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434A -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434A
KR20110123434A KR1020100042920A KR20100042920A KR20110123434A KR 20110123434 A KR20110123434 A KR 20110123434A KR 1020100042920 A KR1020100042920 A KR 1020100042920A KR 20100042920 A KR20100042920 A KR 20100042920A KR 20110123434 A KR20110123434 A KR 2011012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ranch pipe
bending
branch
b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918B1 (ko
Inventor
강병철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0004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9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6Y-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강용 의료용구인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간내 담도암으로 인해 간의 양쪽 엽들(lobes)에서 분비되는 담즙이 정상인의 해부학 및 병태생리학적인 형태로 배액이 되게 고안된 자기팽창형 의료도구(이하 “스텐트”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 시판하여 환자에 적용되고 있는 담도 스텐트들이 모두 일자 원통형으로 구성되어서 간의 양엽에서 생긴 담즙의 배액이 총수담관(common bile duct)으로 배액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또한 재폐색이 발생하였을 때, 먼저 삽입된 스텐트의 메쉬의 방해로 인한 한쪽의 간에서 발생한 담즙 배액의 장애가 발생하며 또한 새로운 스텐트의 삽입이 불가능하여 그 치료가 불가능하였던 점을 보안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형상인식 직물로 직조 구성된 인조혈관 스텐트에 있어서, 내경이 상이한 주관 및 지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이 형성된 절곡 스텐트 두 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하나의 절곡스텐트 지관연결공에 다른 절곡 스텐트의 지관이 내입됨으로써 두개의 절곡 스텐트가 겹침되어 결합됨으로써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 Madical Klaskin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내강용 의료용구인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간내 담도암으로 인해 간의 양쪽 엽들(lobes)에서 분비되는 담즙이 정상인의 해부학 및 병태 생리학적인 형태로 배액이 되게 고안된 자기팽창형 의료도구(이하 “스텐트”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 시판하여 환자에 적용되고 있는 담도 스텐트들이 모두 일자 원통형으로 구성되어서 간의 양엽에서 생긴 담즙의 배액이 총수담관(common bile duct)으로 배액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또한 재폐색이 발생하였을 때, 먼저 삽입된 스텐트의 메쉬의 방해로 인한 한쪽의 간에서 발생한 담즙 배액의 장애가 발생하며 또한 새로운 스텐트의 삽입이 불가능하여 그 치료가 불가능하였던 점을 보안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의해 인체 내에 있는 내강이 좁아져서 그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의 순환이 불량한 경우 등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그 내강 또는 혈관의 내부에 시술하여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용 기구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담도 스텐트는 지금까지 모두 전체적으로 일자의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고, 자체의 탄성력을 가지고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킬 수 있고 이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팽창력으로 팽창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담도 스텐트의 목적이 주로 수술이 불가능한 간내 담도암에 적용하여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여 간에서 발생한 담즙의 자연스런 십이지장으로의 배액을 유도하는 것인데, 일반 담도 스텐트는 스텐트의 메쉬 사이로 담도암의 조직의 자라 들어와 재폐쇄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재폐쇄를 억제하기 위해 커버부위를 가지는 스텐트(covered stent)로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담도는 기본적으로 간내에서 분지하기에 일자형 원통형의 스텐트의 모양으로는 커버부위를 가지는 스텐트(covered stent) 또는 커버부위가 없는 스텐트(bare stent)는 재폐쇄가 발생하였을 때, 한쪽 분지의 담즙의 배액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자형 원통스텐트(1)를 도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이러한 일자형 원통스텐트(1)를 간 내의 분기된 내강에 삽입하여 시술될 때, 가지형의 분기된 내강에서는 매우 어렵게 되며, 특히 당해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형상인식형 와이어로써 그 결합 및 직조가 가지 형태의 스텐트를 형성하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그 직접적인 제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도 스텐트의 모양을 Y자형 스텐트의 구조를 갖추어 정상적인 간의 담즙의 배액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강의 재폐쇄를 기존의 스텐트에 비해 획기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재패쇄가 발생하더라도, 일자형 원통형 커버부재를 포함한 스텐트overed stent)로 정상적인 담도 내강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스텐트의 일자형을 교차하여 시술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의 조직(Sell)을 크게 하여 방사방향의 힘(Radial force)이 약한 것이 단점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지관(Limb)과 주관(Body)이 일체형으로써 중앙 부위의 구경이 확보가 되고 방사방향의 힘(Radial force)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제조시 형상기억 와이어의 직조가 어렵고 일체형의 주관과 분기된 지관을 갖는 구조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외경을 달리하는 원통형 부재를 통해 절곡 스텐트를 각각 두개를 직조 생산하여 당해 두개의 절곡 스텐트를 겹침 제작함으로써 일체형의 주관과 분기된 지관을 갖는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간편하고 획기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인식 직물로 직조 구성된 인조혈관 스텐트에 있어서, 내경이 상이한 주관(11a,11b) 및 지관(13a,13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15a,15b)이 형성된 절곡 스텐트(10A,10B) 두 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가 내입되면서, 내입되는 절곡 스텐트(10B)의 지관(13b)을 다른 절곡 스텐트(10A)의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연결공은, 상기 겹침 결합되는 절곡 스텐트의 지관이 관통하여 나올 수 있도록 지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가 연결되는 형성되고, 두 개의 절곡 스텐트 지관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짧게 형성되고, 하나의 절곡 스텐트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가 짧은 지관에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의 내경은 상기 연결되는 짧은 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짧은 지관이 상기 연결스텐트에 삽입되면서 겹침 결합되는 것을 즉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는, 인체의 장기에서 발생된 종양이 스텐트 내부에 침투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covered portion);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위(covered portion)는, 상기 지관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에 겹침 내입되어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경이 상이한 절곡 원통부재의 외주에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함으로써 주관 및 지관이 형성된 두 개의 절곡 스텐트(10A,10B)를 제조하고, 이 때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이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절곡 스텐트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를 내입시키면서, 내입되는 지관(13b)을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Y자형의 스텐트 구조를 갖추어 정상적인 간의 담즙 배액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 중 일단은 삽입되는 내강의 구간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타단은 짧게 형성되어, 짧은 지관(13b)에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끼움 겹침결합되도록 하고,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위(covered portion)가 상기 지관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에 겹침 내입되어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담도 스텐트의 모양을 Y자형 스텐트의 구조를 갖추어 정상적인 간의 담즙의 배액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강의 재폐쇄를 기존의 스텐트에 비해 획기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재패쇄가 발생하더라도, 일자형 원통형 커버부재를 포함한 스텐트overed stent)로 정상적인 담도 내강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의 스텐트의 일자형을 교차하여 시술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의 조직(Sell)을 크게 하여 방사방향의 힘(Radial force)이 약한 것이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지관(Limb)과 주관(Body)이 일체형으로 하고, 이로써 중앙 부위의 구경이 확보가 되도록 하여 방사방향의 힘(Radial force)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체화된 주관과 분기된 지관을 갖튼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와 커버부재(covered portion)를 통해 정상적인 간의 담즙의 배액을 확보하고, 종양의 내강 침투에 의한 재폐쇄를 획기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정상적인 담도의 내강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또한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제조시 형상기억 와이어의 직조가 어렵고 일체형의 주관과 분기된 지관을 갖는 구조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외경을 달리하는 원통형 부재를 통해 절곡 스텐트를 각각 두개를 직조 생산하여 당해 두개의 절곡 스텐트를 겹침 제작함으로써 일체형의 주관과 분기된 지관을 갖는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간편하고 획기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자형 원통스텐트와 본 발명에 따른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Y자형으로 이루어진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도시한 도며.
도 3은 본 발명의 절곡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경이 상이한 원통부재에 직조된 절곡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주관과 지관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절곡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주관과 지관을 가지는 절곡 스텐트에 있어서 지관연결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Y자형 스텐트와 연결스텐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가 시술되는 부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형상인식 직물(w)로 직조 구성된 인조혈관 스텐트에 있어서, 내경이 상이한 주관(11a,11b) 및 지관(13a,13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15a,15b)이 형성된 절곡 스텐트(10A,10B) 두 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가 내입되면서, 내입되는 절곡 스텐트(10B)의 지관(13b)을 다른 절곡 스텐트(10A)의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관연결공(15a)은, 상기 겹침 결합되는 절곡 스텐트의 지관(13b)이 관통하여 나올 수 있도록 지관(13b)의 외경(DB)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간내 담도암(Klaskin tumor)으로 인한 간내 담도의 심한 협착이나 폐쇄가 발생할 수 있는데, 기존의 담도 스텐트의 경우는 재폐색이 발생한 경우 오른쪽이나 왼쪽의 한쪽 담도 내강을 확보하지 못하여 완벽한 담도의 구내강 확보가 불가능해 환자의 답즙 배액이 내부로 즉, 정상적인 십이지장으로의 배액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따른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에 따르면, 일차 담도스텐트 삽입으로 완벽한 담도 내강의 확보는 물론 재폐색이 발생하여도 완벽한 양쪽 간엽의 담도 배액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Y자형으로 형성된 형상인식 와이어(w)로 직조된 스텐트로써,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여 환자의 담즙 배액이 내부로 즉, 정상적인 십이지장으로의 배액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Y자형 담도스텐트(10)는, 절곡 스텐트(10A,10B), 주관(11a,11b), 지관(13a,13b), 지관연결공(15a,15b)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 스텐트(10A,10B)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경이 다른 원통형 절곡부재(A,B)의 외주면에 형상인식 와이어(w)를 직조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조된 절곡 스텐트(10A,10B)는 바디부인 큰 직경을 가지는 주관(11a,11b)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리부인 지관(13a,13b)으로 구성되며, 그 분기점에서 지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관연결공(15a,15b)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해 보면, 상기 지관연결공(15a,15b)은 내입되는 다른 절곡 스텐트(10A,10B)의 지관(15b,15a)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 스텐트(10A)의 주관(11a) 내부에 다른 절곡 스텐트(10B)의 지관(13b)이 내입되어 지관연결공(15a)으로 관통 삽입된다. 이에 종국적으로 주관(11a,11b)은 완전 겹침 조립되고, 지관(11b)은 상기 지관연결공(15a)을 통해 관통 돌출되어 각각의 독립된 지관으로써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절곡 스텐트(10A,10B)가 내입 겹침 끼움 결합되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완성된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를 통해 인체 내부의 내강 담도부위에 안정적으로 삽입 시술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13a,13b)에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도 2의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의 지관들(13a,13b)이 모두 짧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관들에 모두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끼움 연결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될 연결스텐트(3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를 포함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종양의 내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담도의 구내강 확보가 충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절곡 스텐트 지관(13a,13b)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의 지관(13b)은 짧게 형성되고, 하나의 절곡 스텐트의 지관(13a)은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된 지관들로 하여금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짧은 지관(13b)에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짧은 지관(13b)에만 연결스텐트(30)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이격된 분리가 없도록 하여(한 쪽의 지관이라도 일체로 연결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스텐트로써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구내강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종양의 인입을 막아 재패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자형 연결스텐트(30)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짧은 지관(13b)에 연결스텐트가 겹침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30)의 내경은 상기 연결되는 짧은 지관(13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짧은 지관이 상기 연결스텐트에 삽입되면서 겹침 끼움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는, 인체의 장기에서 발생된 종양이 스텐트 내부에 침투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위(covered portion, 50)는, 상기 지관(13a,13b)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30)에 겹침 내입되어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는, 외부의 종양이나 이물질이 스텐트 내부에 유입되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외주의 방사형 압력(Radial force)으로부터 충실히 견딜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실리콘 등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는,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비록 스텐트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스텐트 외부에 씌여지면서 상기 스텐트가 커버부재(50)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Y자형 가지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담도스텐트(1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주관(몸통부) 부위는 기존의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가 없는 스텐트(bare stent)로 구성되며 양쪽 지관(다리부분) 부위는 모두 커버부재(covered portion, 50)를 포함하도록 하여 종양의 스텐트 내로의 증식(in growing)을 억제함으로써 내강을 확장하여 담도의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지관(13b)은 짧게 형성하고, 반대편의 지관(13a)는 길게 형성하여 짧은 쪽의 지관(13b)에 끼움 결합되도록 연결스텐트(30)가 겹침 결합된다. 이에 더 나아가 당해 지관들(13a,13b)에는 담도로의 별도의 커버부재(covered stent, 50)로 담도의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의 제조방법은, 외경이 상이한 절곡 원통부재(A,B)의 외주에 형상인식 와이어(w)로 직조함으로써 주관(11a,11b) 및 지관(13a,13b)이 형성된 두 개의 절곡 스텐트(10A,10B)를 제조하고, 이 때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15a,15b)이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절곡 스텐트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를 내입시키면서, 내입되는 지관(13b)을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Y자형의 스텐트 구조를 갖추어 정상적인 간의 담즙 배액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50)를 끼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 중 일단(13a)은 삽입되는 내강의 구간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타단(13b)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짧은 지관(13b)에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끼움 겹침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방방법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관(13a,13b)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30)는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위(covered portion, 50)가 상기 지관(13a,13b)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30)에 겹침 내입되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30)를 일단의 지관(13b)에만 겹침 연결하고 타단(13a)은 최대한 길게 제조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보다 내강을 확보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고, 담도스텐트의 기능으로써 완벽한 담도 내강확보를 통해 담도배액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가 인체의 내부의 담도에 시술되는 부위를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I)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담도가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부위에서는 일반적인 일자형 원통스텐트(1)를 사용하여 시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II) 내지 (IV)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도가 분기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일자형 원통스텐트의 시술이 불가능하고 비록 시술한다고 하더라도 일자형 원통스텐트를 중간에 잘라서 연결하여 시술해야 하므로 매우 불안정하게 되고, 연결부위에 이격이 발생될 수 있게 되어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된 담도 부위에서는 본 발명의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10)를 시술하여 분기지점에서 매우 안정적이도록 하고, 원활하게 담도 배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1 : 일자형 원통스텐트 10 :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10A,10B : 절곡 스텐트 11a,11b : 주관
13a,13b : 지관 15a,15b : 지관연결공
30 : 연결스텐트 50 : 커버부재
w : 형상인식 와이어

Claims (10)

  1. 형상인식 직물로 직조 구성된 인조혈관 스텐트에 있어서,
    내경이 상이한 주관(11a,11b) 및 지관(13a,13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15a,15b)이 형성된 절곡 스텐트(10A,10B) 두 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가 내입되면서, 내입되는 절곡 스텐트(10B)의 지관(13b)을 다른 절곡 스텐트(10A)의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연결공은,
    상기 겹침 결합되는 절곡 스텐트의 지관이 관통하여 나올 수 있도록 지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4. 제 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절곡 스텐트 지관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길게 형성되고, 하나의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짧은 지관에만 일자형 연결스텐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연결스텐트의 내경은 상기 연결되는 짧은 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짧은 지관이 상기 연결스텐트에 삽입되면서 겹침 끼움 결합되는 것을 즉징으로 하는 Y자형 가지를 이루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는,
    인체의 장기에서 발생된 종양이 스텐트 내부에 침투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covered portion);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위(covered portion)는,
    상기 지관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에 겹침 내입되어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자형으로 이루어진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8. 외경이 상이한 절곡 원통부재의 외주에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함으로써 주관 및 지관이 형성된 두 개의 절곡 스텐트(10A,10B)를 제조하고, 이 때 주관에서 지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지관연결공이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절곡 스텐트 중 하나의 절곡 스텐트(10A) 내부에 다른 하나의 절곡 스텐트(10B)를 내입시키면서, 내입되는 지관(13b)을 지관연결공(15a)에 관통시켜 내입시킴으로써 주관은 완전 겹침 결합되도록 하고 절곡 스텐트의 지관은 각각 분기되는 지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Y자형의 스텐트 구조를 갖추어 정상적인 간의 담즙 배액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Y자형 스텐트(10)의 지관 중 일단은 삽입되는 내강의 구간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타단은 짧게 형성되어, 짧은 지관(13b)에 일자형 연결스텐트(30)가 끼움 겹침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에 일자형 연결스텐트를 끼움 결합시키는 단계는,
    종양이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고, 담도암 조직이 유입되어 재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위(covered portion)가 상기 지관 및 일자형 연결스텐트에 겹침 내입되어 제조되도록 하는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42920A 2010-05-07 2010-05-07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20A KR101157918B1 (ko) 2010-05-07 2010-05-07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20A KR101157918B1 (ko) 2010-05-07 2010-05-07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34A true KR20110123434A (ko) 2011-11-15
KR101157918B1 KR101157918B1 (ko) 2012-07-03

Family

ID=4539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920A KR101157918B1 (ko) 2010-05-07 2010-05-07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46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1991B2 (en) 2002-04-24 2006-11-07 Medtronic Vascular, Inc. Endoluminal prosthetic assembly and extension method
US7485140B2 (en) * 2005-06-17 2009-02-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ifurcation stent assembly
US20070142900A1 (en) 2005-12-05 2007-06-21 Balaji Malur R Stent including a portal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46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64228A1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918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034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
JP7041205B2 (ja) 血管内大動脈修復用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230000647A1 (en) Heart valve and endovascular graft components and method for delivery
ES2295043T3 (es) Protesis intraluminales modulares de acceso de hilos guia mejoradas con una seccion de conexion.
US9168123B2 (en) Endovascular graft having a cannulation pocket
US8167930B2 (en) Stent graft for treatment of emergency rupture of a vessel
JP4555405B2 (ja) 分岐状人工血管の配置器具
US9931231B2 (en) Support structures for prostheses with branching portions
EP0952794A1 (fr) Endoprothese modulaire et expansible pour le reseau arteriel
CN105407836A (zh) 升主动脉支架植体系统
US9114002B2 (en) Endovascular graft with an expanded lumen at a bifurcation
CN109498211A (zh) 管腔支架
JP2014533180A (ja) ユニバーサル血管内グラフト
JP2019516504A (ja) 消化器用マルチホールステント
ES2897713T3 (es) Prótesis endovascular
KR100942036B1 (ko) 스텐트
KR101157918B1 (ko) 의료 내강용 담도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9692B1 (ko)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
BR102016017768B1 (pt) Sistema de fixação e condução interna de ramos para endopróteses endovasculares e correspondente endoprótese para tratamento endovascular de aneurismas ou dissecções da aorta
US11759340B2 (en) Optimised structure for an expandable implant of the stent or endoprosthesis type
AU2010325522A1 (en) Method of implanting a stent graft and creating a fenestration therein
KR20110125854A (ko)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