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84Y1 -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84Y1
KR200436184Y1 KR2020060031659U KR20060031659U KR200436184Y1 KR 200436184 Y1 KR200436184 Y1 KR 200436184Y1 KR 2020060031659 U KR2020060031659 U KR 2020060031659U KR 20060031659 U KR20060031659 U KR 20060031659U KR 200436184 Y1 KR200436184 Y1 KR 200436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tructure
connection device
block
anchor bol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이엔.씨(주) filed Critical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to KR2020060031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상, 고수, 호안 등 각 용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에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과; 상기 블록에 압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앵커볼트에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 와셔와; 상기 와셔의 관통공에 연결되는 카나비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블록과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이 일체로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이점이 있으며, 블록과 수변식물이 어우러져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하천의 자정 기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시공이 뛰어나며, 디자인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돌망태 및 다른 자연석 공법에 비하여 30∼40% 정도 저렴하게 시공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호안 보호용 구조물 연결장치

Description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Coupling device for revetment protection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아이볼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블록 200: 앵커볼트
210: 아이볼트 300: 연결부재
310: 와셔 312: 관통공
320: 카나비나 330: 클립
332: 관통공 340: 환상클립
350: 연결구 352: 덮개
354: 채널 356: 스프링
358: 지지봉 360: 돌출부
362: 체결구 364: 체결홈
400: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
본 고안은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상, 사면, 둔치, 제방, 호안 등 각 용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에 앵커볼트 및 다양한 연결재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호안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사면을 보호하는 데 있어 근래에는 자연형 하천이 대세로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지양하고, 자연석, 야자섬유네트, 화초류 등 자연소재를 활용하여 호안을 보호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자연석 및 조경석을 사용하는 공법이 하천 제방 및 사면보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돌망태 및 전석쌓기, 조경쌓기, 돌붙임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돌망태 공법은 식물의 식생이 어려워 환경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물질 등에 걸려 미관이 좋지 않고, 철망의 부식으로 인하여 내구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돌쌓기 공법도 홍수시 하천의 소류력에 의하여 배면의 토사가 유출되어 침하 및 재료의 분리에 따라 제방의 파괴가 잇따라 발생하여 홍수시에 큰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기존의 돌망태 및 자연석 적층 공법에 비하여 경제적이며,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양호하며, 모든 구조물이 일체화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합 성수지망 사용시 작은 자갈 등의 유출을 방지하여 사면보호 능력이 뛰어나며, 현지 여건에 맞는 식물을 활착시켜 환경성을 높여 더욱 생태적으로 우수한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에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호안 사면을 보호하도록 한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과; 상기 블록에 압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앵커볼트에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 와셔와; 상기 와셔의 관통공에 연결되는 카나비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앵커볼트(200)와; 상기 앵커볼트(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연결부재(300)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철판을 접어서 접힌 부분의 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332)이 형성된 클립(330)으로 구성된 점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립(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철판을 접어서 접힌 부분의 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332)으로서 클립(330)의 접 힌 부분이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에 끼워지고, 타측의 관통공(332)을 앵커볼트(200)를 삽입하고, 이 앵커볼트(200)를 블록(100)에 압입 설치함으로써, 호안 보호용 구조물을 구축하는 연결부재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앵커볼트(200)와; 상기 앵커볼트(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연결부재(300)가 상기 앵커볼트(200)에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312)이 형성된 평판형 와셔(310)와; 상기 와셔(310)의 관통공(312)에 연결되는 카나비나(320)로 구성된 점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로는 와셔(310)와 카나비나(320)로 구성되며, 상기 와셔(310)는 복수의 관통공(312)이 형성된 평판이며, 상기 카나비나(320)는 와셔(310)의 관통공(312)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바늘귀 형상으로 중간 부분이 일정압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와셔(310)와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앵커볼트(200)와; 상기 앵커볼트(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상기 앵커볼트(200)는 아이볼트(210)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볼트(2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철판을 환상으로 감아서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겹쳐진 환상클립(340)으로 구성된 점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환상클립(340)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제작되므로, 이 환상클립(340)을 이용하여 아이볼트(210)끼리 또는 아이볼트(210)와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아이볼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앵커볼트(200)와; 상기 앵커볼트(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그 기술적 사상을 같이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앵커볼트(200)가 아이볼트(210)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볼트(2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연결구(350)가 체결되되, 상기 연결구(3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덮개(352)와; 상기 덮개(352)의 일측면과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내측이 절개 형성되는 채널(354)과; 상기 채널(354)의 내측면 좌우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356)과; 상기 스프링(356) 간에 일체로 고정되면서, 환봉으로 이루어진 지지봉(35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352)는 그 상면 소정의 위치가 상향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60)가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돌출부(360)는 아이볼트(210)가 지지봉(358)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임으로 덮개(352)와 지지봉(358) 사이를 긴밀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덮개(352)의 일부를 상향으로 돌출시켜 절곡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352)는 그 이면의 소정의 위치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체결구(36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362)에 대응되는 지지봉(358)에는 하향으로 일정 한 깊이로 절개되는 체결홈(364)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블록(100)에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을 넣고 아이볼트(210)를 블록(100)에 고정한 후, 상기 아이볼트(210)의 상부를 연결구(350)의 지지봉(358)을 끼운 상태에서 연결구(350)의 덮개(352)를 누르면, 덮개(352)의 이면에 형성된 체결구(362)가 지지봉(358)에 형성된 체결홈(364)에 삽입됨으로써, 아이볼트(210)와 연결구(350)가 긴밀하게 고정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연결구(350)는 스프링(356)을 매개로 하여 상부 덮개(352)와 하부 지지봉(358)이 벌어지도록 한 구조로써, 아이볼트(210) 상단에 지지봉(358)을 끼운 후 덮개(352)와 지지봉(358)을 체결하면 용이하게 아이볼트(2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아이볼트(210)와; 상기 아이볼트(2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와이어(370)와 상기 와이어(370)를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핀(380)으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블록(100)에 고정 설치된 아이볼트(210) 상단에 와이어(370)를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370)를 고정핀(380)으로 지반에 고정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블록과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이 일체로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이점이 있으며, 블록과 수변식물이 어우러져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하천의 자정 기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시공이 뛰어나며, 디자인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돌망태 및 다른 자연석 공법에 비하여 30∼40% 정도 저렴하게 시공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무엇보다 내구성과 경제성,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보다 우수하여 하천의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블록(100)과; 상기 블록(100)에 압입되는 앵커볼트(200)와; 상기 앵커볼트(2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며,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망 또는 합성수지 망(400)으로 구성되는 호안 보호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200)는 아이볼트(210)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볼트(2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연결구(350)가 체결되되, 상기 연결구(3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덮개(352)와; 상기 덮개(352)의 일측면과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내측이 절개 형성되는 채널(354)과; 상기 채널(354)의 내측면 좌우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356)과; 상기 스프링(356) 간에 일체로 고정되면서, 환봉으로 이루어진 지지봉(35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52)는 그 상면 소정의 위치가 상향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6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52)는 그 이면의 소정의 위치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체결구(36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362)에 대응되는 지지봉(358)에는 하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는 체결홈(3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8. 삭제
KR2020060031659U 2006-12-14 2006-12-14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0436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59U KR200436184Y1 (ko) 2006-12-14 2006-12-14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59U KR200436184Y1 (ko) 2006-12-14 2006-12-14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84Y1 true KR200436184Y1 (ko) 2007-06-27

Family

ID=4163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659U KR200436184Y1 (ko) 2006-12-14 2006-12-14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71B1 (ko) * 2007-11-23 2008-03-31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71B1 (ko) * 2007-11-23 2008-03-31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79B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KR100657183B1 (ko) 하천호안의 생태 보호용 식생 블록 설치 구조
KR102069672B1 (ko)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200436184Y1 (ko) 호안 보호 구조물용 연결장치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101213986B1 (ko)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Simanjuntak Performance evaluation on low-crest breakwater at north coast of Java Island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0386495Y1 (ko)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럭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100743543B1 (ko) 유실방지기능이 구비된 호안블럭
KR101738465B1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