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729A -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729A
KR20110123729A KR1020117017539A KR20117017539A KR20110123729A KR 20110123729 A KR20110123729 A KR 20110123729A KR 1020117017539 A KR1020117017539 A KR 1020117017539A KR 20117017539 A KR20117017539 A KR 20117017539A KR 20110123729 A KR20110123729 A KR 2011012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elevation
elevation angle
polarizatio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180B1 (ko
Inventor
켄야 스즈키
토시카츠 사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승강기는, 안테나 유닛과, 안테나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한다. 안테나 유닛은, 안테나와, 그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기구와,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앙각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앙각 조정기구는, 안테나 지지기구를 회동시킴으로써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는 것이며, 앙각의 조정은 승강 기구에 의한 안테나 유닛의 승강과는 독립해서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의 앙각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전자파 계측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ANTENNA LIFTING DEVICE AND ELECTROMAGNETIC WAVE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안테나 승강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파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전자방해파의 평가를 위해, 그 전자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의 계측이 행해진다. 이 계측은, 전파 암실(暗室) 내부 또는 오픈사이트에서 행해진다. 전자파 계측에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안테나의 앙각(仰角)을 조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장치는, 안테나의 수직위치에 따라서 안테나의 앙각을 자동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7-03325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 08-14606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공평 03-006013호 공보
[특허문헌 4] 미국 특허 5,379,04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계측 시스템에서는, 정해진 앙각 조정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조정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의한 계측 시스템에서는, 크게 높이가 다른 피계측 기기를 계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피계측 기기마다 계측 시스템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유연하게 앙각을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안테나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테나 유닛과, 상기 안테나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안테나 승강기로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안테나와,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한 상기 안테나 유닛의 승강과는 독립시킨 상태로 상기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앙각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안테나 승강기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안테나의 승강 동작과 앙각 조정이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해두지 않으면, 안테나의 지향성(指向性)이 매우 높은 경우 등에 정확한 측정을 행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승강 동작과 앙각 조정을 독립 제어가능하기 때문에, 임의의 높이에 있어서 앙각을 가장 적절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한 앙각조정을 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위치와는 독립된 값으로서 앙각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이가 다른 피계측 기기에 대해서도 하나의 안테나 승강기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안테나 승강기를 구비하는 전자파 계측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테나 승강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테나 승강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단, 안테나는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안테나 승강기에 포함되는 승강 기구의 일부와 안테나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테나 승강기에 포함되는 편파각 조정기구와 안테나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단, 안테나는 생략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전자파 계측 시스템은, 안테나 승강기(100)와, 안테나 승강기(100)와 떨어져 배치된 턴테이블(200)을 구비하고 있다. 턴테이블(200) 위에는, 피계측 기기(EUT)(300)가 탑재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승강기(100)는, 안테나 유닛(130)과, 안테나 유닛(13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기구(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mast, 112)와, 마스트(1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측 부재(114) 및 하측 부재(116)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부재(114)에는 상측 풀리(118)가 설치되고, 하측 부재(116)에는 하측 풀리(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풀리(118)와 하측 풀리(120)에는, 벨트(122)가 걸쳐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풀리(120)에는, 기어박스(124)를 통하여 모터(126)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모터(126)에 의해 벨트(122)의 구동이 행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모터(26)로서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servo moto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트(112)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128)가 부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28)에는 벨트(1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28)에는, 안테나 유닛(130)이 부착되어 있다. 벨트(122)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128)의 승강 동작이 행해지고, 그것에 의해, 안테나 유닛(130)의 승강 동작도 행해진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130)은, 안테나(140)와, 안테나(140)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기구(150)와, 안테나(140)의 앙각(仰角)을 조정하는 앙각 조정기구(160)와, 안테나(140)의 편파각(偏波角)을 조정(調整)하는 편파 조정기구(18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안테나(140)는, 혼 안테나(horn antenna)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지지기구(150)는, 선단(先端)에 안테나(140)가 부착된 아암(152)과, 아암(152)을 유지하는 유지부재(154)와, 유지부재(154)에 연결된 샤프트(156)와, 아암(152) 위에 설치된 수준기(水準器, 15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152)은,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아암(152)의 축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암이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편파 조정기구(180)에 의한 안테나(140)의 편파각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아암(152)은, 안테나(140)의 수파(受波)의 중심축에 맞추도록 하여, 안테나(140)를 유지하고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152)은, 안테나(140)의 수파의 중심축과 정렬(align)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편파 조정기구(180)에 의한 안테나(140)의 편파각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유지부재(154)는, 축받이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암(152)을 축지지(軸支)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암(152)은, 자기의 중심축의 주위로 회동(回動)가능하며, 안테나(140)의 편파각을 바꿀 수 있다.
샤프트(156)는, 원기둥형상 또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샤프트(156)는, 베이스(128)에 형성된 구멍(128a)에 삽입되어, 그것에 의해 베이스(128)에 축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56)의 일단이 유지부재(154)에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156)가 회동하면, 유지부재(154)에 유지된 아암(152)이 유지부재(15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그것에 의해 안테나(140)의 앙각이 변화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128)의 마스트(112) 위의 이동과 샤프트(156)의 회동이 서로 독립하여 행해지도록, 마스트(112)와 샤프트(156)는 링크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아암(152)에 수준기(15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140)가 수평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준기(158)는, 안테나(140)의 앙각이 0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수평검지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준기(158)에 대신하여, 각종 각도센서 등을 수평검지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평검지부재에 의해 검출한 상태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앙각 조정기구(160)에 의한 앙각 조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앙각 조정기구(160)는, 승강 기구(110)에 의한 안테나 유닛(130)의 승강과는 독립된 상태로, 안테나(140)의 편파각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승강 기구(110)의 동작과 앙각 조정기구(160)의 동작은 서로 별개의 독립된 것이며, 링크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앙각 조정기구(160)는, 안테나(140)의 앙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앙각 조정기구(160)는, 상술한 샤프트(156)를 축으로 하여 안테나 지지기구(150)를 회동시킴으로써, 안테나(140)의 앙각을 조정한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앙각 조정기구(160)는, 앙각 조정레버(162)와, 앙각 조정레버(16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유지된 슬라이더(164)와, 슬라이더(164)에 접속 고정된 피드너트(feed nut, 166)와, 피드너트(166)에 나사결합된 피드나사(feed screw, 168)를 구비하고 있다.
앙각 조정레버(162)의 일단은, 안테나 지지기구(150)의 샤프트(156)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어, 앙각 조정레버(162)의 타단의 원호(圓弧)운동에 의해 샤프트(156)를 회동시킬 수 있다.
앙각 조정레버(162)의 타단에는, 경기용 트랙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유지구멍(162a)이 형성되고 있으며, 슬라이더(164)는, 그 유지구멍(162a)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도록, 앙각 조정레버(162)에 유지되어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16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64)는, 유지구멍(162a) 내부를 슬라이드하면서, 앙각 조정레버(162)의 타단을 원호운동시킬 수 있다.
피드너트(166)와 피드나사(168)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피드나사(168)의 회전에 의해, 피드너트(166)가 피드나사(168) 위를 직선으로 피드(feed)된다. 즉, 피드나사(168)의 회전운동이 피드너트(16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피드너트(166)와 피드나사(168)의 조합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볼 나사 등의 다른 전달기구를 채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너트(166)는 슬라이더(16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드나사(168)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164)가 직선적으로 움직인다. 게다가, 슬라이더(164)의 직선운동이 앙각 조정레버(162)에 전달됨으로써, 앙각 조정레버(162)가 회전한다. 이 앙각 조정레버의 회전이 안테나 지지기구(150)의 샤프트(156)에 전달됨으로써, 안테나 지지기구(150)가 회전하게 되어 안테나(140)의 앙각이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앙각 조정기구는, 회전-리니어-회전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앙각 조정레버(162)에 회전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기구여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앙각 조정기구(160)는, 가이드폴(guide pole 170)과, 기어박스(172)를 통하여 가이드폴(170)에 접속된 모터(17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모터(174)로서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174) 및 기어박스(172)는, 가이드폴(17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로서 기능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회전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폴(17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승강 기구(110)의 상측 부재(114)와 하측 부재(1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가이드폴(170)은, 승강 기구(110)의 마스트(11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폴(170)은, 수직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수평면 내)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피드나사(168)에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이더구멍(168a)이 형성되어 있다. 단, 수평면 내에 있어서, 피드나사(168)의 슬라이더구멍(168a)의 사이즈는, 가이드폴(170)의 사이즈보다도 약간 크다.
가이드폴(170)은, 피드나사(168)의 슬라이더구멍(168a)에 삽입되어 있다. 상술한 사이즈 관계에 의해, 피드나사(168)는, 안테나 유닛(130)의 수직이동에 따라 가이드폴(170) 위를 슬라이드할 수 있는 한편, 가이드폴(17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가이드폴(170)은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가이드폴(170)은, 자기의 회전을 피드나사(168)에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이드폴(170)은, 삼각형, 6각형, 별형상 등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더구멍(168a)은, 피드나사(168)가 가이드폴(170) 위를 슬라이드할 수 있는 한편 가이드폴(170)의 회전에 따라서 피드나사(168)가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4각형 이외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한편, 가이드폴(170)이나 슬라이더구멍(168a)의 형상이 복잡한 형상이나 각(角) 수가 많은 다각형 형상인 경우, 가이드폴(170)과 슬라이더구멍(168a) 사이의 회전력의 전달을 원활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이들의 틈새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편파 조정기구(180)는, 안테나(140)의 편파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파 조정기구(180)는, 편파 조정레버(182) 및 리니어 액추에이터(184)를 구비하고 있다. 편파 조정레버(182)의 일단은, 아암(152)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한편, 편파 조정레버(182)의 타단은, 앙각 조정레버(162)와 피드너트(166) 간의 접속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를 통하여, 리니어 액추에이터(184)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리니어 액추에이터(184)의 직선운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184)와 편파 조정레버(182) 간의 접속부에 있어서, 편파 조정레버(182)의 타단의 원호운동으로 변환된다. 게다가, 이 편파 조정레버(182)의 타단의 원호운동이 아암(184)에 회동운동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아암(184)의 회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편파 조정기구(180)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상기 회전운동을 안테나 지지기구(150)에 전달함으로써, 안테나 지지기구(150)를 회전시켜 안테나(140)의 편파각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편파 조정기구(180)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해도 좋다. 그렇지만, 본 실시의 형태의 편파 조정기구(180)에 따르면, 안테나 승강기(1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안테나 승강기(100)는, 안테나 유닛(130)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과는 독립하여 안테나(140)를 2축 회전 제어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다양한 피측정 기기에 대하여 다양한 계측을 행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안테나 유닛(130)의 높이(H) 및 안테나(140)의 앙각(θ)에 따라서, 안테나 승강기(100)와 피측정 기기(300) 간의 거리(L)가 소정의 계측 거리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자파 계측 시스템에, 계측 거리를 보정하는 거리 수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거리 수정기구로서는,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되지만, 예를 들면, 안테나 승강기(100)의 하측 부재(116)에 롤러나 차륜 등을 부착하고, 안테나 승강기(100) 자체를 자주(自走)식으로 하는 것으로 하면, 시스템을 그다지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안테나 승강기(100)의 자세 밸런스를 무너뜨리지 않으며, 거리 수정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100 안테나 승강기
110 승강 기구
112 마스트(mast)
114 상측 부재
116 하측 부재
118 상측 풀리
120 하측 풀리
122 벨트
124 기어박스
126 모터
128 베이스
128a 구멍
130 안테나 유닛
140 안테나
150 안테나 지지기구
152 아암
154 유지부재
156 샤프트
158 수준기
160 앙각 조정기구
162 앙각 조정레버
162a 유지구멍
164 슬라이더
166 피드너트
168 피드나사
168a 슬라이더구멍
170 가이드폴
172 기어박스
174 모터
180 편파 조정기구
182 편파 조정레버
184 리니어 액추에이터
200 턴테이블
300 피계측 기기(EUT)

Claims (14)

  1. 안테나 유닛과, 상기 안테나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안테나 승강기로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안테나와,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한 상기 안테나 유닛의 승강과는 독립시킨 상태로 상기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앙각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안테나 승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앙각 조정기구는,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는, 안테나 승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와,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마스트에 부착된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안테나 승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앙각 조정기구는, 제1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직선운동을 제2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제2 회전운동을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를 회동시켜 상기 안테나의 앙각을 조정하는, 안테나 승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앙각 조정기구는, 앙각 조정레버, 슬라이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앙각 조정레버는 2개의 단부(端部)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앙각 조정레버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앙각 조정레버의 타단에는, 유지 구멍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유지 구멍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앙각 조정레버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전달기구는, 제1 회전운동을 받아서 상기 슬라이더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직선운동이 상기 앙각 조정레버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앙각 조정레버가 상기 제2 회전운동을 행하는, 안테나 승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앙각 조정기구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폴과, 가이드폴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피드너트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드너트를 수직방향으로 피드하는 피드나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드나사에는, 슬라이더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폴과 상기 슬라이더구멍은, 상기 가이드폴이 상기 슬라이더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피드나사가 상기 가이드폴 위를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폴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드나사도 또한 회동가능하게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에 의해, 상기 가이드폴을 통하여, 상기 피드나사에 상기 제1 회전운동이 공급되는, 안테나 승강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편파각을 조정하는 편파 조정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승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조정기구는, 상기 안테나의 편파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승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조정기구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상기 회전운동을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를 회전시켜 상기 안테나의 편파각을 조정하는, 안테나 승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는,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아암으로서, 상기 안테나의 수파(受波)의 중심축과 정렬되도록 연장되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편파 조정기구는, 편파 조정레버 및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편파 조정레버는, 2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편파 조정레버의 일단은, 상기 아암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편파 조정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직선운동이 상기 편파 조정레버를 통하여 상기 아암에 회전운동으로서 전달되는, 안테나 승강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기구는, 상기 안테나의 앙각이 0인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수평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승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검지부재는, 수준기인, 안테나 승강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앙각 조정기구는, 상기 안테나의 앙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승강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테나 승강기와, 상기 안테나 승강기와 떨어져 설치된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전자파 계측 시스템.
KR1020117017539A 2009-02-27 2009-02-27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 KR101524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0917 WO2010097842A1 (ja) 2009-02-27 2009-02-27 アンテナ昇降機及び電磁波計測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729A true KR20110123729A (ko) 2011-11-15
KR101524180B1 KR101524180B1 (ko) 2015-05-29

Family

ID=4266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539A KR101524180B1 (ko) 2009-02-27 2009-02-27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24180B1 (ko)
CN (1) CN102317799B (ko)
WO (1) WO20100978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33B1 (ko) * 2013-11-15 2015-04-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축 프로브 포지셔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6044B (zh) * 2013-01-25 2015-02-11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场强探头曲轨角度调整测试架
CN103645667B (zh) * 2013-11-25 2018-05-29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锁紧螺母检测装置及天线升降机构锁紧控制方法
CN107611613B (zh) * 2017-09-29 2024-03-22 桂林长海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快速实现天线俯仰角度调整的装置
CN109786925B (zh) * 2017-11-10 2022-08-30 千藏工业株式会社 天线定位器、测定不必要的电磁辐射的系统及方法
CN110165411B (zh) * 2018-03-28 2020-09-15 浙江龙游新西帝电子有限公司 一种多角度室外天线
CN110058090B (zh) * 2019-06-05 2019-12-03 诸暨市圣元塑胶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低电磁辐射并对电磁辐射进行检测的检测设备
CN111293402B (zh) * 2020-02-10 2021-04-02 浙江001集团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检测设备用天线支架
KR102391223B1 (ko) 2020-08-25 2022-04-27 주식회사 티에이엔지니어링 안테나 마스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불요전자파 측정 시스템
CN113647929B (zh) * 2021-08-17 2023-10-31 电子科技大学 一种微波轴向断层脑成像的穿戴设备
CN114336008B (zh) * 2021-12-07 2023-12-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385U (ja) * 1984-05-22 1985-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イトパタ−ン測定装置
JPS63285474A (ja) * 1987-05-18 1988-11-22 Keiyo Seiki Kk 放射妨害電波測定装置
JP2521774Y2 (ja) * 1992-04-08 1997-01-08 株式会社トーキン アンテナ昇降・旋回装置
JP3185819B2 (ja) * 1992-09-07 2001-07-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屋外電磁環境計測装置
JPH06334423A (ja) * 1993-05-26 1994-12-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追尾アンテナ装置
JP4586240B2 (ja) * 2000-06-01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電磁放射測定装置および電磁放射測定方法
JP2003344469A (ja) * 2002-05-30 2003-12-03 Advantest Corp 電磁波測定器及び電磁波測定方法
FR2853766B1 (fr) * 2003-04-11 2006-01-27 Manuf D App Electr De Cahors M Monture d'antenne permettant un reglage fin de l'orientation de l'antenne
JP4265273B2 (ja) * 2003-04-24 2009-05-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ポジショナ
JP2006203374A (ja) * 2005-01-18 2006-08-03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設置角度調整装置
CN101075697A (zh) * 2007-07-04 2007-11-21 李爱民 一种便携式天线杆及其便携式架设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33B1 (ko) * 2013-11-15 2015-04-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축 프로브 포지셔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7799A (zh) 2012-01-11
KR101524180B1 (ko) 2015-05-29
WO2010097842A1 (ja) 2010-09-02
CN102317799B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3729A (ko) 안테나 승강기 및 전자파 계측 시스템
JP2009058460A (ja) アンテナ昇降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不要輻射電磁波計測システム
US7373724B2 (en) Laser level with improved leveling adjustability
US8890756B2 (en) Multi-point driving device for general purpose base station antenna
CN102275758B (zh) 一种具备高灵敏性纠偏机构的卷料膜带复卷机
CN208331666U (zh) 一种二氧化碳检测仪支架
CN102496769A (zh) 一种应用于二维电调天线的传动装置
CN102636195A (zh) 伺服马达及其制造方法和制造设备以及编码器
CN202152234U (zh) 一种高灵敏性纠偏机构的卷料膜带复卷机
CN102489619A (zh) 工件定位装置
US10190238B2 (en) Bale opener
CN107611613B (zh) 一种快速实现天线俯仰角度调整的装置
CN104016170A (zh) 一种自动在线纠偏装置
US9480445B2 (en) Elevating column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ion thereof
KR101567330B1 (ko) 동력전달 커플링의 성능 시험장치
CN106683712A (zh) 一种二维高精度检测平台
KR101404974B1 (ko) 센서박스 거치용 카트
KR102195604B1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US2011001852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ravel of a lifting motor
CN210800571U (zh) 一种两自由度调整装置
CN116972792B (zh) 一种轴承内外环厚度检测设备
CN208689113U (zh) 一种可调高度的紧凑型高精度极化转台
CN111070242A (zh) 一种墙板检测机构及墙板安装机器人
JP6261185B2 (ja) 昇降モジュールおよび昇降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昇降装置
CN111998761A (zh) 油缸位移传感器、液压油缸、支腿调平装置、工程机械及液压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