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054A -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054A
KR20110123054A KR1020100042479A KR20100042479A KR20110123054A KR 20110123054 A KR20110123054 A KR 20110123054A KR 1020100042479 A KR1020100042479 A KR 1020100042479A KR 20100042479 A KR20100042479 A KR 20100042479A KR 20110123054 A KR20110123054 A KR 2011012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ress
revetment
support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986B1 (ko
Inventor
허우명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9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9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 E02D2300/0092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liquid tight layer
    • E02D2300/0093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liquid tight layer including bentoni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면이나 호안 복원 장치에 있어서, 사면이나 호안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기 위해 사면이나 호안에 다수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에 상기 지지부재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사면이나 호안에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들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한 경사도나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식생이나 복원에 필요한 상태나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면이나 호안에 대한 복원도를 높이며, 사면이나 호안의 복원이 자연친화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을 통해서 수생태계 및 수질관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RESTORATION APPARATUS FOR VEGE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급한 경사도나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식생이나 복원에 필요한 상태나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주로 콘크리트 블록이나 콘크리트 옹벽 또는 돌쌓기(찰쌓기)를 위주로 시공하여 왔다.
이러한 콘크리트 또는 돌쌓기 구조로 구축된 사면은 구조적인 안정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무미건조한 경관을 형성하여 미관을 해치게 되고,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므로 자연 생태적인 단절을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천 제방이나 도로 사면의 환경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여 환경친화적인 경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호안이나 사면의 보호기능을 수행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친환경적으로 재생 및 복구하기 위한 식생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식생공법은 매트와 고정핀으로 호안이나 사면을 복원하는 공법으로서, 호안이나 사면에 식생매트를 T자형 또는 ㄷ자형의 고정핀을 사용하여 고정시켜서 식생매트에 부착된 씨앗과 비료에 의해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에 사용되는 장치 중 고정핀은 고정앙카 또는 앙카핀으로 명명되며, 사용 명칭을 달리할 뿐 형태는 유사하다. 또한, 식생의 시공면이 암반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핀과는 형태나 용도가 다른 앙카볼트 등을 사용하여 식생매트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경사가 급한 비탈면에 식생매트를 고정하여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활착이 쉽지 않아 매트가 토양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식생매트의 식생활착이 이루어지더라도 뿌리가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준으로 깊고 견고하게 토양을 결속하지 못한다. 특히, 나지상태의 경사면에 시공된 식생매트는 해빙기나 강우시에 토사가 흘러내려서 식생매트의 하단부에 토사가 쌓이면서 토사의 무게에 의해 식생매트가 찢어지고 고정핀이 뽑혀나가게 된다.
또한, 하천의 하안에 식생매트를 사용하여 복원하는 경우 대부분 식생매트 고정용으로 고정앙카나 앙카핀 등의 고정핀을 사용하게 되며, 식생매트와 하안 사면 사이에 법면의 토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강우시 이들 부직포가 미세한 토사 입자에 의해 막혀서 부직포 안쪽으로 수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식생매트가 전체적으로 유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하안 사면의 복원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식생매트는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설계 적용 유속이 2~5m/sec로 낮으며, 큰 유속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식생매트의 유실을 막을 수 있도록 하거나, 식생매트를 대신하여 식생이 가능하도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식생 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한 경사도나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면이나 호안에 대한 복원도를 높이며, 이러한 복원이 자연친화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면이나 호안의 식생을 위한 복원 장치에 있어서, 사면이나 호안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기 위해 사면이나 호안에 다수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에 상기 지지부재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사면이나 호안에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들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바 형태를 가지도록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양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사각형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사각형에 대각선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교차하는 부위에 서로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끝단이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재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선단에 폭이나 두께가 끝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사면이나 호안에 압입되는 압입체; 상기 압입체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되거나 상기 압입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압입체로부터 돌출되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압입체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편과 상기 압입체를 감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를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밴드에 연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체는 상기 압입부가 화살촉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부는 측부가 회전반경의 접선방향으로 휘도록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체는 상단에 T자를 이루는 매트결속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은 압입시 접히도록 상기 압입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압입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설치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스는, 사면 또는 호안에 설치되고, 내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전후로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통과부를 통한 토양입자의 유실을 차단하는 충진제;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면 또는 호안에 박힘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말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통과부가 전면과 후면에 마련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망의 표면에 부식방지용 재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이 다수로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와 슬라이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코이어매트, 가마니덮석, 마대, 볏짚거적, 부직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 또는 씨앗과 함께 상기 장착공간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면이나 호안의 복원 공법에 있어서, 사면이나 호안에 고정수단을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사면이나 호안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들을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에 상기 지지부재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 이전에 사면이나 호안에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 이후에 사면이나 호안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펜스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에 의하면, 급한 경사도나 강우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식생이나 복원에 필요한 상태나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면이나 호안에 대한 복원도를 높이며, 사면이나 호안의 복원이 자연친화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을 통해서 수생태계 및 수질관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시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다른 배열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지지부재 교차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압입체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지지부재 상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압입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압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펜스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펜스를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의 시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100)은 사면이나 호안의 식생을 위한 복원 장치로서, 사면이나 호안(1)에 다수로 설치되는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120)와, 연결부재(120) 각각을 서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사면이나 호안(1)에 압입되는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도로의 사면이나 하천의 호안(1)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기 위해 사면이나 호안(1)에 다수로 설치되고, 원형이나 사각형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진 바(bar) 형태를 가지며, 자연친화적인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사각형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배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면이나 호안(1)에 바둑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각형에 대각선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는 연결부재(120)가 양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는 사각형에 대각선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서로 대각선을 이루게 되는 경우 교차하는 부위에 서로 끼워지도록 끼움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지지부재(11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고정수단(130)에 쉽게 연결되도록 끝단이 링(121; 도 3에 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수단(130)은 다수로 이루어져서 연결부재(120) 각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1)에 지지부재(110)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사면이나 호안(1)에 압입되어 지지부재(110)들을 고정시킨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30)은 연결부재(120; 도 2에 도시)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는 와이어(131)와, 와이어(131)가 연결됨과 아울러 선단에 폭이나 두께가 끝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입부(132a)가 형성되어 사면이나 호안(1)에 압입되는 압입체(132)와, 압입체(132)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되거나 압입체(1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133)과, 걸림편(133)이 압입체(132)로부터 돌출되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34)와, 걸림편(133)이 압입체(132)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편(133)과 압입체(132)를 감싸는 밴드(135)와, 밴드(135)를 걸림편(13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밴드(135)에 연결되는 연결줄(1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시키고자 하는 지지부재(110) 등과 같은 구조물의 크기나 용도, 그리고, 설치면의 경사도에 따라 고정지점마다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31)는 합성수지재의 로프 또는 강선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연결부재(120)의 링(121; 도 3에 도시)들을 통과함으로써 연결부재(120)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예로서 연결부재(120)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별도의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압입체(132)는 일례로 둥근 철제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길이나 굵기 또는 지름이 고정시키고자 하는 구조물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고정에 유효한 규격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선단에 와이어(131)와의 연결을 위하여 링 형태의 연결부(132)가 마련된다.
걸림편(133)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압입체(132)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거나, 이와 달리 압입체(132)의 측부에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림편(1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체(132)의 측부에 밀착되는 경우 압입체(132)와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하여 압입체(132)의 곡률이나 외형에 상응하는 곡률이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일례로 끝단이 두 개로 분할된 뾰족한 모종삽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압입시 토사 등과의 저항에 의해 접히도록 압입체(132)의 양측을 깎아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결합부(132c)에 일측이 힌지결합핀(133a)을 사용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며, 압입체(132)의 관통홀(132d)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탄성부재(134)의 끝단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돌기(133b)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33)의 일측과 압입체(132)의 힌지결합부(132c)는 힌지결합핀(133a)을 사용하여 힌지 결합되기 위하여 힌지결합핀(133a)이 삽입되기 위한 홀(도면 부호 미도시)을 형성한다.
또한, 걸림편(133)은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4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압입체(132)로부터 4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압입체(132)는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힌지결합부(132c)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134) 2개가 각각 삽입되도록 관통홀(132d)이 서로 교차하도록 2개가 형성된다.
한편, 압입체(1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됨으로써 T자를 이루는 매트결속부(132e)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압입체(132)는 매트, 일례로 식생매트를 사면이나 호안(1)과 지지부재(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매트를 결속시키기 위한 매트결속부(132e)가 마련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압입체(132)는 선단의 압입부(132a)가 화살촉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압입부(132a)의 정면 형상이 도 9에서 (a)와 같이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거나, 회전시 측부가 토양을 쉽게 굴착할 수 있도록 (b)와 같이 측부가 회전반경의 접선방향으로 휘도록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변의 지반을 부드럽게 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시 압입부(132a)가 풀리지 않도록 시계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4)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편(133)이 토양을 밀어내어 벌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가진다.
연결줄(136)은 밴드(135)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고리(136a)를 매개로 하여 밴드(135)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100)는 지지부재(110) 사이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설치되는 펜스(140; 도 1에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40)는 사면 또는 호안(1)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에 장착공간(141a)이 형성되며, 장착공간(141a)의 전후로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부(141b)가 마련되는 프레임(141)과, 프레임(141)의 장착공간(141a)에 장착됨과 아울러 통과부(141b)를 통한 토양입자의 유실을 차단하는 충진제(144); 및 프레임(141)에 결합되어 사면 또는 호안(1)에 박힘으로써 프레임(141)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말뚝(14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41)은 통과부(141b)가 전면과 후면에 마련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철망의 표면에 부식방지용 재료가 코팅될 수 있고, 토사 유실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시 ⅓ 정도가 토양에 묻히도록 할 수 있고, 식생 펜스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친환경소재인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플라스틱이나 PVC 등을 이용하여 주조 등의 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친환경 블록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를 활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스텐레스, 철 또는 나무로 골격만 제작하고 통과부(141b)인 철망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1)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그 밖에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 넓이, 높이 등의 크기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다.
충진제(144)는 코이어매트, 가마니덮석, 마대, 볏짚거적, 부직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 또는 씨앗과 함께 장착공간(141a)에 채워진다.
고정말뚝(145)은 프레임(141)에 결합되어 지면에 박힘으로써 프레임(141)을 지면에 고정시키는데, 플라스틱, PVC(Poly vinyl chloride), 나무 또는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에 PVC 코팅에 의한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41)은 고정말뚝(145)과 결합되기 위하여 양측에 고정말뚝(145)이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관(141c)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40)는 프레임(141)이 다수로 연결되도록 프레임(141)의 양측에 마련되는 연결부(142,14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연결부(142,143)는 프레임(141)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프레임(141)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와 슬라이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를 이용한 사면이나 호안의 식생을 위한 복원 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 방법은 사면이나 호안(1)에 고정수단(130)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사면이나 호안(1)에 지지부재(110)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수단(130)에 연결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고정단계는 고정수단(130)을 사면이나 호안(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30)이 사면이나 호안(1)의 토양속에서 걸림편(133)을 쉽게 펴기 위해서, 일정 깊이까지 박은 후 연결부(132b)에 막대 등의 지그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압입부(132a)의 옆면을 이용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그런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33)이 부드러운 토양부분에 도달하도록 고정수단(130)을 압입한 후, 연결줄(136; 도 10에 도시)을 당겨서 탄성부재(134)의 이완을 막고 있던 밴드(135; 도 10에 도시)가 벗겨지도록 한다. 이 때, 걸림편(133)이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벌어지지 않게 되더라도 걸림편(133)의 모양이 모종삽 모양을 이루게 됨과 아울러 방향이 위를 향하고 있어 고정수단(13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편(133)이 토양속의 사선방향으로 파고들어서 고정편(133)이 토양 내에 단단하게 결속된다.
연결단계는 사면이나 호안(1)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120)들을 고정수단(13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면이나 호안(1)에 지지부재(110)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자연친화를 위하여 목재, 예컨대 방부목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0)들은 나사못 형태의 연결부재(120)와의 나사 결합과 연결부재(120)들간의 와이어(131) 밴딩에 의한 상호 연결에 의해서 사면이나 호안(1)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고정수단(13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연결단계 이후에 사면이나 호안(1)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펜스(14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펜스(14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140)가 횡방향 지지부재(110)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면이나 호안(1)에 씨앗과 비료를 뿌려서 녹화를 시도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 상단의 산마루 측구에 배수시설이 별도 설치될 경우, 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100)와 함께 더욱 안전한 사면 또는 호안(1)의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펜스(140)가 배수의 기능, 토양유실 저감 기능 및 식생 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식생녹화에 적합하도록 하며, 펜스(140)와 펜스(140) 사이에 풀씨를 활착시켜서 토양의 흘러내림 방지와 조경 효과를 높이도록 하며, 나아가서, 조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경용 풀씨(야생화 등)를 활착할 수 있다.
한편, 사면이나 호안(1)의 경사가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큰 경우 펜스(140)를 지지부재(110) 상단에 설치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결단계 이전에 사면이나 호안에 식생매트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사면이나 호안(1)의 경사도가 큰 경우 4각형을 이루는 지지부재(110) 내에 대각선 양방향으로 지지부재(110)를 추가로 설치하는데, 그 전에 지지부재(110)와 사면이나 호안(1) 사이에 매트, 일례로 식생매트 등이 위치하도록 시공하면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생활착에 유리하다. 특히 경사가 급한 경우 지점마다 고정수단(130)은 여러 개 사용하여 지지부재(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10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경사면 상단의 산마루측에도 지지부재(110)를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숲속 방향으로 설치 고정할 수 있으며, 산마루 측구에는 일 지점에 고정수단(130)을 다수로 압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부재(11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130)은 하천의 호안에 적용할 경우 제방 위 혹은 제방 바깥(제내지)쪽으로도 함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제방을 중심으로 제외지와 제내지, 그리고 제방 상단을 함께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에 따르면, 도로, 임도, 호안, 공사장 및 농경지 주변의 사면 등과 같이 나지상태의 비탈 경사면에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식생이 활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자연친화적 하천 복원시 호안 사면의 복원을 가능하도록 하며, 펜스(140)의 설치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지지부재 111 : 끼움홈
120 : 연결부재 121 : 링
130 : 고정수단 131 : 와이어
132 : 압입체 132a : 압입부
132b : 연결부 132c : 힌지결합부
132d : 관통홀 132e : 매트결속부
133 : 걸림편 133a : 힌지결합핀
133b : 끼움돌기 134 : 탄성부재
135 : 밴드 136 : 연결줄
136a : 고리 140 : 펜스
141 : 프레임 141a : 장착공간
141b : 통과부 141c : 결합관
142,143 : 연결부 144 : 충진제
145 : 고정말뚝

Claims (18)

  1. 사면이나 호안 복원 장치에 있어서,
    사면이나 호안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기 위해 사면이나 호안에 다수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에 상기 지지부재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사면이나 호안에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들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바 형태를 가지도록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양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사각형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사각형에 대각선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교차하는 부위에 서로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끝단이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재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선단에 폭이나 두께가 끝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사면이나 호안에 압입되는 압입체;
    상기 압입체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되거나 상기 압입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압입체로부터 돌출되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압입체의 측부에 밀착 또는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편과 상기 압입체를 감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를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밴드에 연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체는 상기 압입부가 화살촉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측부가 회전반경의 접선방향으로 휘도록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체는 상단에 T자를 이루는 매트결속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압입시 접히도록 상기 압입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압입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설치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스는,
    사면 또는 호안에 설치되고, 내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전후로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통과부를 통한 토양입자의 유실을 차단하는 충진제;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면 또는 호안에 박힘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말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통과부가 전면과 후면에 마련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망의 표면에 부식방지용 재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다수로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와 슬라이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코이어매트, 가마니덮석, 마대, 볏짚거적, 부직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 또는 씨앗과 함께 상기 장착공간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16. 사면이나 호안 복원 공법에 있어서,
    사면이나 호안에 고정수단을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사면이나 호안을 안정화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들을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시킴으로써 사면이나 호안에 상기 지지부재들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연결단계
    를 포함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공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 이전에 사면이나 호안에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공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 이후에 사면이나 호안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펜스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및 호안 복원 공법.
KR1020100042479A 2010-05-06 2010-05-06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10121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79A KR101213986B1 (ko) 2010-05-06 2010-05-06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79A KR101213986B1 (ko) 2010-05-06 2010-05-06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54A true KR20110123054A (ko) 2011-11-14
KR101213986B1 KR101213986B1 (ko) 2012-12-20

Family

ID=4539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479A KR101213986B1 (ko) 2010-05-06 2010-05-06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6602A (zh) * 2013-11-21 2014-02-05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防治沟道泥石流起动的结构体及其设计方法
CN113006096A (zh) * 2021-02-23 2021-06-22 江苏筑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植被混凝土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4493B2 (ja) * 1996-05-30 2005-08-17 清水建設株式会社 法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58963B1 (ko) * 2001-11-07 2004-12-03 김유신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KR200380759Y1 (ko) * 2005-01-04 2005-04-0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조립식 격자블록
KR100864084B1 (ko) * 2008-07-15 2008-10-16 주식회사 대덕지질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6602A (zh) * 2013-11-21 2014-02-05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防治沟道泥石流起动的结构体及其设计方法
CN103556602B (zh) * 2013-11-21 2015-06-10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防治沟道泥石流起动的结构体及其设计方法
CN113006096A (zh) * 2021-02-23 2021-06-22 江苏筑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植被混凝土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006096B (zh) * 2021-02-23 2022-04-22 江苏筑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植被混凝土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986B1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208B1 (en) Biodegradable sediment barrier
FR2615542A1 (fr) Dispositif pour stabiliser les talus et versants a l'encontre des instabilites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ches de la surface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CA3013981C (en) Fiber block system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13986B1 (ko)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101139219B1 (ko)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56375B1 (ko)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1010538B1 (ko) 흙탕물 저감 및 비점오염 저감 공법
KR100636622B1 (ko) 사면 부근 도로의 다단식 낙석 방지대
KR101213985B1 (ko) 구조물의 고정 장치
KR100830628B1 (ko) 지오그리드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시공방법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1003737B1 (ko) 친환경 사면 보호공법 및 그 구조체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KR100731930B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시설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36184Y1 (ko)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0327419Y1 (ko) 자연형 하천제방 법면 설치를 위한 보호공 설치구조
KR100996666B1 (ko) 견고성이 보강된 하천법면용 조립식 호안블럭
KR20110127776A (ko) 토사 흐름방지 및 녹화를 위한 사면 안정화 시공방법
KR101138179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체
KR100986180B1 (ko) 식생매트 고정용구
KR100892411B1 (ko) 생태 활성형 호안 블록
JP2003239290A (ja) 裸地法面の緑化方法と植生基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