되어 조절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원호 선상을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과 결합수단은 눈금이 표시되어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각의 크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노즐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4구동수단과; 상기 제4구동수단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노즐부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필터등이 놓이는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고 잉크공급장치만을 움직여 셋팅하므로, 컬러필터의 소정 영역에 정확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노즐과 지면이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공급장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정확한 위치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가 공급장치모듈에 겹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제1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제2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제3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회전부와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와 같다.
도 1은 공급장치모듈(10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급장치모듈(100)에 잉크공급장치(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공급장치모듈(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1)와 컬러필터가 놓이는 테이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잉크공급장치(1)는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여, 테이블에 놓여있는 컬러필터등에 잉크를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잉크공급장치(1)의 하단은 노즐부(60)와 결합되고, 잉크공급장치(1)는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로 구성되고 잉크공급장치(1)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조절부(40)와 회전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구동부(10)의 일면은 공급장치모듈(100)에 결합되고 타면은 제2구동부(20)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구동하여 노즐부(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2구동부(20)의 일면은 제1구동부(10)와 결합되고 타면은 제3구동부(3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구동하여 노즐부(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 3구동부(30)의 일면은 제2구동부(20)와 결합되고 타면은 조절부(40)와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구동하여 노즐부(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부(40)의 일면은 제3구동부(30)와 결합되고 타면은 회전부(50)와 결합되어,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회전부(50)의 일면은 조절부(40)와 결합되고 타면은 노즐부(60)와 결합되어, 노즐부(60)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도 2와 도 3에 의하면, 제1구동부(10)는 제1구동수단(11), 제1구동축(11a), 제1고정부(12), 제1이동부(13), 제1가이드레일(14)으로 구성된다. 제1구동수단(11)은 제1구동축(11a)과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노즐부(6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제1구동수단(11)은 모터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리니어모터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1구동축(11a)의 일단은 제1구동수단(11)과 결합되고 일면은 제1고정부(12)와 결합되고 타면은 제1이동부(13)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구동축(11a)은 제1고정부(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1구동수단(1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1이동부(13)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게 한다. 제1구동수단(11)이 모터로 구성된 경우, 제1구동축(11a)은 제1구동수단(11)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제1구동수단(11)이 리니어모터로 구성된 경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구동수단(11)만으로 제1이동부(13)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수단(11)은 제1고정부(12)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1고정부(12)는 '
Figure pat00001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고정부(1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1구동축(11a)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같쪽면은 공급장치모듈(100)과 결합된다. 제1고정부(12)와 공급장치모듈(100)은 잉크공급장치(1)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고정부(1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1가이드레일(14)이 구비되어, 제1고정부(12)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이동부(13)가 전후방향으로 구동을 하는 경우에 제1이동부(13)가 제1고정부(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4)은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제1고정부(12)에 2쌍이 설치되며, 제1가이드레일(14)의 양단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이동부(1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이동부(13)는 '
Figure pat00002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고정부(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고정부(12)와 제1이동부(13)는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1이동부(13)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은 제1구동축(11a)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같쪽면은 제2구동부(20)와 결합된다. 제1이동부(13)는 제1구동축(11a)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며, 제1고정부(12)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4)에 의해 제1고정부(1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후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구동부(10)는 자동으로 구동되며, 잉크공급장치(1)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게 하므로, 잉크공급장치(1)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노즐부(60)가 전후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2와 도 4에 의하면, 제2구동부(20)는 제2구동수단(21), 제2구동축(21a), 제2고정부(22), 제2이동부(23), 결합부재(24), 제2가이드레일(25)으로 구성된다. 제2구동수단(21)은 제2구동축(21a)과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노즐부(6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제2구동수단(21)은 모터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리니어모터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2구동축(21a)의 일단은 제2구동수단(21)과 결합되고 일면은 제2고정부(22)와 결합되고 타면은 제2이동부(23)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구동축(21a)은 제2고정부(2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구동수단(2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2이동부(23)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게 한다. 제2구동수단(21)이 모터로 구성된 경우, 제2구동축(21a)은 제2구동수단(21)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제2구동수단(21)이 리니어모터로 구성된 경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2구동수단(21)만으로 제2이동부(23)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수단(21)은 제1고정부(22)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2고정부(22)는 '
Figure pat00003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부(2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1구동축(21a)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같쪽면은 제1이동부(13)와 결합된다. 제2고정부(22)와 제1이동부(13)는 잉크공급장치(1)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2고정부(2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2가이드레일(25)이 구비되어, 제2고정부(22)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이동부(23)가 상하방향으로 구동을 하는 경우에 제2이동부(23)가 제2고정부(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25)은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제2고정부(22)에 2쌍이 설치되며, 제2가이드레일(25)의 양단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제2이동부(2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이동부(23)는 '
Figure pat00004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고정부(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2고정부(22)와 제1이동부(23)는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2이동부(23)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은 제2구동축(21a)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같쪽면은 결합부재(24)와 결합된다. 제2이동부(23)는 제2구동축(21a)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며, 제2고정부(22)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25)에 의해 제2고정부(2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결합부재(24)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4)의 수직면에는 제2이동부(23)가 결합되고 수평면의 하단에는 제3구동부(30)가 결합된다. 즉, 결합부재(24)는 제2구동부(20)와 제3구동부(30)를 결합하고, 잉크공급장치(1)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제2구동부(20)는 자동으로 구동되며, 잉크공급장치(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게 하므로, 잉크공급장치(1)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노즐부(60)가 상하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2와 도 5에 의하면, 제3구동부(30)는 제3구동수단(31), 제3구동축(31a), 제3고정부(32), 제3이동부(33), 제3가이드레일(34)으로 구성된다. 제3구동수단(31)은 제3구동축(31a)과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노즐부(60)를 좌우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제3구동수단(31)은 모터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리니어모터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3구동축(31a)의 일단은 제3구동수단(31)과 결합되고 일면은 제3고정부(32)와 결합되고 타면은 제3이동부(33)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3구동축(31a)은 제3고정부(3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3구동수단(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3이동부(33)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게 한다. 제3구동수단(31)이 모터로 구성된 경우, 제3구동축(31a)은 제3구동수단(31)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제3구동수단(31)이 리니어모터로 구성된 경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3구동수단(31)만으로 제3이동부(33)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구동수단(31)은 제3고정부(32)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3고정부(32)는 '
Figure pat00005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3고정부(3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3구동축(31a)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같쪽면은 결합부재(24)와 결합된다. 제3고정부(32)와 결합부재(24)는 잉크공급장치(1)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3고정부(32)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3가이드레일(34)이 구비되어, 제3고정부(32)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3이동부(33)가 좌우방향으로 구동을 하는 경우에 제3이동부(33)가 제3고정부(3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가이드레일(34)은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제3고정부(32)에 2쌍이 설치되며, 제3가이드레일(34)의 양단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제3이동부(3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이동부(33)는 '
Figure pat00006
' 형태로 양단이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3고정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3고정부(32)와 제3이동부(33)는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3이동부(33)의 절곡된 부분의 안쪽면은 제3구동축(31a)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같쪽면은 조절부(40)와 결합된다. 제3이동부(33)는 제3구동축(31a)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며, 제3고정부(32)에 설치된 제3가이드레일(34)에 의해 제3고정부(3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좌우방향으로 구동된다.
제3구동부(30)는 자동으로 구동되며, 잉크공급장치(1)를 죄우방향으로 구동하게 하므로, 잉크공급장치(1)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노즐부(60)가 좌우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6에 의하면 조절부(40)는 노드(41), 조절수단(42), 결합수단(43)으로 구성된다. 노드(41)의 일단은 조절수단(42)과 결합되며, 조절수단(42)의 일단은 노드(41)와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수단(43)과 결합된다. 결합수단(43)의 일단은 조절수단(42)과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50)와 결합된다. 조절부(40)는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의 크기 조절을 통해 컬러필터의 미세한 영역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노드(41)는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노드(41)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력이 조절수단(42)에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조절수단(42)이 결합수단(43)을 구동하여 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노드(41)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진다.
조절수단(42)은 노드(41)의 회전에 대응하여 결합수단(43)을 구동하여 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노드(41)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결합수단(43)을 구동한다. 조절수단(42)은 결합수단(43)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되는 부분은 원호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수단(43)이 원호선 상을 따라 구동하게 되므로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수단(43)의 일단은 조절수단(42)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50)와 결합된다. 결합수단(43)은 조절수단(42)에 의해 구동되며, 결합수단(43)과 조절수단(42)의 결합되는 부분이 원호형상으로 구성되므로 결합수단(43)은 원호 선상을 따라 구동한다. 아울러, 조절수단(42)과 결합수단(43)에 눈금을 표시하여 조절되는 각의 크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조절부(40)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40)가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 모터 또는 유압장치를 구비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게 한다.
도 6에 의하면 회전부(50)는 제4구동부(51), 전달수단(52)으로 구성된다. 제4구동부(51)는 전달수단(52)과 결합되고, 전달수단(52)의 일단은 제4구동부(51)와 결합되고 일면은 조절부(40)와 결합되고 타면은 노즐부(60)와 결합된다. 회전부(50)는 조절부(40)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비스듬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40)에 결합된 노즐부(60)와 지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즉, 노즐부(60)가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과 비스듬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은 조절부(40)와 회전부(5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제4구동부(51)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전달수단(52)에 전달하고, 상기 전달수단(52)은 노즐부(60)를 회전시킨다. 노즐부(6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공급장치(10)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여 컬러필터상의 미세영역에 잉크를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제4구동부(51)는 모터 또는 유압장치로 구성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1)는 액정표시장치의 공정 중 컬러필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컬러필터는 빨강, 녹색, 파랑의 각 필터층, 흑색의 매트릭스층이라는 복수의 착색층으로 구성되므로, 잉크공급장치(1)는 컬러필터에 잉크를 공급하여 복수의 착색층을 형성하는데 사용한다.
공급장치모듈(100)의 테이블(미도시)상에 컬러필터가 놓이면 잉크공급장치(1)에 의해 상기 컬러필터의 소정영역에 잉크가 공급된다. 먼저, 공급장치모듈(100)의 감지부(미도시)에서 컬러필터상에 잉크를 공급할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영역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잉크공급장치(1)를 제어하여 노즐부(60)를 감지된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구동부(10)를 제어하여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2구동부(20)를 제어하여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3구동부(30)를 조절하여 좌우방향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10)를 제어하여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2구동부(20)와 제3구동부(3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를 동시에 제어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하여 잉크공급장치(1)가 컬러필터상의 소정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영역에 잉크를 공급한다.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만을 구동하여 잉크공급장치(1)의 위치를 조절할 수 도 있고,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 조절부(40), 회전부(50)를 이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부(10), 제2구동부(20), 제3구동부(30)의 구동상태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고, 조절부(40)는 미세조절을 통하여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고 회전부(50)는 노즐부(60)를 회전하게 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40)와 회전부(50)에 의하여 잉크공급장치(1)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 잉크공급장치(1)는 컬러필터의 제조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표시장치의 공정중 액정기판등에 액체재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TFT 공정중 투명막을 도포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1...잉크공급장치 10...제1구동부
11...제1구동수단 11a...제1구동축
12...제1고정부 13...제1이동부
14...가이드레일 20...제2구동부
21...제2구동수단 21a...제2구동축
22...제2고정부 23...제2이동부
24...결합부재 30...제3구동부
31...제3구동수단 31a...제3구동축
32...제3고정부 33...제3이동부
40...조절부 41...노드
42...조절수단 43...결합수단
50...회전부 51...제4구동부
52...전달수단 60...노즐부
100...공급장치모듈

Claims (8)

  1.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가 결합된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6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10)와;
    상기 제1구동부(10)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6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20)와;
    상기 제2구동부(20)의 일면에 결합되어 노즐부(60)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30)의 하단에 결합되어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의 하단에 결합되어 노즐부(6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0)는 노즐부(6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수단(11)과; 상기 제1구동수단(11)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구동축(11a)과; 상기 제1구동축(11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부(12)와; 상기 제1고정부(12)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1고정부(12)에 삽입된 제1구동축(11a)의 구동상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20)는 노즐부(6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수단(21)과; 상기 제2구동수단(21)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축(21a)과; 상기 제2구동축(21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22)와; 상기 제2고정부(22)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2고정부(22)에 삽입된 제2구동축(21a)의 구동상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부(23)와; 상기 제2이동부(23)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2구동부(20)와 제3구동부(3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4)로 구성되고,
    상기 제3구동부(30)는 노즐부(60)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구동수단(31)과; 상기 제3구동수단(31)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구동축(31a)과; 상기 제3구동축(31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고정부(32)와; 상기 제3고정부(32)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3고정부(32)에 삽입된 제3구동축(31a)의 구동상태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는 노즐부(60)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노드(41)와;
    상기 노드(41)와 결합되어 노드(41)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2)과;
    일단은 상기 조절수단(42)과 구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에 결합되어, 조절수단(42)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결합수단(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3)의 일면은 원호 형태로 구성되어 조절수단(42)과 결합되고, 상기 원호 선상을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2)과 결합수단(43)은 눈금이 표시되어 조절부(40)에 의해 조절되는 각의 크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50)는 노즐부(6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4구동수단(51)과;
    상기 제4구동수단(51)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구동력을 노즐부(6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KR1020100044528A 2010-05-12 2010-05-12 잉크공급장치 KR20110125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28A KR20110125013A (ko) 2010-05-12 2010-05-12 잉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28A KR20110125013A (ko) 2010-05-12 2010-05-12 잉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13A true KR20110125013A (ko) 2011-11-18

Family

ID=4539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528A KR20110125013A (ko) 2010-05-12 2010-05-12 잉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0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068A (zh) * 2016-12-05 2018-06-12 塔工程有限公司 喷墨型液体涂布模块及其除气方法
CN113628989A (zh) * 2020-05-08 2021-11-09 株式会社考恩斯特 添加旋转运动的喷墨喷嘴模块及包括其的基板的修复装置
KR20230021554A (ko) * 2021-08-05 2023-02-14 엔젯 주식회사 프린팅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068A (zh) * 2016-12-05 2018-06-12 塔工程有限公司 喷墨型液体涂布模块及其除气方法
CN108146068B (zh) * 2016-12-05 2021-07-06 塔工程有限公司 喷墨型液体涂布模块及其除气方法
CN113628989A (zh) * 2020-05-08 2021-11-09 株式会社考恩斯特 添加旋转运动的喷墨喷嘴模块及包括其的基板的修复装置
KR20210136630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스위블 모션이 가미된 잉크젯 노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의 리페어 장치
CN113628989B (zh) * 2020-05-08 2024-03-08 株式会社考恩斯特 添加旋转运动的喷墨喷嘴模块及包括其的基板的修复装置
KR20230021554A (ko) * 2021-08-05 2023-02-14 엔젯 주식회사 프린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6343B (zh) 3d照片拍摄装置
TWI337900B (en) Liquid material supply device
KR20110125013A (ko) 잉크공급장치
US20200142136A1 (en) End face polishing device for optical fiber ferrule
KR101588373B1 (ko) 자수기의 노루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JP737064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側面端子印刷システム
JP2006313152A5 (ko)
CN101514511A (zh) 钉扣缝纫机
CN210777778U (zh) 三维旋转显示装置
KR101390403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3025196A (zh) 美甲设备
JP480075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203191679U (zh) 3d照片拍摄装置
CN105916649A (zh) 用于地面机械锯床的轨迹驱动调节装置
JP2016069264A (ja) カバーガラスの貼合装置
CN214425518U (zh) 具有滑轨显示屏的展示设备
KR101244866B1 (ko) 직교식 3d 카메라 구동 장치
CN113058829B (zh) 一种触摸屏生产制造固化加工处理工艺
US7798626B2 (en) System for loading and feeding solid ink sticks to an ink melter in a phase change ink printer
JP4398409B2 (ja) 基板製造装置
CN104019345B (zh) 移动式影像播放装置
CN114694525B (zh) 一种微显示器贴合系统及方法
JP2003048684A (ja) グラブバケット
JP2006337496A5 (ko)
KR100975647B1 (ko)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장치,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및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및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